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용희(1931)

덤프버전 :



역임한 직위
[ 펼치기 · 접기 ]

파일:국회휘장(9대-19대).svg 대한민국 국회 행정자치위원장
제16대 후반기
박종우
제17대 전반기
이용희
제17대 후반기
유인태

파일:국회휘장(9대-19대).svg 대한민국 국회의원 (충북 제3선거구)
제8대
육인수
제9대
이용희
제10대
육인수
이용희
제9대
이용희
제10대
육인수
이용희
제11대
박유재
이동진
제11대
박유재
이동진
제12대
박준병
이용희
선거구 개편
박준병[1]
파일:국회휘장(9대-19대).svg 대한민국 국회의원 (충북 보은군·옥천군·영동군)
제16대
심규철
제17-18대
이용희
제19대
박덕흠

대한민국 제17대 후반기 국회부의장
이용희
李龍熙 | Lee Yong-hee
파일:Remini20211111142433558.jpg
출생1931년 6월 10일
충청북도 옥천군 안남면 청정리
사망2022년 10월 16일 (향년 91세)
본관경주 이씨
재임기간제17대 후반기 국회부의장
2006년 6월 19일 ~ 2008년 5월 29일
[ 펼치기 · 접기 ]

부모아버지 이상훈, 어머니 김시예
배우자유정순[1]
자녀3남 2녀[2]
학력안남공립국민학교 (졸업)
대전사범학교 (졸업)
병역대한민국 육군 대위 전역[3]
종교불교
최종 당적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의원 선수5
의원 대수9, 10, 12, 17, 18
약력제9·10·12·17·18대 국회의원
제3대 충청북도의원
신민당 지구당위원장
신민당 선전국장
신민당 충청북도 지부장
국회 농수산위원회 간사
국회 재무위원회 위원
신민당 충청북도지부 지부장
신민당 원내부총무
신민당 정무위원
신민당 사무총장
통일민주당 부총재
헌정민권회 부회장
1987년 직선제개헌 여야8인정치회담 야당대표
평화민주당 부총재
평화민주당 당무지도위원회 의장
신민주연합당 최고위원
민주당 대통령선거대책위원회 위원장
민주당 당무위원
민주당 상임고문
새정치국민회의 지도위원회 위원장
새정치국민회의 조직강화특별위원회 위원장
새정치국민회의 대통령선거 충북선거지원단장
새정치국민회의 부총재
새정치국민회의 상임고문
새천년민주당 최고위원
새천년민주당 상임고문
열린우리당 상임중앙위원
열린우리당 상임고문
열린우리당 상임고문단 단장
열린우리당 충청북도당 실미도희생자대책위원회 위원장
제17대 국회 전반기 행정자치위원회 위원장
2006년 비상대책위원회 인선위원장
제17대 국회 후반기 국회부의장
대통합민주신당 상임고문
통합민주당 상임고문
자유선진당 상임고문
자유선진당 충북도당 위원장
민주통합당 상임고문
새정치민주연합 상임고문
더불어민주당 상임고문

[1] 그가 별세한지 한달 뒤, 2022년 11월 14일에 아내도 같이 별세하였다.[2] 그중 2명의 아들은 본인보다 먼저 세상을 떠났다.[3] 갑종간부후보생 11기.
1. 개요
2. 생애
3. 정치 경력
3.1. 1980년대 이전
3.2. 1980년대~2000년대
3.3. 2010년대 이후
4. 기타
5. 소속 정당
6. 선거 이력
7. 둘러보기



1. 개요[편집]


대한민국제17대 국회 후반기 국회부의장을 역임한 5선 국회의원


2. 생애[편집]


1931년 충청북도 옥천군 안남면 청정리에서 태어나 대전사범학교(현 공주교육대학교에 흡수)를 졸업하였다.

