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로 임모빌레

덤프버전 : (♥ 0)


파일:SS 라치오 로고.svg
[[SS 라치오|{{{-1 SS 라치오}}}]] [[SS 라치오/2023-24 시즌|{{{-1 2023-24시즌}}}]] [[틀:SS 라치오|{{{-1 스쿼드}}}]]
3 펠레그리니 · 4 파트리크 · 5 베시노 · 6 카마다 · 7 F. 안데르송 · 8 귀앵두지 · 9 페드로
10 알베르토 · 13 로마뇰리 · 15 카살레 · 16 카메노비치 · 17 임모빌레 (C) · 18 이삭센
19 카스테야노스 · 20 자카니 · 22 곤살레스 · 23 히사이 · 26 바시치 · 29 라차리
32 카탈디 (VC) · 33 세페 · 34 힐라 · 35 만다스 · 65 로벨라 · 77 마루시치 · 94 프로베델
파일:UEFA EURO ITA.png 마우리치오 사리
* 이 표는 간략화한 버전입니다. 스쿼드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여기를 참고해주세요.
* 본래 스쿼드에서 타 팀으로 임대간 선수는 제외되었습니다.


치로 임모빌레의 역임 직책
이탈리아 축구 국가대표팀 주장
레오나르도 보누치
(2022~2023)
치로 임모빌레
(2023~)
현직

SS 라치오 주장
세냐드 룰리치
(2017~2021)
치로 임모빌레
(2021~)
현직

||
[ 펼치기 · 접기 ]

