워 썬더/지상 병기/영국 트리/중전차 · MBT

덤프버전 : (♥ 0)

파일:나무위키+상위문서.png   상위 문서: 워 썬더/지상 병기/영국 트리


워 썬더의 등장 병기 둘러보기
[ 공군 ]

파일:워 썬더 미국 국기.png 미국요격기 | 육군 전투기 | 해군 전투기 | 공격기 | 폭격기 | 프리미엄 | 회전익기
파일:워 썬더 독일 국기.png 독일메서슈미트 · 서독 계열 | 포케불프 · 동독 계열 | 중전투기 | 공격기 · 요격기 | 폭격기 | 프리미엄 | 회전익기
파일:워 썬더 소련 국기.png 소련야크 계열 | 미그 계열 | 라보츠킨 · 수호이 계열 | 공격기 | 폭격기 | 프리미엄 | 회전익기
파일:워 썬더 영국 국기.png 영국호커 계열 | 슈퍼마린 · 글로스터 계열 | 해군 항공기 | 중전투기 | 폭격기 | 프리미엄 | 회전익기
파일:워 썬더 일본 국기.png 일본해군 전투기 | 육군 전투기 | 중전투기 | 경폭격기 | 중형 · 중폭격기 | 프리미엄 | 회전익기
파일:워 썬더 중국 국기.png 중국국민당 | 공산당 | 공격기 | 폭격기 | 프리미엄 | 회전익기
파일:워 썬더 이탈리아 국기.png 이탈리아레지아네 계열 | 피아트 · 마키 계열 | 공격기 | 폭격기 | 프리미엄 | 회전익기
파일:워 썬더 프랑스 국기.png 프랑스자국산 | 공여 전투기 · 공격기 | 공격기 | 폭격기 | 프리미엄 | 회전익기
파일:워 썬더 스웨덴 국기.png 스웨덴전투기 | 전투기 · 폭격기 혼합 | 폭격기 | 핀란드 | 프리미엄 | 회전익기
파일:워 썬더 이스라엘 국기.png 이스라엘전투기 | 전투기 · 공격기 혼합 | 폭격기 | 프리미엄 | 회전익기
{{{-2 * 항공 병기 전반에 대한 내용은 워 썬더/항공 병기를 참고.
* 새로운 기체 문서를 추가하실 때 템플릿:워 썬더를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 육군 ]

파일:워 썬더 미국 국기.png 미국경전차 | 중형전차 · MBT | 중전차 · MBT | 자주대공포 | 대전차 자주포 | 프리미엄
파일:워 썬더 독일 국기.png 독일자주포 · 경전차 | 중전차 · MBT | 중형전차 · MBT | 자주대공포 | 구축전차 · 대전차 차량 | 프리미엄
파일:워 썬더 소련 국기.png 소련중형전차 · MBT | 중전차 · MBT | 경전차 | 자주포 · 대전차 차량 | 자주대공포 | 프리미엄
파일:워 썬더 영국 국기.png 영국중형전차 · MBT | 중전차 · MBT | 자주포 · 대전차 차량 | 자주대공포 | 남아프리카 | 프리미엄
파일:워 썬더 일본 국기.png 일본경전차 | 중형전차 · MBT | 구축전차 | 자주대공포 | 프리미엄
파일:워 썬더 중국 국기.png 중국경전차 · MBT | 중형전차 · MBT | 자주대공포 | 자주포 · 대전차 차량 | 프리미엄
파일:워 썬더 이탈리아 국기.png 이탈리아경전차 | 중형전차 · MBT | 자주대공포 | 구축전차 · 대전차 차량 | 헝가리 | 프리미엄
파일:워 썬더 프랑스 국기.png 프랑스경전차 | 중형전차 · MBT | 중전차 | 대공전차 | 구축전차 | 프리미엄
파일:워 썬더 스웨덴 국기.png 스웨덴경전차 | 중형전차 · MBT | 자주대공포 | 구축전차 · 대전차 차량 | 핀란드 | 프리미엄
파일:워 썬더 이스라엘 국기.png 이스라엘미국제 | 유럽제 · 자국산 | 자주대공포 · 대전차 차량 | 프리미엄
{{{-2 * 지상 병기 전반에 대한 내용은 워 썬더/지상 병기를 참고.
* 새로운 기체 문서를 추가하실 때 템플릿:워 썬더를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 해군 ]




