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K리그 대상

덤프버전 :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K리그

파일:하위 문서 아이콘.svg   하위 문서: K리그 라운드 베스트팀
,
,
,
,
,
,





1. 개요
2. 최우수 선수상
2.1. K리그1
2.2. K리그2
3. 최다 득점상
3.1. K리그1
3.2. K리그2
4. 최다 도움상
4.1. K리그1
4.2. K리그2
5. 영플레이어상
5.1. K리그1
5.2. K리그2
6. 감독상
6.1. K리그1
6.2. K리그2
7. 베스트 11
7.1. K리그1
7.1.1. 구단별 수상 횟수
7.1.2. 선수별 수상 횟수
7.2. K리그2
7.2.1. 구단별 수상 횟수
7.2.2. 선수별 수상 횟수
8. 팬타스틱 플레이어상 (폐지)
10. G MOMENT AWARD (폐지)
11. 특별상
11.1. 전 경기 전 시간 출장상
12. 베스트 포토상
13. EA스포츠 모스트 셀렉티드 플레이어상



1. 개요[편집]


한국프로축구연맹이 주관하는 K리그 공식 시상이다.

최다득점상이나 최다도움상은 포인트가 동일한 경우 출장 경기수가 적은 선수를 우선하며, 출장 경기수도 동일한 경우 출장 시간이 적은 선수를 우선하고 있다. 그리고 최다득점상이나 최다도움상은 시상 기록 집계 기준에 변화가 있어 왔다. 1983년부터 1997년까지는 챔피언 결정전의 기록을 시상 기록으로 집계하지 않았고, 1998년부터 2006년까지는 플레이오프의 기록을 시상 기록으로 집계했다. 그러나 2007년부터 2011년까지는 플레이오프의 기록이 제외된 정규 리그의 기록만을 시상 기록으로 집계했다. 현재는 플레이오프의 기록을 시상 기록으로 집계하지 않는다.


2. 최우수 선수상[편집]



2.1. K리그1[편집]


시즌이름포지션구단기록
1983박성화MF할렐루야 독수리14경기 3득점 1도움
1984박창선MF대우 로얄즈28경기 6득점 7도움
1985한문배DF럭키금성 황소21경기 2도움
1986이흥실MF포항제철 아톰즈17경기 5득점
1987정해원FW대우 로얄즈28경기 6득점 4도움
1988박경훈DF포항제철 아톰즈12경기
1989노수진FW유공 코끼리30경기 16득점 7도움
1990최진한MF럭키금성 황소27경기 6득점 5도움
1991정용환DF대우 로얄즈33경기 2득점
1992홍명보DF포항제철 아톰즈29경기 1득점
1993이상윤FW일화 천마29경기 7득점 6도움
1994고정운MF일화 천마21경기 4득점 10도움
1995신태용MF일화 천마26경기 6득점 3도움
1996김현석MF울산 현대 호랑이27경기 8득점 8도움
1997김주성DF부산 대우 로얄즈16경기 1도움
1998고종수MF수원 삼성 블루윙즈19경기 3득점 4도움
1999안정환FW부산 대우 로얄즈24경기 14득점 7도움
2000최용수FW안양 LG 치타스25경기 10득점 8도움
2001신태용MF성남 일화 천마27경기 5득점 7도움
2002김대의MF성남 일화 천마27경기 9득점 9도움
2003김도훈FW성남 일화 천마40경기 28득점 13도움
2004나드손FW수원 삼성 블루윙즈26경기 12득점 2도움
2005이천수FW울산 현대 호랑이14경기 7득점 5도움
2006김두현MF성남 일화 천마28경기 6득점 4도움
2007따바레즈FW포항 스틸러스28경기 2득점 13도움
2008이운재GK수원 삼성 블루윙즈28경기 26실점
2009이동국FW전북 현대 모터스29경기 21득점
2010김은중FW제주 유나이티드30경기 13득점 10도움
2011이동국FW전북 현대 모터스29경기 16득점 15도움
2012데얀FWFC 서울42경기 31득점 4도움
2013김신욱FW울산 현대36경기 19득점 6도움
2014이동국FW전북 현대 모터스31경기 13득점 6도움
2015이동국FW전북 현대 모터스33경기 13득점 5도움
2016정조국FW광주 FC31경기 20득점 1도움
2017이재성MF전북 현대 모터스28경기 8득점 10도움
2018말컹FW경남 FC31경기 26득점 5도움
2019김보경MF울산 현대35경기 13득점 9도움
2020손준호MF전북 현대 모터스25경기 2득점 5도움
2021홍정호DF전북 현대 모터스36경기 2득점 1도움
2022이청용MF울산 현대35경기 3득점 2도움