#555,#aaa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91919><height=80><width=25%> [[아나스타시오스 바카세타스|{{{-2 아나스타시오스}}}[br]바카세타스]][br][[그리스 축구 국가대표팀|[[파일:그리스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width=35]]]][br]
[[그리스 축구 국가대표팀|{{{#fff '''그리스'''}}}]]
||<width=25%> [[버질 반 다이크|{{{-2 버질}}}[br]반 다이크]][br][[네덜란드 축구 국가대표팀|[[파일:네덜란드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height=50]]]][br]
[[네덜란드 축구 국가대표팀|{{{#fff '''네덜란드'''}}}]]
||<width=25%> [[마르틴 외데고르|{{{-2 마르틴}}}[br]외데고르]][br][[노르웨이 축구 국가대표팀|[[파일:노르웨이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height=50]]]][br]
[[노르웨이 축구 국가대표팀|{{{#fff '''노르웨이'''}}}]]
||<width=25%> [[시몬 키예르|{{{-2 시몬}}}[br]키예르]][br][[덴마크 축구 국가대표팀|[[파일:덴마크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height=50]]]][br]
[[덴마크 축구 국가대표팀|{{{#fff '''덴마크'''}}}]]
|| || [[일카이 귄도안|{{{-2 일카이}}}[br]귄도안]][br][[독일 축구 국가대표팀|[[파일:독일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height=50]]]][br]
[[독일 축구 국가대표팀|{{{#fff '''독일'''}}}]]
|| [[안토니스 체르노모디스|{{{-2 안토니스}}}[br]체르노모디스]][br][[라트비아 축구 국가대표팀|[[파일:Latvia_national_team_logo.png|height=50]]]][br]
[[라트비아 축구 국가대표팀|{{{#fff '''라트비아'''}}}]]
|| [[달레르 쿠쟈예프|{{{-2 달레르}}}[br]쿠쟈예프]][br][[러시아 축구 국가대표팀|[[파일:러시아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height=50]]]][br]
[[러시아 축구 국가대표팀|{{{#fff '''러시아'''}}}]]
|| [[니콜라에 스탄치우|{{{-2 니콜라에}}}[br]스탄치우]][br][[루마니아 축구 국가대표팀|[[파일:루마니아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height=50]]]][br]
[[루마니아 축구 국가대표팀|{{{#2046a1,#5d84df '''루마니아'''}}}]]
|| || [[로랑 얀스|{{{-2 로랑}}}[br]얀스]][br][[룩셈부르크 축구 국가대표팀|[[파일:Luxembourg FLF.png|height=50]]]][br]
[[룩셈부르크 축구 국가대표팀|{{{#fff '''룩셈부르크'''}}}]]
|| [[피오도르 체르니크|{{{-2 피오도르}}}[br]체르니크]] [br][[리투아니아 축구 국가대표팀|[[파일:리투아니아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height=50]]]][br]
[[리투아니아 축구 국가대표팀|{{{#fff '''리투아니아'''}}}]]
|| [[니콜라스 하슬러|{{{-2 니콜라스}}}[br]하슬러]][br][[리히텐슈타인 축구 국가대표팀|[[파일:리히텐슈타인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height=50]]]][br]
[[리히텐슈타인 축구 국가대표팀|{{{#fff '''리히텐슈타인'''}}}]]
|| [[스테판 요베티치|{{{-2 스테판}}}[br]요베티치]][br][[몬테네그로 축구 국가대표팀|[[파일:몬테네그로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height=50]]]][br]
[[몬테네그로 축구 국가대표팀|{{{#fff '''몬테네그로'''}}}]]
|| || [[아르투르 이오니처|{{{-2 아르투르}}}[br]이오니처]][br][[몰도바 축구 국가대표팀|[[파일:몰도바 축구 국가대표팀 엠블럼.svg|height=50]]]][br]
[[몰도바 축구 국가대표팀|{{{#fff '''몰도바'''}}}]]
|| [[스티브 보그|{{{-2 스티브}}}[br]보그]][br][[몰타 축구 국가대표팀|[[파일:몰타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height=50]]]][br]
[[몰타 축구 국가대표팀|{{{#fff '''몰타'''}}}]]
|| [[케빈 더 브라위너|{{{-2 케빈}}}[br]더 브라위너]][br][[벨기에 축구 국가대표팀|[[파일:벨기에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height=50]]]][br]
[[벨기에 축구 국가대표팀|{{{#fff '''벨기에'''}}}]]
|| [[예브게니 야블론스키|{{{-2 예브게니}}}[br]야블론스키]][br][[벨라루스 축구 국가대표팀|[[파일:벨라루스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height=50]]]][br]
[[벨라루스 축구 국가대표팀|{{{#fff '''벨라루스'''}}}]]
|| || [[에딘 제코|{{{-2 에딘}}}[br]제코]][br][[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축구 국가대표팀|[[파일: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height=50]]]][br]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축구 국가대표팀|{{{#f5d600,#ffe009 '''보스니아'''}}}]]
|| [[에니스 바르디|{{{-2 에니스}}}[br]바르디]][br][[북마케도니아 축구 국가대표팀|[[파일:북마케도니아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height=50]]]][br]
[[북마케도니아 축구 국가대표팀|{{{#fff '''북마케도니아'''}}}]]
|| [[조니 에반스|{{{-2 조니}}}[br]에반스]][br][[북아일랜드 축구 국가대표팀|[[파일:북아일랜드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height=50]]]][br]
[[북아일랜드 축구 국가대표팀|{{{#fff '''북아일랜드'''}}}]]
|| [[키릴 데스포도프|{{{-2 키릴}}}[br]데스포도프]][br][[불가리아 축구 국가대표팀|[[파일:불가리아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height=50]]]][br]
[[불가리아 축구 국가대표팀|{{{#fff '''불가리아'''}}}]]
|| || [[알도 시몬치니|{{{-2 알도}}}[br]시몬치니]][br][[산마리노 축구 국가대표팀|[[파일:San Marino FSGC 2021.png|height=50]]]][br]
[[산마리노 축구 국가대표팀|{{{#fff '''산마리노'''}}}]]
|| [[두샨 타디치|{{{-2 두샨}}}[br]타디치]][br][[세르비아 축구 국가대표팀|[[파일:세르비아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height=50]]]][br]
[[세르비아 축구 국가대표팀|{{{#fff '''세르비아'''}}}]]
|| [[그라니트 자카|{{{-2 그라니트}}}[br]자카]] [br][[스위스 축구 국가대표팀|[[파일:스위스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height=40]]]][br]
[[스위스 축구 국가대표팀|{{{#fff '''스위스'''}}}]]
|| [[빅토르 린델뢰프|{{{-2 빅토르}}}[br]린델뢰프]][br][[스웨덴 축구 국가대표팀|[[파일:스웨덴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height=50]]]][br]
[[스웨덴 축구 국가대표팀|{{{#364a76,#889cc9 '''스웨덴'''}}}]]
|| || [[앤디 로버트슨|{{{-2 앤디}}}[br]로버트슨]][br][[스코틀랜드 축구 국가대표팀|[[파일:스코틀랜드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height=50]]]][br]
[[스코틀랜드 축구 국가대표팀|{{{#fff '''스코틀랜드'''}}}]]
|| [[알바로 모라타|{{{-2 알바로}}}[br]모라타]][br][[스페인 축구 국가대표팀|[[파일:스페인 축구 국가대표팀 엠블럼.svg|height=50]]]][br]
[[스페인 축구 국가대표팀|{{{#ffec4b '''스페인'''}}}]]
|| [[밀란 슈크리니아르|{{{-2 밀란}}}[br]슈크리니아르]][br][[슬로바키아 축구 국가대표팀|[[파일:슬로바키아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height=50]]]][br]
[[슬로바키아 축구 국가대표팀|{{{#fff '''슬로바키아'''}}}]]
|| [[얀 오블락|{{{-2 얀}}}[br]오블락]][br][[슬로베니아 축구 국가대표팀|[[파일:슬로베니아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height=50]]]][br]
[[슬로베니아 축구 국가대표팀|{{{#fff '''슬로베니아'''}}}]]