파일:워 썬더 영국 국기.png 영국 지상 병기
[ 연구 가능 장비 ]
## -↓- 1랭 -↓- ##
I 랭크
## ↓ 1행 ↓ ##
파일:WarThunder_A13_Mk_I.png
파일:WarThunder_Stuart_I.png
파일:WarThunder_Tetrarch_I.png
파일:WarThunder_Light_AA_Mk_I.png
## ↓ 2행 ↓ ##
## ↓ 3행 ↓ ##
파일:WarThunder_A13_Mk_II.png
파일:WarThunder_Stuart_III.png
파일:WarThunder_Daimler_Mk_II.png
파일:WarThunder_Staghound_AA.png
## ↓ 4행 ↓ ##
## -↓- 2랭 -↓- ##
II 랭크
## ↓ 1행 ↓ ##
[ 크루세이더 ]
파일:WarThunder_Crusader_II.png
파일:WarThunder_Crusader_III.png

[ 발렌타인 ]
파일:WarThunder_Valentine_I.png
파일:WarThunder_Valentine_XI.png
파일:WarThunder_Valentine_IX.png

파일:WarThunder_Archer.png
파일:WarThunder_AEC_AA.png
파일:WarThunder_SARC_MkVI_(2pdr).png
## ↓ 2행 ↓ ##
## ↓ 3행 ↓ ##
[ 크롬웰 ]
파일:WarThunder_Cromwell_V.png
파일:WarThunder_Cromwell_I.png

파일:WarThunder_Matilda_III.png
파일:WarThunder_Gun_Carrier_(3-in).png
파일:WarThunder_Crusader_AA_Mk_I.png
파일:WarThunder_SARC_MkVI_(6pdr).png
## ↓ 4행 ↓ ##
## ↓ 5행 ↓ ##
파일:WarThunder_Sherman_II.png
파일:WarThunder_Churchill_I.png
파일:WarThunder_Achilles.png
## ↓ 6행 ↓ ##
## -↓- 3랭 -↓- ##
III 랭크
## ↓ 1행 ↓ ##
파일:WarThunder_Sherman_Firefly.png
파일:WarThunder_Churchill_III.png
파일:WarThunder_Avenger.png
파일:WarThunder_Crusader_AA_Mk_II.png
파일:WarThunder_Concept_3.png
## ↓ 2행 ↓ ##
## ↓ 3행 ↓ ##
파일:WarThunder_Challenger.png
파일:WarThunder_Churchill_NA75.png
파일:WarThunder_Ystervark.png
## ↓ 4행 ↓ ##
## ↓ 5행 ↓ ##
파일:WarThunder_Comet_I.png
파일:WarThunder_Churchill_VII.png
파일:WarThunder_Bosvark.png
## ↓ 6행 ↓ ##
## -↓- 4랭 -↓- ##
IV 랭크
## ↓ 1행 ↓ ##
파일:WarThunder_Centurion_Mk_1.png
파일:WarThunder_Charioteer_Mk_VII.png
파일:WarThunder_Tortoise.png
파일:WarThunder_Skink.png
파일:WarThunder_Ratel_90.png
## ↓ 2행 ↓ ##
## ↓ 3행 ↓ ##
파일:WarThunder_Centurion_Mk_3.png
파일:WarThunder_FV4202.png
파일:WarThunder_FV4005.png
파일:WarThunder_G6.png
## ↓ 4행 ↓ ##
## ↓ 5행 ↓ ##
파일:WarThunder_Caernarvon.png
파일:WarThunder_Conway.png
파일:WarThunder_Eland_90_Mk.7.png
## ↓ 6행 ↓ ##
## -↓- 5랭 -↓- ##
V 랭크
## ↓ 1행 ↓ ##
파일:WarThunder_Centurion_Mk_10.png
파일:WarThunder_Vickers_Mk.1.png
파일:WarThunder_Swingfire.png
파일:WarThunder_Falcon.png
파일:WarThunder_Ratel_20.png
## ↓ 2행 ↓ ##
## ↓ 3행 ↓ ##
파일:WarThunder_Conqueror.png
파일:WarThunder_Vickers_Mk.3.png
파일:WarThunder_Striker.png
## ↓ 4행 ↓ ##
## -↓- 6랭 -↓- ##
VI 랭크
## ↓ 1행 ↓ ##
[ 치프틴 3/5 ]
파일:WarThunder_Chieftain_Mk_3.png
파일:WarThunder_Chieftain_Mk_5.png

