Pyramid Song

덤프버전 : (♥ 0)

파일:라디오헤드 로고.svg


[ Studio Albums ]
파일:pablohoney.jpg
파일:thebends.jpg
파일:okcom.jpg
파일:kid a.jpg
파일:amnesiac.jpg

1993년 2월 22일

1995년 3월 13일

1997년 6월 16일

2000년 10월 2일

2001년 6월 5일
파일:라헤 6집.jpg
파일:inrainbows.jpg
파일:라헤 8집.jpg

2003년 6월 9일

2007년 10월 10일

2011년 2월 18일

2016년 5월 8일
[ Singles ]

Creep
1992년 9월 21일
Anyone Can Play Guitar
1993년 2월 1일
Pop Is Dead
1993년 5월 10일
Stop Whispering
1993년 10월 5일
My Iron Lung
1994년 9월 26일
High and Dry / Planet Telex
1995년 2월 27일
Fake Plastic Trees
1995년 5월 15일
Just
1995년 8월 7일
Street Spirit (Fade Out)
1996년 1월 22일
The Bends
1996년 7월 26일
파일:파라노이드안드로이드.jpg
Paranoid Android
1997년 5월 26일
Karma Police
1997년 8월 25일
Lucky
1997년 12월
No Surprises
1998년 1월 12일
Pyramid Song
2001년 5월 21일
Knives Out
2001년 8월 6일
There, There
2003년 5월 26일
Go to Sleep
2003년 8월 18일
2 + 2 = 5
2003년 11월 17일
Jigsaw Falling into Place
2008년 1월 14일
파일:The Daily Mail / Staircase.jpg
Nude
2008년 5월 31일
Harry Patch (In Memory Of)
2009년 8월 5일
These Are My Twisted Words
2009년 8월 17일
Supercollider / The Butcher
2011년 4월 16일
The Daily Mail / Staircase
2011년 12월 19일
Spectre
2015년 12월 25일
Burn the Witch
2016년 5월 3일
Daydreaming
2016년 5월 6일
I Promise
2017년 6월 2일
Man of War
2017년 6월 22일
If You Say the Word
2021년 9월 7일
Follow Me Around
2021년 11월 1일



파일:amnesiac.jpg
Amnesiac
트랙리스트
||


Pyramid Song의 수상 이력
[ 펼치기 · 접기 ]

파일:D35299F0-A94E-4256-858A-16C852ABB793.png
어클레임드 뮤직 선정 올타임 노래
774위






파일:sonemic.pngRate Your Music 전체 싱글 차트
284위




Pyramid Song
싱글 발매일2001년 5월 21일
앨범 발매일2001년 6월 5일
녹음일1999년 1월2000년 4월
장르아트 록, 포스트 록
러닝 타임4:49
작사/작곡라디오헤드
프로듀서나이젤 고드리치, 라디오헤드
수록 앨범
레이블파일:7FF17EF7-7612-4390-BF5C-B00EF61850AD.jpg 팔로폰 레코드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파일:캐피톨 레코즈 로고.svg 캐피톨 레코드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 싱글 커버 ]

1. 개요
2. 상세
3. 가사
4. 여담



1. 개요[편집]


2001년 발표된 라디오헤드의 5집 Amnesiac의 두 번째 트랙이자 첫 번째 싱글.

2. 상세[편집]


Amnesiac에서 가장 평론적 평가가 높은 곡으로 피아노와 재즈, 포스트 록[1] 등의 요소를 절묘하게 버무려낸 것이 특징이며, 피치포크, 롤링 스톤 둘 다 2000년대 최고의 트랙으로 100위권 이내에 위치시켰다.

8분의 6 박자를 변형시킨듯한 독특한 박자로 유명하다. 오랫동안 들었지만 도저히 무슨 박자인지 모르겠다는 사람이 부지기수. 이 동영상을 참고. 박자 진행이 곡 제목처럼 피라미드의 모양과 관련이 있다는 설이 있다. (이 그림 참고) 필립 셀웨이는 4/4박자라고 선을 그었지만 여전히 많은사람들은 박자에 대해서 혼란스러워한다. # 4-4-4-4로 끊어지는 것이 아니라 3-3-4-3-3으로 끊어지기 때문. 3-3-3-7로도 끊을 수 있다.

