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구 제4선거구(울산)

덤프버전 : (♥ 0)

||
파일:중구_제4선거구(울산)8.png
선거인 수30,674명 (2022년)
상위 행정구역울산광역시
관할 구역
[ 펼치기 · 접기 ]
중구 일부
반구1동, 반구2동, 약사동
시의원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김종섭 (초선)

1. 개요
2. 역대 선거 결과[1]



1. 개요[편집]


울산광역시의회의 선거구로 울산광역시 중구의 동부에 위치한 반구동약사동 일대를 관할한다. 선거구 모양이 꽤나 길쭉하고 독특한 모양인데, 원래 병영동과 한 선거구였으나 분리되었기 때문이다.

중구에서 가장 보수세가 약한 지역이다. 약사동에서 혁신도시의 영향으로 민주당세가 아주 강한편이며, 반구1동에서도 저만큼은 아니여도 보수세가 약하고 반구2동에서는 보수세가 강한 편이다. 하지만 전체적인 우세는 그래도 국민의힘인 편이라 더불어민주당이 승리한 것은 7회 지선때 뿐이다.

2. 역대 선거 결과[2][편집]


대수당선자당적임기비고
중구 제2선거구
제2대조용수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1997~2004).svg

1998년 7월 1일 ~ 2002년[3][4]
제3대김기환2002년 7월 1일 ~ 2006년 6월 30일
제4대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svg

2006년 7월 1일 ~ 2010년 6월 30일
중구 제4선거구
제5대박래환
무소속

2010년 7월 1일 ~ 2010년 12월 9일[5][6]
김일현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svg

2011년 4월 28일 ~ 2014년 6월 30일
제6대
ta-hash-start=w-bc1de63a7895e595187c563de87f7eee[[파일:새누리당 흰색 로고타입.svg
2014년 7월 1일 ~ 2018년 6월 30일
제7대김성록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2018년 7월 1일 ~ 2022년 6월 30일
제8대김종섭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2022년 7월 1일 ~ 현재

2.1. 제2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중구 제2선거구
반구1동, 반구2동, 병영1동, 병영2동, 약사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조용수(趙鏞洙)16,0911위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1997~2004).svg

54.86%당선
2김학성(金學成)2,8553위

ta-hash-start=w-b070e81e68a212cc1516dc4de6991098[[파일:새정치국민회의 흰색 로고타입.svg
9.73%낙선
4천병태(千柄泰)10,3852위

무소속

35.40%낙선
선거인 수53,781투표율
55.91%
투표 수30,070
무효표 수739

2.2. 제3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중구 제2선거구
반구1동, 반구2동, 병영1동, 병영2동, 약사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김기환(金基煥)15,0521위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1997~2004).svg

53.16%당선
3천병태(千炳泰)10,6872위

ta-hash-start=w-f9eec82a0e93d4003e661c3bdc2518c3[[파일:민주노동당 흰색 로고타입.svg
37.74%낙선
4차용업(車鎔業)2,5743위

무소속

9.09%낙선
선거인 수55,248투표율
52.45%
투표 수28,979
무효표 수666

2.3.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중구 제2선거구
반구1동, 반구2동, 병영1동, 병영2동, 약사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2김기환(金基煥)19,4351위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svg

63.15%당선
4이효상(李孝祥)11,3392위

ta-hash-start=w-3ee03ac15c3a18c3440520e4ca40b218[[파일:민주노동당 흰색 로고타입.svg
36.84%낙선
선거인 수60,666투표율
51.51%
투표 수31,255
무효표 수481

2.4.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중구 제4선거구
반구1동, 반구2동, 약사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김일현(金溢鉉)6,2662위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svg

40.30%낙선
7박래환(朴來煥)9,2821위

무소속

59.69%당선
선거인 수28,376투표율
56.45%
투표 수16,019
무효표 수471

2.5. 2011년 상반기 재보궐선거[편집]


중구 제4선거구
반구1동, 반구2동, 약사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김일현(金溢鉉)3,3381위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svg

29.22%당선
5권순정(權純姃)3,0512위
26.71%낙선
8이동해(李東海)1,0705위
9.36%낙선
9장정옥(張貞玉)1,9574위
17.13%낙선
10박대원(朴大元)2,0043위
17.54%낙선
선거인 수28,533투표율
40.56%
투표 수11,573
무효표 수153

2.6.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중구 제4선거구
반구1동, 반구2동, 약사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김일현(金溢鉉)8,0371위
50.20%당선
4박태완(朴泰完)7,9712위
49.79%낙선
선거인 수28,353투표율
57.79%
투표 수16,387
무효표 수379

2.7.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중구 제4선거구
반구1동, 반구2동, 약사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김성록(金成綠)12,0951위
57.28%당선
2서경환(徐璟煥)9,0202위
42.71%낙선
선거인 수32,977투표율
66.50%
투표 수21,933
무효표 수818

2.8.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중구 제4선거구
반구1동, 반구2동, 약사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김성록(金成錄)6,6292위
40.30%낙선
2김종섭(金宗燮)9,8181위
59.69%당선
선거인 수30,674투표율
55.07%
투표 수16,891
무효표 수444
더불어민주당에서는 김성록 시의원이 단수공천을 받으며 재선에 도전한다.

국민의힘에서는 지난 선거에 출마했던 서경원 전 구의회 의장이 구청장 출마를 준비하므로 새 후보를 찾아야 한다.[7] 비례대표인 김종섭 시의원이 이 곳을 지역구로 선택했고 단수공천받아 재선에 도전한다.

다른 정당이나 무소속 후보는 출마하지 않아 양당 1:1구도가 형성되었다.

개표 결과 국민의힘 김종섭 후보가 여유롭게 지역구 정착에 성공하였다. 다만 김성록 후보도 40%를 넘는 저력을 보였다. 세부적으로 보면 김종섭 후보는 반구2동에서 65.5%로 압도적인 몰표를 받았고, 반구1동에서도 60.7%로 큰 격차를 만들어냈다. 하지만 약사동에서 54.6% : 45.4%로 단 한자릿수차 승부가 나면서 득표율 차가 많이 좁혀졌으며, 관외사전투표에서도 55.1% : 44.9%로 평상시 양상처럼 김성록 후보에게 더 우호적인 표심을 보여주면서 중구의 네 선거구 중 유일하게 40%를 넘었다. 약사동의 표심은 물론 네 지역중 유일하게 현역이 출마하게 되어 인물론적인 측면에서 가장 우위를 점할 수 있게 된 것도 한몫했다.


[1] 울산광역시가 출범한 것은 1997년 7월 15일로, 1대 시의회의 경우 임기가 1년도 채 남지 않은 관계로 경상남도의원 중 울산 지역구 의원들과 경상남도 울산시의원들이 그대로 계승하여 울산광역시의원을 역임했으므로 기술하지 않음.[2] 울산광역시가 출범한 것은 1997년 7월 15일로, 1대 시의회의 경우 임기가 1년도 채 남지 않은 관계로 경상남도의원 중 울산 지역구 의원들과 경상남도 울산시의원들이 그대로 계승하여 울산광역시의원을 역임했으므로 기술하지 않음.[3] 3회 지선 중구청장 선거 출마를 위해 사직.[4] 반구1동, 반구2동, 병영1동, 병영2동, 약사동[5] 공직선거법 위반으로 당선무효.[6] 반구1동, 반구2동, 약사동[7] 막상 경선 기회도 못 갖고 컷오프당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