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항 스틸러스/2022년

덤프버전 : (♥ 0)

파일:나무위키+상위문서.png   상위 문서: 포항 스틸러스



파일:포항 스틸러스 로고.svg
포항 스틸러스 연도별
2021년2022년2023년

포항 스틸러스 2022 시즌
대표이사최인석 (Choi Inseok)
감독김기동 (Kim Gidong)
주장신진호 (Shin Jinho)
부주장심상민 (Sim Sangmin)
경과
(10월 23일 기준)
파일:K리그1 로고.svg
3위
38전 23승 6무 9패 58득점 43실점
2023-24 시즌 AFC 챔피언스 리그 진출
파일:FA컵(대한민국) 심볼.svg8강 탈락
(3전 2승 0무 1패 9득점 4실점)
합산 성적[*]41전 12무 11패 61득점 45실점
최다득점[*]허용준 (14득점)[1]
최다도움[*]신진호 (11도움)[2]

1. 개요
2. 시즌 전 예측
3. 선수단
3.1. 선수단 명단
3.2. 임대 선수 명단
3.3. 시즌 스탯
4. 유니폼 및 스폰서
5. 이적시장
5.1. 겨울 이적시장
5.1.1. 영입 선수 명단
5.1.2. 방출 선수 명단
5.1.3. 총평
5.2. 여름 이적시장
5.2.1. 이적설
5.2.1.1. 영입설
5.2.2. 영입 선수 명단
5.2.3. 방출 선수 명단
5.2.4. 총평
6. 스태프
6.1. 스태프 명단
6.2. 스태프 변동
7. 프리시즌
7.1. 선수단 근황
7.2. 동계 전지 훈련
7.3. 연습경기
7.3.1. 2022.01.29(토) 11:00 vs 대한민국 U-23 축구 국가대표팀 2:1 승
7.3.2. 2022.01.29(토) 15:00 vs 광운대학교 3:0 승
7.3.3. 2022.02.02(수) 14:30 vs 안산 그리너스 0:0 무
8. 휴식기
8.1. 선수단 근황
8.2. 연습경기
10.1. 3라운드 VS 김해시청 (원정, 5:0 승)
10.2. 16강 VS 성남 FC (홈, 2:1 승)
10.3. 8강 VS 대구 FC (원정 2:3 패)
11. 평가


1. 개요[편집]


포항 스틸러스의 2022 시즌에 대한 문서.


2. 시즌 전 예측[편집]


지난 시즌 AFC 챔피언스 리그 결승 무대에 2009년 이래 12년만에 다시 서보는 등 꿈같은 시간을 보낸 포항이었으나, 그 시기에 안주할 겨를도 없이 2022 시즌은 빠르게 다가오고 있다. 2021시즌 시작 전 선수단 내에서 있었던 주전들의 대규모 이적러쉬를 올해에는 최소화하는게 무엇보다도 중요하며, 올시즌은 대륙 대회 없이 리그와 FA컵에만 참가하는 만큼 지난시즌 9위였던 리그 순위를 확실히 끌어올리는 것도 필수적이다.


3. 선수단[편집]



3.1. 선수단 명단[편집]


[ 펼치기 · 접기 ]