대전사범학교 재학 중 6.25 전쟁이 일어나자 사병으로 자진 입대하였다가 중간에 갑종간부후보생 제11기 장교로 임관하였다. 이 때 몸에 박힌 포탄 파편은 제거하지 못하서 걸음걸이가 아주 약간 어색한데, 실제로 남들에게 얕보이지 않기 위해 자연스럽게 걷는 연습을 했다고 한다.


3. 정치 경력[편집]



3.1. 1980년대 이전[편집]


1960년 제5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무소속으로 충청북도 옥천군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민주당 신각휴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이후 같은 해 연말 치러진 1960년 지방선거의 충청북도의원 선거에 민주당 후보로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그러나 1961년 5.16 군사정변으로 충청북도의회가 해산되면서 박정희에 대해 분노하고 야당 정치인으로 활동하였다. 1963년 제6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당 후보로 충청북도 옥천군-보은군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박정희의 처남인 민주공화당 육인수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이후 김대중계 정치인이 되었으며 김대중과 내외문제연구소를 설립하였다. 1967년 제7대 국회의원 선거, 1971년 제8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도 신민당 후보로 같은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역시 민주공화당 육인수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1973년 제9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주류인 범 유진산계가 아니라는 이유로 김선우에 밀려 신민당 공천을 받지 못하자 무소속으로 충청북도 영동군-옥천군-보은군 선거구에 출마하여 민주공화당 육인수 후보와 동반 당선되었다. 1974년 9월 신민당 김영삼 총재 체제가 출범하자 한병채, 김인기, 진의종, 김재광, 한영수와 신민당에 복당하였다. 1977년 신민당 원내부총무에 임명되었다. 1978년 제10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이철승계인 최극과 신민당 복수공천을 받아 같은 선거구에 출마하여 민주공화당 육인수 후보와 동반 당선되었다.


3.2. 1980년대~2000년대[편집]


1980년 전두환의 김대중 내란음모 조작 사건으로 중앙정보부에 끌려가 약 두 달 동안 모진 고초를 겪고 풀려났다. 같은 해 정치규제를 당하였다가 1984년 해금되었다. 정치규제 기간에는 진로주조 고문을 역임하였다.

1985년 제1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한국당 후보로 같은 선거구에 출마하여 민주정의당 박준병 후보와 동반 당선되었다. 당선 직후 민주한국당을 탈당하여 신한민주당에 입당하였다. 김녹영의 별세로 공석이 된 야당 몫의 국회부의장 선거에 동교동계의 지원으로 출마하였으나 비 동교동계, 비 상도동계인 김옥선 등의 반대로 조연하에게 밀려 탈락하였다. 1987년 신한민주당을 탈당하여 통일민주당에 입당하였다가 다시 통일민주당을 탈당하여 평화민주당에 입당하였다.

1988년 제13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지역구를 옮겨 평화민주당 후보로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을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민주정의당 김명섭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이에 절차상의 이유로 선거 무효 소송을 제기해서 승소하였다. 그리하여 이듬해인 1989년 치러진 재보궐선거에 출마하였으나 이번에는 민주정의당 나웅배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1995년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민주당 후보로 충청북도지사 선거에 출마하였으나 자유민주연합 주병덕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이후1996년 제15대 국회의원 선거 새정치국민회의 후보로 충청북도 보은군·옥천군·영동군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자유민주연합 어준선 후보에 밀렸고, 2000년 제16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새천년민주당 후보로 충청북도 보은군-옥천군-영동군 선거에 출마하였으나 한나라당 심규철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2004년 제17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열린우리당 후보로 같은 선거구에 출마하여 한나라당 심규철 후보에 설욕하여 당선되었고, 이로써 12대 총선 이후 장장 16년 만에 국회 복귀에 성공했다. 같은 해부터 2006년까지 대한민국 국회 행정자치위원장을, 2006년부터 2008년까지는 국회부의장을 역임하였다.

