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5리그

덤프버전 : (♥ 0)

분류

파일:대한축구협회 엠블럼.svg 대한민국축구 리그
[ 펼치기 · 접기 ]



파일:K5리그 로고.svg
2024 시즌 참가 구단
[ 펼치기 · 접기 ]

#555555,#aaaaaa ||<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91919><width=25%><height=10>
[ 강원 ]
||<width=25%>
[ 경기 ]
||<width=25%>
[ 경남 ]
||<width=25%>
[ 경북 ]
|| ||<height=10>
[ 서울 ]
||
[ 울산 ]
||
[ 인천 ]
||
[ 전남 ]
|| ||<height=10>
[ 전북 ]
||
[ 광주 ]
||
[ 충남 ]
||
[ 대전 ]
|| ||<height=10>
[ 충북 ]
|| ||<-4> {{{-2 대구: 경북 리그 참가 | 세종: 충남 리그 참가 | 부산: 경남 리그 참가 }}} || ||<-4><bgcolor=#eb8615> [[틀:K5리그|'''{{{#ffffff K5리그 권역별 참가 클럽 보기}}}''']][br]
[[틀:K5리그 강원|{{{#eb8615 강원}}}]]
·
[[틀:K5리그 경기|{{{#eb8615 경기}}}]]
·
[[틀:K5리그 경남|{{{#eb8615 경남}}}]]
·
[[틀:K5리그 경북|{{{#eb8615 경북}}}]]
·
[[틀:K5리그 서울|{{{#eb8615 서울}}}]]
·
[[틀:K5리그 울산|{{{#eb8615 울산}}}]]
·
[[틀:K5리그 인천|{{{#eb8615 인천}}}]]
·
[[틀:K5리그 전남|{{{#eb8615 전남}}}]]
·
[[틀:K5리그 전북|{{{#eb8615 전북}}}]]
·
[[틀:K5리그 광주|{{{#eb8615 광주}}}]]
·
[[틀:K5리그 충남|{{{#eb8615 충남}}}]]
·
[[틀:K5리그 대전|{{{#eb8615 대전}}}]]
·
[[틀:K5리그 충북|{{{#eb8615 충북}}}]]
|| ||<-2><bgcolor=#2e2b4c> [[틀:K4리그|{{{#fff ◀}}} [[파일:K4리그 로고.svg|height=30]] {{{#fff K4리그}}}]] ||<-2><bgcolor=#176fc1> [[틀:K6리그|[[파일:K6리그 로고.svg|height=30]] {{{#fff K6리그 ▶}}}]] || ||<-4><bgcolor=#104297> [[틀:FA컵(대한민국) 참가 구단|{{{-2 {{{#f7c626 FA컵 참가 구단}}}}}}]] ||



K5·6·7리그의 일부
K5리그
파일:K5리그 로고.svg
정식 명칭 K5리그
영문 명칭 K5 League
종목축구
창설 2019년(5주년)
국가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명칭 변천 K5리그 (2019~ )
리그 주관 대한축구협회
(생활축구본부/지역축구협회)
진출 구단 전국 6개 광역 지역 (13개 리그)
83개 구단
최근 우승 구단 [A]서울 벽산 플레이어스 FC(2023)
최다 우승 구단 [A]청주 SMC 엔지니어링 FC(2회)
상위 리그 K4리그[1]
하위 리그 K6리그
중계 방송 STN SPORTS[2] , AI sports TV[3], skySports[4]
웹 사이트 및 소셜 미디어 파일:K5리그 로고.svg 웹 사이트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 JoinKFA

1. 개요
2. 상세
3. 시즌별 일람
3.1. 2019시즌
3.2. 2020시즌
3.2.1. 승격플옵 및 승강플옵
3.3. 2021 시즌
3.3.1. 승격 및 승강플옵
3.4. 2022 시즌
3.5. 2023 시즌
3.5.1. 전국 단일리그 개시 루머 관련
3.5.2. 권역별 참가팀 목록
3.6. 2024 시즌
3.6.1. 권역별 참가팀 목록
4. 문서가 개설된 K5리그 팀
4.1. 수도권
4.2. 강원권
4.3. 충청권
4.4. 전라권
4.5. 경상권
5. 우승 트로피
6. 우승횟수[5]
7. 승강제 시행 방법
8. 여담
9.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파일:_1605946648_1871137695.jpg
대한민국의 5부 축구 리그이자 대한축구협회 산하 아마추어 최상위 축구 리그.


2. 상세[편집]


원래는 디비전5리그였으나 대한축구협회에서 디비전리그를 각각 K5, K6, K7리그로 리브랜딩하면서 K5리그라는 이름이 되었다.

2019시즌에 전국 6개광역 지역 6개 리그 52개 팀 1,300여명 참가 예정.기사[6] 하지만 이후 한 권역당 6개팀 꼴의 66팀 체제가 갖춰졌다.

2020시즌이 다가오면서 이 리그의 명목상의 상위리그는 세미프로 레벨의 차상위 리그인 K4리그가 되었으나, 양 리그간 승강제는 아직 시행되고 있지 않은 상태이다. 하지만 하위리그와의 승강제는 진행중이며, 한 시즌이 끝나고 K5리그 각 권역의 최하위팀, 그리고 경우에 따라 차하위팀 일부는 6부리그인 K6리그로 강등된다.

K5리그 상세 내용은 대한축구협회 joinKFA 통합경기정보 시스템으로 확인 가능하다.


