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흰꼬리수리

덤프버전 :


[ 펼치기 · 접기 ]
대구 도동 측백나무 숲 · 광릉 크낙새 서식지 · 진도의 진도개 · 울주 목도 상록수림 · 원성 성남리 성황림 · 제주도 김녕굴만장굴 · 보은 속리 정이품송 · 칠곡 금무봉 나무고사리 화석산지 · 설악산 · 삼척 대이리 동굴지대 · 한라산 · 울릉군 성인봉 원시림 · 의령 서동리 함안층 빗방울 자국 · 크낙새 · 따오기 · 황새 · 고니 · 두루미 · 재두루미 · 팔색조 · 저어새 · 노랑부리저어새 · 느시 · 사향노루 · 산양 · 장수하늘소 · 고씨동굴 · 흑두루미 · 남양주 양지리 향나무 · 까막딱따구리 · 독수리 · 검독수리 · 참수리 · 흰꼬리수리 · 어름치 · 오계 · 무주군반딧불이 서식지 · , 황조롱이 · 회갈색올빼미 · 수리부엉이 · 부엉이 · 기러기 · 검은머리물떼새 · 원앙 · 하늘다람쥐 · 반달가슴곰 · 유라시아 수달 · 점박이물범 · 홍도(통영) · 독도 · 함안 대송리 늪지식물 · 노랑부리백로 · 삽살개 · 성주 경산리 성밖숲 · 의성 사촌리 가로숲 · 연천 은대리 물거미 서식지 · 성산 일출봉 · 문섬, 범섬 · 차귀도 · 마라도 · 제주 월령리 선인장군락 · 태안 신두리 해안사구 · 뜸부기 · 두견 · 뿔쇠오리 · 붉은박쥐 · 남생이 · 꼬치동자개 · 무등산 주상절리 · 비단벌레 · 갓바위 · 우포늪 · 비둘기낭 폭포 · 동경이 · 화성 뿔공룡(코리아케라톱스 화성엔시스) 골격 화석






흰꼬리수리
White-tailed eagle, White-tailed sea eagle


학명
Haliaeetus albicilla
(Linnaeus, 1758)
분류

동물계(Animalia)

척삭동물문(Chordata)

조강(Aves)

수리목(Accipitriformes)

수리과(Accipitridae)
아과
흰꼬리수리아과(Haliaeetinae)

흰꼬리수리속(Haliaeetus)

흰꼬리수리(H. albicilla)

파일:흰꼬리수리.png
먹잇감을 잡는 모습

파일:두루미_흰꼬리수리.jpg
두루미와의 교전[1]

1. 특징
2. 서식지
3. 생태
4. 기타



1. 특징[편집]


수리목 수리과의 대형 조류.

몸길이 80∼94cm, 익장 1.8~2.45m로, 흰꼬리수리속의 조류 중 참수리 다음으로 제일 크다. 암수의 구별은 큰 차이가 없으며, 암컷이 약간 더 크다. 몸 빛깔은 황갈색에서 담황갈색의 머리와 목, 백색 꽁지를 제외하고는 균일한 갈색이다. 새끼때는 머리와 목의 담색부가 없고 전체가 갈색으로 얼룩지며 백색을 띤 꽁지는 나이에 따라 차가 있다. 어릴 때는 꼬리가 얼룩덜룩하다가 나이가 들수록 흰색으로 변한다.

울음소리와 울때는 흰머리수리와 비슷하나[2], 이쪽은 울음소리가 조금 더 크고 암수에 따라 울음소리도 살짝 다른 편이다. 암컷은 톤이 조금 낮고, 수컷은 톤이 살짝 높다.

1973년 4월 12일 천연기념물 제243호로 지정되었고, 2012년 5월 31일 멸종위기야생동식물 1급으로 지정되어 보호받고 있다.


2. 서식지[편집]


유럽 전역과 아시아 북부, 그린란드 등지에 분포한다. 겨울에는 결빙되지 않은 수면을 찾아 일부가 남하 이동한다. 한국에서는 임진강, 한강, 낙동강 등의 대형 하천이나 하구, 또는 동서 해안 및 남해 도서 연안 등 도처에서 월동한다. 드물게도 2012년 흑산도에서 한쌍의 개체가 번식했던 기록이 있다. 큰부리까마귀 무리의 지속적인 방해로 번식에는 실패하였으며 사용했던 둥지는 옮겨져서 흑산도의 국립공원연구원 철새연구센터에 전시되어 있다. #


3. 생태[편집]


해안의 바위, 진흙 갯벌, 소택지, 내륙의 호수, 하천, 하구 및 개활지나 산림에도 서식하나 산악지대에는 살지 않는다.

