常
(♥ 0)
1. 개요[편집]
常은 '떳떳할 상'이라는 한자로, '떳떳하다', '항상', '언제나'를 뜻한다.
2. 상세[편집]
유니코드는 U+5E38에 배당되었으며, 창힐수입법으로는 FBRLB(火月口中月)로 입력한다.
뜻을 나타내는 巾(수건 건)과 음을 나타내는 尙(오히려 상)이 합쳐진 형성자이다.
3. 용례[편집]
3.1. 단어[편집]
3.2. 고사성어/숙어[편집]
3.3. 인명[편집]
- 박상륭(朴常隆)
- 상기상(常紀常)
- 상락공주(常樂公主)
- 아오이 토코나츠(蒼井 常夏)
- 야규우 쥬우안사이(柳生 常闇斎)
- 코토부키 죠우토(寿 常套)
- 토코야미 후미카게(常闇 踏陰)
- 토코야미 토와(常闇 トワ)
- 토키와 타카코(常盤 貴子)
- 푸빙창(傅秉常)
- 흑치상지(黑齒常之)
- 히가시카타 죠빈(東方 常敏)
- 히타치보 카이존(常陸坊 海尊)
3.4. 지명[편집]
3.5. 창작물[편집]
- 愛と煩悩と輪廻と常識の極彩世界(사랑과 번뇌와 윤회와 상식의 극채세계)
- 異能バトルは日常系のなかで(이능배틀은 일상계 속에서)
- 熱異常(열이상)
3.6. 기타[편집]
4. 유의자[편집]
5. 상대자[편집]
- 懅(부끄러울 거)
- 愧/媿(부끄러울 괴)
- 謉(부끄러울 괴/귀)
- 赧(부끄러울 난)
- 忸(익을 뉴, 부끄러울 뉵)
- 恧/䚼(부끄러울 뉵)
- 㥾(부끄러울 닉/닐)
- 𢝀[⿰忄突](부끄러울 돌)
- 㦬(부끄러울 라)
- 僯(부끄러울 린)
- 懡(부끄러울 마)
- 羞(부끄러울 수)
- 𠲻[⿱沂口](부끄러울 의)
- 㤰(부끄러울 작)
- 嘁(부끄러울 잡/축)
- 靦/睓(부끄러울 전)
- 慙(부끄러울 참)
- 㗤(부끄러울 축)
- 恥(부끄러울 치)
- 㦦(부끄러울 혁)
6. 모양이 비슷한 한자[편집]
- 當(마땅 당)
- 黨(무리 당)
- 棠(아가위 당)
- 堂(집 당)
- 瓽/𦈹[⿱尚缶](큰동이 당)
- 嘗/甞/𨡔[⿱尚酉]/𡮢[⿳尚亠日](맛볼 상)
- 賞(상줄 상)
- 裳(치마 상)
- 𧨲[⿱尚言](큰부리까마귀가울 오)
- 掌(손바닥 장)
- 㗬(두터운입술모양 차)
- 𡭿[⿱尚之](달릴 창)
- 𡝣[⿱尚女](아내 처)[1]
- 牚(버틸 탱)
- 𣥺[⿱尚止](버틸 탱, 바를 상)
- 𬻬[⿱尚⿻丄口]
- 𠤠[⿱尚匕]
- 𫵁[⿱尚上]
- 𭓋[⿱尚子]
- 𫵅[⿱尚𧘇]
- 𡖹[⿱尚⿰夕夕]
- 𫵌[⿱尚垂]
- 𣋈[⿱尚䒤]
- 𭟚[⿱尚⿻丄⿱⿴囗丷一心]
- 𬓂[⿱尚示]
- 𬔢[⿱尚立]
- 𰢃[⿱尚玉]
7. 이 글자를 성부로 삼는 한자[편집]
- 瑺(구슬이름 상)
- 㦂(떳떳할 상)[2]
- 鏛(바퀴테 상)[3]
- 嫦(항아 항/상)
- 蟐(상)
- 𭂝[⿰冫常]
- 𭀕[⿰僉常]
- 𣻸
- 𠼔[⿰口常]
- 𢊥[⿸广常]
- 𰊠[⿰土常]
- 𭋠[⿰吉常]
- 𫷓[⿰常侖]
- 𫺺[⿰忄常]
- 龦
- 𣙟
- 𰖤[⿰日常]
- 𫉒[⿱艹常]
- 𫀠[⿰示常]
- 𤹰[⿸疒常]
- 𮖫[⿰衤常]
- 𮈼[⿰糸常]
- 𩀯[⿰常隹]
- 𪄹[⿰常鳥]
- 𫙲[⿰魚常]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4-08-19 01:06:12에 나무위키 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