2.1. 경기방식[편집]


파일:hEqd6Ay.png
디비전리그의 승격&강등 구조 (2020년 10월 기준)출처고화질 버전
  • (2020시즌 기준) 총 66개 팀 참가
  • 서울, 경기, 인천, 강원, 대전충남세종, 충북, 전북, 광주전남 , 대구경북, 울산, 부산경남 11개 권역으로 리그 편성.
  • 모든 권역리그 6개팀으로 편성.
  • 총 10라운드로 편성.
  • 경기는 각 권역 내 몇개의 지정 구장에서 진행.[7]
  • 각 권역리그 우승팀은 11월에 열리는 K5리그 챔피언십에 진출, 조별리그&토너먼트 혼합제로 통합 우승팀을 가린다.
  • 과거에는 각 권역리그 우승팀 모두 차기시즌 대한축구협회 FA컵 1라운드 진출권이 부여됐었다.
    • 그러나 코리아컵으로 명칭이 바뀌는 24년도 대회부터 리그 상위 8개 팀으로 참가 범위가 축소되었다.
  • 각 권역리그 최하위 팀들은 K6리그로 강등된다.
  • 2021시즌은 14라운드를 치루며 경기시간은 전후반 40분 총 80분이다.


2.2. K5리그 챔피언십[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K5리그 챔피언십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 각 권역을 우승한 총 11팀이 2~3팀의 4개 조로 구성된 조별리그와 토너먼트를 거쳐 최종우승팀을 가린다.
  • 우승팀에겐 트로피와 메달, 상금 500만원이 수여되며, 아시아 국가의 다른 아마추어 축구팀과의 해외 교류전 참가 우선권도 돌아간다.
  • 준우승팀에게는 메달과 상금 300만원이 수여되며, 공동 3위(3, 4위전이 없다.) 두 팀에게는 각각 메달과 상금 200만원이 주어진다.
  • 경기 시간은 조별리그 35/35 도합 70분, 준결승전 40/40 도합 80분[8], 결승전 45/45 도합 90분[9]이다.


3. 시즌별 일람[편집]



3.1. 2019시즌[편집]


  • 2019 시즌에 전국 6개광역 지역 6개 리그 52개 팀 1,300여명 참가 예정.기사

파일:디비전5 출범 예정.jpg

권역별로 참가팀이 등록되었다. 각 시도별 축구협회에서 3월 23일 대회구성을 위한 회의를 가졌고, 11개 권역별 리그의 참가팀이 최종 확정되었다.

리그 순위대로 정렬했으며, 맨 왼쪽이 각 리그 우승팀, 맨 오른쪽은 각 리그 최하위로 강등팀이 된다.

10월 27일 경기를 마지막으로 권역별 리그 시즌이 마무리되었다.

권역명참가팀
울산동구 동울산 FC남구 시터스 FC울주군 한울 FC북구 위드 FC중구 아트 FC울주군 청량 FC[10]
인천중구 인천 송월 FC서구 가람 ING남동구 간석 FC연수구 송도 FC미추홀구 인천남부 FC연수구 인천와치
서울관악구 벽산 플레이어스 FC서초구 FC 잇플서대문구 FC 투게더서대문구 FC HAS노원구 FC 새벽녘[11]강서구 화곡8동 축구회
광주/전남[12]광주서구 효창 FC
(골득실차 +18)
광주북구 해병대축구단
(골득실차 +14)[13]
광주남구 천환 FC[14]전남신안군 신안 FC전남영광 영광 FC전남여수 여수안심산클럽[15]전남순천 천명FC[16]
경기양주시 덕계 FC용인시 용인축구회이천시 마장축구회동두천시 ONETEAM군포시 산본축구회안산시 각골축구회
충북청주 SMC엔지니어링 FC[17]제천시 FC 한마음증평군 신화축구단음성군 금왕 FC청주시 청우회옥천군 보람 FC
강원원주 하늘 FC강릉시 주문진축구단영월군 영월 FC동해시 백룡생활축구회원주 파랑새 FC속초시 속초79 FC
경북[18]안동시 가람 FC경산시 닉스 FC상주시 상산 FC포항시 홍해클럽영주시 도솔 FC
전북전주 파랑새 FC익산시 익산 FC전주시 AT전주시 서신백마정읍시 피닉스 FC군산시 한백
대전/충남/세종[19]대전 위너스타 FC세종 욱일 FC천안시 천안 쌍용홍성군 홍주 FC공주시 FC 백제태안군 동인 FAMILY
경남/부산김해 재믹스 FC창원시 웅산양산시 어곡 FC부산진구 북부산동래구 명륜서구 토성 FC
---
K5리그 챔피언십(왕중왕전)에 11팀이 진출하며 10월 30일 챔피언십 조주첨이 대한축구협회에서 실시되었다. 3개팀씩 구성된 A,B,D조는 리그전으로, 2개팀으로 구성된 B조는 단판승부로 4강진출팀을 가린다. 챔피언십 개최지는 대전으로 정해졌다. 조별리그는 대전 한밭종합운동장과 보조구장, 대전월드컵경기장과 보조구장 4개 경기장에서 11월 16일에 진행된다. 상금은 우승팀 500만원, 준우승팀 300만원 3위팀 2팀 200만원이며, 우승팀은 K리그의 챔피언스리그 출전권과 같은 아시아 3~5부리그 팀과의 교류전 출전권이 부여된다.
조편성[20]A조B조C조D조
원주 하늘 FC김해 재믹스 FC광주 효창 FC대전 위너스타 FC
전주 파랑새 FC서울 벽산 플레이어스 FC양주 덕계 FC인천 송월 FC
동울산 FC-청주 SMC엔지니어링 FC안동 가람 FC

준결승 대진 : 동울산 FC(A조 1위) VS 김해 재믹스 FC(B조 1위) // 청주 SMC엔지니어링 FC(C조 1위) VS 대전 위너스타 FC(D조 1위) - 11월 17일 대전 한밭종합운동장[21]
결승전 : 김해 재믹스 FC(준결승 1경기 3-0 승리) VS 청주 SMC엔지니어링 FC(준결승 2경기 3-1 승리) - 11월 23일 대전월드컵경기장[22]

결승전에서 청주 SMC엔지니어링 FC가 승리할 시에는 다소 웃긴 상황이 발생할 수도 있는데, 이 팀의 문단을 보는 것도 좋다.