파일:WarThunder_VFM5.png
파일:WarThunder_Warrior.png
파일:WarThunder_Chieftain_Marksman.png
파일:WarThunder_Rooikat_Mk.1D.png
## ↓ 2행 ↓ ##
## ↓ 3행 ↓ ##
파일:WarThunder_Chieftain_Mk_10.png
파일:WarThunder_Vickers_Mk.7.png
파일:WarThunder_ZT3A2.png
파일:WarThunder_ZA-35.png
파일:WarThunder_Olifant_Mk.1A.png
## ↓ 4행 ↓ ##
## ↓ 5행 ↓ ##
파일:WarThunder_Challenger_Mk.2.png
파일:WarThunder_Rooikat_MTTD.png
## ↓ 6행 ↓ ##
## ↓ 7행 ↓ ##
파일:WarThunder_Challenger_Mk.3.png
파일:WarThunder_Olifant_Mk.2.png
## ↓ 8행 ↓ ##
## -↓- 7랭 -↓- ##
VII 랭크
## ↓ 1행 ↓ ##
파일:WarThunder_Challenger_2.png
파일:WarThunder_Stormer_HVM.png
파일:WarThunder_TTD.png
## ↓ 2행 ↓ ##
## ↓ 3행 ↓ ##
파일:WarThunder_Challenger_2_(2F).png
파일:WarThunder_ADATS_(M113).png
## ↓ 4행 ↓ ##
## ↓ 5행 ↓ ##
파일:WarThunder_Challenger_2_TES.png
## ↓ 6행 ↓ ##
## ↓ 7행 ↓ ##
파일:WarThunder_Black_Night.png
## ↓ 8행 ↓ ##
## ↓ 9행 ↓ ##
파일:WarThunder_Challenger_2E.png
## ↓ 10행 ↓ ##
## -↓- 구분선 -↓- ##

[ 프리미엄 장비 ]
## -↓- 1랭 -↓- ##
I 랭크
## ↓ 1행 ↓ ##
파일:WarThunder_A13_Mk_I_(3rd_R.T.R.).png
파일:WarThunder_Alecto_I.png
## ↓ 2행 ↓ ##
## ↓ 3행 ↓ ##
파일:WarThunder_Independent.png
파일:WarThunder_A13_Mk_II_1939.png
## ↓ 4행 ↓ ##
## -↓- 2랭 -↓- ##
II 랭크
## ↓ 1행 ↓ ##
파일:WarThunder_Crusader_The_Saint.png
파일:WarThunder_A.C.I.png
## ↓ 2행 ↓ ##
## ↓ 3행 ↓ ##
파일:WarThunder_Cromwell_V_(RP-3).png
파일:WarThunder_Matilda_Hedgehog.png
## ↓ 4행 ↓ ##
## ↓ 5행 ↓ ##
파일:WarThunder_Grant_I.png
## ↓ 6행 ↓ ##
## ↓ 7행 ↓ ##
파일:WarThunder_AEC_Mk_II.png
## ↓ 8행 ↓ ##
## -↓- 3랭 -↓- ##
III 랭크
## ↓ 1행 ↓ ##
파일:WarThunder_Achilles_(65_Rg.).png
파일:WarThunder_Excelsior.png
## ↓ 2행 ↓ ##
## ↓ 3행 ↓ ##
파일:WarThunder_Sherman_IC_Trzyniec.png
파일:WarThunder_Churchill_Crocodile.png
## ↓ 4행 ↓ ##
## ↓ 5행 ↓ ##
파일:WarThunder_A.C.IV.png
파일:WarThunder_Comet_I_Iron_Duke_IV.png
## ↓ 6행 ↓ ##
## ↓ 7행 ↓ ##
파일:WarThunder_QF_3.7_Ram.png
## ↓ 8행 ↓ ##
## -↓- 4랭 -↓- ##
IV 랭크
## ↓ 1행 ↓ ##
파일:WarThunder_Black_Prince.png
## ↓ 2행 ↓ ##
## ↓ 3행 ↓ ##
파일:WarThunder_Strv_81_(RB_52)_(Great_Britain).png
## ↓ 4행 ↓ ##
## ↓ 5행 ↓ ##
파일:WarThunder_Centurion_Action_X.png
## ↓ 6행 ↓ ##
## -↓- 5랭 -↓- ##
V 랭크
## ↓ 1행 ↓ ##
파일:WarThunder_Centurion_Mk.5_AVRE.png
파일:WarThunder_Centurion_Mk.5_1.png
## ↓ 2행 ↓ ##
## -↓- 6랭 -↓- ##
VI 랭크
## ↓ 1행 ↓ ##
파일:WarThunder_Sho't_Kal_Dalet_(Great_Britain).png
파일:WarThunder_Rooikat_105.png
## ↓ 2행 ↓ ##
## ↓ 3행 ↓ ##
파일:WarThunder_Challenger_DS.png
파일:WarThunder_Khalid.png
## ↓ 4행 ↓ ##
## -↓- 7랭 -↓- ##
VII 랭크
## ↓ 1행 ↓ ##
파일:WarThunder_Challenger_2_(YouTube_Cup).png
## ↓ 2행 ↓ ##