2.2. K리그2[편집]


시즌이름포지션구단기록
2013이근호FW상주 상무25경기 15득점 6도움
2014아드리아노FW대전 시티즌32경기 27득점 4도움
2015조나탄FW대구 FC39경기 26득점 6도움
2016김동찬FW대전 시티즌39경기 20득점 8도움
2017말컹FW경남 FC32경기 22득점 3도움
2018나상호FW광주 FC31경기 16득점 1도움
2019이동준FW부산 아이파크37경기 13득점 7도움
2020안병준FW수원 FC26경기 21득점 4도움
2021안병준FW부산 아이파크34경기 23득점 4도움
2022안영규DF광주 FC36경기 1득점 1도움


3. 최다 득점상[편집]



3.1. K리그1[편집]




3.2. K리그2[편집]




4. 최다 도움상[편집]



4.1. K리그1[편집]




4.2. K리그2[편집]




5. 영플레이어상[편집]


기존 명칭은 신인선수상(신인상)이었지만 2013년부터 영플레이어상으로 명칭을 변경했다. 영플레이어상은 다음의 조건을 충족한 선수에 한해 시상한다. 그 조건들은 'K리그 출장 연수 3년 이내', '해당 시즌 1/2 이상 출장', '만 23세 이하', '대한민국 국적 선수' 등이다. 2020년부터는 K리그2에도 영플레이어상을 신설했다.


5.1. K리그1[편집]


시즌이름구단기록
1985이흥실포항제철 아톰즈21경기 10득점 2도움
1986함현기현대 호랑이20경기 8득점 1도움
1987김주성대우 로얄즈28경기 10득점 4도움
1988황보관유공 코끼리23경기 7득점 5도움
1989고정운일화 천마31경기 4득점 8도움
1990송주석현대 호랑이29경기 3득점 7도움
1991조우석일화 천마37경기 3득점 4도움
1992신태용일화 천마18경기 7득점 4도움
1993정광석대우 로얄즈21경기
1994최용수LG 치타스29경기 9득점 4도움
1995노상래전남 드래곤즈26경기 15득점 5도움
1996박건하수원 삼성 블루윙즈28경기 11득점 6도움
1997신진원대전 시티즌17경기 5득점
1998이동국포항 스틸러스15경기 7득점 2도움
1999이성재부천 SK24경기 7득점 2도움
2000양현정전북 현대 모터스23경기 5득점 4도움
2001송종국부산 아이콘스25경기 2득점 1도움
2002이천수울산 현대 호랑이18경기 7득점 9도움
2003정조국안양 LG 치타스32경기 12득점 2도움
2004문민귀포항 스틸러스24경기 1도움
2005박주영FC 서울19경기 12득점 3도움
2006염기훈전북 현대 모터스20경기 3득점 1도움
2007하태균수원 삼성 블루윙즈15경기 3득점
2008이승렬FC 서울21경기 3득점 1도움
2009김영후강원 FC27경기 13득점 8도움
2010윤빛가람경남 FC24경기 6득점 5도움
2011이승기광주 FC25경기 8득점 2도움
2012이명주포항 스틸러스35경기 5득점 6도움
2013고무열포항 스틸러스34경기 8득점 5도움
2014김승대포항 스틸러스30경기 10득점 8도움
2015이재성전북 현대 모터스34경기 7득점 5도움
2016안현범제주 유나이티드28경기 8득점 4도움
2017김민재전북 현대 모터스29경기 2득점
2018한승규울산 현대31경기 5득점 7도움
2019김지현강원 FC27경기 10득점 1도움
2020송민규포항 스틸러스27경기 10득점 6도움
2021설영우울산 현대31경기 2득점 3도움
2022양현준강원 FC36경기 8득점 4도움


5.2. K리그2[편집]


시즌이름구단기록
2020이동률제주 유나이티드14경기 5득점 3도움
2021김인균충남 아산 FC32경기 8득점 2도움
2022엄지성광주 FC28경기 9득점 1도움


6. 감독상[편집]