그리고 결승전에서 청주 SMC 엔지니어링이 2:1로 김해 재믹스 FC를 이기고 K5리그 첫 우승을 차지했다.


3.2. 2020시즌[편집]


||
[ 펼치기 · 접기 ]
위 틀에서 제주지역 팀들은 상위리그 참가조건이 아직 충족되지 않았거나 승격플옵에서 좌절하여 K6리그에 잔류한 모양이다. 제주도의 특성상 도외팀과 같은 리그에 들어가기엔 아마추어 단계에서 금전적 무리가 따르는 점도 한몫해보인다.

또한 K6리그 대구광역시 리그에서 승격한 팀이 경북리그에 참가하여, 새롭게 대구/경북 리그로써 명칭된다. 광주광역시의 경우에는 20시즌에 현 광주/전남 리그에서 독립하는것으로 보였으나 올시즌 전남리그가 진행되지 않음에 따라 K5 광주/전남리그로 진행되며 특이사항은 전남팀이 등록을 하지 않았다는 것으로 광주리그로 명칭이 되어있으나 일부 경기가 목포국제축구센터에서 진행된다.

6월 5일자로 JoinKFA에 등록된 모든 리그의 형태는 다음과 같다.[23]
(업데이트 완료 시점에서 일정이 끝난 권역인 경우, 챔피언쉽 진출은 볼드체, 강등권 최하위 1팀은 이탤릭체)
권역명칭1위2위3위4위5위6위
대구/경북대구 청솔 FC경주 청룡 FC안동 가람 FC포항 흥해 FC상주 상산 FC경산 닉스 FC
울산북구 523 FC동구 동울산 FC북구 위드 FC남구 시터스 FC울주군 한울 FC중구 아트 FC
경남/부산[24]김해 재믹스 FC양산 어곡 FC창원 웅산남구 감만동래구 명륜김해 드림 FC
충북청주 SMC제천시 FC 기적진천군 화랑FC진천군 청솔 FC옥천군 보람 FC증평 신화축구단
강원원주 하늘FC영월 FC원주 파란FC강릉 관동 축구단강릉 주문진FC속초 예맥FC
경기이천 마장축구회수원 시티 FC양주 덕계축구회동두천 원팀 FC용인축구회군포 산본 FC
인천중구 송월FC연수구 송도FC서구 신현FC남구 간석FC미추홀구 남부FC서구 가람 ING
서울서대문 FC 투게더관악 벽산플레이어스서초 FC 잇플서대문 FC HAS노원 FC 새벽녘강북 곰두리 FC
전북정읍시 피닉스 FC익산시 청우FC전주 파랑새 FC전주시 AT익산 FC전주시 서신백마
대전/충남/세종대전 독수리 FC대전대덕 위너스타세종 욱일 FC충남천안 쌍용충남공주 FC 백제충남홍성 홍주 FC
광주서구 화정 FC북구 해병대축구단서구 효창 FC북구 백호 FC남구 인터 FC북구 벽옥 FC

그런데 코로나 19 확산으로 인하여 K리그1, K리그2K3리그, K4리그 처럼 5월 16일에 개막하게 되었다.


2020시즌 K5리그의 공식 개막전 경기는 서울리그의 벽산 플레이어스FC 새벽녘의 경기였으며, 대한축구협회 공식 유튜브네이버 스포츠, STN SPORTS 등을 통해 생중계되었다. 해당 경기에서는 전시즌 권역 챔피언인 벽산 플레이어스가 한그루의 멀티골에 힘입어 새벽녘을 5-0으로 눌렀다.

2020년 11월 1일 기준, K5리그 최다무패팀은 서울 FC 투게더[25]이며 서울리그의 경우 5월에 개막하였으나 코로나 19를 이유로 모든 일정이 무기한 연기되었다가 9월 후반기부터 다시 재개되었다.2020 K5리그 서울 최종순위

또한 인천리그의 경우는 5월 24일 경기를 마지막으로 나머지 경기에 대한 정보가 삭제되었다가 10월 자부터 일정이 다시 만들어지며 재개되었다.

경기리그는 10월이 다 되어가도록 진행 소식이 나오지 않으면서 리그진행이 불발되는 것을 염두에 둬야하기 시작했으며, 결국 리그가 진행되지 않으면서 K5리그 챔피언십에 참가하지 못하게 되었다. 다만 11월 14일부터 토,일에 한경기씩, 11월 29일 일요일까지 총 5라운드[26]를 몰아서 치루게 되어 리그가 아예 열리지도 못하는 상황은 피하게 되었다. 11월 15일까지는 용인축구센터 4구장에서, 11월 21일부터 11월 29일까지는 K3리그 참가팀 양주시민축구단의 홈구장인 고덕생활체육공원 축구장에서 치루게 되었다.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K5리그 챔피언십/2020년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지난시즌 11개 권역의 우승팀이자 2019 K5리그 챔피언십(왕중왕전) 참가팀들은 올시즌 대한축구협회 FA컵 1라운드에 참가하였고, 그중 3팀(청주 SMC엔지니어링 FC, 광주 효창 FC, 인천 송월 FC)이 승리하며 2라운드 진출에 성공했다. 하지만 2라운드에서는 세 팀 모두 K리그2팀이나 K3리그팀에게 패배하면서 아쉬운 발걸음을 돌리게 되었다.


