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구(울산광역시)/정치

덤프버전 : (♥ 0)

||


1. 선거구 정보
2. 개요
3. 역대 선거 결과
3.1. 지방선거
3.1.1. 제2회 전국동시지방선거[1]
3.1.5.1. 중구청장
3.2. 대선
3.2.1. 제15대 대통령 선거[2]
3.3. 총선


1. 선거구 정보[편집]


파일:중구(울산광역시) CI.svg 울산광역시 중구 국회의원/시의원 선거구
구분선거구명지역
국회의원중구중구 전역
시의원중구 1학성동, 복산1동, 복산2동, 성안동, 중앙동
중구 2병영1동, 병영2동
중구 3우정동, 태화동, 다운동
중구 4반구1동, 반구2동, 약사동


2. 개요[편집]


울산의 역사와 함께 해온 중구는 오랫동안 보수세력이 독점했던 지역 중 하나였다. 김영삼 전 대통령이 부산경남 일대에 강한 영향력을 행사하던 1980년대에도 이 지역은 전두환-노태우민주정의당 지지세가 매우 막강하여 1987년 13대 대선1988년 13대 총선에서 모두 민정당이 승리했다. 이를 보면 서부경남에 준하는 보수 강세지역이었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두 정당의 치열한 경쟁도 1990년 3당 합당이 이루어지면서 사그라들었고 이후 중구는 민주자유당-신한국당-한나라당-새누리당으로 이어져 내려오는 보수진영의 텃밭이 되었다.

이후 모든 선거에서 보수정당이 승리하면서 중구는 울산의 보수정당-진보정당 구도의 균형추를 맞추는 역할을 했는데, 2012년 통합진보당 부정경선 사건2013년 통합진보당 내란선동 사건이 터지면서 보수정당으로 지지축이 기울게 되었다. 이후 2014년 6혹 지선 시장 선거에서 새누리당 김기현 후보가 득표율 67%로 전체의 2/3를 득표할 정도였고 구청장쪽에선 진보정당이 후보조차 내지 못하고 새누리 : 새정치 구도로 선거가 치러졌다.

그러나 오랫동안 이어진 보수 강세 성향도 박근혜 정부 시절부터 낮아지기 시작했다. 2016년 제20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새누리당 정갑윤 후보가 46%의 득표율로 5선에 성공했지만, 2위~4위의 노동당 이향희, 더불어민주당 이철수(1946), 국민의당 서인채 후보의 득표율 총합이 과반을 넘었다. 비례대표 선거에서도 새누리당이 득표율 38%에 그치면서 중구에서도 보수 정당 지지세가 이전같지 않음이 확인되었다. 이 와중에 박근혜-최순실 게이트가 터지면서 정치 지형이 급변하게 된다.

탄핵 직후에 열린 2017년 제19대 대통령 선거에서는 더불어민주당 문재인 후보가 자유한국당 홍준표 후보를 5.78%p 차로 이기면서 처음으로 민주당계 정당의 후보가 울산 중구에서 이겼다. 동별로 살펴봐도 문재인 후보가 7개동에서 이기면서, 6개동에서 이긴 홍준표 후보를 제쳤다. 중앙동, 학성동과 같은 구도심 일부 지역은 홍준표 후보의 득표율이 40%를 넘겼으나 반구 1동복산1동처럼 당시 구도심이었음에도 문재인 후보가 이긴 지역도 있었다. 한편, 혁신도시 버프를 받은 약사동에서는 문재인 후보가 전국 평균을 뛰어넘는 43.4%를 득표했다. 이러한 기조는 이듬해 열린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도 이어져 사상 최초로 민주당이 시장과 구청장 선거를 모두 휩쓸었다. 시장 선거에서는 민주당 송철호 후보가 득표율 51.65%로 현직 시장이었던 한국당 김기현 후보를 8.57%p 격차로 이겼고, 구청장 선거에서는 민주당 박태완 후보가 51.9%를 얻어 역시 재선 구청장이었던 박성민 후보를 3.81%p 격차로 신승했다.