|| || [[요한 베르그 그뷔드뮌손|{{{-2 요한 베르그}}}[br]그뷔드뮌손]][br][[아이슬란드 축구 국가대표팀|[[파일:4080_iceland_-primary-2020.png|height=50]]]][br]
[[아이슬란드 축구 국가대표팀|{{{#fff '''아이슬란드'''}}}]]
|| [[셰머스 콜먼|{{{-2 셰머스}}}[br]콜먼]][br][[아일랜드 축구 국가대표팀|[[파일:아일랜드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height=50]]]][br]
[[아일랜드 축구 국가대표팀|{{{#fff '''아일랜드'''}}}]]
|| [[바라트닷 하로얀|{{{-2 바라트닷}}}[br]하로얀]][br][[아르메니아 축구 국가대표팀|[[파일:아르메니아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height=50]]]][br]
[[아르메니아 축구 국가대표팀|{{{#fff '''아르메니아'''}}}]]
|| [[에민 마흐무도프|{{{-2 에민}}}[br]마흐무도프]][br][[아제르바이잔 축구 국가대표팀|[[파일:아제르바이잔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height=50]]]][br]
[[아제르바이잔 축구 국가대표팀|{{{#fff '''아제르바이잔'''}}}]]
|| || [[마르크 발레스|{{{-2 마르크}}}[br]발레스]][br][[안도라 축구 국가대표팀|[[파일:안도라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height=50]]]][br]
[[안도라 축구 국가대표팀|{{{#fedf00,#ffe000 '''안도라'''}}}]]
|| [[에트리트 베리샤|{{{-2 에트리트}}}[br]베리샤]][br][[알바니아 축구 국가대표팀|[[파일:알바니아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height=50]]]][br]
[[알바니아 축구 국가대표팀|{{{#fff '''알바니아'''}}}]]
|| [[콘스탄틴 바실리예브|{{{-2 콘스탄틴}}}[br]바실리예브]][br][[에스토니아 축구 국가대표팀|[[파일:에스토니아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height=50]]]][br]
[[에스토니아 축구 국가대표팀|{{{#fff '''에스토니아'''}}}]]
|| [[데이비드 알라바|{{{-2 데이비드}}}[br]알라바]][br][[오스트리아 축구 국가대표팀|[[파일:오스트리아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height=50]]]][br]
[[오스트리아 축구 국가대표팀|{{{#fff '''오스트리아'''}}}]]
|| || [[안드리 야르몰렌코|{{{-2 안드리}}}[br]야르몰렌코]][br][[우크라이나 축구 국가대표팀|[[파일:우크라이나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height=50]]]][br]
[[우크라이나 축구 국가대표팀|{{{#18489d,#6192e7 '''우크라이나'''}}}]]
|| [[아론 램지|{{{-2 아론}}}[br]램지]][br][[웨일스 축구 국가대표팀|[[파일:웨일스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height=50]]]][br]
[[웨일스 축구 국가대표팀|{{{#fff '''웨일스'''}}}]]
|| [[엘리 다사|{{{-2 엘리}}}[br]다사]][br][[이스라엘 축구 국가대표팀|[[파일:이스라엘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height=50]]]][br]
[[이스라엘 축구 국가대표팀|{{{#fff '''이스라엘'''}}}]]
|| [[치로 임모빌레|{{{-2 치로}}}[br]임모빌레]][br][[이탈리아 축구 국가대표팀|[[파일:이탈리아 축구 국가대표팀 엠블럼.svg|height=50]]]][br]
[[이탈리아 축구 국가대표팀|{{{#fff '''이탈리아'''}}}]]
|| || [[해리 케인|{{{-2 해리}}}[br]케인]][br][[잉글랜드 축구 국가대표팀|[[파일:잉글랜드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height=50]]]][br]
[[잉글랜드 축구 국가대표팀|{{{#e31e31,#e11c2e '''잉글랜드'''}}}]]
|| [[구람 카시아|{{{-2 구람}}}[br]카시아]][br][[조지아 축구 국가대표팀|[[파일:조지아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height=50]]]][br]
[[조지아 축구 국가대표팀|{{{#fff '''조지아'''}}}]]
|| [[로이 치폴리나|{{{-2 로이}}}[br]치폴리나]][br][[지브롤터 축구 국가대표팀|[[파일:지브롤터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height=50]]]][br]
[[지브롤터 축구 국가대표팀|{{{#fff '''지브롤터'''}}}]]
|| [[토마시 소우체크|{{{-2 토마시}}}[br]소우체크]][br][[체코 축구 국가대표팀|[[파일:체코 축구 국가대표팀 엠블럼.svg|height=50]]]][br]
[[체코 축구 국가대표팀|{{{#fff '''체코'''}}}]]
|| || [[아슈하트 타기베르겐|{{{-2 아슈하트}}}[br]타기베르겐]][br][[카자흐스탄 축구 국가대표팀|[[파일:카자흐스탄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height=50]]]][br]
[[카자흐스탄 축구 국가대표팀|{{{#214b89,#76a0de '''카자흐스탄'''}}}]]
|| [[아미르 라흐마니|{{{-2 아미르}}}[br]라흐마니]][br][[코소보 축구 국가대표팀|[[파일:코소보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height=50]]]][br]
[[코소보 축구 국가대표팀|{{{#fff '''코소보'''}}}]]
|| [[루카 모드리치|{{{-2 루카}}}[br]모드리치]][br][[크로아티아 축구 국가대표팀|[[파일:크로아티아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height=50]]]][br]
[[크로아티아 축구 국가대표팀|{{{#fff '''크로아티아'''}}}]]
|| [[코스타키스 아르티마타스|{{{-2 코스타키스}}}[br]아르티마타스]][br][[키프로스 축구 국가대표팀|[[파일:Cyprus CFA.png|height=50]]]][br]
[[키프로스 축구 국가대표팀|{{{#fff '''키프로스'''}}}]]
|| || [[하칸 찰하놀루|{{{-2 하칸}}}[br]찰하놀루]][br][[튀르키예 축구 국가대표팀|[[파일:튀르키예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height=50]]]][br]
[[튀르키예 축구 국가대표팀|{{{#fff '''튀르키예'''}}}]]
|| [[할루르 한손|{{{-2 할루르}}}[br]한손]][br][[페로 제도 축구 국가대표팀|[[파일:페로 제도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height=50]]]][br]
[[페로 제도 축구 국가대표팀|{{{#fff '''페로 제도'''}}}]]
|| [[크리스티아누 호날두|{{{-2 크리스티아누}}}[br]호날두]][br][[포르투갈 축구 국가대표팀|[[파일:포르투갈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height=50]]]][br]
[[포르투갈 축구 국가대표팀|{{{#d3c084 '''포르투갈'''}}}]]
|| [[로베르트 레반도프스키|{{{-2 로베르트}}}[br]레반도프스키]][br][[폴란드 축구 국가대표팀|[[파일:폴란드 국장.svg|height=50]]]][br]
[[폴란드 축구 국가대표팀|{{{#fff '''폴란드'''}}}]]
|| || [[킬리안 음바페|{{{-2 킬리안}}}[br]음바페]][br][[프랑스 축구 국가대표팀|[[파일:프랑스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원정).svg|height=50]]]][br]
[[프랑스 축구 국가대표팀|{{{#fff '''프랑스'''}}}]]
|| [[루카시 흐라데츠키|{{{-2 루카시}}}[br]흐라데츠키]][br][[핀란드 축구 국가대표팀|[[파일:핀란드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height=50]]]][br]
[[핀란드 축구 국가대표팀|{{{#fff '''핀란드'''}}}]]
|| [[도미니크 소보슬러이|{{{-2 도미니크}}}[br]소보슬러이]][br][[헝가리 축구 국가대표팀|[[파일:헝가리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height=50]]]][br]
[[헝가리 축구 국가대표팀|{{{#fff '''헝가리'''}}}]]
|| || ||<-4><colbgcolor=#f7f7f7,#191919> [[틀:아시아축구연맹 소속 국가대표팀 주장|[[파일:아시아 축구 연맹 로고.svg|height=20]] 아시아]] | [[틀:아프리카축구연맹 소속 국가대표팀 주장|[[파일:아프리카 축구 연맹 로고.svg|height=20]] 아프리카]][br][[틀:북중미카리브축구연맹 소속 국가대표팀 주장|[[파일:북중미카리브 축구 연맹 로고.svg|height=20]] 북중미카리브]] | [[틀:남미축구연맹 소속 국가대표팀 주장|[[파일:남미 축구 연맹 로고.svg|height=20]] 남미]][br][[틀:유럽축구연맹 소속 국가대표팀 주장|[[파일:유럽 축구 연맹 로고.svg|height=20]] 유럽]] || ||<-4> [[틀:세계 축구 주요 리그 및 대표팀 주장|전 세계 리그 및 대표팀 주장]] ||