3.2.1. 승격플옵 및 승강플옵[편집]


대전/충남/세종 권역 승격플옵과 서울권역 승강플옵이 JoinKFA에 생성되어 있다. 그런데 결국 진행상황이 기재되지 않았다. 서울권역을 보면 2021시즌에 플옵참가 두 팀이 모두 K5리그에 참가하기에 승강 플레이오프가 아예 치뤄지지 않았을 가능성도 생각해볼 수 있다.

서울
승강플옵
동작
SB FC
서대문
FC HAS

대전/충남/세종
승격플옵


3.3. 2021 시즌[편집]


권역 명칭1위2위3위4위5위6위
강원원주 파란 FC강릉 관동 FC동해 남호 FC원주 무실 FC철원 강철 FC영월 FC
광주/전남서구 효창 FC서구 화정 FC목포 갓당대 FC북구 해병대 FC북구 백호 FC북구 벽옥 FC
대전/세종/충남대전유성 서부대전대덕 위너스타세종 욱일 FC대전중구 독수리천안 쌍용 FC세종 유나이티드 FC
울산북구 523 FC북구 강동야메북구 위드 FC동구 동울산 FC울주 한울 FC남구 시터스
인천서구 서곶SM남동 간석 FC미추홀 남부중구 송월 FC서구 신현 FC연수 송도 FC
충북청주 SMC청주 청원 내수 FC진천 FC제천 FC 기적청주 남일 FC청주 청룡 FC[불참]

권역 명칭1위2위3위4위5위6위7위
경기수원 시티 FC고양 FC SWAG동두천 원팀 FC이천 마장 FC용인축구회양주 덕계 FC군포 산본 FC[불참]
경남/부산김해 재믹스 FC창원 원터치 FC부산남구 용당양산 어곡 FC창원 웅산 FC부산동래 명륜부산남구 감만
전북정읍 피닉스 FC익산 FC전주 AT FC완주 봉성 FC전주 파랑새 FC익산 청우 FC군산 한백 FC

권역
명칭
1위2위3위4위5위6위7위8위
경북
대구
대구달서 청솔대구수성 어울림안동 비마 FC경주 청룡포항 코주부안동 가람포항 흥해상주 상산
서울양천 TNT관악 벽산성동 투게더서대문 FC HAS동작 SB노원 새벽녘광진 중마 FC서초 FC 잇플[몰수]

4월 23일자로 JoinKFA에 등록되어 있는 리그와 10월 24일자로 진행이 확인된 결과[27]는 위와 같으며 2020 시즌과 달라진 점은 다음과 같다.

1. 서대문구 FC 투게더→성동구 FC 투게더(연고이전에 의한 팀명 일부 변경)
2. 서울, 경북/대구리그 6팀제→8팀제. 경기, 경남/부산, 전북리그 6팀제→7팀제(라운드당 1팀 휴식)
3. 그동안 대학교 동아리팀들이 한 번도 모습을 보이지 않았으나 리그 출범 3년만에 목포 갓당대 FC가 승격하면서 최초가 됨. 그러나 그 디비전에는 광주지역 팀들이 절대다수인데, 이는 광주 팀만 등록되었던 광주리그가 광주/전남 리그로 통합 운영됨에 따른 영향.
4 . 2020시즌까지 대전/충남/세종리그에는 대전 2팀 , 충남 3팀 , 세종 1팀의 구성으로 리그가 진행되었으나 대전 3팀 , 세종 2팀 , 충남 1팀으로 참가팀 배분에서 변동이 있었다.
5. 경남/부산리그의 경우 7월 11일 경기를 끝으로 9월 말 경기부터 랜덤경기로 배정되었다.(아마도 순위별 경기로 추정 중)

2021시즌 공식 개막전은 4월 18일 서울 권역 경기며 양천구 TNT FC광진구 중마 FC 경기가 네이버 스포츠와 skySports를 통해 생중계된다. # [28] 7월 중에는 수도권 지역의 코로나19 거리두기 4단계 상향으로 인해 해당 권역의 리그 경기가 모두 잠정 연기되기도 했다.

5월 29일 서울리그 경기 이후 해당리그 참가팀이던 잇플이 전경기 몰수패가 되었다. 이는 부정 선수 출전으로 인한 징계로 파악되었다.

파일:K5리그 로고.svg
2021 K5리그 챔피언십 베스트 일레븐
FW
김진섭
(수원 시티 FC)
FW
김동민
(대전 서부 FC)
MF
최용선
(대전 서부 FC)
MF
주영훈
(김해 재믹스 FC)
MF
송원재
(수원 시티 FC)
MF
김부관
(김해 재믹스 FC)
DF
김재현
(수원 시티 FC)
DF
김훈성
(서울 TNT 핏투게더 FC)
DF
이정원
(수원 시티 FC)
DF
허보원
(김해 재믹스 FC)
GK
정영훈
(김해 재믹스 FC)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K5리그 챔피언십/2021년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K5리그 챔피언십에서는 이미 2번의 연속우승을 자랑하던 절대강자 청주 SMC 엔지니어링 FC가 첫 경기인 10강에서 대전 서부 FC에 패하며 탈락하는 대이변이 일어났고, 울산종합운동장에서 열리는 결승의 대진은 그동안 SMC에 밀려 준우승만 2번인 부산/경남권역 우승팀 김해 재믹스 FC와 경기권역 우승팀이자 챔피언십 첫 참가팀인 수원 시티 FC로 결정되었다. 그리고 결승전에서 수원 시티 FC가 우승을 거머쥐면서 김해 재믹스는 3연속 준우승이라는 여러 의미로의 대기록을 기록하였다.