6.1. K리그1[편집]


시즌이름구단성적
1983함흥철할렐루야 독수리우승, 6승 8무 2패
1984장운수대우 로얄즈우승, 18승 7무 5패
1985박세학럭키금성 황소우승, 10승 7무 4패
1986최은택포항제철 아톰즈우승, 6승 9무 7패
1987이차만대우 로얄즈우승, 16승 14무 2패
1988이회택포항제철 아톰즈우승, 9승 9무 6패
1989김정남유공 코끼리우승, 17승 15무 8패
1990고재욱럭키금성 황소우승, 14승 11무 5패
1991베르탈란대우 로얄즈우승, 17승 18무 5패
1992이회택포항제철 아톰즈우승, 13승 9무 8패
1993박종환일화 천마우승, 18승 12패
1994박종환일화 천마우승, 15승 9무 6패
1995박종환일화 천마우승, 14승 11무 6패
1996고재욱울산 현대 호랑이우승, 17승 3무 14패
1997이차만부산 대우 로얄즈우승, 11승 4무 3패
1998김호수원 삼성 블루윙즈우승, 13승 1무 6패
1999김호수원 삼성 블루윙즈우승, 23승 6패
2000조광래안양 LG 치타스우승, 21승 8패
2001차경복성남 일화 천마우승, 11승 12무 4패
2002차경복성남 일화 천마우승, 14승 7무 6패
2003차경복성남 일화 천마우승, 27승 10무 7패
2004차범근수원 삼성 블루윙즈우승, 14승 6무 7패
2005장외룡인천 유나이티드준우승, 15승 6무 6패
2006김학범성남 일화 천마우승, 17승 7무 5패
2007파리아스포항 스틸러스우승, 16승 6무 9패
2008차범근수원 삼성 블루윙즈우승, 18승 4무 6패
2009최강희전북 현대 모터스우승, 18승 7무 5패
2010박경훈제주 유나이티드준우승, 18승 9무 4패
2011최강희전북 현대 모터스우승, 20승 9무 3패
2012최용수FC 서울우승, 29승 9무 6패
2013황선홍포항 스틸러스우승, 21승 11무 6패
2014최강희전북 현대 모터스우승, 24승 9무 5패
2015최강희전북 현대 모터스우승, 22승 7무 9패
2016황선홍FC 서울우승, 21승 7무 10패
2017최강희전북 현대 모터스우승, 22승 9무 7패
2018최강희전북 현대 모터스우승, 26승 8무 4패
2019모라이스전북 현대 모터스우승, 22승 13무 3패
2020김기동포항 스틸러스3위, 15승 5무 7패
2021김상식전북 현대 모터스우승, 22승 10무 6패
2022홍명보울산 현대우승, 22승 10무 6패


6.2. K리그2[편집]


시즌이름구단성적
2013박항서상주 상무우승, 승격, 23승 8무 4패
2014조진호대전 시티즌우승, 승격, 20승 10무 6패
2015조덕제수원 FC3위, 승격, 19승 12무 11패
2016손현준대구 FC준우승, 승격, 19승 13무 8패
2017김종부경남 FC우승, 승격, 24승 7무 5패
2018박동혁아산 무궁화우승, 21승 9무 6패
2019박진섭광주 FC우승, 승격, 21승 10무 5패
2020남기일제주 유나이티드우승, 승격, 18승 6무 3패
2021김태완김천 상무우승, 승격, 20승 11무 5패
2022이정효광주 FC우승, 승격, 25승 11무 4패


7. 베스트 11[편집]



