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영기(1918)

덤프버전 : (♥ 0)




대한민국 제14대 후반기 국회부의장
홍영기
洪英基 | Hong Young-ki
파일:홍영기 국회부의장.png
출생 1918년 12월 3일
전라북도 순창군 복흥면 어은리
사망1999년 2월 10일 (향년 80세)
서울특별시 강남구 일원동 삼성서울병원
묘소국립대전현충원 애국지사 제2묘역
본관남양 홍씨 당홍계#
재임기간제14대 후반기 국회부의장
1994년 6월 29일 ~ 1996년 5월 29일
[ 펼치기 · 접기 ]

배우자백수임
자녀슬하 2남 3녀
학력고창고등보통학교 (졸업)
도호쿠제국대학 법문학부 (법학 / 학사)
육군대학 (졸업)
병역대한민국 육군 중령 예편 (군법무관)
의원 선수5
의원 대수5, 6, 8, 13, 14
약력제5대 국회의원(순창군)
제6대 국회의원(서대문구 을)
제8대 국회의원(성동구 을)
제13대 국회의원(임실군·순창군)
제14대 국회의원(임실군·순창군)
제14대 후반기 국회부의장
제4대 민주당 공동대표최고위원
서훈건국훈장 애족장 수훈

1. 개요
2. 생애
2.1. 초년기
2.2. 독립운동
2.3. 해방 이후
2.4. 정치 활동
2.5. 말년
3. 매체에서
4. 선거 이력
5. 소속 정당
6. 둘러보기



1. 개요[편집]


대한민국의 독립운동가, 법조인, 정치인.


2. 생애[편집]



2.1. 초년기[편집]


1918년 전라북도 순창군 복흥면 어은리##에서 태어났다.

전북 고창고등보통학교를 졸업한 뒤 일본으로 건너가 1939년 3월 상지대학에 입학했으나 곧 중퇴하고 1940년 11월 정칙영어학교(세이소쿠영어학교)에 재학했다. 그러던 중 동아연맹 한인 학생 좌담회에서 김창옥, 박석우 등을 만나 한민족의 행복을 위해서는 일본 제국주의의 통치로부터 벗어나 독립국가를 건설하는 것 외에는 방법이 없다고 결의했다.

그들은 먼저 한민족을 통치할 수 있는 지도원리를 파악하고, 동지를 규합해 한민족을 지도, 계발하는 독립소지의 배양에 노력하기로 했다.


2.2. 독립운동[편집]


이에 따라 1940년 11월 동아연맹 좌담회 위원으로 선임되었고, 동지를 규합해 독립운동을 추진할 비밀결사 '우리들'을 조직했다. 이후 12월 중순경 회원들과 회합하여 독립 달성을 위한 1단계로서 역사, 경제, 민족, 정치, 사회학, 철학 등 각 분야별로 민족운동의 지도원리를 연구하기로 협의하였으며, 1941년 2월 중순에는 조직의 비밀유지 및 연구 결과를 논의하여 발표할 것을 협의했다.

1941년 4월 일본 도호쿠대학 법문학부를 졸업했다. 그해 8월 귀국하여 전남 담양군 창평면 창평리에 있는 박석우의 집에서 회원들과 함께 연구 상황을 상호 보고했다. 그러나 1943년 9월 일경에게 체포되었고, 1944년 10월 6일 산구지방재판소에서 치안유지법 위반 혐의로 징역 2년을 선고받고 옥고를 치르다 8.15 광복 직후 석방되었다.


2.3. 해방 이후[편집]


1948년 대한민국 육군 군법무관으로 임관하였으며, 1949년 백범 김구 암살 사건 때 검찰관을 맡아 암살자 안두희에게 총살형을 구형했지만 이뤄지지 않있다. 1950년 육군본부 법무감실 법무차감(중령)을 역임하였다. 1952년 군법무관 전형시험에 합격(대령)하여 육군본부 병무차감을 역임하였고, 이듬해에는 육군대학교를 졸업했다. 1954년 서울에서 변호사 개업을 하였다.


2.4. 정치 활동[편집]


1954년 제3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무소속으로 전라북도 순창군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자유당 임차주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1958년 제4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도 민주당 후보로 같은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역시 자유당 임차주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1960년 제5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당 후보로 같은 선거구에 출마하여 무소속 김병로 후보를 꺾고 당선되었다. 민주당 내에선 신파 소속이었다.

1963년 제6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당 후보로 전라북도 순창군-임실군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민주공화당 한상준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1965년 한일기본조약에 반대하여 의원직을 사퇴한 윤제술의 뒤를 이어 제6대 국회의원 선거재보궐선거에서 서대문구 을 보궐선거에서 민중당 후보로 당선되었다.

1967년 제7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신민당 공천에서 탈락하자 한국독립당 후보로 같은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신민당 윤제술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1970년에는 신진자동차 법률고문을 역임하기도 했으며, 1971년 제8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신민당 소속으로 성동구 을 지역에서 당선되었다.

1972년 10월 유신 직후 육군보안사령부에 끌려갔다. 고문당할 위기에 처하자 "나 고혈압이오. 때려서 죽으면 책임질거요?" 라고 수사관을 위협하면서 일부러 아랫배에 힘을 주어 혈압을 높였고, 군의관이 위험하다는 진단을 내려 고문을 피하기도 했다.

1973년 제9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정운갑 전 의원과 함께 신민당 복수 공천을 받아 서울 성동구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민주공화당 민병기 후보와 정운갑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1980년 5.17 내란으로 인해 정치규제를 당하였다. 1984년 민주화추진협의회에 몸담았다. 그러나 1985년 3월에야 정치규제에서 해금되어서 그 해 2월에 있었던 제12대 국회의원 선거에는 출마하지 못하였다.