등번호국적포지션한글 성명로마자 성명생년월일신체 조건입단 연도비고
1파일:대한민국 국기.svgGK윤평국Yoon Pyeongguk1992년 2월 8일189cm, 88kg2022
2파일:대한민국 국기.svgDF심상민Sim Sangmin1993년 5월 21일172cm, 78kg2019부주장
3파일:대한민국 국기.svgDF이광준Lee Kwangjun1996년 1월 8일174cm, 70kg2018
4파일:대한민국 국기.svgMF이수빈Lee Soobin2000년 5월 7일180cm, 70kg2019
5파일:호주 국기.svgDF그랜트Alexander Ian Grant1994년 1월 23일191cm, 82kg2021
6파일:대한민국 국기.svgMF신진호Shin Jinho1988년 9월 7일177cm, 72kg2021[a]주장
7파일:대한민국 국기.svgFW임상협Lim Sanghyub1988년 7월 8일180cm, 73kg2021
8파일:대한민국 국기.svgFW허용준Heo Yongjun1993년 1월 8일184cm, 75kg2020
11파일:대한민국 국기.svgMF고영준Goh Youngjun2001년 7월 9일168cm, 69kg2020
12파일:대한민국 국기.svgFW김승대Kim Seung-Dae1991년 4월 1일175cm, 64kg2022[b]
13파일:대한민국 국기.svgDF김용환Kim Yonghwan1993년 5월 25일175cm, 67kg2019
14파일:대한민국 국기.svgDF박승욱Park Seungwook1997년 5월 7일184cm, 78kg2021
15파일:대한민국 국기.svgDF박건Park Kun1990년 7월 11일184cm, 76kg2022
16파일:대한민국 국기.svgMF이승모Lee Seungmo1998년 3월 30일185cm, 70kg2017
17파일:대한민국 국기.svgDF신광훈Shin Kwanghoon1987년 3월 18일178cm, 73kg2021[c]
18파일:대한민국 국기.svgFW이호재Lee Hojae2000년 10월 14일192cm, 84kg2021
20파일:대한민국 국기.svgDF박찬용Park Changyong1996년 1월 27일186cm, 81kg2022
22파일:대한민국 국기.svgFW이광혁Lee Gwanghyeok1995년 9월 11일169cm, 60kg2014
23파일:대한민국 국기.svgMF노경호Roh Kyungho2000년 7월 5일174cm, 68kg2021
24파일:대한민국 국기.svgMF윤민호Yoon Minho1999년 10월 17일170cm, 64kg2022
26파일:대한민국 국기.svgMF조재훈Cho Jaehun2003년 6월 29일180cm, 71kg2021
27파일:대한민국 국기.svgFW정재희Jeong Jaehee1994년 4월 28일174cm, 70kg2022
28파일:대한민국 국기.svgMF김진현Kim Jinhyun1999년 9월 28일188cm, 82kg2020
31파일:대한민국 국기.svgGK강현무Kang Hyeonmu1995년 3월 13일185cm, 78kg2014
32파일:대한민국 국기.svgGK이승환Lee Seunghwan2003년 4월 5일186cm, 78kg2022
33파일:대한민국 국기.svgDF최도윤Choi Doyoon2001년 5월 19일174cm, 70kg2021
34파일:대한민국 국기.svgDF이규백Lee Gyubaeg2004년 2월 10일185cm, 83kg2022준프로
41파일:대한민국 국기.svgGK조성훈Cho Sunghoon1998년 4월 21일189cm, 85kg2019
44파일:대한민국 국기.svgDF김민규Kim Mingyu1999년 11월 25일188cm, 82kg2020
45파일:대한민국 국기.svgDF하창래Ha Chang-Rae1994년 10월 16일188cm, 82kg2018
66파일:대한민국 국기.svgMF김준호Kim Junho2002년 12월 11일182cm, 70kg2021
77파일:브라질 국기.svgFW완델손Wanderson[d]1989년 03월 31일172cm, 60kg2019
88파일:대한민국 국기.svgFW권기표Kwon Gipyo1997년 6월 26일175cm, 71kg2018
91파일:대한민국 국기.svgGK류원우Ryu WonWoo1990년 8월 5일187cm, 85kg2018
99파일:대한민국 국기.svgFW이지용Lee Jiyong1999년 4월 1일175cm, 67kg2020
구단 정보
대표이사: 최인석 / 감독: 김기동 / 홈 구장: 포항스틸야드
출처: 포항 스틸러스 홈페이지
[a] 유스 출신으로 2011년 포항에서 프로데뷔[b] 유스 출신으로 2013년 포항에서 프로데뷔[c] 유스 출신으로 2006년 포항에서 프로데뷔[d] 풀 네임은 Wanderson Carvalho de Oliveira



3.2. 임대 선수 명단[편집]


파일:포항 스틸러스 로고.svg
포항 스틸러스 임대 및 군 복무 선수
[ 펼치기 · 접기 ]

이름나이포지션임대 구단국적임대 기간
황인재28GK김천 상무[!]파일:대한민국 국기.svg2021.06~2022.12
김륜성20DF김천 상무[!]파일:대한민국 국기.svg2022.06~2023.12
윤석주20DF김천 상무[!]파일:대한민국 국기.svg2022.06~2023.12
전민광29DF고양 KH[!!]파일:대한민국 국기.svg2022.01~ 2024.04
노지훈23GK진주시민축구단[!!]파일:대한민국 국기.svg2022.01~ 2024.04
이현일28FW진주시민축구단[!!]파일:대한민국 국기.svg2022.01~ 2024.04
양태렬27MF전주시민축구단[!!]파일:대한민국 국기.svg2022.01~ 2024.04
김주환21DFFC 안양파일:대한민국 국기.svg2022.01~2022.12
김규표24MF화성 FC파일:대한민국 국기.svg2022.01~2022.12
정성호21FW서울이랜드파일:대한민국 국기.svg2022.02~2022.12
박건우21DF사간 도스파일:대한민국 국기.svg2022.08~2022.12
김용학19MF포르티모넨스 SC파일:대한민국 국기.svg2022.01~ 2023.06