치로 임모빌레의 수상 이력

SS 라치오 No. 17
C
치로 임모빌레
Ciro Immobile
출생1990년 2월 20일 (34세)
이탈리아 캄파니아주 나폴리
국적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신체 185cm / 체중 85kg
포지션스트라이커
주발오른발
소속유스소렌토 칼초 1945 (2002~2008)
유벤투스 FC (2008~2009)
선수유벤투스 FC (2009~2012)
AC 시에나 (2010~2011 / 임대)
FC 그로세토 (2011 / 임대)
페스카라 칼초 (2011~2012 / 임대)
제노아 CFC (2012~2013)
유벤투스 FC (2013)
토리노 FC (2013~2014)
보루시아 도르트문트 (2014~2016)
세비야 FC (2015~2016 / 임대)
토리노 FC (2016 / 임대)
SS 라치오 (2016~ )
국가대표파일:이탈리아 축구 국가대표팀 엠블럼.svg 57경기 17골[1] (이탈리아 / 2014~ )
SNS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정보 더 보기
[ 펼치기 · 접기 ]

통산 득점 312골
후원사 아디다스


1. 개요
3. 국가대표 경력
4. 플레이 스타일
5. 기록
5.1. 대회 기록
5.2. 개인 수상
5.3. 수훈
6. 여담
7. 외모
9. 같이보기



1. 개요[편집]


이탈리아 국적의 SS 라치오 소속 축구선수. 포지션은 스트라이커. 현재 소속팀과 국가대표팀의 주장을 맡고 있다.

라치오 역대 최다 득점자로 커리어 동안 총 네번의 세리에 A 득점왕을 차지했고, 2019-20 시즌에는 세리에 A 한 시즌 최다 골[2][3]을 기록하며 유러피언 골든슈를 수상하였다.[4]


2. 클럽 경력[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치로 임모빌레/클럽 경력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3. 국가대표 경력[편집]


2009년 U-19 유럽 챔피언십 예선 멤버로 2008년 10월에 청소년 대표로 데뷔하였다. 그리고 2013년 U-21 유럽 챔피언십 멤버로 발탁되었다. 이탈리아 미래를 책임질 유망주로서 각광을 받고 있다. 2014년 3월 5일 스페인전 친선선에서 69분에 교체투입되며 A 대표로 데뷔하였다.


3.1. 2014 FIFA 월드컵 브라질[편집]


2014 FIFA 월드컵 브라질 조별예선에서 마리오 발로텔리의 대안으로 주목받았으나 오프사이드를 전혀 피하지 못하는 모습 등 전반적으로 최악의 퍼포먼스로 인해 존재감 하면 최고인 아시아의 선수에까지 비견되는 굴욕적인 모습으로 이탈리아 광탈에 일조하였다.