주로 연어, 명태, 민물꼬치고기 등 어류나 물닭, 오리, 기러기, 갈매기, 가마우지 등 물새와 바닷새를 잡아먹는다.[3][4] 때때로 사향쥐, 밍크, 토끼 같은 중소형 포유류나 까마귀, 등 육상조류도 사냥한다.[5] 보통 큰 동물은 잘 노리지 않으나, 경우에 따라 너구리, 여우, 수달, 어린 노루 같은 중형 포유류나 왜가리, 홍부리황새, 검은목두루미, 큰고니 같은 대형 조류를 사냥하기도 한다.[6][7][8] 물에서 잡은 먹이가 너무 무거우면 발톱으로 붙잡고 수영해서 육지로 끌고 나와 먹는데, 이러한 방식으로 10kg이 넘는 물고기도 사냥할 수 있다.[9][10]

다른 맹금류들과는 경쟁 관계인데, 먹이가 겹치는 흰죽지수리참수리와 경쟁하는 경우가 많다.

번식기는 남쪽 서식지에서는 1월~7월이며 북쪽에 사는 흰꼬리수리들은 4월~11월로 더 늦은 편이다. 보통 짝을 맺으면 일정 영역을 차지하고 한 쪽이 죽을 때까지 같은 상대와 번식한다.[11] 산란기는 2월 하순에서 4월 중순이며 1∼4개의 알을 낳는다.[12] 부화 후 암수가 공동으로 먹이를 조달하며 90일이 지나면 새끼는 날 수 있게 된다.[13] 이후 1년에서 최대 3년까지 부모의 영역에서 보호를 받다가 독립한다.[14]

4. 기타[편집]


파일:external/www.jejuilbo.net/9084_3468_4512.jpg
해안지역에 서식하는 특성 덕에 대한민국 해양경찰청이 2010년부터 독수리 대신 상징으로 채용했다.

덤으로 울음소리는 쥬라기 공원의 랩터의 울음소리를 만드는 데 사용된 듯 하며, 말똥가리솔개 다음으로 맹금류의 울음소리로 가장 많이 채용되는 녀석이다.

미국에선 흰머리수리가 국조라면 몽골의 국조는 바로 이 흰꼬리수리로 지정되어 있다.

파일:폴란드 국장.svg
폴란드에서는 로마시대부터 이어져온 국가수리[15] 전통에 따라 흰꼬리수리를 나라의 문장으로 사용 중이다.

검독수리와 비슷하게 생겼지만 몸집은 흰꼬리수리가 좀 더 크고, 부리 색 역시 흰꼬리수리가 더 밝다.

참수리, 흰머리수리와는 같은 흰꼬리수리속 맹금류로 사촌격이다. 북아메리카에는 흰머리수리가 서식하고, 유라시아에서는 참수리와 흰꼬리수리가 서식한다.



[1] 가평에서 찍힌 사진이다.[2] 흰머리수리가 약간 '삐비비빅-!' 하듯이 운다면, 흰꼬리수리는 '뺙 뺙 뺙 뺙-!' 이런식으로 운다.[3] Love, J. A. (1983). The return of the Sea Ea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ISBN 0-521-25513-9.[4] Mori, S. (1980). Breeding biology of the White-tailed Eagle Haliaeetus albicilla in Hokkaido, Japan. Japanese Journal of Ornithology, 29(2–3), 47–68.[5] Probst, R. (2009). Der Seeadler (Haliaeetus albicilla) in Österreich: Das WWF Österreich Seeadlerprojekt. Denisia, 27, 29–50.[6] Yurko, V.V. (2016). Diet of the White-Tailed Eagle During the Breeding Season in the Polesski State Radiation-Ecological Reserve, Belarus. Raptor Conservation, 32: 21–31.[7] Fanke, Jane, Gudrun Wibbelt, and Oliver Krone. "Mortality factors and diseases in free-ranging Eurasian Cranes (Grus grus) in Germany." Journal of Wildlife Diseases 47.3 (2011): 627-637.[8] Brazil, M. (2010). The whooper swan. Bloomsbury Publishing.[9] Wille, F. (1979). Choice of Food of the Greenland White-tailed Eagle- method and preliminary results. Dansk ornithogisk Forenings Tidsskrit, 73: 165–170.[10] Adrianova, O. V., & Kashevarov, B. N. (2005). Some Results of Long-Term Raptor Monitoring in the Kostomuksha Nature Reserve. Status of Raptor Populations in Eastern Fennoscandia, Proceedings of the Workshop, Kostomuksha, Karelia, Russia.[11] Ferguson-Lees, James; Christie, David A. (2001). Raptors of the World. Illustrated by Kim Franklin, David Mead, and Philip Burton. Houghton Mifflin. ISBN 978-0-618-12762-7. Retrieved 29 May 2011.[12] Willgohs, J. F. (1961). The white-tailed eagle Haliaëtus albicilla albicilla (Linné) in Norway. Norwegian Universities Press.[13] Mori, S. (1980). Breeding biology of the White-tailed Eagle Haliaeetus albicilla in Hokkaido, Japan. Japanese Journal of Ornithology, 29(2–3), 47–68.[14] Brown, L.H.; Amadon, D. (1968). Eagles, hawks and falcons of the world. Volume 1. Hamlyn Publishing Group.[15] 독일과 오스트리아는 검독수리를 그대로 사용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