[!] A B C [!!] A B C D 사회복무


3.3. 시즌 스탯[편집]


파일:포항 스틸러스 로고.svg
포항 스틸러스 2022 시즌 선수별 스탯
(2022년 5월 27일 기준)
이름리그FA컵합계
경기득점도움경기득점도움[비공식]경기득점도움
허용준5020()70
임상협40()40
정재희3120()51
팔라시오스[3]10()10
신진호12()12
이승모03()03
박승욱01()01
이광혁10()10
이수빈01()01
완델손10()10
이호재20()20
고영준20()10
심상민01()01
신광훈01()01


4. 유니폼 및 스폰서[편집]


포항 스틸러스 2022 시즌 유니폼
파일:포항2022홈.jpg
파일:포항2022원정.jpg
파일:포항2022서드.jpg
파일:포항2022GK1.jpg
파일:포항2022GK2.jpg
HOMEAWAYTHIRDGK HOMEGK AWAY

킷 서플라이어스폰서
파일:Puma Black logo.png파일:포스코 CI.svg파일:포스코케미칼 CI.svg파일:더샵 BI_2020.svg파일:라쉬반 로고.png

5. 이적시장[편집]



5.1. 겨울 이적시장[편집]


  • 2021.10.18 : 한국프로축구연맹에서 2022시즌 클럽 우선지명 선수 명단을 발표하였다. 포항은 지난해와 같이 가장 많은 11명을 지명했고, 그 중 프로로 직행하는건 골키퍼인 이승환 1명이다.#

  • 2021.07.01 : 한국프로축구연맹에서 올시즌을 끝으로 계약이 만료되는 자유계약선수(FA) 명단을 발표했다. 포항은 권완규임상협 등을 포함 총 9명으로 임상협을 포함한 4명의 선수는 연장옵션을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2021.12.30 : 유소년팀 출신 우선지명 선수 총 4명의 영입이 발표되었다.# 알려진 대로 포항제철고를 졸업하고 프로로 직행하는 골키퍼 이승환을 포함해 각각 고려대용인대에서 활약한 우선지명선수 정성호박건우를 콜업하였고, 또한 현재 포항제철고에 재학중인 중앙수비 유망주 이규백과 준프로계약을 맺으며, 총 4명의 유소년팀 선수와 계약하였다.

  • 2021.12.30 : 지난시즌 김포 FC에서 활약한 2020시즌 K3리그 영플레이어상 수상자 윤민호를 자유계약으로 영입했다.#

  • 2022.01.01 : FA컵 결승전 MVP 주인공인 공격수 정재희를 영입하였다.# 알려진 바에 따르면 지난 여름 이석현이 소집해제 이 후 전남 드래곤즈로 이적하며 이에 대한 1:1 트레이드의 형태로 진행되었고, 정재희의 전역 이 후 2022시즌 포항 스틸러스로의 합류가 이미 확정되어 있었다고 한다.



  • 2022.01.04 : 지난 시즌을 끝으로 계약이 만료되 자유계약 상태였던 권완규성남 FC로 이적하였다.#

  • 2022.01.04 : FA명단에 포함되어 있던 선수들 중 4명의 선수(김동범, 김성주, 안해성, 우민걸)와 여름 단기계약으로 영입되었던 공격수 김현성까지 5명의 선수가 계약만료로 팀을 떠나게 되었다.#





  • 2022.01.12 : 박재우, 최민서, 송승민이 계약 해지로, 풍기 사무엘은 합의해지의 형태로 각각 팀을 떠나게 되었다.# 이 중 송승민은 같은 날 충남 아산 FC를 통해 영입 오피셜이 뜨며 팀을 옮기게 되었다.# 지난해 입단하여 기대를 받았던 풍기 사무엘코로나19의 영향으로 예정이었던 귀화가 기약 없이 늦춰지며 다음 시즌에도 등록 및 출장 자체가 불가능하게 되었고, 이로 인해 파주시민축구단으로 임대를 추진하였으나 K리그에 정식으로 등록 선수가 아니라 임대 규정을 적용할 수도 없다는 결론이 나오며 결국 합의하에 계약을 해지하고 파주시민축구단에 외국인 선수로 정식 등록하는 방향으로 결정되었다고 알려졌다.#