그러나 문재인 정부에 대한 평가 역시 시간이 지나며 낮아지고 특히 7회 지선 당시 송철호를 향한 부정선거 의혹이 터지면서 울산 민심은 갑자기 악화되었다. 이러한 영향으로 2020년 열린 제21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보수 통합 정당인 미래통합당이 새누리당 시절 지지율을 회복하였고 2년 전 쓰디 쓴 패배를 맛보았던 구청장 출신 박성민 후보가 민주당 임동호 후보를 무려 19.72% 격차로 크게 누르고 국회의원에 당선되었다. 참고로 이 두 사람은 2011 재보선, 2014 지선 구청장 선거에서 연속으로 맞붙었던 사이인데 세 번째 매치에서는 둘 모두 총선으로 자리를 옮겨 맞붙었다.

결국 2022년 제20대 대통령 선거에서도 그대로 이어지게 되어 국민의힘 윤석열 후보가 57.37%를 얻어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후보를 19.26%p 격차로 압승하여 정권교체에 일조하게 되었다. 거기다 윤석열 후보는 중구 전 행정동에서도 싹쓸이하였고, 가장 보수적인 동네인 중앙동에서는 68.13%를 득표하여 트리플 스코어 격차로 대압승을 거뒀다. 다만, 이재명 후보도 38.11%를 득표하여 3당 합당 이후 민주당계 정당 후보 중 최고 득표율을 얻었다. 놀라운 건, 옆 동네인 남구보다 더 높게 나왔다는 것이다.


3. 역대 선거 결과[편집]


파일:중구(울산광역시) CI.svg 중구 국회의원 선거결과
경상남도 울산시
중구
13대
파일:민주정의당 글자.svg

김태호재선
14대
ta-hash-start=w-cbd765d222226f30835a00e331feb2de[[파일:통일국민당 글자.svg
차화준초선
15대
ta-hash-start=w-7e759acddd50cda00648a26476897b21[[파일:신한국당 흰색 로고타입.svg
김태호3선
울산광역시[3]
중구
16대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1997~2004).svg

김태호4선[4]
2002정갑윤초선
17대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svg

재선
18대3선
19대
ta-hash-start=w-69f196a57f4b2b9d8b32e734f94c041c[[파일:새누리당 흰색 로고타입.svg
4선
20대5선
21대
ta-hash-start=w-1fd7e7a5456fbde5648bf86e22857b41[[파일:미래통합당 흰색 로고타입.svg
박성민초선
22대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재선


파일:중구(울산광역시) CI.svg 역대 중구청장 선거 결과
19982002200620102011 재보궐
한나라당한나라당무소속한나라당
전나명조용수[5]박성민
201420182022
새누리당더불어민주당국민의힘
박성민박태완김영길
주요 후보 득표율



3.1. 지방선거[편집]



3.1.1. 제2회 전국동시지방선거[6][편집]



3.1.1.1. 울산광역시장[편집]

중구
울산 중구 일원
정당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1997~2004).svg


ta-hash-start=w-530ac99d68d3b582bb8e2b99519c73be[[파일:자유민주연합 흰색 로고타입.svg

ta-hash-start=w-1cea227cb2ca29383f916aef863a2dd8[[파일:국민신당 흰색 로고타입.svg

무소속

후보심완구차화준강정호송철호
득표수40,3845,8106,94431,069
득표율47.95%6.89%8.24%36.89%
순위1위4위3위2위
선거인 수156,208
투표 수85,158
무효표 수951
투표율54.50%

3.1.1.2. 중구청장[편집]

{+1 [[파일:중구(울산광역시) CI_White.svg}}} 중구청장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전나명(全那明)37,9281위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1997~2004).svg

45.52%당선
3정갑윤(鄭甲潤)30,9002위

ta-hash-start=w-6af651ab06f704369ac1222e37659810[[파일:자유민주연합 흰색 로고타입.svg
37.08%낙선
4이철수(李鐵樹)14,4833위

