덤프버전 : (♥ 0)

기다릴 대
부수
나머지 획수
, 6획
총 획수
9획
중학교
-
일본어 음독
タイ
일본어 훈독
ま-つ
-
표준 중국어
dāi, dài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1. 개요
2. 상세
3. 용례
4. 유의자
5. 모양이 비슷한 한자



1. 개요[편집]


待는 '기다릴 대'라는 한자로, '기다리다'를 뜻한다.


2. 상세[편집]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한국어기다리다
중국어표준어dài, dài
광동어doi6
객가어thoi, thai
민동어dâi[文] / dô̤i[白]
민남어tāi[文], tài[文1] / tē[白]
오어de (T3)
일본어음독タイ
훈독ま-つ
베트남어đại

유니코드에는 U+5F85에 배당되어 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HOGDI(竹人土木戈)로 입력한다.

뜻을 나타내는 (두인변)과 소리를 나타내는 (절 사)가 합쳐진 형성자이다.


3. 용례[편집]



3.1. 단어[편집]




3.2. 고사성어/숙어[편집]




3.3. 인명[편집]




3.4. 지명[편집]




3.5. 창작물[편집]




4. 유의자[편집]




5. 모양이 비슷한 한자[편집]


  • 𥩳(기다릴 대)
  • (때 시)
  • (모실 시)
  • (믿을 시)
  • (시 시)
  • 𩶬(준치 시)
  • (쥐 이름 시)
  • (망치 적)
  • (무리 주)[1]
  • (가질 지)
  • (섬 지)
  • (그칠 치)
  • 𪗺(되새김질해서 먹을 치)
  • (머뭇거릴 치)
  • (모을 치)
  • (벼 이름 치)
  • (언덕 치)
  • (제사터 치)
  • (특별할 특)
  • 𥹩(치)
  • 𠱾
  • 𪀔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07 14:42:58에 나무위키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文] A B 문독[白] A B 백독[文1] 문독, 交代 같은 일부 단어에 한정[1] (무리 주)의 간체자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