7.1. K리그1[편집]


시즌골키퍼수비수미드필더공격수
1983조병득(할렐루야)장외룡(할렐루야)
이강조(포항제철)
박성화(대우)
김철수(유공)
조광래(대우)
박창선(할렐루야)
박윤기(유공)
이길용(포항제철)
이춘석(대우)
김용세(유공)
1984오연교(유공)정종수(유공)
정용환(대우)
박성화(할렐루야)
박경훈(포항제철)
박창선(할렐루야)
허정무(현대)
조영증(럭키금성)
최순호(포항제철)
이태호(대우)
백종철(현대)
1985김현태(럭키금성)장외룡(대우)
한문배(럭키금성)
최강희(현대)
김철수(포항제철)
박상인(할렐루야)
이흥실(포항제철)
박항서(럭키금성)
김용세(유공)
피아퐁(럭키금성)
강득수(럭키금성)
1986김현태(럭키금성)조영증(럭키금성)
김평석(현대)
최강희(현대)
박노봉(대우)
조민국(럭키금성)
이흥실(포항제철)
윤성효(한일은행)
김용세(유공)
정해원(대우)
함현기(현대)
1987김풍주(대우)구상범(럭키금성)
최기봉(유공)
정용환(대우)
박경훈(포항제철)
김삼수(현대)
노수진(유공)
이흥실(포항제철)
최상국(포항제철)
정해원(대우)
김주성(대우)
1988오연교(현대)최강희(현대)
최태진(대우)
손형선(대우)
강태식(포항제철)
최진한(럭키금성)
김상호(포항제철)
황보관(유공)
이기근(포항제철)
함현기(현대)
신동철(유공)
1989차상광(럭키금성)임종헌(일화)
조윤환(유공)
최윤겸(유공)
이영익(럭키금성)
이흥실(포항제철)
조덕제(대우)
강재순(현대)
윤상철(럭키금성)
조긍연(포항제철)
노수진(유공)
1990유대순(유공)임종헌(일화)
최영준(럭키금성)
최태진(럭키금성)
이재희(대우)
최진한(럭키금성)
이흥실(포항제철)
최대식(럭키금성)
윤상철(럭키금성)
이태호(대우)
송주석(현대)
1991김풍주(대우)정용환(대우)
박현용(대우)
테드(유공)
김현석(현대)
이영진(LG)
김주성(대우)
최강희(현대)
이상윤(일화)
이기근(포항제철)
고정운(일화)
1992사리체프(일화)홍명보(포항제철)
이종화(일화)
박정배(LG)
신홍기(현대)
김현석(현대)
신태용(일화)
박태하(포항제철)
신동철(유공)
박창현(포항제철)
임근재(LG)
1993사리체프(일화)최영일(현대)
이종화(일화)
유동관(포항제철)
김판근(대우)
신태용(일화)
김동해(LG)
이상윤(일화)
김봉길(유공)
차상해(포항제철)
윤상철(LG)
1994사리체프(일화)안익수(일화)
유상철(현대)
홍명보(포항제철)
허기태(유공)
신태용(일화)
고정운(일화)
황보관(유공)
윤상철(LG)
라데(포항제철)
김경래(버팔로)
1995사리체프(일화)최영일(현대)
홍명보(포항)
허기태(유공)
신태용(일화)
고정운(일화)
김현석(현대)
김판근(LG)
아미르(대우)
황선홍(포항)
노상래(전남)
1996김병지(울산)윤성효(수원)
김주성(부산)
허기태(부천)
신태용(천안)
바데아(수원)
홍명보(포항)
하석주(부산)
김현석(울산)
라데(포항)
세르게이(부천)
1997신범철(부산)김주성(부산)
마시엘(전남)
안익수(포항)
김현석(울산)
신진원(대전)
김인완(전남)
이진행(수원)
정재권(부산)
마니치(부산)
스카첸코(전남)
1998김병지(울산)안익수(포항)
마시엘(전남)
이임생(부천)
고종수(수원)
유상철(울산)
백승철(포항)
안정환(부산)
정정수(울산)
김현석(울산)
샤샤(수원)
1999이운재(수원)강철(부천)
김주성(부산)
마시엘(전남)
신홍기(수원)
서정원(수원)
고종수(수원)
데니스(수원)
고정운(포항)
안정환(부산)
샤샤(수원)
2000신의손(안양)강철(부천)
이임생(부천)
김현수(성남)
마시엘(전남)
안드레(안양)
신태용(성남)
전경준(부천)
데니스(수원)
최용수(안양)
김도훈(전북)
2001신의손(안양)우르모브(울산)
김현수(성남)
김용희(성남)
이영표(안양)
신태용(성남)
서정원(수원)
송종국(부산)
남기일(부천)
우성용(부산)
산드로(수원)
2002이운재(수원)김현수(성남)