3.2. UEFA 유로 2016[편집]


UEFA 유로 2016 벨기에와의 경기에서 후반막판에 들어와 빠른 역습을 보여주었다.

현재 이탈리아에 공격수가 많이 부족해진탓에 예상외로 유로 2016에서도 발탁되었다. 6월14일 화요일 벨기에와의 경기에서 팀이 이기고 있을때 후반 막판에 교체 투입 되었다. 교체투입된 임모빌레는 우리가 아는 임모빌레가 아닌 매우 위협적인 모습을 보여 주었다. 매우 빠른 역습 속도로 벨기에의 포터백 수비를 농락하고 직접 슈팅을 가져가고 2번째 그라치아노 펠레의 골 장면에서도 역습이 임모빌레 부터 빠른 전개로 골을 만들어내었다. 그런데 사실 임모빌레는 플레이 스타일이 역습에 최적화된 선수이다. 토리노 1기 시절 득점왕 했을때도 토리노 선수진 전원이 잠그다가 알레시오 체르치나 임모빌레에게 몰아주는 철퇴 역습 축구를 했다. 도르트문트 먹튀 시절에도 얼마 안 되는 득점 중 대부분이 이런 한방 역습에 의해 넣은 것들이다. 이번 유로 2016 이탈리아 전술은 유벤투스식 3백에 의거하는 전형적인 3-5-2~5-2-3 시스템이고 선수간의 간격을 최대한 좁혀 조직적으로 움직인다. 적팀이 공격할때 순식간에 공간을 3~4명이 촘촘하게 압박하여 순식간에 탈취한 뒤 역습을 하기 때문에 이러한 상황에서는 임모빌레가 꽤나 효과적으로 쓰일 수 있다.


3.3. 2018 FIFA 월드컵 러시아[편집]



3.3.1. 지역예선[편집]


2018 러시아 월드컵 예선기간 동안 10경기동안 5골을 기록하며 스탯상으로는 준수해보였으나 정작 중요한 경기에서는 침묵했고 이후 스웨덴과의 플레이오프에서마저 침묵하며, 60년 만의 이탈리아의 월드컵 본선진출 실패에 일조하였다.


3.4. UEFA 유로 2020[편집]


2021년 UEFA 유로 2020 본선 명단에 포함됐다. 개막전 튀르키예전에서 1-0 앞선 상황에서 세컨볼을 밀어넣으며 추가골을 넣었고, 팀도 3-0 완승을 따냈다.

이어 스위스전에서 쐐기골을 넣으며 이탈리아는 크리스티안 비에리 이후 19년만에 메이저 대회 2경기 연속골을 터트리는 선수를 배출했다.

하지만 그 이후 아임모바일로 돌아가면서 현재 의문부호인 경기력을 보여주고 있다.

잉글랜드와의 결승전에선 유효 슈팅 하나를 기록했지만 그마저도 존 스톤스에게 막히고 말았다. 그 외에는 대부분의 시간을 주로 최전방에 고립된 채로 있다가 도메니코 베라르디와 교체되었다. 이 부분이 안드레아 벨로티와 임모빌레가 대회 동안 얼마나 부진했는지 알 수 있는 대목이다. 임모빌레가 부진해서 교체로 들어간 것이 스트라이커인 벨로티가 아니라 윙어인 베라르디였던 것은, 로베르토 만치니 감독이 팀의 스트라이커 둘 모두를 신뢰하지 않았다는 말이다.[5]

그래도 다행히 팀은 우승했다. 우승 세리머니로 단체 슬라이딩을 하다가 바지가 벗겨졌다(…).

전체적인 평가로는 이탈리아의 유일한 흠이었다는 평.


3.5. 2022 FIFA 월드컵 카타르[편집]



3.5.1. 지역예선[편집]


북아일랜드와의 1차전 홈경기와 불가리아와의 3차전 원정 경기에서 득점을 하는 등 초반 3경기에서 2골을 기록하는 좋은 활약을 해줬다.

유로 이후로 진행된 불가리아전에서는 페데리코 키에사의 선제골을 돕는 어시스트를 기록하면서 유로에서의 부진을 만회하나 했으나 스위스전에서는 침묵한 끝에 이른 시간에 니콜로 자니올로와 교체되었다.

이후 부상으로 남은 3경기를 못 나왔고 팀은 스위스와 북아일랜드를 상대로 2연속 무승부를 기록하면서 예상을 깨고 플레이오프로 떨어졌다.

북마케도니아와의 플레이오프 4강전에서 복귀했으나 도메니코 베라르디, 로렌초 인시녜와 함께 나란히 침묵했고 결국 팀은 알렉산다르 트라이코프스키의 결승골로 패배해 2연속으로 월드컵에 못 나가는 대참사를 겪게 되었다.

부상과 국가대표에서의 부진으로 1년 이상을 득점을 하지못하고있다. 함께 뛰었던 공격수들인 로렌초 인시녜, 도메니코 베라르디도 마찬가지로 페데리코 키에사가 시즌아웃으로 빠진 이탈리아에서 공격진의 부진은 결국 이탈리아의 월드컵 탈락으로 이어졌다. 특히 임모빌레의 국대 커리어는 돌아보자면 국제대회에서 제대로된 주전 공격수로서의 활약을 한 적이 없다고 봐야할 정도. 이 때문에 국가대표 은퇴설까지 나오는 중이다.