  • 2022.01.17 : 지난 시즌 함께 했던 보리스 타쉬와 계약 해지가 드디어 발표되었다.#

  • 2022.01.21 : 포르티모넨스 SC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김용학 영입을 발표했다. 임대 영입으로 우선 U-23팀에서 적응한 뒤 성인팀 무대에도 도전할 예정이다.#


5.1.1. 영입 선수 명단[편집]


파일:포항 스틸러스 로고.svg
포항 스틸러스 2022 시즌 겨울 이적시장 영입
[ 펼치기 · 접기 ]

이름나이포지션전 소속팀국적이적방식
오재혁20MF부천 FC 1995파일:대한민국 국기.svg임대복귀
김찬22FW충남 아산 FC파일:대한민국 국기.svg임대복귀
최민서20FWFC 안양파일:대한민국 국기.svg임대복귀
하승운24FWFC 안양파일:대한민국 국기.svg임대복귀
송승민30FW광주 FC파일:대한민국 국기.svg임대복귀
김민규23DF김해시청 축구단파일:대한민국 국기.svg임대복귀
양태렬27MF경주 한국수력원자력파일:대한민국 국기.svg임대복귀
김주환21DF경남 FC파일:대한민국 국기.svg임대복귀
윤석주20MF경남 FC파일:대한민국 국기.svg임대복귀
안해성23DF경주 한국수력원자력파일:대한민국 국기.svg임대복귀
이현일28FW충남 아산 FC파일:대한민국 국기.svg임대복귀
이승환19GK포항제철고등학교파일:대한민국 국기.svg우선지명
정성호21FW용인대학교파일:대한민국 국기.svg우선지명
박건우21DF고려대학교파일:대한민국 국기.svg우선지명
이규백18DF포항제철고등학교파일:대한민국 국기.svg준프로계약
윤민호23MF김포 FC파일:대한민국 국기.svg완전이적
정재희28MF전남 드래곤즈파일:대한민국 국기.svg완전이적
박찬용26DF전남 드래곤즈파일:대한민국 국기.svg완전이적
박건32DF부천 FC 1995파일:대한민국 국기.svg완전이적[트레이드]
윤평국30GK광주 FC파일:대한민국 국기.svg완전이적[트레이드]
김용학19FW포항제철고등학교파일:대한민국 국기.svg우선지명
이현주19MF포항제철고등학교파일:대한민국 국기.svg우선지명
모세스32FW우한 싼전파일:나이지리아 국기.svg완전이적
완델손32FW알 이티하드 칼바 SC파일:브라질 국기.svg완전이적
김승대30FW전북 현대 모터스파일:대한민국 국기.svg완전이적
우선지명(대학진학) 명단
이름나이포지션학교진학대학
강민준19DF포항제철고등학교고려대학교
김종원19FW포항제철고등학교용인대학교
백훈민19FW포항제철고등학교용인대학교
서현우19DF포항제철고등학교용인대학교
이동협19MF포항제철고등학교광운대학교
이준석19DF포항제철고등학교동국대학교
조시형19FW포항제철고등학교홍익대학교
홍지우19MF포항제철고등학교상지대학교

[트레이드] A B


5.1.2. 방출 선수 명단[편집]


파일:포항 스틸러스 로고.svg
포항 스틸러스 2022 시즌 겨울 이적시장 방출
[ 펼치기 · 접기 ]