김태영(전남)
최진철(전북)
홍명보(포항)
신태용(성남)
이천수(울산)
안드레(안양)
서정원(수원)
김대의(성남)
유상철(울산)
2003서동명(울산)최진철(전북)
김태영(전남)
김현수(성남)
산토스(포항)
신태용(성남)
이성남(성남)
이관우(대전)
김남일(전남)
김도훈(성남)
마그노(전북)
2004이운재(수원)산토스(포항)
유경렬(울산)
무사(수원)
곽희주(수원)
김동진(서울)
따바레즈(포항)
김두현(수원)
김대의(수원)
나드손(수원)
모따(전남)
2005김병지(포항)임중용(인천)
유경렬(울산)
조용형(부천)
김영철(성남)
김두현(성남)
이천수(울산)
이호(울산)
조원희(수원)
박주영(서울)
마차도(울산)
2006박호진(수원)장학영(성남)
마토(수원)
최진철(전북)
김영철(성남)
김두현(성남)
백지훈(수원)
이관우(수원)
뽀뽀(부산)
우성용(성남)
김은중(서울)
2007김병지(서울)아디(서울)
마토(수원)
황재원(포항)
장학영(성남)
따바레즈(포항)
이관우(수원)
김기동(포항)
김두현(성남)
이근호(대구)
까보레(경남)
2008이운재(수원)아디(서울)
마토(수원)
박동혁(울산)
최효진(포항)
김형범(전북)
조원희(수원)
기성용(서울)
이청용(서울)
이근호(대구)
에두(수원)
2009신화용(포항)김상식(전북)
김형일(포항)
황재원(포항)
최효진(포항)
최태욱(전북)
기성용(서울)
김정우(성남)
에닝요(전북)
이동국(전북)
데닐손(포항)
2010김용대(서울)홍정호(제주)
아디(서울)
사샤(성남)
최효진(서울)
몰리나(성남)
윤빛가람(경남)
구자철(제주)
에닝요(전북)
김은중(제주)
데얀(서울)
2011김영광(울산)박원재(전북)
곽태휘(울산)
조성환(전북)
최철순(전북)
염기훈(수원)
윤빛가람(경남)
하대성(서울)
에닝요(전북)
이동국(전북)
데얀(서울)
2012김용대(서울)아디(서울)
정인환(인천)
곽태휘(울산)
김창수(부산)
몰리나(서울)
하대성(서울)
황진성(포항)
이근호(울산)
이동국(전북)
데얀(서울)
2013김승규(울산)아디(서울)
김치곤(울산)
김원일(포항)
이용(울산)
고무열(포항)
이명주(포항)
하대성(서울)
레오나르도(전북)
김신욱(울산)
데얀(서울)
2014권순태(전북)홍철(수원)
윌킨슨(전북)
김주영(서울)
차두리(서울)
임상협(부산)
고명진(서울)
이승기(전북)
한교원(전북)
이동국(전북)
산토스(수원)
2015권순태(전북)홍철(수원)
요니치(인천)
김기희(전북)
차두리(서울)
염기훈(수원)
이재성(전북)
권창훈(수원)
송진형(제주)
이동국(전북)
아드리아노(서울)
2016권순태(전북)고광민(서울)
오스마르(서울)
요니치(인천)
정운(제주)
권창훈(수원)
로페즈(전북)
레오나르도(전북)
이재성(전북)
정조국(광주)
아드리아노(서울)
2017조현우(대구)김진수(전북)
김민재(전북)
오반석(제주)
최철순(전북)
염기훈(수원)
이재성(전북)
이창민(제주)
이승기(전북)
이근호(강원)
조나탄(수원)
2018조현우(대구)홍철(수원)
리차드(울산)
김민재(전북)
이용(전북)
네게바(경남)
최영준(경남)
아길라르(인천)
로페즈(전북)
말컹(경남)
주니오(울산)
2019조현우(대구)김태환(울산)
홍정호(전북)
홍철(수원)
이용(전북)
김보경(울산)
문선민(전북)
세징야(대구)
완델손(포항)
주니오(울산)
타가트(수원)
2020조현우(울산)김태환(울산)
홍정호(전북)
권경원(상주)
강상우(포항)
손준호(전북)
한교원(전북)
세징야(대구)
팔로세비치(포항)
주니오(울산)
일류첸코(포항)
2021조현우(울산)강상우(포항)
불투이스(울산)
홍정호(전북)
이기제(수원)
임상협(포항)
바코(울산)
세징야(대구)
이동준(울산)
라스(수원FC)
주민규(제주)
2022조현우(울산)김진수(전북)
김영권(울산)
박진섭(전북)
김태환(울산)
김대원(강원)
신진호(포항)
세징야(대구)
이청용(울산)
조규성(전북)
주민규(제주)