제17대 대통령 선거에서 대통합민주신당 정동영 후보를 지지하여 보은군에서 호남을 제외하면 유일하게 정동영이 이명박을 제치고 1위를 기록하게 만들었다. 그만큼 지역구에서의 영향력이 절대적이었다고 알려져 있다.[1][2]

2008년 제18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통합민주당 공천에서 탈락하자 민주당을 탈당하고 자유선진당 후보로 같은 선거구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3.3. 2010년대 이후[편집]


2012년 통합민주당의 후신 민주통합당에 복당하여 지역구를 아들 이재한에게 물려주고 정계에서 은퇴했는데, 당시 통합진보당유시민 공동대표에게 실명 비판을 당했다. 이후 이재한은 19대 총선20대 총선에서 새누리당 박덕흠 후보에게 연거푸 패했다.[3]

2021년 10월 13일 더불어민주당 상임고문단 간담회에 참석하여 제20대 대통령 선거 후보로 선출된 이재명과 함께 기념 사진을 촬영하고 덕담을 나눴다.

2022년 10월 16일 향년 91세로 별세했다.


4. 기타[편집]


  • 지역구 내의 영향력이 상당히 막강하다. 항상 묶이는 이들 남부 3군의 별명이 '이용희 나라'로 불릴 정도인데다 이 분 외 더불어민주당 계열에서 당선된 국회의원이 없을 정도로 사실상 지역의 토호 수준이다.[4]

  • 제18대 국회의원 당선자 중에서 78세(만 76세)로 최고령 당선자였다.[5] 이보다 앞서서 제17대 국회의원 당선자 중에서도 74세(만 72세)로 최고령이었다.

  • 한때 김대중과 친분이 있고[6] 원내에도 이른 나이인 40대 초반에 진출해 동교동계 맏형으로 불렸으나 김대중에게 15대 대선 불출마를 건의해 동교동과의 인연이 멀어졌다.[7] 그래도 정치적 도의를 생각해 선거 기간에는 지역에서 열심히 김대중을 도왔다. 그리고 오히려 동교동계과의 거리가 멀어진 것이 전화위복이 되었다. 운신의 폭이 자유로워져 열린우리당 창당에 참여할 수 있었고, 17대, 18대 연속 국회의원 당선 및 국회부의장 취임으로 칠순이 넘은 나이에 제2의 전성기를 맞이했기에 그렇다.

  • 동교동계 맏형이라는 별명에 걸맞게 전 SBS 드라마 코리아게이트삼김시대에서도 등장했는데, 특이하게도 실제 이용희의 아들인 배우 이재훈이 둘 다 아버지를 연기했었다. 슬하에 3남 2녀를 두었는데, 삼남이 현 더불어민주당 보은군·옥천군·영동군·괴산군 지역위원장인 이재한이고, 이재훈은 차남인데, 그는 2007년 위암으로 아버지보다 15년 먼저 세상을 떠났다. 장남인 이재형도 2017년 간암으로 5년 먼저 세상을 떠났다. 여담으로, 강원도 춘천시에서 3선(12대 ~ 14대[8])을 지냈고, 김영삼 정부에서 문화체육부장관을 지낸 이민섭 前 의원과는 사돈이다.[9]


5. 소속 정당[편집]


소속기간비고

무소속

1960정계 입문


1960 - 1961입당

무소속

1961 - 1963정당 해산

파일:민주당(1963년) 흰색 로고타입.svg

1963 - 1965입당

ta-hash-start=w-ef6454c46da56ae242cfbcd023d6d61f[[파일:민중당(1965년) 흰색 로고타입.svg
1965 - 1967합당[10]

ta-hash-start=w-eec33bd4cc7832b1bb0400263dc1a58b[[파일:신민당 벽보글씨.svg
1967 - 1969합당[11]

무소속

1969자진 정당 해산

ta-hash-start=w-f72ba171e0c6d35c3c821051746bb6e4[[파일:신민당 벽보글씨.svg
1969 - 1973정당 재등록

무소속

1973 - 1974탈당[12]

ta-hash-start=w-ec1e28dc996e7d39d7535a730ead176e[[파일:신민당 벽보글씨.svg
1974 - 1980입당

무소속

1980 - 1984정당 해산

ta-hash-start=w-0c95054981de037de06e544a52eb3613[[파일:민주한국당 흰색 로고타입.svg
1984 - 1985입당