죽은 자들에 대한 곡으로, 1999년 2주 동안 코펜하겐에 머물러 있을 때 톰 요크가 이집트 전시회를 보고 5분 만에 가사를 썼다. 톰은 이에 대해서 "광기가 들린 곳" 이었기 때문에 그렇게 쓸 수 있었다고 회상한다, 그는 스티븐 호킹의 시간이 순환하는 물리 이론과 4차원 공간, 그리고 불교윤회 사상과 승려 바르도 토에돌의 <사자의 서>, 헤르만 헤세싯다르타, 이집트 신화의 사자의 서에 영감 받아 모든 것이 순환한다는 주제의 곡이 되었다.

3. 가사[편집]



Pyramid Song

{{{#000 I jumped in the river and what did I see?
내가 강에 뛰어들었더니, 무엇을 보았을까?
Black-eyed angels swam with me
검은 눈의 천사들이 나와 헤엄치더군
A moon full of stars and astral cars
별들 가득한 달과 우주의 자동차들
And all the figures I used to see
내가 예전에 볼 수 있었던 모든 사람들
All my lovers were there with me
내 연인들이 모두 그곳에 나와 함께 있었어
All my past and futures
나의 모든 과거와 미래도
And we all went to heaven in a little row boat
그리고 우린 작은 나룻배를 타고 천국으로 갔지
There was nothing to fear and nothing to doubt
더 이상 두려워할 것도, 의심할 것도 없었어
I jumped into the river
난 강에 뛰어들었어
Black-eyed angels swam with me
검은 눈의 천사들이 나와 헤엄치더군
A moon full of stars and astral cars
별들 가득한 달과 우주의 자동차들
And all the figures I used to see
내가 예전에 볼 수 있었던 모든 사람들
All my lovers were there with me
내 연인들이 모두 그곳에 나와 함께 있었어
All my past and futures
나의 모든 과거와 미래도
And we all went to heaven in a little row boat
그리고 우린 작은 나룻배를 타고 천국으로 갔지
There was nothing to fear and nothing to doubt
더 이상 두려워할 것도, 의심할 것도 없었어
There was nothing to fear and nothing to doubt
더 이상 두려워할 것도, 의심할 것도 없었어
There was nothing to fear and nothing to doubt
더 이상 두려워할 것도, 의심할 것도 없었어}}}


파일:Radiohead White.png


4. 여담[편집]


  • 콜린은 톰이 쓴 가사로 이 곡을 들을 때 나룻배로 죽음의 강을 건너는 장면을 떠올린다고 한다. 단테의 신곡에서 단테가 지옥을 건너는 장면과 연옥과 천국의 장면 같은 것이다. 가사의 the black-eyed angels, a moon full of stars, jumping into the river. 같은 구절 또한 이런 희곡의 소재와 관련 있는 것이다.
  • 가사의 “Swing Low, Sweet Chariot.”과 “and we all went to heaven in a little row boat" 부분은 톰 웨이츠의 Clap Hands와 유사하다.(#)
  • 재즈음악가 찰스 밍거스1963년 작 Freedom을 참조했다, 원곡에는 Freedom처럼 박수소리가 있었다.
  • 조니가 옹드 마르트노와 기타를 현악기를 키듯이 연주한다.(#).
  • 800% 느린 버전이 존재하는데, 극도로 느려진 피아노 코드 진행과 보컬로 인해 마치 앰비언트 장르를 듣는듯한 느낌을 주어 원곡보다 더욱 색다르고 신비로운 분위기를 자아낸다. # [2]
[1] 조니 그린우드는 이 곡에서 활로 기타를 켜서 연주하는데, 이러한 주법은 시규어 로스갓스피드 유! 블랙 엠퍼러같은 포스트락 밴드가 먼저 시도한 주법으로 유명하다.[2] 사실 이렇게 음이 늘어지면 보통은 앰비언트스러운 사운드가 만들어지게 된다. 심지어 저스틴 비버Baby로도 이런 느낌을 만들 수 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Amnesiac 문서의 r179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Amnesiac 문서의 r179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02 12:41:53에 나무위키 Pyramid Song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