무소속

17.38%낙선
선거인 수156,208투표율
54.51%
투표 수85,155
무효표 수1,844

3.1.2. 제3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3.1.2.1. 울산광역시장[편집]

중구
울산 중구 일원
정당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1997~2004).svg


ta-hash-start=w-af93c9db0e2bfa76554dfbdde8426e81[[파일:민주노동당 흰색 로고타입.svg
후보박맹우송철호
득표수45,41032,569
득표율56.69%40.66%
순위1위2위
선거인 수162,972
투표 수81,207
무효표 수1,115
투표율49.75%

3.1.2.2. 중구청장[편집]

{+1 [[파일:중구(울산광역시) CI_White.svg}}} 중구청장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조용수(趙鏞洙)47,4571위
59.83%당선
3전나명(全那明)31,8512위
40.16%낙선
선거인 수162,972투표율
49.76%
투표 수81,206
무효표 수1,898

3.1.3.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3.1.3.1. 울산광역시장[편집]

중구
울산 중구 일원
정당
후보심규명박맹우노옥희
득표수9,02359,49919,390
득표율10.26%67.68%22.05%
순위3위1위2위
선거인 수175,337
투표 수88,549
무효표 수637
투표율50.53%

3.1.3.2. 중구청장[편집]

{+1 [[파일:중구(울산광역시) CI_White.svg}}} 중구청장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2조용수(趙鏞洙)65,4921위
75.28%당선
6이철수(李鐵樹)21,5002위
24.71%낙선
선거인 수175,337투표율
50.52%
투표 수88,582
무효표 수1,590

3.1.4.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3.1.4.1. 울산광역시장[편집]

중구
울산 중구 일원
정당
후보박맹우김창현노옥희
득표수63,91124,4418,265
득표율66.14%25.29%8.55%
순위1위2위3위
선거인 수178,158
투표 수98,144
무효표 수1,527
투표율55.10%

3.1.4.2. 중구청장[편집]

{+1 [[파일:중구(울산광역시) CI_White.svg}}} 중구청장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박성민(朴聖敏)34,5342위
35.87%낙선
2임동호(林東昊)19,5973위
20.35%낙선
7이철수(李鐵樹)4,9544위
5.14%낙선
8조용수(趙鏞洙)37,1861위
38.62%당선
선거인 수178,158투표율
55.09%
투표 수98,146
무효표 수1,875

3.1.5. 2011년 상반기 재보궐선거[편집]



3.1.5.1. 중구청장[편집]

{+1 [[파일:중구(울산광역시) CI_White.svg}}} 중구청장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박성민(朴聖敏)29,0601위
[include(틀:한나라당)]51.19%당선
2임동호(林東昊)27,7052위
[include(틀:민주당(2008년))]48.80%낙선
선거인 수181,700투표율
31.60%
투표 수57,410
무효표 수645

3.1.6.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3.1.6.1. 울산광역시장[편집]

중구
울산 중구 일원
정당
후보김기현조승수이갑용
득표수66,12924,9136,912
득표율67.51%25.43%7.05%
순위1위2위3위
선거인 수189,218
투표 수106,699
무효표 수8,745
투표율56.38%

3.1.6.2. 중구청장[편집]

{+1 [[파일:중구(울산광역시) CI_White.svg}}} 중구청장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박성민(朴聖敏)65,6691위
62.70%당선
2임동호(林東昊)39,0552위
37.29%낙선
선거인 수189,218투표율
56.39%
투표 수106,703
무효표 수1,979

3.1.7.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3.1.7.1. 울산광역시장[편집]

중구
울산 중구 일원
정당
후보송철호김기현이영희김창현
득표수65,01454,2272,5534,078
득표율51.65%43.08%2.02%3.23%
순위1위2위4위3위
선거인 수194,908
투표 수128,337
무효표 수2,465
투표율65.84%