이름나이포지션행선지국적이적방식
오범석38DF-파일:대한민국 국기.svg은퇴
오재혁20MF부천 FC 1995파일:대한민국 국기.svg완전이적[트레이드]
김호남33FW부천 FC 1995파일:대한민국 국기.svg자유계약
권완규31DF성남 FC파일:대한민국 국기.svg자유계약
김동범22FW-파일:대한민국 국기.svg계약만료
김성주32MF-파일:대한민국 국기.svg계약만료
김현성33MF-파일:대한민국 국기.svg계약만료
안해성23DF-파일:대한민국 국기.svg계약만료
우민걸23DF제주 유나이티드파일:대한민국 국기.svg계약만료
크베시치30MF-파일: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국기.svg계약해지
김주환21DFFC 안양파일:대한민국 국기.svg임대이적
김규표23MF화성 FC파일:대한민국 국기.svg임대이적
김찬21FW부산 아이파크파일:대한민국 국기.svg완전이적
하승운24FW광주 FC파일:대한민국 국기.svg완전이적[트레이드]
이준25GK광주 FC파일:대한민국 국기.svg완전이적[트레이드]
박재우24DF김포 FC파일:대한민국 국기.svg계약해지
최민서20FW김포 FC파일:대한민국 국기.svg계약해지
송승민30FW충남 아산 FC파일:대한민국 국기.svg자유계약
사무엘21DF파주시민축구단파일:앙골라 국기.svg자유계약
전민광29DF고양 KH FC파일:대한민국 국기.svg사회복무
노지훈23GK진주시민축구단파일:대한민국 국기.svg사회복무
양태렬27MF미정파일:대한민국 국기.svg사회복무
이현일28FWFC 남동파일:대한민국 국기.svg사회복무
이현주19MFFC 바이에른 뮌헨 II파일:대한민국 국기.svg임대이적
타쉬28FW-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계약해지
김용학19FW포르티모넨스 SC파일:대한민국 국기.svg임대이적
정성호21FW서울 이랜드 FC파일:대한민국 국기.svg임대이적

[트레이드] A B C


5.1.3. 총평[편집]



시즌 전 각종 매체와 기자들의 예상 순위는 7~9위. 올해도 변수가 많은 시즌이다.

ACL 준우승 이후 통큰 투자를 바랬던 팬들의 기대는 어김없이 빗나갔고 오히려 모기업 포스코는 물적분할을 시도하며 서울로 도주하려다 붙잡혔다 그동안 쌓여있던 부채를 모두 해결해서 숨통이 트인 정도로 적재적소에 이번에도 가성비 위주의 영입을 이어갔다. 그나마 이번에도 김기동 감독의 선수 보는 눈이 통해서 FA컵 우승으로 몸값이 뛴 정재희를 작년 여름에 이미 찍어놔서 쉽게 영입했고, FA컵 우승했음에도 마찬가지로 포스코에 버림 받은 전남에게서 수비수 박찬용을 데려와서 권완규의 공백을 매우게 되었다. 강상우는 전북과의 이적이 불발되고 전반기 까지는 포항에 남을 거라 생각 되었으나, 1라운드 제주전 이후 베이징 궈안과의 이적협상이 마무리 되었다는 보도가 나왔다. 이미 포항 선수단과 인사를 나누고 중국으로 향한 이상 특별한 반전이 없다면 이대로 팀에서 이탈할 가능성이 높다.

2021시즌 골칫덩이 였던 보리스 타쉬와 2프로 부족한 실력을 보여준 마리오 크베시치를 모두 내보내고 최전방에 새로운 외국인 용병 모세스와 2019 시즌 기동타격대의 일원이었던 완델손을 다시 영입했다. 그랜트는 J리그 이적설이 있었으나 잔류했고 팔라시오스는 이번에도 팀 훈련에 늦게 합류하여 작년보다 2배의 벌금을 내게되었지만...사가는 팀이 없어서 울며 겨자먹기로 이번 시즌에도 활용을 해야 한다. 게다가 팔라는 올해가 계약 마지막 년도라서 해지 이전에 이적료를 받고 팔아야 하는데 정황상 쉽지 않아서 여러 모로 골칫덩이...였는데 리그 5라운드를 앞두고 성남 FC 이적설이 떴고 결국 이적료를 받고 판매에 성공했다.

작년 맹활약한 박승욱과 유스 출신인 김륜성이 백업으로 버티고 있고, 군에서 제대한 김용환과 이제는 국대급 자원으로 다시 성장한 심상민의 합류로 측면 수비의 공백은 없을 거라 생각된다.임상협, 이광혁, 권기표의 기존 자원에 정재희, 완델손, 허용준까지 측면은 수비 공격 가리지 않고 자원이 넘쳐난다. 덕분에 박승욱은 새로 영입된 수비수 박찬용, 박건과 함께 센터백을 서거나 뎁스가 다소 얇은 미드필더 양쪽 모두 담당할 가능성이 높다. 키퍼는 광주에서 좋은 활약을 보여준 윤평국을 영입해서 강현무의 군입대 이후를 대비하게 되었다. 미드필더진은 작년과 마찬가지로 신진호, 신광훈, 이수빈이 책임지면서 김기동 감독의 아들인 김준호와 앞서 말한 박승욱이 돌아가면서 신신 듀오의 체력부담을 덜어줄 예정이다.