3.3.1. 승격 및 승강플옵[편집]


대회형태 구분지역리그구분해당팀 및 대진/결과
K5 승격경북/대구
(3팀 풀리그)
김천 월드1-1안동 1973
안동 1973
(1무1패)
0-2대구남구 일우30
대구남구 일우30
(1승1패)
1-2김천 월드
(1승1무)
K5 승격인천인천 남동 0-2 인천 해사
K5 승격[29]경남/부산김해 한백진주 대성부산금정 잔메
김해 한백[30]
김해 한백 0:2 부산금정 잔메
K5 승격대전(권역)대전유성 동목서산FC세종 첫마을
대전유성 동목[31]
세종 첫마을 1:3 대전유성 동목

대회형태 구분지역리그구분해당팀 및 대진/결과
K5 승강서울노원새벽녘강남STV광진중마강북곰두리
0:0(PSO 1:0) 결과로 새벽녘 잔류1:1(PSO 1:0) 결과로 중마 잔류


3.4. 2022 시즌[편집]


권역 명칭1위2위3위4위5위6위
대전유성구 서부중구 독수리대덕구 위너스타대덕구 대덕대덕구 백마유성구 동목
충북청주 청원 FC[32]청주 쇼킹청주 SMC음성 금왕충주 에르마노제천 FC 기적
광주서구 화정서구 효창북구 한울서구 이지광산구 비아북구 백호
경남/부산김해 재믹스 FC양산 어곡 FC금정구 잔메남구 용당창원 원터치창원 웅산
인천미추홀구 남부남동구 간석중구 송월서구 서곶SM서구 신현중구 해사
강원춘천 막장 FC원주 파란 FC강릉 관동 FC원주 무실 FC철원 강철 FC동해시 남호
충남/세종세종 욱일 FC천안 쌍용 FC세종 첫마을 FC계룡 용남 FC세종 UTD FC서산 FC
전남목포 갓당대 FC목포 EBRO신안 FC강진 YB FC여수 마리너스 FC나주
울산북구 523FC중구 똥바람FC북구 야메FC북구 위드FC울주 한울 FC동구 동울산FC
경기수원 시티 FC양주 덕계용인이천 마장 FC동두천 ONETEAM고양 FC SWAG


<순위 : 10월 16일 / 완료>
순위가 확정됨에 따라 변동사항이 있는데 아래와 같다.(2021시즌 진출팀 중 2022시즌 순위로 인해 변동사항 발생시 2021시즌 진출팀의 2022시즌 순위를 괄호로 표기)
  • 변동사항 없음
  • 변동사항
    • 인천권역(서곶 SM FC(4위)→남부 FC)
    • 종전 광주/전남권역(효창 FC(2위)→권역 분리[33])
    • 충북권역(SMC 엔지니어링 FC(3위)→청원 FC[34])
    • 강원권역(원주 파란 FC(2위)[35]춘천 막장 FC)
    • 전북권역(정읍 피닉스 FC(2위)→전주 파랑새 FC)
    • 종전 대전/충남/세종권역(대전 서부 FC)→권역 분리[36]


3.5. 2023 시즌[편집]



3.5.1. 전국 단일리그 개시 루머 관련[편집]


2022년 8월 경, 스포티비뉴스에서는 서울 TNT 핏투게더 FC를 소개하는 기사에서, 2023년 시즌부터 K5리그가 권역별 대회가 아닌 전국 단위로 진행되는 단일 리그 전환된다고 보도했다. # 그러나 K5리그가 전국 단위 단일 리그로 전환되는 부분에 대해서는 대한축구협회에서는 2022년 12월까지도 어떠한 공식 발표가 없었던데다, 2023년 K5리그에 참가할 승격팀을 선발하는 K6리그 승격 플레이오프도 기존의 권역별 방식으로 진행하여 각 권역별 승격팀이 결정되었다. 2023년 K5리그가 전국 단위 단일리그로 전환된다면 2022년 시점 K5리그 참가팀은 방대하므로 단일리그로 전환될 K5리그에 참가할 팀은 어떻게 선발되는지, K5리그 참가 기준은 어떻게 되는지, 전국 단위 단일리그 참가 자격을 받지 못한 기존 K5리그 참가팀은 어떻게 되는지, 그리고 K6리그 승격 플레이오프를 통해 K5리그 승격권을 획득한 팀은 어떻게 되는지 등에 대해서 결정과 판단이 필요한데 이에 대해서는 아무런 공식 발표가 없는 상황이다. 대회 요강상으로도 해당 사항에 대해서는 언급이 없었다. 전국 단위 단일리그로 전환된다는 점에 대해서는 KFA의 어떠한 공식 발표도 없었고, 언론보도도 스포티비뉴스에서 잠깐 딱 한 줄 언급된 해당 보도만이 유일하기 때문에, 전국 단위 단일리그로 전환되는지 여부는 불확실한 정보로 보인다.

2023년 1월 13일에 진행된 경상남도축구협회 정기 이사회에서 2023년 주요 사업이 승인되었는데, 이 중 K5리그는 기존 대회처럼 경남 권역 대회 개최가 포함되어 있다. # 스포티비뉴스에서 딱 한 줄 언급된 것이 전부인 이른바 '전국 단일리그화 루머'대로 대한축구협회가 K5리그를 전국 단일리그화를 추진하는 것이 사실이라면 산하 지역별 축구협회에도 해당 사항이 전달이 되었을테고, 각 지역 축구협회는 해당 사항을 바탕으로 올해 주요 사업을 승인할 때 해당 사항을 고려하여 결정했을 것이다. 결국 K5리그의 전국 단일리그화는 사실이 아닐 가능성이 큰데, 이후에 있을 경기강원권(서울, 경기, 인천, 강원) 등지의 축구협회 정기 이사회에서 나오는 결과에 따라 오보냐 아니냐가 결론나게 된다.