7.1.1. 구단별 수상 횟수[편집]


구단횟수선수
FC 서울63아디(5), 윤상철(4), 데얀(4), 하대성(3), 조영증(2), 김현태(2), 최진한(2), 신의손(2), 안드레(2), 기성용(2), 김용대(2), 차두리(2), 아드리아노(2), 한문배, 박항서, 피아퐁, 강득수, 조민국, 구상범, 차상광, 이영익, 최영준, 최태진, 최대식, 이영진, 박정배, 임근재, 김동해, 김판근, 최용수, 이영표, 김동진, 박주영, 김은중, 김병지, 이청용, 최효진, 몰리나, 김주영, 고명진, 고광민, 오스마르
울산 현대61김현석(6) ,최강희(4), 유상철(3), 주니오(3), 김태환(3), 조현우(3), 함현기(2), 최영일(2), 김병지(2), 이천수(2), 유경렬(2), 곽태휘(2), 허정무, 백종철, 김평석, 김삼수, 오연교, 강재순, 송주석, 신홍기, 정정수, 우르모브, 서동명, 이호, 마차도, 박동혁, 김영광, 이근호, 김승규, 김치곤, 이용, 김신욱, 리차드, 김보경, 불투이스, 바코, 이동준, 김영권, 이청용
포항 스틸러스57이흥실(5), 홍명보(5), 김철수(2), 박경훈(2), 이기근(2), 안익수(2), 라데(2), 산토스(2), 따바레즈(2), 황재원(2), 최효진(2), 강상우(2), 이길용, 최순호, 최상국, 강태식, 김상호, 조긍연, 박태하, 박창현, 유동관, 이상해, 황선홍, 백승철, 고정운, 김병지, 김기동, 신화용, 김형일, 데닐손, 황진성, 김원일, 고무열, 이명주, 완델손, 팔로세비치, 일류첸코, 임상협, 신진호
전북 현대 모터스49이동국(5), 최진철(3), 에닝요(3), 권순태(3), 이재성(3), 홍정호(3), 한교원(2), 레오나르도(2), 로페즈(2), 최철순(2), 김민재(2), 이승기(2), 이용(2), 김진수(2) 김도훈, 마그노, 김형범, 김상식, 최태욱, 박원재, 조성환, 윌킨슨, 김기희, 문선민, 손준호, 조규성, 박진섭
수원 삼성 블루윙즈46이운재(4), 홍철(4), 서정원(3), 마토(3), 염기훈(3)고종수(2), 샤샤(2), 데니스(2), 이관우(2), 조원희(2), 권창훈(2), 윤성효, 바데아, 이진행, 신홍기, 산드로, 무사, 곽희주, 김두현, 김대의, 나드손, 박호진, 백지훈, 에두, 산토스, 조나탄, 타가트, 이기제
성남 FC42신태용(9), 사리체프(4), 김현수(4), 고정운(3), 김두현(3), 임종헌(2), 이상윤(2), 이종화(2), 김영철(2), 장학영(2),안익수, 김용희, 김대의, 데니스, 김도훈, 우성용, 김정우, 사샤, 몰리나
제주 유나이티드39김용세(3), 허기태(3), 노수진(2), 신동철(2), 황보관(2), 이임생(2), 강철(2), 주민규(2), 이강조, 박윤기, 오연교, 정종수, 최기봉, 조윤환, 최윤겸, 유대순, 테드, 김봉길, 세르게이, 전경준, 남기일, 조용형, 홍정호, 구자철, 김은중, 송진형, 정운, 오반석, 이창민
부산 아이파크37김주성(5), 정용환(3), 장외룡(2), 이태호(2), 정해원(2), 김풍주(2), 안정환(2), 조광래, 이춘석,박노봉, 최태진, 손형선, 조덕제, 이재희, 박현용, 김판근, 아미르, 하석주, 신범철, 정재권, 마니치, 송종국, 우성용, 뽀뽀, 김창수, 임상협
전남 드래곤즈11미하엘(4), 김태영(2), 노상래, 김인완, 스카첸키, 김남일, 모따
대구 FC9세징야(4), 조현우(3), 이근호(2)
경남 FC6윤빛가람(2), 까보레, 네게바, 최영준, 말컹
인천 유나이티드5요니치(2), 임중용, 정인환, 아길라르
대전 하나 시티즌2신진원, 이관우
강원 FC2이근호, 김대원
광주 FC1정조국
수원 FC1라스
김천 상무1권경원