무소속

1985탈당[13]

파일:신한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1985 - 1987창당

무소속

1987탈당[14]

ta-hash-start=w-d8bbc05a9852cf8c785e2b05c5ba1bd9[[파일:통일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1987창당

무소속

1987탈당[15]

ta-hash-start=w-f4d87ed3b0dbf9c79746d00cedbb5e78[[파일:평화민주당 글자.svg
1987 - 1991창당

ta-hash-start=w-81dd12121d041b1cff1d0792266b2ce6[[파일:신민주연합당 로고타입.svg
1991당명 변경
1991 - 1995합당[16]
1995탈당[17]
1995 - 2000창당
2000 - 2003합당[18]
2003탈당[19]
2003 - 2007창당
2007탈당[20]
2007 - 2008창당
2008합당[21]
2008탈당[22]
2008 - 2011입당
2011합당[23]
2011탈당[24]
2011 - 2013복당
정계 은퇴
2013 - 2014당명 변경
2014 - 2015합당[25]
2015 - 2022당명 변경
사망


6. 선거 이력[편집]


연도선거 종류선거구소속 정당득표수 (득표율)당선 여부비고
1960제5대 국회의원 선거충북 6[26]7,702 (19.74%)낙선 (2위)
1960지방선거충청북도의회 영동군 1-당선초선
1963제6대 국회의원 선거충북 4[A]7,291 (10.52%)낙선 (3위)
1967제7대 국회의원 선거29,143 (35.34%)낙선 (2위)
1971제8대 국회의원 선거28,216 (37.57%)
1973제9대 국회의원 선거충북 3[A]23,483 (18.66%)당선 (2위)초선[C][27]
1978제10대 국회의원 선거29,365 (21.74%)재선[C]
1985제12대 국회의원 선거22,143 (16.27%)3선[28][29]
1988제13대 국회의원 선거서울 영등포 을31,337 (28.64%)낙선 (3위)
19898월 재보궐선거
(국회의원)
35,089 (30.04%)낙선 (2위)[30]
1995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충청북도지사168,209 (24.50%)
1996제15대 국회의원 선거충북 보은·옥천·영동22,968 (24.46%)낙선 (3위)
2000제16대 국회의원 선거24,792 (27.39%)낙선 (2위)
2004제17대 국회의원 선거36,991 (50.03%)당선 (1위)4선[31][32][33]
2008제18대 국회의원 선거30,790 (43.78%)5선[34]

역대 선거 벽보[35]
[ 펼치기 · 접기 ]

파일:이용희7대.jpg
파일:이용희8대.jpg
7대 총선 (충북 4[B])8대 총선 (충북 4[B])
파일:이용희9대.jpg
파일:이용희10대.jpg
9대 총선 (충북 3[A])10대 총선 (충북 3[A])
파일:이용희12대.jpg
파일:이용희13대.jpg
12대 총선 (충북 3[A])13대 총선 (서울 영등포구 을)
파일:이용희 재보선.jpg파일:이용희초대지선.jpg
1989년 8월 재보궐 (서울 영등포구 을)1회 지선 (충청북도지사)
파일:이용희15대.jpg
파일:이용희16대.jpg
15대 총선 (충북 보은군·옥천군·영동군)16대 총선 (충북 보은군·옥천군·영동군)
파일:이용희17대.jpg
파일:이용희18대.jpg
17대 총선 (충북 보은군·옥천군·영동군)18대 총선 (충북 보은군·옥천군·영동군)

[B] A B 옥천군, 보은군[A] A B C 영동군, 보은군, 옥천군


7. 둘러보기[편집]
