모 지역 축구협회 관계자에 직접 문의한 결과, 2023시즌은 13개 권역 84개팀이 참가하는 것으로 잠정 확정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로써 K5리그가 2023년에 전국 단일리그로 진행된다는 루머는 사실이 아닌 것으로 확인되었다.


3.5.2. 권역별 참가팀 목록[편집]


10월 15일 기준 순위로 기재했다. 광역시/특별시 내 팀인 경우 시명 대신 구명(=-구 또는 -(구))을 기재한다.

권역 명칭1위2위3위4위5위6위7위8위
충북청주 청원 FC[37]청주 SMC청주 아트타카청주 쇼킹음성 금왕충주 에르마노×
서울관악 벽산성동 투게더용산 건융양천 TNT서초 잇플마포 햄튼송파 한체대 태풍영등포 신길
대전유성 서부중구 독수리대덕 위너스타대덕 백마유성 구즉중구 문창×
전북전주 OFC고창 챌린지전주 서신백마익산 FC전주 전운전주 파랑새정읍 피닉스×
광주서구 효창서구 화정서구 이지광산 비아남북구 한울광산 비아×
경남/부산[경남부산권역]양산 어곡남구 용당김해 재믹스창원 원터치사하 감천금정 잔메함안 동원[실격]×
강원[38]원주 가승원주SC춘천 막장원주 무실속초 조광강릉 관동×
울산북구 야메북구 동천북구 위드중구 똥바람남구 기우북구 523[리그]×
세종/충남세종 욱일천안 쌍용예산 내포수암세종 첫마을세종 나래계룡 용남×
경북/대구달서 청솔달서 진솔김천 월드경산 비호2011경주 청룡안동 가람안동 비마포항 코주부
전남신안 FC강진 YB순천 금당목포 갓당대여수 마리너스목포 천하[39]×
경기양주 덕계시흥 뉴월드용인이천 신둔수원 시티이천 마장×
인천연수 송도서구 서곶SM미추홀 남부서구 신현중구 송월남동 간석×


3.6. 2024 시즌[편집]



3.6.1. 권역별 참가팀 목록[편집]


5월 7일 기준 순위로 기재했으며 미진행 권역은 JoinKFA 내 나열순서를 따라 기재했다.[40] 광역시/특별시 내 팀인 경우 시명 대신 구명(=-구 또는 -(구))을 기재한다.

권역 명칭1위2위3위4위5위6위7위8위
광주서구 효창서구 화정북구 한울서구 이지동구 봉알서구 포워드×
서울양천 TNT관악 벽산용산 건융성동 투게더마포 햄튼EMC서초 잇플관악 AS중랑 STV
충북[41]청주 청원 FC청주 아트타카충주 에르마노청주 FCV충주위너스FC청주 쇼킹×
전북[42]전주 OFC고창 챌린지전주 파랑새완주 에버그린익산 FC전주 서신백마전주 TNS×
세종/충남세종 욱일세종 첫마을예산 내포수암세종 시티즌천안 쌍용서산×
경북/대구[43]경산 비호2011안동 가람달서 청솔김천 월드동구 리키다스안동 비마경주 청룡달서 진솔
대전중구 오류유성 서부대덕 위너스타유성 구즉중구 독수리대덕 백마×
인천중구 송월서구 서곶SM서구 신현계양 계동연수 송도연수 혼×
강원[44]원주SC춘천 막장원주 남원주강릉 주문진원주 무실원주 가승×
경남/부산진주 대성양산 어곡김해 재믹스사하 낙동창원 원터치사하 감천남구 용당×
전남진도 보배강진 청자YB순천 금당여수 마리너스신안 FC목포 갓당대×
울산북구 야메북구 농서북구 동천남구 기우중구 똥바람북구 위드×
경기수원 시티시흥 뉴월드안양 피닉스양주 덕계용인이천 신둔×


4. 문서가 개설된 K5리그 팀[편집]


아래 팀들 중에는 현재 소속되어 있는 경우도 있으나, 과거 승격 기록으로 인해 소속되어 있었던 경우도 포함되어 있다.


4.1. 수도권[편집]




4.2. 강원권[편집]




4.3. 충청권[편집]




4.4. 전라권[편집]




4.5. 경상권[편집]




5. 우승 트로피[편집]


파일:__1572417459_1679280982.jpg
K5리그 챔피언십의 우승 트로피

파일:73266464_148069229877132_6668505399399682507_n.jpg
K5리그 권역리그의 우승 트로피

K5리그를 구성하는 11개의 권역별 우승팀들은 맨 아래 사진에서 볼수 있는 원판 형태의 트로피를 수여받는다.

이후 K5리그 챔피언십에 진출하여 최종 우승을 이뤄낸 팀에게는 맨 위 사진에서 볼 수 있는, "K5"를 형상화한 더 큰 트로피가 주어지게 되었다.(2021시즌까지 해당)

파일:_1668314522_1923511833.jpg
2022 K5리그 챔피언십 시상식 장면
이후 2022시즌 K5리그 챔피언십 시상식에서 트로피 디자인이 변경된 것이 확인되었다.