1987년 통일민주당에 입당하여 제13대 대통령 선거에서 김영삼을 도왔다. 그러나 1988년 초 통일민주당을 탈당하여 김대중평화민주당에 입당하였고 제13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전라북도 임실군-순창군 선거구에서 당선되었다.

1992년 제14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당 후보로 임실군-순창군 선거구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는데, 당시 최고령 지역구 당선자였다.[1] 1994년부터 1996년까지 국회부의장을 역임하였다.

새정치국민회의 창당 때 김대중과 결별하고 민주당에 남았다. 이후 박일과 함께 민주당 공동대표를 지냈다.

1997년 통합민주당신한국당과 합당해 한나라당이 되려하자 합당에 반발하여 민주당을 탈당하였으며[2] 국민신당에 입당했다가 얼마 뒤 탈당하고 정계를 은퇴하였다.

2.5. 말년[편집]


5공 때 건국훈장 수여 대상에 올랐으나 서훈을 거부했고, 1995년에 비로소 건국훈장 애족장을 수여받았다. 1999년 2월 11일 삼성서울병원에서 숙환으로 별세했고, 국립대전현충원 애국지사 제2 묘역에 안장되었다.


3. 매체에서[편집]




4. 선거 이력[편집]


연도선거 종류선거구소속 정당득표수 (득표율)당선 여부비고
1954제3대 국회의원 선거전북 12[3]
무소속

7,741 (25.09%)낙선 (3위)
1958제4대 국회의원 선거전북 14[4]

10,364 (29.69%)낙선 (2위)
1960제5대 국회의원 선거19,929 (51.55%)당선 (1위)초선
1963제6대 국회의원 선거전북 6[5]
파일:민주당(1963년) 흰색 로고타입.svg

16,932 (24.90%)낙선 (3위)
196511월 재보궐선거
(국회의원)
서울 10[6]
ta-hash-start=w-54ce209d44e04dc47d642d5fa69b6e41[[파일:민중당(1965년) 흰색 로고타입.svg
13,156 (43.02%)당선 (1위)재선
1967제7대 국회의원 선거
파일:한국독립당(1963년) 흰색 로고타입.svg

6,720 (6.93%)낙선 (3위)
1971제8대 국회의원 선거서울 6[7]
ta-hash-start=w-002e493d80c22c612d36ea8235f9b86d[[파일:신민당 벽보글씨.svg
45,849 (57.58%)당선 (1위)3선
1973제9대 국회의원 선거서울 3[8]29,826 (11.16%)낙선 (4위)
1988제13대 국회의원 선거전북 임실·순창
ta-hash-start=w-9ba662df0fa19c1b3a4a89cb5f7f6079[[파일:평화민주당 글자.svg
33,114 (53.56%)당선 (1위)4선
1992제14대 국회의원 선거
파일:민주당(1991) 글자.svg

24,204 (48.21%)5선

역대 선거 벽보
[ 펼치기 · 접기 ]

파일:홍영기 7대.jpg
파일:홍영기 8대.jpg
7대 총선 (서울 10[1])8대 총선 (서울 6[2])
파일:홍영기 9대.jpg
파일:홍영기 13대.jpg
9대 총선 (서울 3[3])13대 총선 (전북 임실군·순창군)
파일:홍영기 14대.jpg
14대 총선 (전북 임실군·순창군)



5. 소속 정당[편집]


소속기간비고

무소속

1954 - 1958정계 입문


1958 - 1961입당

무소속

1961 - 1963정당 강제해산[9]

파일:민주당(1963년) 흰색 로고타입.svg

1963 - 1965창당

ta-hash-start=w-25b6ca62448ad1547674ea4df32caef0[[파일:민중당(1965년) 흰색 로고타입.svg
1965 - 1967합당[10]

무소속

1967탈당

ta-hash-start=w-5c335556246f05fe8350184f12f178d6[[파일:신민당 벽보글씨.svg
1967입당

무소속

1967탈당[11]

파일:한국독립당(1963년) 흰색 로고타입.svg

1967 - 1970입당

무소속

1970탈당

ta-hash-start=w-b1f3af7a68db79361a5e30b972f50ae1[[파일:신민당 벽보글씨.svg
1970 - 1980복당
1980 - 1987정당 강제해산
1987 - 1988창당
정계 복귀
1988탈당[12]
1988 - 1991입당
1991당명 변경
1991 - 1995합당[13]
1995 - 1997합당[14]
1997탈당[15]
1997 - 1998입당
1998 - 1999탈당
정계 은퇴
작고

6. 둘러보기[편집]








[1] 비례대표까지 포함하면 당시 통일국민당의 전국구 1번으로 당선된 문창모 의원이었다. 당시 문창모 의원은 만 84세로 역대 국회의원 당선자 중 최고령 기록을 세웠다.[2] 이부영, 권기술 등도 함께 탈당하려고 했으나 정작 이들은 한나라당에 합류했다.[3] 순창군[4] 순창군[5] 임실군, 순창군[6] 서대문구 을[7] 성동구 을[8] 성동구[9] 5.16 군사정변으로 인한 정당 강제해산.[10] 민정당과 신설 합당.[11] 공천 탈락 불복으로 탈당.[12] 당내 노선 차이로 인한 탈당.[13] 민주당(1990년)과 신설 합당.[14] 개혁신당과 신설 합당.[15] 당내 노선 차이로 인한 탈당.
(신한국당-통합민주당 합당 반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