그리고 리그 개막 후 진행된 이적 시장에서 지난 겨울부터 복귀썰만 돌던 김승대가 완전 이적으로 22시즌 포항 복귀가 결정되었다. 계륵이나 다름 없던 팔라시오스의 이적으로 측면 자원이 부족해지는가 했지만 오히려 김승대의 복귀로 측면 자원 하나는 전북, 울산에 남부럽지 않는 스쿼드를 갖추게 되었다.

요약하면 풍부한 측면공격/수비는 강점이지만, 물음표가 붙는 최전방과 중앙수비가 이번 시즌 성적을 좌우할 것으로 보인다. 외국인 공격수 모세스와 완델손이 제 몫을 해주고, 그랜트를 중심으로 새로 영입된 중앙수비수들과 윤평국이 제대로 팀에 자리를 잡는다면 단숨에 ACL 진출권 까지 노릴 수 있겠지만. 작년 후반기에 문제점으로 지적된 노쇠화된 주전들의 체력 저하를 후반기에 어떻게 극복해낼지가 관건이다.

게다가 권완규가 계약 만료로 팀을 떠난 것 처럼, 강상우, 신진호도 재계약을 안하면 이번 시즌 끝나고 FA로 계약이 만료된다. 무엇보다 가장 큰 불안 요소는 2년전 송민규, 강상우 잔류를 조건으로 팀에 남았던 김기동 감독마저 올해가 계약 만료라는 것. 장기 계약 좀 해라 망할 프런트 사실상 포스코와 프런트는 발목만 잡고 김기동 감독의 전략 전술 하나로 지난 3년간 팀을 꾸려온 상황에서 이번에도 투자 없이 김기동 감독의 희생만 강요한다면 이번 시즌 성적에 따라 전북, 제주[4]와 같은 국내 팀 또는 해외 다른 팀들에 김기동 감독을 빼앗길 확률이 크다.


5.2. 여름 이적시장[편집]


  • 202#.##.## :


5.2.1. 이적설[편집]



5.2.1.1. 영입설[편집]

  • [영입설]
  • [영입완료]


5.2.2. 영입 선수 명단[편집]


파일:포항 스틸러스 로고.svg
포항 스틸러스 2022 시즌 여름 이적시장 영입
[ 펼치기 · 접기 ]

이름나이포지션전 소속팀국적이적방식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5.2.3. 방출 선수 명단[편집]


파일:포항 스틸러스 로고.svg
포항 스틸러스 2022 시즌 여름 이적시장 방출
[ 펼치기 · 접기 ]

이름나이포지션행선지국적이적방식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5.2.4. 총평[편집]




6. 스태프[편집]



6.1. 스태프 명단[편집]


파일:포항 스틸러스 로고.svg
포항 스틸러스 2022 시즌 스태프
[ 펼치기 · 접기 ]

보드진
직책국적한글 성명로마자 성명
대표이사파일:대한민국 국기.svg최인석Choi Inseok
단장파일:대한민국 국기.svg장영복Jang Youngbok
코칭 스태프
직책국적한글 성명로마자 성명
감독파일:대한민국 국기.svg김기동Kim Gidong
수석코치파일:대한민국 국기.svg김대건Kim Daekeon
코치파일:대한민국 국기.svg이광재Lee Gwangjae
코치파일:대한민국 국기.svg이규용Lee Kyuyong
골키퍼코치파일:대한민국 국기.svg박호진Park Hojin
피지컬코치파일:브라질 국기.svg주닝요Brilhante Junior Wanderley
피지컬코치파일:대한민국 국기.svg박효준Park Hyojun
지원 스태프
직책국적한글 성명로마자 성명
AT파일:대한민국 국기.svg이종규Lee Jonggyu
AT파일:대한민국 국기.svg강동훈Kang Donghoon
물리치료사파일:대한민국 국기.svg변종근Byeon Jongkeun
키트매니저파일:대한민국 국기.svg이상열Lee Sangyeol
통역파일:대한민국 국기.svg기지용Ki Jiyong
전력분석관파일:대한민국 국기.svg박철호Park Cheolho
스카우터파일:대한민국 국기.svg황재원Hwang Jaewon
출처: 포항 스틸러스 홈페이지



6.2. 스태프 변동[편집]


