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범구

덤프버전 : (♥ 0)


역임한 직위
[ 펼치기 · 접기 ]

대한민국 제16·18대 국회의원
정범구
鄭範九 | Jeong Beom-gu
파일:IE001412627_STD.jpg
출생1954년 3월 27일 (70세)
충청북도 음성군
본관초계 정씨
재임기간제23대 주 독일 특명전권대사
2018년 1월 11일 ~ 2020년 11월 18일
학력경희대학교 정경대학 (정치외교학 / 학사)
마르부르크 대학교 대학원 (정치학 / 석사 · 박사)
종교개신교
소속 정당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의원 선수2
의원 대수16, 18
약력서울 기독청년회(YMCA)사회개발부 간사
현대경제사회연구원 정책연구실장
대통령후보 합동토론회 사회
새천년민주당 홍보위원장
새천년민주당 원내부총무
새천년민주당 대변인
제16대 국회의원 (경기 고양시 일산구 갑 / 새천년민주당)
동북아시아 환경문화연합 사무총장
CBS `정범구의 누군가` 진행
포럼통합과비전 상임대표
창조한국당 문국현 대통령후보 선거대책위원회 공동본부장
창조한국당 최고위원
제18대 국회의원 (충북 증평군·진천군·음성군·괴산군 / 민주당)
민주당 대외협력위원장
민주당 홍보위원회 위원장
제23대 주 독일 특명전권대사 (문재인 정부)
청년재단 이사장

1. 개요
2. 생애
3. 선거 이력
4. 소속 정당
5. 둘러보기



1. 개요[편집]


대한민국의 정무직공무원, 전 국회의원.


2. 생애[편집]


1954년 충청북도 음성군에서 태어났다. 서울 성동고등학교(20회), 경희대학교 정치외교학과, 독일 마부르크 대학교 정치학 석사박사 과정을 졸업하였다.

1990년대 CBS, KBS에서 정치평론가로 출연하였다. 대표적으로 1997년 15대 대선에서 역대 최초의 대선 TV 토론(3자토론) 당시 사회자였다. #

2000년 제16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새천년민주당 후보로 경기도 고양시 일산구 갑(현 일산동구) 선거구에 출마하여 현역 지역구 국회의원자유민주연합 이택석 후보, 현역 전국구 국회의원인 한나라당 오양순 후보를 꺾고 당선되었다.

2000년 5월 17일, 5.18 전야제 이후 단란주점에서 술을 마셔 논란이 되었으나[1] 참석 인물 중 386세대 정치인[2]이 아니었던 탓에 별다른 비판을 받지 않고 은근슬쩍 넘어갔다.

2002년 새천년민주당 대변인에 임명되었다. 그러나 2003년 열린우리당 분당 사태가 일어나자 제17대 국회의원 선거 불출마를 선언하였고, 새천년민주당 소속으로 남으면서도 노무현 대통령 탄핵 소추에 반대하며 탄핵 표결에 불참하였다.

2007년 제17대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문국현창조한국당에 입당하였다. 그러나 문국현과의 의견 차이로 2008년 초 창조한국당을 탈당하였다. 그리고 통합민주당에 복당하였다. 같은 해 치러진 제18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통합민주당 후보로 서울특별시 중구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한나라당 나경원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뇌물수수 혐의로 김종률국회의원직을 상실하여 치러진 2009년 재보궐선거에서 민주당 후보로 충청북도 진천군-음성군-증평군-괴산군 선거구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같은 해 민주당 대외협력위원장에 임명되었다.

2012년 제19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통합당 후보로 같은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새누리당 경대수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2018년 1월 2일 문재인 정부에 의해 주독일대사에 임명되었다. 3년의 임기를 지냈고, 2021년 한국으로 돌아온 뒤 재단법인 청년재단의 이사장으로 취임했다.


3. 선거 이력[편집]


연도선거 종류지역구소속 정당득표수 (득표율)당선 여부비고
2000제16대 국회의원 선거경기 고양 일산 갑
ta-hash-start=w-c91d989c82b339a78ce0c05964eb2aaf[[파일:새천년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33,627 (44.52%)당선 (1위)초선
2008제18대 국회의원 선거서울
ta-hash-start=w-5f144f396670d569bf9bcdc22c6027ca[[파일:통합민주당(2008년) 흰색 로고타입.svg
14,146 (27.60%)낙선 (2위)
2009하반기 재보궐선거
(국회의원)
충북 증평·진천·괴산·음성
ta-hash-start=w-3cccf2bb4d830f9b542ac946694c3933[[파일:민주당(2008년) 흰색 로고타입.svg
31,232 (41.94%)당선 (1위)재선[3]
2012제19대 국회의원 선거
ta-hash-start=w-fd50cabb132077c1993b8d09a7e93f99[[파일:민주통합당 연두 로고타입.svg
44,443 (46.33%)낙선 (2위)


4. 소속 정당[편집]


소속기간비고

ta-hash-start=w-c0fbf49059ba1ed2314567e8c2077e26[[파일:새천년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2000 - 2004창당
정계 입문

무소속

2004 -2007탈당

파일:창조한국당 흰색 로고타입.svg

2007 - 2008입당

무소속

2008탈당[4]

ta-hash-start=w-15f6c805ba51da28a6350de6a2720f12[[파일:통합민주당(2008년) 흰색 로고타입.svg
2008입당

ta-hash-start=w-555e95aeca04b1d0a8d563231d5411bd[[파일:민주당(2008년) 흰색 로고타입.svg
2008 - 2011당명 변경

ta-hash-start=w-00a03ec6533ca7f5c644d198d815329c[[파일:민주통합당 연두 로고타입.svg
2011 - 2013합당[5]

ta-hash-start=w-d467193baadf3ec5f1d18d0757525712[[파일:민주당(2013년) 흰색 로고타입.svg
2013 - 2014당명 변경

ta-hash-start=w-7686e17d03e15cca748b3a4f0426f0e9[[파일:새정치민주연합 흰색 로고타입.svg
2014 - 2015합당[6]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2015 - 2018당명 변경

무소속

2018 - 2020탈당[7]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2020 - 현재복당[8]


5. 둘러보기[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6 07:41:10에 나무위키 정범구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새천년 NHK 사건 문서 참고[2] 우상호, 김민석, 송영길 등.[3] 전임자 김종률 피선거권 상실[4] 당내 노선차이로 인한 탈당[5] 시민통합당과 신설 합당[6] 새정치민주연합에 흡수 합당[7] 주독대사 임명으로 인한 자동 탈당[8] 주독대사 퇴임으로 인한 자동 복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