[1] 실제로도 지역에 방문한다는 연락이 있으면 사람들이 구름같이 모인다. 당시 "이 동네는 40년 동안 이용희를 보고 윤보선, 김대중, 노무현, 정동영을 찍은 곳이에요."라는 지역유권자의 인터뷰 기사까지 나왔을 정도.[2] 그러나 경선 당시에는 손학규, 이해찬 캠프 측에 의해 지역구에서 부정 동원 경선이 일어났다는 의혹이 제기되었다. # 덧붙여 국감장에서 공개적으로 박스떼기를 잘 봐달라고 발언해 논란이 되기도 했다. #[3] 이는 그 당시부터 행해졌던 권력의 세습을 막는다는 여론이 강했다는 것을 볼 수 있는데, 비슷한 사례로 제21대 국회의원 선거 당시 문희상 국회의장이 자신의 지역구인 의정부시 갑을 아들 문석균에게 지역위원회 수석부위원장 같은 자리를 만들어 물려주려다가 개같이 멸망한 사례도 있다. 물론 저 당시만 해도 남경필(부친이 사망하면서 발생한 보궐선거로 당선), 김세연(부친이 물러나고 4년 후 원 지역구에서 당선), 정진석(부친이 정계 은퇴를 하면서 지역구 세습), 노웅래(부친이 정계 은퇴하고 시간이 지나서 지역구 세습) 등과 같이 대를 이어 정치에 뛰어들거나 부친의 지역구를 물려받아서 활동하고 있는 국회의원들이 다수 있긴 했었다.[4] 심지어 박정희의 아내인 육영수와 동향이다.[5] 그 뒤를 잇는 사람들로는 1935년 생인 조순형, 이회창, 이상득 등이 있다.[6] 박지원의 증언에 의하면 김상현 전 의원과 더불어 김대중에게 "형님!" 소리를 하던 유이한 정치인이었다고 한다. 동교동계의 맏형인 권노갑을 비롯한 나머지 정치인들은 대부분 김대중을 선생님이라고 불렀다.[7] 이 이후에는 나이가 더 많은 권노갑이 동교동계의 맏형으로 불렸다.[8] 11대는 전국구인데, 이것까지 포함하면 실질적으로는 4선.[9] 삼남 이재한의 장인이 이민섭이다.[10] 민정당과 신설 합당.[11] 신한당과 신설 합당.[12] 총선 공천 탈락 불복으로 인한 탈당.[13] 신한민주당 창당을 위한 탈당.[14] 당내 노선 차이로 인한 탈당.[15] 당내 노선 차이로 인한 탈당.[16] 민주당과 신설 합당[17] 새정치국민회의 창당을 위한 탈당.[18] 새천년민주당에 흡수 합당.[19] 열린우리당 창당을 위한 탈당.[20] 당내 노선 차이로 인한 탈당.[21] 민주당과 신설 합당.[22] 총선 공천 탈락 불복으로 인한 탈당.[23] 국민중심연합과 신설 합당.[24] 민주통합당 복당을 위한 탈당.[25] 새정치민주연합에 흡수 합당.[26] 옥천군[A] A B 영동군, 보은군, 옥천군[C] A B 민주공화당 육인수 후보와 동반 당선[27] 1974.8.29 신민당 입당[28] 민주정의당 박준병 후보와 동반 당선[29] 1985.4.4 민주한국당 탈당, 신한민주당 입당. 1987.4.8 신한민주당 탈당, 5.6 통일민주당 창당 합류, 10.29 탈당, 11.13 평화민주당 창당 합류[30] 전임자 김명섭 의원직 상실(공직선거법 위반)[31] 무려 16년만의 원내복귀였다.[32] 후반기 국회부의장[33] 2008.3.17 공천불복으로 통합민주당 탈당, 자유선진당 입당[34] 2011.12.11 자유선진당 탈당, 민주통합당 입당[35] 제5·6대 국회의원 선거벽보는 확인되지 않고 있다. 이는 당시 중앙선거관리위원회가 선거벽보 보존의 필요성을 못 느껴 보존하지 않으면서, 이용희뿐만 아니라 김영삼, 김대중, 김종필을 비롯한 1950년대부터 정치를 시작한 원로 정치인들의 선거벽보 상당수를 확인할 수 없게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