똑같이 원흉으로 뽑혔던 조르지뉴는 이후 국가대표 명단에 들었지만 임모빌레는 명단에 들지 못했다. 하지만, 임모빌레는 만시니 감독이 "국가대표에서 은퇴하지 말라" 는 이야기를 전했다는 소식도 있어서 다시 아주리 군단에 선발될 가능성도 있다.

이후 네이션스리그 9월 A매치에 다시 소집되었다. 만치니 감독은 월드컵 탈락 이후 자코모 라스파도리, 잔루카 스카마카, 윌프리드 뇬토, 마테오 레테기 같은 젊은선수 위주로 기용하고 있지만, 소속팀 활약은 임모빌레가 여전히 제일 좋은 편이라 추후에 다시 기회를 받을 수도 있다.


4. 플레이 스타일[편집]



좋은 피지컬과 준수한 주력을 갖춘 올드 포쳐형 공격수. 주력은 물론, 오프 더 볼 상황에서의 위치 선정를 통한 라인 브레이킹에 능숙한 모습을 보인다. 좋은 피지컬과 나쁘지 않은 발기술을 갖춘 덕분에 최전방에서의 볼 간수와 양발을 이용한 마무리 능력 또한 임모빌레의 장점 중 하나다. 슈팅 스킬이 워낙 좋다 보니, 페널티킥 성공률도 제법 준수한 편.[6]

다만, 대부분의 침투형 포워드들이 그렇듯이 미드필더의 지원이 없으면 잠수를 타는 경향이 있다. 즉 홀로 전방에서 득점 찬스나 번뜩이는 상황을 연출하기 힘들다. 또한 선수 자체가 전방 압박에는 성실히 가담하지만, 수비 지역까지 내려오는 스타일이 아니기 때문에 이러한 특성은 더욱 도드라진다.

정말 특이한 점으로, 세리에와 타 리그, 국제대회에서 보여주는 퍼포먼스의 간극이 매우 큰 선수이다. 쉽게 말하자면 국내용 선수.[7] 임모빌레의 성적을 보면 유벤투스에서의 데뷔 시즌과 초창기 세리에 B를 전전하던 임대 시기를 제외하면 세리에 A에서만 득점왕을 4번이나 했다. 타 리그에서의 득점을 다 더해도 49경기 14골(컵 대회, 유럽 대항전 포함)에 불과하며 국제대회에서도 준수했던 적이 없는데, 세리에에서는 평균 득점이 20골을 훌쩍 넘는다. 심지어 2017-18 시즌에는 라치오 소속으로 리그 득점왕, 유로파리그 득점왕을 동시에 석권했고 2019-20 시즌에는 리그 최다골 기록을 세우며 로베르트 레반도프스키를 제치고 유러피언 골든슈까지 수상했을 정도니,[8] 그야말로 자국 리그에 최적화된 공격수인 셈.[9]

이러한 성향은 단순 내수용이라고 퉁치고 넘기기도 어려운 게, 라치오에서의 모습을 보면 임모빌레는 본인한테 안 맞춰준다고 바로 버로우를 타는 유형은 아니다. 오히려 팀이 꼬라박건 말건 리그에서 두 자릿수 득점은 꾸준히 해주는 편이며, 이제는 팀이 흔들려도 꼬박꼬박 20골씩은 넣어준다. 국대에서의 잔혹사도 라치오 소속으로 유로파 득점왕을 차지했단 걸 고려하면 완전히 세리에 전용이라서 그렇다고 보기도 애매하다.

하지만 임모빌레의 케이스가 특이한 건, 심심하면 득점왕 경쟁을 하는 수준에서 그냥 경기장에 있는지조차 모을 정도의 투명인간으로 떨어질 정도로 퍼포먼스가 극단적으로 오락가락하는 선수는 임모빌레 외에는 거의 없다고 봐도 무방하기 때문이다. 아무리 그래도 리그 득점왕을 4번이나 했으면 기본 클래스는 있다는 것이고, 커리어하이 땐 무려 유러피안 골든슈도 땄고 라치오에선 강팀 상대로 버로우를 심하게 타지도 않는데, 국가대표팀이나 타 리그에서는 강약을 무시하고 그냥 버로우를 탄다는 점에서 더욱 특이한 케이스.

5. 기록[편집]



5.1. 대회 기록[편집]







5.2. 개인 수상[편집]




5.3. 수훈[편집]


  • 이탈리아 공화국 공로장 5등급: 2021


6. 여담[편집]


  • 팀에 대한 불만이 있으면 그냥 넘어가지 않고 인터뷰로 씹어대는 선수 중 하나다. 유벤투스의 유스 출신인데도 불구하고 친정팀을 매우 싫어한다는 내용의 인터뷰를 해왔다. 나잉골란과 더불어 안티 유벤투스 FC의 대표주자인 셈. 임대 이후 포텐이 폭발하자 리턴 이야기가 나왔는데 가고 싶다는 마음을 조금도 표출하지 않으며, 다른 팀에서 뛰겠다, 유벤투스를 가느니 나폴리를 간다는 둥 리턴을 강하게 부정하였다. 또한 친정팀과의 대결에서 비신사적인 행위를 하고도 사과하지 않는 모습까지 보여주었다.