6. 우승횟수[45][편집]


우승준우승우승 연도준우승 연도
청주 SMC 엔지니어링 FC2회0회2019, 2020
수원 시티 FC1회0회2021
김해 재믹스 FC1회3회20222019, 2020, 2021
목포 갓당대 FC0회1회2022
서울 벽산 플레이어스 FC1회0회2023

7. 승강제 시행 방법[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K6리그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8. 여담[편집]


  • 이 레벨까지 도달한 팀들은 7부리그인 K7리그 도합 1,256팀[46] 에서 한번 걸러지고, 6부리그인 K6리그 도합 194개팀[47]에서 또 한번 걸러진 72팀[48]의, 아마추어 축구계에서는 소위 말하는 "최종보스" 급이다. 그러므로 아마추어라고는 하나 엘리트 체육으로써 축구를 접한, 그러니까 학창시절 선수생활을 했거나, 실제로 프로에 진출했다가 여러 사유로 일단 은퇴했다고 말하는 선수들이 최소한 N명씩은 꼭 포함되어있다고 생각하는게 편하다. 비율로 보자면 2021시즌 K5리그 챔피언십 참가팀중 선수단중 선출 비율이 가장 높은 팀들은 100%였고, 가장 낮은 팀이라고 해도 60% 미만으로 떨어지지 않았다. 물론 이들 중에는 진짜로 은퇴한 것이 아니고, 프로/세미프로리그로의 복귀를 노리는 선수들도 있다. 특히 권역별 우승팀에서는 더욱 선출 비율이 높아지는게 일반적으로, 그 예로 19시즌 서울 권역 우승팀인 벽산 플레이어스는 팀에 프로/대학무대 출신 선수들이 널려있다.
  • K5리그 참가팀들, 특히 중위권 이상을 노릴만한 전력을 갖춘 팀들에게는 모든 아마추어 축구인들이 꿈꿀만한 정말 달콤한 보상이 각 권역 우승과 함께 기다리고 있는데, 바로 1부리그인 K리그1부터 5부리그인 K5리그 권역우승팀까지, 프로, 세미프로, 아마추어 모두가 출전해 타이틀을 노릴수 있는 토너먼트 대회인 FA컵 1라운드 출전권이 그것이다.
    • 위에서도 언급했다시피 K5리그 참가팀들은 K6리그나 K7리그보다 선출들이 팀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월등히 높다. 하지만 그렇다고 모든 팀들이 선출로만 이루어진 건 아니다. 당연히 축구를 전문적으로 배우지 않은 생 아마추어 선수들 또한 비율은 상대적으로 적을지언정 꽤 많이 존재한다.[49] FA컵은 선출과 비선출, 이 둘 모두의 욕망을 충족시켜주는, 아마추어로써 나갈수 있는 최고의 대회이다. 그것은 선출들은 대회에 참가하면서 상위리그 팀들과 맞붙으며 자신이 은퇴 이전 달성하지 못했거나 놓쳐버렸던 꿈을 이룰 기회를 다시 한번 받게 되고, 비선출들은 아마추어로써 전국 규모에 AFC 챔피언스 리그 출전권까지 주어지는[50] 명망높은 대회에 나갈수 있다는 동기를 부여해주는 것이다.[51]
    • 2019년 K5리그가 처음 출범하고, 그해 권역우승팀 11개팀은 다음해인 2020년 FA컵 1라운드에 출전하였다. 이미 말했듯이, 해당 라운드에서 같은 리그 팀끼리 맞붙어 승리한 청주 SMC엔지니어링 FC, 광주 효창 FC, 인천 송월 FC 3개팀과 그와 대결한 3팀을 제외하고 남은, 자신들보다 상위 리그인 K3리그K4리그 팀들을 상대한 5팀은 전부 1라운드에서 패배하여 짐을 쌌다.
    • 하지만 2라운드 진출팀들중 광주 효창 FC인천 송월 FC는 2부리그인 K리그2수원 FC제주 유나이티드라는 프로팀과 정식으로 맞붙게 되었으며, 대한민국의 아마추어 축구인들에겐 이보다 더한 보상과 동기부여는 없을것이다. 결과적으로, 2020시즌 FA컵에 참가한 K5리그 팀들은 2라운드를 끝으로 전멸했다.
  • 그동안 지역 아마추어 팀들이 리그에서 참여했으나 2021시즌부터 대학교 내에 있는 동아리 팀도 처음으로 최상위리그인 K5리그에 진출하면서 학교의 이름을 어느정도 알릴 수 있는 기회가 주어질 전망이며 최초 진출팀은 목포 갓당대 FC이다.
    • 만약 좋은 성적으로 FA컵에도 진출하게 된다면 U리그FA컵 참가자격 상실 이후 3년만에 대학팀이 진출하는 영광을 누릴 수 있다.[52] 그러나 결국 첫 시즌 우승은 달성하지 못했고(최종 3위), 다음 시즌에 권역이 나뉘어지면서(광주권역, 전남권역) 권역우승을 확정지으며 실현되었다.
  • 2021년 3월 31일, K6리그에 등록되어 있는 포항 스타상록이 K5리그 경북/대구리그에 등록되어 있었으나 원래는 이 자리에 대구 어울림 FC가 등록되어 있어 해프닝이 되었다. 또한 하위리그인 K6에서는 경북 디비전에 제주도 팀인 서귀포 호도 FC가 등록되는 해프닝도 있었다.
  • 2023 시즌 챔피언십부터 우승팀에게 K4리그 라이센스가 발급된다. 이후 2024년, 축구 디비전 시스템의 완전 연결 시행이 확정되면서 2027시즌부터 K5리그의 1,2위팀이 K4리그로 승격할 수 있게 되었다. 단 해당 성적을 냈다고 해도 K4리그 라이센스 발급에 실패한다면 승격하지 못한다. 반대로 K4리그의 일정 수준 확장을 위해 당분간 K4에서 K5로의 강등은 이루어지지 않는다.


