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덤프버전 : (♥ 0)


국명·지명 한자 약칭
[ 펼치기 · 접기 ]

대륙
· · ·
아시아유럽(구라파)아프리카아메리카오스트레일리아
국가
· · ·
[1]
· ·
[2]
남한(한국)북한(조선)중국중화민국(대만)[3]일본
· ·
몽골(몽고)미국영국캐나다(가나다)오스트레일리아(호주)
· · ·
프랑스(불란서)독일오스트리아(오지리)이탈리아(이태리)네덜란드(화란)
西 ·
스페인(서반아)포르투갈(포도아)러시아(노서아·아라사)인도인도네시아(인니)
· ·
말레이시아태국필리핀(비율빈)베트남(월남)이집트(애급)
· ·
폴란드(파란)아일랜드(애란)덴마크(정말)스웨덴(서전)노르웨이(나위·낙위)
·
그리스(희랍)핀란드(분란)남아공벨기에(백이의)헝가리(흉아리·홍아리)
西西
스위스(서서)튀르키예(토이기)멕시코(묵서가)브라질(파서)아르헨티나(아근정)
사라진 나라
·
가야고구려 · 고려백제신라조선
로마 제국(대진)소련프로이센류큐
지명
滿
아시아태평양만주캘리포니아로스앤젤레스샌프란시스코
워싱턴 D.C.모스크바베를린로마런던
[1] 일본에서 중국을 가리키는 말로 가끔 쓰인다.[2] 주로 일본 내부에서 쓰인다.[3] 華와 臺는 둘 다 대만의 약칭이지만 뉘앙스가 다른데, 華는 중화민국을 강조하는 뉘앙스라면 臺는 대만을 강조하는 뉘앙스이다.



넘을 월
부수
나머지 획수
, 5획
총 획수
12획
고등학교
-
일본어 음독
エツ, エチ, オチ
일본어 훈독
こ-す, こ-える, こし
-
표준 중국어
yuè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1. 개요
2. 상세
3. 용례
4. 유의자



1. 개요[편집]


越은 '넘을 월'이라는 한자로, '넘다', '넘어가다', '추월(追越)하다'를 뜻하며, 베트남을 뜻하기도 한다.


2. 상세[편집]


유니코드에는 U+8D8A로 배당되어 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土人戈女(GOIV)로 입력한다.

뜻을 나타내는 (달릴 주)와 음을 나타내는 (도끼 월)이 합쳐진 형성자이다.


3. 용례[편집]



3.1. 단어[편집]




3.2. 인명[편집]



3.3. 지명[편집]



3.4. 창작물[편집]




3.5. 기타[편집]




3.6. 일본어[편집]


  • 음독
    • 오음:えち, おち 한음:えつ
      • えっきょう (越境) 표내
      • ちょうえつ (超越) 표내
      • ゆうえつ (優越) 표내
  • 훈독
    • こ-える, こ-す
      • おいこす (追(い)越す)
      • こえる (越える) 표내
      • こす (越す) 표내
      • としこし (年越し) 표내
      • ひっこす (引(っ)越す)
      • やまごえ (山越え) 표내


4. 유의자[편집]


  • (멍에 가)
  • (넘을 과)
  • (업신여길 릉)[2]
  • (뛰어넘을 맥)
  • (넘을 유)
  • (뛰어넘을 초)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08 15:22:17에 나무위키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담'은 순우리말이다.[2] '능가(凌駕)'라는 단어에 이 두 한자가 쓰이므로 유의자로 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