  • 2021.01.07 : 프로와 유스 코칭스태프를 새롭게 구성하였다. 포항 스틸러스 유소년팀 감독을 두루 거친 백기태 감독을 유스 디렉터로 승격시켜 유소년 시스템 전반을 컨트롤할 수 있게 하였고, 프로팀 코치였던 황지수 코치를 백기태 감독이 맡고 있던 포항제철고 감독자리에 새롭게 임명하며, U18팀 코치인 이규용 코치를 프로팀 코치로 승격시켰다. 그리고 프로팀 스카우터로 2009년 포항 스틸러스의 주장을 역임했던 황재원을 새롭게 영입했다.#


7. 프리시즌[편집]



7.1. 선수단 근황[편집]




7.2. 동계 전지 훈련[편집]


포항 스틸러스 2022 시즌 동계 전지훈련
차수지역전지훈련 개시전지훈련 종료
1차파일:제주특별자치도 휘장.svg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2022년 1월 3일2022년 2월 일


7.3. 연습경기[편집]



7.3.1. 2022.01.29(토) 11:00 vs 대한민국 U-23 축구 국가대표팀 2:1 승[편집]


파일:포항 스틸러스 (5성) 로고.svg
2022 프리시즌 연습경기 1
2022년 1월 29일 (토요일) 11:00(KST)
효돈구장 (서귀포시)
파일:포항 스틸러스 로고.svg
2 : 1파일: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포항 스틸러스대한민국 U-23 축구 국가대표팀
52' 박승욱(신진호)
59' 이승모(이광준)
파일:득점 아이콘.svg
관련기사


7.3.2. 2022.01.29(토) 15:00 vs 광운대학교 3:0 승[편집]


파일:포항 스틸러스 (5성) 로고.svg
2022 프리시즌 연습경기 2
2022년 1월 29일 (토요일) 15:00(KST)
효돈구장 (서귀포시)
파일:포항 스틸러스 로고.svg
3 : 0파일:광운대학교 엠블럼.svg
포항 스틸러스광운대학교
53' 김진현(이석규)
83', 89' 허용준
파일:득점 아이콘.svg-
관련기사


7.3.3. 2022.02.02(수) 14:30 vs 안산 그리너스 0:0 무[편집]


파일:포항 스틸러스 (5성) 로고.svg
2022 프리시즌 연습경기 3
2022년 1월 29일 (토요일) 15:00(KST)
효돈구장 (서귀포시)
파일:포항 스틸러스 로고.svg
0 : 0
파일:안산 그리너스 FC 로고.svg
포항 스틸러스안산 그리너스
-파일:득점 아이콘.svg-
관련기사


8. 휴식기[편집]



8.1. 선수단 근황[편집]




8.2. 연습경기[편집]




9. 파일:K리그1 로고.svg K리그1[편집]


파일:K리그1 로고(가로형).svg
포항 스틸러스 K리그1 2022 시즌 순위표
(10월 23일 기준)
순위경기수승점득점실점득실차
3 / 1238161210605241+11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포항 스틸러스/2022년/리그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10. 파일:FA컵(대한민국) 심볼.svg FA컵[편집]



10.1. 3라운드 VS 김해시청 (원정, 5:0 승)[편집]


파일:FA컵(대한민국) 로고.svg
2022 하나은행 FA컵 3라운드
2022년 4월 27일 (수요일) 19:00
김해운동장 (김해)
주심 : 설태환
관중 : 437명
파일:김해시청 축구단 엠블럼.svg0 : 5
파일:포항 스틸러스 시안블루 엠블럼.svg
김해시청포항 스틸러스
-파일:득점 아이콘.svg18' 완델손
78', 80' 정재희
84', 90' 이호재
매치 리포트 | 경기 하이라이트
Man of the Match: 미정


10.2. 16강 VS 성남 FC (홈, 2:1 승)[편집]


파일:FA컵(대한민국) 로고.svg
2022 하나원큐 FA컵 16강
2022년 5월 25일 (수요일) 19:00
포항스틸야드 (포항)
주심 : 김영수
관중 : 1,537명
파일:포항 스틸러스 로고.svg
2 : 1
파일:성남 FC 엠블럼.svg
포항 스틸러스성남 FC
67' 허용준 (심상민)
92' 허용준 (신광훈)
파일:득점 아이콘.svg58' 강재우 (이지훈)
매치 리포트 | 경기 하이라이트
Man of the Match: 미정


10.3. 8강 VS 대구 FC (원정 2:3 패)[편집]