7.1.2. 선수별 수상 횟수[편집]


선수횟수포지션구단
신태용9MF성남 FC
김현석6MF(5)
FW(1)
울산 현대
조현우6GK대구 FC(3)
울산 현대(3)
이동국5FW전북 현대 모터스
김주성5FW(1)
MF(1)
DF(3)
부산 아이파크
이흥실5MF포항 스틸러스
아디5DFFC 서울
홍명보5DF(4)
MF(1)
포항 스틸러스
데얀4FWFC 서울
이근호4FW(3)
MF(1)
대구 FC(2)
울산 현대(1)
강원 FC(1)
윤상철4FWFC 서울
김두현4MF수원 삼성 블루윙즈(1)
성남 FC(3)
세징야4MF대구 FC
고정운4MF(3)
FW(1)
성남 FC(3)
포항 스틸러스(1)
홍정호4DF제주 유나이티드(1)
전북 현대 모터스(3)
홍철4DF수원 삼성 블루윙즈
마시엘4DF전남 드래곤즈
김현수4DF성남 FC
최강희4DF(3)
MF(1)
울산 현대
이운재4GK수원 삼성 블루윙즈
김병지4GK울산 현대(2)
포항 스틸러스(1)
FC 서울(1)
사리체프4GK성남 FC


7.2. K리그2[편집]


시즌골키퍼수비수미드필더공격수
2013김호준(상주)최철순(상주)
김형일(상주)
이재성(상주)
오범석(경찰)
염기훈(경찰)
이호(상주)
최진수(안양)
김영후(경찰)
이근호(상주)
알렉스(고양)
2014박주원(대전)임창우(대전)
윤원일(대전)
허재원(대구)
이재권(안산)
최진수(안양)
이용래(안산)
최진호(강원)
김호남(광주)
아드리아노(대전)
알렉스(강원)
2015조현우(대구)박진포(상주)
신형민(안산)
강민수(상주)
이용(상주)
고경민(안양)
이승기(상주)
조원희(서울E)
김재성(서울E)
조나탄(대구)
주민규(서울E)
2016조현우(대구)정승용(강원)
황재원(대구)
이한샘(강원)
정우재(대구)
세징야(대구)
이현승(안산)
황인범(대전)
바그닝요(부천)
김동찬(대전)
포프(부산)
2017이범수(경남)최재수(경남)
이반(경남)
박지수(경남)
우주성(경남)
정원진(경남)
배기종(경남)
황인범(대전)
문기한(부천)
말컹(경남)
이정협(부산)
2018김영광(서울E)서보민(성남)
이한샘(아산)
윤영선(성남)
김문환(부산)
호물로(부산)
이명주(아산)
황인범(아산)
안현범(아산)
나상호(광주)
키쭈(대전)
2019윤평국(광주)김문환(부산)
닐손주니어(부천)
아슐마토프(광주)
이으뜸(광주)
김상원(안양)
알렉스(안양)
이동준(부산)
호물로(부산)
조규성(안양)
치솜(수원FC)
2020오승훈(제주)정우재(제주)
정운(제주)
조유민(수원FC)
안현범(제주)
공민현(제주)
이창민(제주)
김영욱(제주)
백성동(경남)
레안드로(서울E)
안병준(수원FC)
2021구성윤(김천)서영재(대전)
주현우(안양)
정승현(김천)
최준(부산)
김경중(안양)
박진섭(대전)
김현욱(전남)
마사(대전)
안병준(부산)
조나탄(안양)
2022김경민(광주)조현택(부천)
안영규(광주)
조유민(대전)
두현석(광주)
윌리안(대전)
박한빈(광주)
이순민(광주)
엄지성(광주)
유강현(충남아산)
티아고(경남)

7.2.1. 구단별 수상 횟수[편집]