  • 이탈리아의 미남 축구선수 중 한명으로 꼽힌다. 사실 잘생긴 외모때문인지 사람들이 간과하는 사실이 하나 있는데 얼굴이 굉장히 크다. 골을 넣고 세레머니 할때 다른 선수들이 축하하러 와줄때를 보면 다른 선수들보다 큰게 확실히 티가난다.

  • 이름 철자 하나 틀리지 않고 Immobile이 영어로 '움직이지 않는(못하는)'이란 뜻을 가지고 있어서, 축구팬들에게 별명 그 자체로 사용된다. 이탈리아어로 Immobile는 '부동산'이란 뜻도 가지고 있다. 잘 할 때는 "어떻게 이름이 Immobile인데 득점 선두냐?" 못 할 때는 "역시 이름값 한다" 등으로. 한국에서는 l’m mobile = 아임모바일이나 못할때는 임모벌레(...)로 불리기도 한다.

  • 콘솔 게임 마니아이다. FIFA 17을 즐기다가 아내에게 바가지를 긁힌 적이 있다고 한다.

파일:2010s SerieA Top5 Scorers.jpg
  • 2010년대 세리에 A 득점 순위 4위를 차지했다.

7. 외모[편집]


파일:immobile3.jpg
파일:ciro-immobile-ciro.gif

전통적인 이탈리아 마초 훈남 스타일. 원래는 상당한 대두지만 잘생긴 외모가 큰 얼굴을 커버해준다.

8. WAGs[편집]


파일:임모빌레 아내 1.jpg파일:임모빌레 아내 2.jpg
파일:임모빌레 아내 3.jpg파일:임모빌레 아내 4.jpg
파일:임모빌레 아내 5.jpg파일:임모빌레 아내 6.jpg
파일:임모빌레 아내 7.jpg

치로 임모빌레는 1990년생 모델 제시카 멜레나와 2012년에 만나기 시작해 2014년에 결혼에 골인했다. 제시카 멜레나는 범죄심리학과 포렌식 수사를 전공하고 범죄심리학자가 되려고 했었다고 한다. 2022년 6월 기준 멜레나가 4번째 아이를 임신한 지 20주차라는 사실이 인스타그램을 통해 밝혀졌다. 그리고 10월 20일 넷째로 아들을 낳아 2남 2녀의 아버지가 되었다.


9. 같이보기[편집]




[ 펼치기 · 접기 ]

SS 라치오 2023-24 시즌 스쿼드
번호포지션국적한글 성명로마자 성명비고
3DF파일:이탈리아 국기.svg루카 펠레그리니Luca Pellegrini[A]
4DF파일:스페인 국기.svg파트리시오 가바론Patricio Gabarrón
5MF파일:우루과이 국기.svg마티아스 베시노Matías Vecino
6MF파일:일본 국기.svg카마다 다이치Daichi Kamada
7FW파일:브라질 국기.svg펠리피 안데르송Felipe Anderson
8MF파일:프랑스 국기.svg마테오 귀앵두지Mattéo Guendouzi[B]
9FW파일:스페인 국기.svg페드로 로드리게스Pedro Rodríguez
10MF파일:스페인 국기.svg루이스 알베르토Luis Alberto
13DF파일:이탈리아 국기.svg알레시오 로마뇰리Alessio Romagnoli
15DF파일:이탈리아 국기.svg니콜로 카살레Nicolò Casale
16DF파일:세르비아 국기.svg디미트리예 카메노비치Dimitrije Kamenović
17FW파일:이탈리아 국기.svg치로 임모빌레Ciro Immobile주장
18FW파일:덴마크 국기.svg구스타프 이삭센Gustav Isaksen
19FW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발렌틴 카스테야노스Valentín Castellanos
20MF파일:이탈리아 국기.svg마티아 자카니Mattia Zaccagni
22FW파일:파라과이 국기.svg디에고 곤살레스Diego González
23DF파일:알바니아 국기.svg엘세이드 히사이lseid Hysaj
26MF파일:크로아티아 국기.svg토마 바시치Toma Bašić
29DF파일:이탈리아 국기.svg마누엘 라차리Manuel Lazzari
32MF파일:이탈리아 국기.svg다닐로 카탈디Danilo Cataldi
33GK파일:이탈리아 국기.svg루이지 세페Luigi Sepe[C]
34DF파일:스페인 국기.svg마리오 힐라Mario Gila
35GK파일:그리스 국기.svg크리스토스 만다스Christos Mandas
65MF파일:이탈리아 국기.svg니콜로 로벨라Nicolò Rovella[A]
70FW파일:포르투갈 국기.svg사나 페르난데스Saná Fernandes
77DF파일:몬테네그로 국기.svg아담 마루시치Adam Marušić
87FW파일:이탈리아 국기.svg크리스티아노 롬바르디Cristiano Lombardi
94GK파일:이탈리아 국기.svg이반 프로베델Ivan Provedel
-MF파일:이탈리아 국기.svg앙드레 안데르송André Anderson
구단 정보
회장: 클라우디오 로티토 / 감독: 마우리치오 사리 / 홈 구장: 스타디오 올림피코
출처: 트랜스퍼마크트, 마지막 수정 일자: 2023년 10월 30일



||
[ 펼치기 · 접기 ]