7회 지선 광역자치단체장 선거 울산 중구 개표 결과
정당격차
(1위/2위)
투표율
(선거인/표수)
후보송철호김기현이영희김창현
득표수
(득표율)
65,014
(51.65%)
54,227
(43.08%)
2,553
(2.02%)
4,078
(3.23%)
+ 10,787
(△8.57)
65.84%
학성동40.26%55.67%1.91%2.16%▼15.4158.64
반구1동53.08%40.51%2.0%4.41%△12.5760.91
반구2동46.57%48.40%1.99%3.04%▼1.83[7]62.38
복산1동48.15%47.36%2.16%2.33%△0.79[8]62.67
복산2동52.86%41.74%2.31%3.09%△11.1263.70
성안동[A]55.68%38.58%2.38%3.36%△20.1062.80
중앙동[B]39.84%56.08%2.01%2.07%▼16.2456.30
우정동48.35%47.57%1.46%2.62%△0.78[9]64.29
태화동[C]54.50%40.98%1.75%2.77%△13.5268.06
다운동[D]47.64%46.76%1.94%3.65%△0.88[10]60.95
병영1동[E]51.05%43.10%2.19%3.66%△7.9565.48
병영2동[F]52.75%40.89%1.91%4.45%△11.8662.30
약사동59.05%35.30%2.01%3.64%△23.7571.95
후보송철호김기현이영희김창현격차
거소·선상투표48.80%45.60%3.20%2.40%△3.20
관외사전투표60.71%33.68%2.57%3.03%27.03

3.1.7.2. 중구청장[편집]

{+1 [[파일:중구(울산광역시) CI_White.svg}}} 중구청장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박태완(朴泰完)65,2671위
51.90%당선
2박성민(朴聖敏)60,4852위
48.09%낙선
선거인 수194,908투표율
65.84%
투표 수128,328
무효표 수2,576


3.1.8.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3.1.8.1. 울산광역시장[편집]

중구
울산 중구 일원
정당
후보송철호김두겸
득표수36,59660,730
득표율37.60%62.39%
순위2위1위
선거인 수181,055
투표 수98,391
무효표 수1,065
투표율54.34%

8회 지선 광역자치단체장 선거 울산 중구 개표 결과
정당격차투표율
후보송철호김두겸(1위/2위)(선거인/표수)
득표수
(득표율)
36,596
(37.60%)
60,730
(62.39%)
-24,134
(▼24.79)
54.34%
학성동29.46%70.53%▼41.0750.83
반구1동38.76%61.23%▼22.4650.49
반구2동33.81%66.18%▼32.3651.74
복산1동32.07%67.92%▼35.8453.73
복산2동38.81%61.18%▼22.3750.97
성안동[A]41.56%58.43%▼16.8746.12
중앙동[B]25.85%74.14%▼48.2848.00
우정동35.13%64.86%▼29.7255.54
태화동[C]39.48%60.51%▼21.0255.16
다운동[D]33.85%66.14%▼32.2851.86
병영1동[E]38.77%61.22%▼22.4454.27
병영2동[F]39.66%60.33%▼20.6749.56
약사동45.17%54.82%▼9.6558.03
후보송철호김두겸격차
거소투표41.00%59.00%▼18.00
관외사전투표44.04%55.95%▼11.91
국회의원
선거구
송철호김두겸격차투표율
36.99%63.00%▼26.0152.02

3.1.8.2. 중구청장[편집]

{+1 [[파일:중구(울산광역시) CI_White.svg}}} 중구청장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박태완(朴泰完)38,8222위
40.58%낙선
2김영길(金永吉)56,8431위
59.41%당선
4정창화(鄭昌和)-사퇴[11]
-
선거인 수181,055투표율
54.34%
투표 수98,388
무효표 수2,723