구단횟수선수
대전 하나 시티즌13황인범(2), 박주원, 임창우, 윤원일, 아드리아노, 김동찬, 키쭈, 서영재, 박진섭, 마사, 조유민, 윌리안
김천 상무 FC12김호준, 최철순, 김형일, 이재성, 이호, 이근호, 박진포, 강민수, 이용, 이승기, 구성윤, 정승현
광주 FC11김호남, 나상호, 윤평국, 아슐마토프, 이으뜸, 김경민, 안영규, 두현석, 박한빈, 이순민, 엄지성
경찰 축구단11염기훈, 오범석, 김영후, 이재권, 이용래, 신형민, 이현승, 이한샘, 이명주, 황인범, 안현범
경남 FC10이범수, 최재수, 이반, 박지수, 우주성, 정원진, 배기종, 말컹, 백성동, 티아고
FC 안양9최진수(2), 고경민, 김상원, 조규성, 알렉스, 주현우, 김경중, 조나탄
부산 아이파크9김문환(2), 호물로(2), 포프, 이정협, 이동준, 최준, 안병준
대구 FC7조현우(2), 허재원, 조나탄, 황재원, 정우재, 세징야
제주 유나이티드 FC6오승훈, 정운, 정우재, 공민현, 이창민, 김영욱
서울 이랜드 FC5조원희, 김재성, 주민규, 김영광, 레안드로
부천 FC 19954바그닝요, 문기한, 닐손주니어, 조현택
강원 FC4최진호, 알렉스, 정승용, 이한샘
수원 FC3치솜, 조유민, 안병준
성남 FC2서보민, 윤영선
전남 드래곤즈1김현욱
충남 아산 FC1유강현
고양 Hi FC1알렉스


7.2.2. 선수별 수상 횟수[편집]


선수횟수포지션구단
황인범3MF대전 시티즌(2), 아산 무궁화
알렉스2FW고양 Hi FC, 강원 FC
최진수2MFFC 안양
조현우2GK대구 FC
김문환2DF부산 아이파크
호물로2MF부산 아이파크
이한샘2DF아산 무궁화, 강원 FC
안현범2DF아산 무궁화, 제주 유나이티드 FC
정우재2DF대구 FC, 제주 유나이티드 FC
안병준2FW수원 FC, 부산 아이파크
조유민2DF수원 FC, 대전 하나 시티즌


8. 팬타스틱 플레이어상 (폐지)[편집]


팬타스틱 플레이어(FANtastic Player)상은 팬들의 투표로 당년 가장 멋진 플레이를 보여준 선수에게 수여하는 상이었다.

2009년에 신설했으나 2018년에 폐지했다. 대신 2018년부터 아디다스 코리아의 후원을 받아 아디다스 탱고 어워드를 신설해 해당 상을 계승했다.



9. 아디다스 탱고 어워드 (폐지)[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K리그/아디다스 탱고 어워드#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당년 가장 창의적인 플레이를 보여준 선수에게 수여하는 상이었다.

2019년을 끝으로 아디다스 코리아와 계약을 만료하면서 2020년에 폐지했다. 대신 2020년부터 게토레이의 후원을 받아 G MOMENT AWARD를 신설하면서 해당 상을 계승했다. 다만 이전처럼 K리그 대상으로서 시상하는 것이 아니라 팬들의 투표를 받아 매월 K리그1 승리 구단의 득점 중 가장 역동적인 골을 넣은 선수에게 시상한다.


10. G MOMENT AWARD (폐지)[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K리그/G MOMENT AWARD#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시즌이름포지션구단
2018강현무GK포항 스틸러스
2019김대원FW대구 FC


11. 특별상[편집]


전 경기 전 시간 출장한 선수나 특별한 기록을 세운 선수에게 수여하는 상이었는데 2016년부터는 전 경기 전 시간 출장상을 분리해 나왔다. 아래 표에서 비고가 비어 있는 선수는 전 경기 전 시간을 출장해 상을 수상한 선수다.



11.1. 전 경기 전 시간 출장상[편집]


전 경기 전 시간 출장한 선수에게 수여하는 상으로 2016년에 특별상에서 분리했다.



12. 베스트 포토상[편집]


시즌 중 가장 인상적인 장면을 남긴 사람에게 수여하는 상으로, 기자들이 수상자를 선정한다.



13. EA스포츠 모스트 셀렉티드 플레이어상[편집]


한 해 동안 FC 온라인(前 FIFA 온라인 4)의 게이머들이 가장 많이 사용한 K리그 선수에게 수여하는 상.



14. 구단 수상[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K리그 대상/구단 수상#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5. 월간 수상[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K리그 대상/월간 수상#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31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31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0-29 09:29:05에 나무위키 K리그 대상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