9. 관련 문서[편집]


파일:대한축구협회 엠블럼+흰색글씨.svg
대한축구협회 산하 대회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4-06-16 01:46:53에 나무위키 K5리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A] A B K5리그 챔피언십 우승 기준[1] 현재 승강제는 실시하지 않으나 2023 시즌부터는 K5리그 챔피언십 우승 구단에 한해 해당 리그의 라이센스가 주어진다. 승강제는 2026시즌부터 시행될 예정.[2] 주요 권역 개막전 및 K5리그 챔피언십 준결승 이상 한정[3] K5리그 서울 한정[4] 2021년부터 일부 경기 및 K5리그 챔피언십 전 경기 중계[5] K5리그 챔피언십 기준[6] K6리그의 26개 리그에서 2팀씩 올라와서 52개 팀으로 6개 리그를 구성 하게 되는데 이 경우 리그간 팀수가 달라 균형을 맞추기 위해 다음 년도까지 팀수가 늘리든지 재정비 후 재편성 할 4부 리그에 승격 시킬 팀까지 감안 하여 4팀을 추가 하지 않았나 싶다.[7] EX)서울권역은 효창운동장[8] 연장 시 20분 후 승부차기[9] 연장 시 30분 후 승부차기[10] 리그 2라운드부터 계속 기권했다[11] JTBC 예능 프로그램 뭉쳐야 찬다 방송에 최초의 상대팀으로 초청된 바 있다. 나름 아마추어 축구의 강자라서 그런지 성적은 11:0 으로 양학시켰다.[12] 7팀으로 리그를 시작했으나, 기권팀 2팀이 발생하여 5팀으로 리그가 진행되었다.[13] 1위와 2위의 승점이 같고 골득실로 순위가 가려지는 상태지만, 챔피언십 추첨시 아직 1위결정이 나지 않았다는 내용을 보면 1,2위간 플레이오프를 할 가능성이 높았다. 그러나 착오로 보인 듯.[14] 20시즌에 광주 화정 FC에 흡수통합되었다.[15] 기권팀[16] 기권팀[17] FA컵 직장인 단골출전팀인 그팀 맞다[18] 일련의 리그 조정으로 5팀으로 축소운영된다. 참가가 예정됐었던 팀은 해당권역 하위리그의 남부디비전 우승팀이었던 대구북구 SL축구부.[19] JoinKFA 내에서 K5 승격플옵이 언급되어 있다[20] 조별리그는 전후반 35분 경기. 조별 1위팀 볼드 처리[21] 전후반 40분 경기, 연장시 전후반 10분씩[22] 전후반 45분 경기, 연장시 전후반 15분씩[23] 순위는 라운드가 개시된 경우 변동사항 적용 예정이며, 11월 18일자로 11월 15일 현재자 업데이트가 완료되었다.[24] 4, 5월 경기는 기재되지 않은 채 일정이 끝났다.[25] 10전 전승으로 시즌종료[26] 11월 28일에는 경기없음[불참] A B [몰수] 5월 29일 경기까지 4패 누적 후 전경기 몰수패[27] 특정 일자 일부경기 수 이상 미기재인 경우 차후 수정[28] 하지만 대한축구협회에서 발표한것과 달리 이미 3월 28일에 서구 효창 FC목포 갓당대 FC가 리그 개막전을 치뤘다.[29] 원문 : K5 승격 플레이오프[30] 3:2 승리[31] 4:0 승리[32] 과거 팀명은 청주 청원 내수 FC였다.[33] 광주권역에서는 화정 FC로 변경되고, 전남권역에서는 목포 갓당대 FC가 추가됨[34] 같은 청주지역 팀이라 상세지역을 생략했다.[35] 2021챔피언쉽에는 끝내 불참했었다.[36] 따라서 분리된 권역 중 대전권역은 변동사항 없으나, 충남/세종권역에서 세종 욱일 FC 추가[37] 골득실차 우위[경남부산권역] 실격팀을 제외하면 6위팀인 잔메가 강등대상 팀이 된다.[실격] [38] 시즌 도중 강원특별자치도가 된다. 리그 생성 당시는 어쨌거나 현상유지(강원도).[리그] 참여 중단[39] EBRO였다가 바뀌었다.[40] 일부분 이상 기재되어 있지 않을 경우, 그에 맞춰 지난시즌 순위 기재를 유지했다.[41] 4월 13일 개시[42] 전북특별자치도로서의 첫 시즌이다.[43] 4월 14일 개시[44] 강원특별자치도로서의 첫 시즌이다. 4월 14일 개시[45] K5리그 챔피언십 기준[46] 2021년 기준[47] 2021년 기준[48] 2021년 기준[49] 그렇다고 해서 일반인이 축구 훈련 좀 받고 몸 만들고 뛰어드는 수준이 아니다. 피지컬이나 운동 신경은 축구 선수와 동급이고 전문적으로 배우지 않았다는 말도 축구를 모른다는 의미가 아니라 구단에 속하지 않았다는 의미로 아마추어라는 뜻이다.[50] 그러나 2019시즌만 해도 대전 코레일이 이길 경우 출전권을 주지 않는다는 표현의 내용이 있다. 사실, FA컵 우승팀에게 주어지는 AFC 챔피언스 리그 진출티켓은 매년 AFC 라이센스를 받는 프로팀에 한정되어 주어지며, 만약 비 프로팀이 우승할시 1부리그인 K리그1에서 출전권을 받지 못한 팀중 가장 상위의 팀을 차출하는 방식이다.[51] 2019시즌에 SMC엔지니어링의 경우는 당시 아시아 3~5부리그 팀과의 교류전 출전권을 획득한다는 내용이 있었던 것 같은데, 2020시즌이 다가오면서 이에 대한 언급이 없는 상태다. 코로나19로 인해 국가간 이동이 어려워진 점이 크게 한몫하는듯. 2021시즌부턴 혜택이 주어진다.[52] 다만 1년만에 우승하는것을 기준으로 하나 어찌되었든 갓당대 FC가 리그를 우승할 경우 대학팀이 K5리그에서 FA컵에 간 첫사례를 만들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