8회 지선 기초자치단체장 선거 울산 중구 개표 결과
정당격차투표율
후보박태완김영길(1위/2위)(선거인/표수)
득표수
(득표율)
38,822
(40.58%)
56,843
(59.41%)
- 18,021
(▼18.83)
98,388
(54.34%)
학성동33.20%66.79%▼33.5950.80
반구1동41.52%58.47%▼16.9550.68
반구2동38.02%61.97%▼23.9451.74
복산1동35.95%64.04%▼28.0953.73
복산2동42.91%57.08%▼14.1650.97
성안동[A]44.43%55.56%▼11.1346.11
중앙동[B]28.76%71.23%▼42.4647.97
우정동36.65%63.34%▼26.6855.54
태화동[C]41.75%58.24%▼16.4955.16
다운동[D]37.23%62.76%▼25.5251.88
병영1동[E]41.50%58.49%▼16.9854.27
병영2동[F]42.58%57.41%▼14.8349.53
약사동50.65%49.34%△1.3158.06
후보박태완김영길격차
거소투표44.77%55.22%▼10.44
관외사전투표46.36%53.63%▼7.27

3.2. 대선[편집]



3.2.1. 제15대 대통령 선거[12][편집]


중구
울산 중구 일원
정당
후보이회창김대중이인제
득표수67,50916,59731,830
득표율54.98%13.51%25.92%
순위1위3위2위
선거인 수155,651
투표 수124,401
무효표 수1,628
투표율79.85%

3.2.2. 제16대 대통령 선거[편집]


중구
울산 중구 일원
정당
후보이회창노무현권영길
득표수65,00535,52311,481
득표율57.72%31.54%10.19%
순위1위2위3위
선거인 수165,033
투표 수113,692
무효표 수1,088
투표율68.88%

3.2.3. 제17대 대통령 선거[편집]


중구
울산 중구 일원
정당
후보정동영이명박권영길문국현이회창
득표수13,67063,1018,3715,84920,427
득표율12.15%56.12%7.44%5.20%18.16%
순위3위1위4위5위2위
선거인 수177,386
투표 수112,934
무효표 수505
투표율63.73%

3.2.4. 제18대 대통령 선거[편집]


중구
울산 중구 일원
정당
후보박근혜문재인
득표수90,23853,304
득표율62.62%36.99%
순위1위2위
선거인 수185,086
투표 수144,599
무효표 수509
투표율78.13%

18대 대선 울산 중구 개표 결과
정당격차
(1위/2위)
투표율
(선거인/표수)
후보박근혜문재인
득표수
(득표율)
90,238
(62.62%)
53,304
(36.99%)
+36,934
(△25.63)
78.13%
학성동69.57%30.12%△39.4574.01
반구1동62.73%36.77%△25.9675.40
반구2동64.99%34.58%△30.4177.55
복산1동66.99%32.64%△34.3574.02
복산2동62.56%37.17%△25.3978.65
북정동58.79%40.87%△17.9278.77
중앙동71.84%27.91%△43.9372.33
우정동64.75%34.94%△29.8178.85
태화동61.86%37.87%△23.9981.12
다운동64.09%35.53%△28.5677.66
병영1동60.36%39.35%△21.0178.15
병영2동61.11%38.40%△22.7177.09
약사동55.45%44.20%△11.3585.81
후보박근혜문재인격차
국외부재자투표40.59%59.00%▼18.41
국내부재자투표48.80%49.94%▼1.14

3.2.5. 제19대 대통령 선거[편집]


중구
울산 중구 일원
정당
후보문재인홍준표안철수유승민심상정
득표수56,65747,62526,45812,39912,307
득표율36.25%30.47%16.93%7.93%7.87%
순위1위2위3위4위5위
선거인 수198,415
투표 수157,051
무효표 수795
투표율79.15%