포지션등번호한글 성명로마자 성명나이출전득점소속팀
GK잔루이지 돈나룸마Gianluigi Donnarumma25세380파일:파리 생제르맹 FC 로고.svg 파리 생제르맹 FC
살바토레 시리구Salvatore Sirigu37세280파일:GenoaCFC.png 제노아 CFC
알렉스 메레트Alex Meret27세20파일:SSC 나폴리 로고.svg SSC 나폴리
알레시오 크라뇨Alessio Cragno29세20파일:칼리아리 칼초 로고.svg 칼리아리 칼초
DF레오나르도 보누치
C
Leonardo Bonucci37세1128파일:유벤투스 FC 로고.svg 유벤투스 FC
에메르송 팔미에리Emerson Palmieri29세230파일:올랭피크 리옹 로고.svg 올랭피크 리옹
프란체스코 아체르비Francesco Acerbi36세201파일:SSLazio.png SS 라치오
조반니 디로렌초Giovanni Di Lorenzo30세171파일:SSC 나폴리 로고.svg SSC 나폴리
크리스티아노 비라기Cristiano Biraghi31세111파일:Fiorentina.png ACF 피오렌티나
알레산드로 바스토니Alessandro Bastoni25세90파일:FC 인테르나치오날레 밀라노 로고.svg FC 인테르나치오날레 밀라노
잔루카 만치니Gianluca Mancini28세60파일:AS 로마 로고.svg AS 로마
다비데 칼라브리아Davide Calabria27세40파일:AC 밀란 로고.svg AC 밀란
잔 마르코 페라리Gian Marco Ferrari32세11파일:US 사수올로 칼초 로고.svg US 사수올로 칼초
MF조르지뉴Jorginho32세405파일:첼시 FC 로고.svg 첼시 FC
니콜로 바렐라Nicolò Barella27세337파일:FC 인테르나치오날레 밀라노 로고.svg FC 인테르나치오날레 밀라노
브라얀 크리스탄테Bryan Cristante29세201파일:AS 로마 로고.svg AS 로마
마누엘 로카텔리Manuel Locatelli26세183파일:유벤투스 FC 로고.svg 유벤투스 FC
마테오 페시나Matteo Pessina27세114파일:AtalantaBC.png 아탈란타 BC
산드로 토날리Sandro Tonali24세40파일:AC 밀란 로고.svg AC 밀란
다닐로 카탈디Danilo Cataldi29세00파일:SSLazio.png SS 라치오
톰마소 포베가Tommaso Pobega24세00파일:TorinoFC.png 토리노 FC
FW로렌초 인시녜Lorenzo Insigne33세5110파일:SSC 나폴리 로고.svg SSC 나폴리
안드레아 벨로티Andrea Belotti30세3912파일:TorinoFC.png 토리노 FC
페데리코 베르나르데스키Federico Bernardeschi30세376파일:유벤투스 FC 로고.svg 유벤투스 FC
페데리코 키에사Federico Chiesa26세364파일:유벤투스 FC 로고.svg 유벤투스 FC
도메니코 베라르디Domenico Berardi29세216파일:US 사수올로 칼초 로고.svg US 사수올로 칼초
자코모 라스파도리Giacomo Raspadori24세61파일:US 사수올로 칼초 로고.svg US 사수올로 칼초
잔루카 스카마카Gianluca Scamacca25세10파일:US 사수올로 칼초 로고.svg US 사수올로 칼초
대표팀 정보
출처: 영문 위키피디아 / 감독: 로베르토 만치니 / 기준 일자: 2021년 11월 소집




[1] 2023년 9월 10일 기준[2] 36골[3] 곤살로 이과인과 타이 기록.[4] 세리에 A 소속 및 이탈리아 국적 선수가 유러피언 골든슈를 수상한건 2006-07 시즌 프란체스코 토티 이후 13년만이다.[5] 벨로티는 이후에 투입되긴 했지만 그 전까지 이탈리아는 스트라이커 없이 20여 분을 163cm의 단신 윙어 로렌초 인시녜를 최전방에 위치시켰다.[6] 2022년 3월 기준 80회 시도 65번 성공(성공률 81%).[7] 국내용이라는 표현이 붙었지만 그래도 임모빌레에겐 그 국내가 다름아닌 Serie A이다. 도를 넘는 폄하를 받을 이유는 없는 공격수.[8] 해당 시즌에 소속팀 FC 바이에른 뮌헨에서 트레블을 달성하였고, 선수 개인은 21세기 최초의 득점왕 트레블을 차지하였다. 코로나 19로 인한 시즌 파행으로 발롱도르 시상식이 취소되지만 않았더라면 이견의 여지 없이 발롱도르를 수상할만한 활약상이었다. 여담으로 임모빌레에게 골든슈를 내주지 않았더라면 레반도프스키는 리오넬 메시에 이어 역대 두 번째로 골든슈 3연패도 가능했을 것이다.[9] 앞서 서술한 도르트문트 시절에 대한 인터뷰를 한 내용을 보면 타국 문화와 언어 적응, 부족한 워크에씩 등의 요인도 경기력에 영향을 주었다고 분석할 수 있다. 다만 이탈리아 선수들과 함께 뛰는 국제대회에서도 부족한 모습을 보여줬다는걸 생각하면 그것이 전부는 아니다.[10] 가제타 스포츠 어워드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9 08:08:26에 나무위키 치로 임모빌레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