파일:FA컵(대한민국) 로고.svg
2022 하나원큐 FA컵 8강
2022년 6월 29일 (수요일) 19:00
DGB대구은행파크 (대구)
주심: 김종혁
관중: 3,762명
파일:대구 FC 엠블럼 골드.svg3 : 2
파일:포항 스틸러스 로고.svg
대구 FC포항 스틸러스
21' 홍정운
30' 제카
44' 고재현
파일:득점 아이콘.svg13', 68' 허용준
매치 리포트 | 경기 하이라이트
Man of the Match: 미정

11. 평가[편집]


지난 시즌 AFC 챔피언스 리그 준우승이라는 영광을 뒤로 하고 이번 시즌도 용병 영입은 망했고 영입생들 모두 의문부호가 붙었기 때문에 시즌 시작 전 대다수의 전망은 상위 스플릿은 힘들고 심하면 강등권까지도 내려갈 수 있다는 평가가 다수였다. 하지만 시즌 내내 들쭉날쭉하긴 했지만 허용준, 임상협, 정재희 들이 적재적소에 제 소임을 해주고 말년에 리그 베스트 11을 수상한 신진호의 미친 활약과 변함없는 김기동의 전술과 능력하나로 시즌 예상을 보기 좋게 뒤집어버리고 3위라는 호성적을 올리며 AFC 챔피언스 리그 티켓을 다시 손에 쥐었다. 겸사로 영일만 동맹 전북이 FA컵 우승을 차지하며 바로 23시즌 ACL은 조별 리그 직행을 할 수 있게 되어 내년 시즌 운영에 한숨을 돌리게 된 것은 덤

강상우가 이탈하는 등 시즌 시작 전부터 또 다시 주력 선수가 유출되고, 외국인 선수단도 그렇게 엄청난 활약을 보여주지는 못했음에도 불구하고 포항은 공수 양면에서 준수한 모습을 보였고, 다득점과 최소실점 모두 리그 3위라는 점이 이를 증명한다. 허용준은 리그에서 두 자릿 수 득점을 찍는 공격수로 발돋움하며 꽃을 피웠고, 신진호는 30대 중반을 바라보는 나이에 커리어 하이를 갱신했다. 여기에 정재희의 기대 이상의 활약, 고영준, 이수빈 등 젊은 선수들의 성장도 긍정적. 그리고 이러한 성과의 중심에 김기동 감독의 지도력이 있었음은 굳이 설명할 필요조차 없다.

특히 22 시즌 K리그는 감독의 역량이 어느 시즌보다도 중요했던 한 해인데, 시즌 전 포항을 누르고 상위 스플릿을 차지할 거라 예상 되었던 서울, 제주, 수원 삼성, 대구, 강원은 모두 포항보다 앞선 전력이었음에도 감독 리스크를 피하지 못하고 포항 보다 순위가 아래가 되었고, 전북 역시 감독의 역량 부족으로 리그 준우승에 그쳐야 했다. 오히려 서울 정도의 스쿼드만 유지했어도 우승을 넘볼 수 있었을 정도로 선수단의 차이를 감독의 역량으로 매꾸면서 시즌 3위를 수성했다. 하지만 리그 라이벌인 울산이 17년만에 리그 우승컵을 손에 드는 걸 구경하면서 리그 최고 감독을 가지고도 9년째 무관인 상황인지라 여전히 지원이 부족한 모기업이 야속할 수 밖에 없는데 창단 50주년을 맞이하는 23시즌 앞두고 포스코 역시 나름 투자를 생각했던 것 같지만 하필 태풍 힌남노로 인해 포항제철소가 창사 이래 최대의 피해를 입으면서 결국 마지막 리그 우승 이후 10년째가 되는 23시즌 역시 모기업의 투자는 불투명한 상황이다.

[*] A B C 프리시즌 기록은 합산하지 않음.[1] 리그 10득점, FA컵 4득점[2] 리그 9도움, FA컵 2도움[비공식] 대회에서 도움 기록을 공식적으로 집계는 하지 않음.[3] 성남 FC로 이적[4] 부천SK 시절 니폼니시 감독 밑에서 뛰었던 지라 김기동 감독에겐 포항에 이은 두번째 고향과도 같은 팀이다. 때문에 SK가 최근 야구팀을 접고 축구팀에 대대적인 투자를 하는 제주와는 심심치 않게 연결이 되고 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4 04:16:52에 나무위키 포항 스틸러스/2022년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