19대 대선 울산 중구 개표 결과
정당격차
(1위/2위)
투표율
(선거인/표수)
후보문재인홍준표안철수유승민심상정
득표수
(득표율)
56,657
(36.25%)
47,625
(30.47%)
26,458
(16.93%)
12,399
(7.93%)
12,307
(7.87%)
+9,032
(△5.78)
79.15%
학성동27.45%43.66%16.23%5.72%6.29%▼16.2173.70
반구1동37.19%29.13%16.59%7.35%9.14%△8.0676.52
반구2동32.34%34.84%16.64%7.64%8.07%▼2.5075.82
복산1동31.07%38.23%16.88%6.60%6.76%▼7.1673.56
복산2동36.22%29.64%17.09%8.44%8.01%△6.5878.56
성안동[A]38.68%27.41%17.09%7.87%8.38%△11.2778.18
중앙동[B]26.50%44.88%16.37%6.71%4.98%▼18.3869.05
우정동33.76%35.09%17.08%7.34%6.41%▼1.3378.15
태화동[C]38.98%27.74%17.28%8.53%7.06%△11.2482.28
다운동[D]32.83%34.44%17.23%7.84%7.22%▼1.6175.46
병영1동[E]36.76%30.62%15.98%7.43%8.67%△6.1478.20
병영2동[F]38.14%27.46%16.70%7.64%9.50%△10.6876.28
약사동43.40%21.23%16.78%9.08%8.93%△22.1786.21
후보문재인홍준표안철수유승민심상정격차
거소 및 선상투표33.74%21.52%26.89%9.78%4.89%△6.85
관외사전투표42.29%19.13%17.89%10.53%9.61%△23.16
재외투표61.82%6.55%14.53%5.70%10.68%△47.29

3.2.6. 제20대 대통령 선거[편집]


중구
울산 중구 일원
정당
후보이재명윤석열
득표수54,07581,399
득표율38.11%57.37%
순위2위1위
선거인 수182,051
투표 수143,171
무효표 수1,302
투표율78.64%

20대 대선 울산 중구 개표 결과
정당격차투표율
후보이재명윤석열(1위/2위)(선거인/표수)
득표수
(득표율)
54,075
(38.11%)
81,399
(57.37%)
- 27,324
(▼19.26)
76.84%
학성동32.71%62.85%▼30.1475.14
반구1동39.73%54.98%▼15.2575.64
반구2동35.18%59.70%▼24.5275.20
복산1동34.92%60.77%▼25.8577.54
복산2동39.59%55.52%▼15.9377.03
성안동[A]43.83%51.84%▼8.0175.96
중앙동[B]28.58%68.13%▼39.5571.95
우정동33.66%62.83%▼29.1778.20
태화동[C]39.54%56.31%▼16.7779.63
다운동[D]35.32%60.39%▼25.0776.47
병영1동[E]38.52%56.80%▼18.2877.53
병영2동[F]40.92%54.00%▼13.0874.29
약사동43.09%52.11%▼9.0284.00
후보이재명윤석열격차
거소선상투표31.43%58.37%▼26.94
관외사전투표40.37%54.59%▼14.22
재외투표53.64%40.97%△12.67
국회의원
선거구
이재명윤석열격차투표율
37.83%57.72%▼19.8976.87

예상대로 국민의힘 윤석열 후보가 낙승하여 모든 행정동에서도 싹쓸이하였다. 다만 민주당 이재명 후보도 3당 합당 이후로 32년 만에 역대 민주당계 후보 중 중구에서 최고 득표율을 올린 성과를 내었다.

3.3. 총선[편집]


21대 총선 중구 개표 결과
국회의원 선거
정당더불어민주당미래통합당노동당격차투표율
후보임동호박성민이향희(1위/2위)(선거인/표수)
득표수
(득표율)
44,050
(34.32%)
69,359
(54.04%)
12,149
(9.46%)
- 25,309
(▼19.72)
129,930
(68.97%)
[ 펼치기 · 접기 ]

학성동26.04%63.99%7.88%▼37.9566.08
반구1동35.46%52.37%9.97%▼16.9164.96
반구2동30.94%57.87%9.03%▼26.9366.19
복산1동30.40%58.54%9.56%▼28.1468.09
복산2동35.53%51.81%10.34%▼16.2868.20
성안동[A]35.70%48.20%14.64%▼12.5165.50
중앙동[B]25.79%65.59%6.17%▼39.8062.47
우정동31.35%58.76%7.91%▼27.4168.07
태화동[C]35.99%52.66%9.13%▼16.6671.03
다운동[D]31.83%57.53%8.47%▼25.7066.34
병영1동[E]34.73%54.11%9.40%▼19.3868.68
병영2동[F]35.07%53.26%9.57%▼18.2064.03
약사동41.20%46.69%10.58%▼5.4877.19
후보임동호박성민이향희격차
거소·선상투표29.31%49.83%11.07%▼20.52
관외사전투표44.08%42.51%9.40%△1.57
재외투표55.33%33.98%9.70%△21.36

[A] 법정동 성안동 · 북정동[B] 법정동 교동 · 성남동 · 옥교동 · 학산동, 재래시장이 있는 원도심[C] 법정동 태화동(일부) · 유곡동[D] 법정동 다운동 · 태화동(일부)[E] = 법정동 남외동[F] 법정동 동동 · 서동 · 장현동

비례대표 선거
정당미래한국당더불어시민당정의당국민의당열린민주당격차투표율
득표수
(득표율)
54,281
(43.47%)
31,559
(25.27%)
11,034
(8.83%)
7,321
(5.86%)
5,107
(4.09%)
+ 22,722
(△18.20)
129,946
(68.96%)
[ 펼치기 · 접기 ]

학성동53.87%19.18%5.88%4.33%3.75%△34.6866.09
반구1동41.55%25.76%10.37%5.21%3.03%△15.7864.98
반구2동48.17%24.06%7.92%4.41%3.32%△24.1166.21
복산1동48.98%22.25%6.57%5.52%4.03%△26.7368.09
복산2동41.05%26.62%9.56%6.01%4.03%△14.4368.20
성안동[A]38.84%27.98%9.35%5.56%4.98%△10.8665.50
중앙동[B]56.46%19.10%5.33%4.34%3.02%△37.3662.47
우정동47.96%23.47%7.72%5.75%3.55%△24.4968.08
태화동[C]41.67%27.02%8.73%7.29%4.77%△14.6671.03
다운동[D]47.66%23.18%8.12%4.94%3.51%△24.4866.35
병영1동[E]42.54%25.56%9.87%5.88%3.82%△16.9868.67
병영2동[F]40.95%26.26%9.73%5.31%4.05%△14.6964.03
약사동36.00%28.25%11.74%8.11%5.22%△7.7677.20
정당미래한국당더불어시민당정의당국민의당열린민주당격차
거소·선상투표37.41%20.74%8.16%7.48%2.72%△16.67
관외사전투표32.24%29.75%10.34%7.45%5.42%△2.48
재외투표22.32%36.60%9.82%8.92%11.60%▼14.29

[A] 법정동 성안동 · 북정동[B] 법정동 교동 · 성남동 · 옥교동 · 학산동, 재래시장이 있는 원도심[C] 법정동 태화동(일부) · 유곡동[D] 법정동 다운동 · 태화동(일부)[E] = 법정동 남외동[F] 법정동 동동 · 서동 · 장현동


[1] 1997년 울산시가 광역시로 승격된 첫 광역자치단체장 선거[2] 1997년 울산광역시 승격 이후로 첫 대통령 선거[3] 1997년 울산광역시 승격[4] 02.07.10. 작고[5] 10.12.09. 구청장직 상실 (선거법 위반)[6] 1997년 울산시가 광역시로 승격된 첫 광역자치단체장 선거[7]87표 차이였다.[8]27표 차이였다.[A] A B C D E 법정동 성안동 · 북정동[B] A B C D E 법정동 교동 · 성남동 · 옥교동 · 학산동, 재래시장이 있는 원도심[9]81표 차이였다.[C] A B C D E 법정동 태화동(일부) · 유곡동[D] A B C D E 법정동 다운동 · 태화동(일부)[10]113표 차이였다.[E] A B C D E = 법정동 남외동[F] A B C D E 법정동 동동 · 서동 · 장현동[11] 김영길 후보 지지를 선언하며 사퇴#[12] 1997년 울산광역시 승격 이후로 첫 대통령 선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