1. 개요
2. 1랭크
2.2. 스튜어트 III
3. 2랭크
3.1. 발렌타인 계열
3.1.2. 발렌타인 XI
3.1.3. 발렌타인 IX
4. 3랭크
4.1. 처칠 III/NA75 계열
4.1.1. 처칠 III
4.1.2. 처칠 NA75
4.2. 처칠 VII
5. 4랭크
6. 5랭크
7. 6랭크
7.1. 빅커스 Mk.3
7.2. 빅커스 Mk. 11
7.3. VFM5
8. 7 랭크



1. 개요[편집]


마틸다로 시작해서 빅커스 Mk.7으로 끝나는 트리.

2랭크부터 시작하며 마틸다와 3인치 건 캐리어, 처칠mk.1이 등장한다.
마틸다는 옆동네 게임을 하고 온 사람이라면 조금 실망할 수도 있을 정도로 엄청 쌘 편은 아니고 그냥 적당히 영국한 영국전차다.
반면에 3인치 건 캐리어는 온갖 조롱과 욕을 먹는 옆동네와 다르게 멀쩡하다 못해 준수하기도 한 전차다.
처칠 Mk.1은 76mm 부포가 유일하게 달린 처칠 시리즈인데, 부포가 뭔가 미리가 크다 싶어서 기대하고 써보면 알겠지만 고폭탄만 나간다. 그래도 처칠시리즈 첫단추인 만큼 처칠스럽게 단단한 편이라 상당히 쓸만하다.

3랭크는 처칠 Mk.3, Mk.7이 등장하는데, 넘버링이 뒤로 갈수록 주포도 강해지고 방어력도 높아지지만 그만큼 기동력을 버린다.
끝의 처칠 Mk.7에 와서는 최고속도는 24km/h밖에 안된다. 그러나 단단해진만큼 넉넉하고 든든한 플레이가 보장된다.

4랭크는 FV4202가 등장하는데, FV4202는 중형이라 이 트리에 왜 있나 싶지만, 일단은 머리가 단단하기 때문에 나름 중전차스러운 역할을 한다 생각해서 넣은게 아닐까 싶은데, 또 이것도 웃긴게 정작 중전차로 표기되어 등장하는 카나본보다 FV4202가 더 단단하고 생존력이 높다.
아무튼 이때부터는 처칠처럼 전방의 공격을 막아가면서 돌입하는 보병중전차로써 플레이하는 것보단 자신의 강점을 이용해 라인을 고정하고 적을 묶는 형식의 플레이를 해야한다. 이 점은 중형전차 라인과도 일맥상통한다.
이전에는 카나본이 위치해 있었지만 테크트리 개편으로 중형전차 트리로 옮겨갔다.

5랭크부터는 본격적으로 중전차와는 전혀 동떨어진 컨셉의 전차들이 나오기 시작하며, 영국의 수출형 MBT인 빅커스 Mk.1과 빅커스 Mk.3이 등장한다. 장갑과 기동성에 크고 작은 하자가 있지만 화력이 상당히 좋아 냉전 초기 영국 장비들 중에선 가장 운용하기 좋다. 이전에는 컨커러가 위치해 있었지만 테크트리 개편으로 중형전차 트리로 옮겨졌다.

6랭크에선 뜬금없이 경전차인 VFM5가 나온다. 영국 지상군에 경전차 트리가 없어서 여기에 추가한듯 하다. 이후 다른 국가들과 마찬가지로 중전차 트리 마지막에 MBT인 빅커스 Mk.7이 등장하게 되었다.




2. 1랭크[편집]


본래 크루세이더 전차들이 있었으나 1.95 패치로 중형전차 트리로 옮겨갔고 1.99 패치로 스튜어트들이 1랭크를 채우게 되었다.


2.1. 스튜어트 I[편집]


Stuart I
[ 펼치기 · 접기 ]
영국 육군 중전차 · MBT 트리
파일:uk_m3_stuart.png
이전 차량현재 차량다음 차량
(시작)스튜어트 I스튜어트 III
영국 육군 중전차 · MBT 트리는 1랭크 스튜어트 I부터 2랭크 처칠 I까지 트리로 연계되어 있기 때문에 1랭크 스튜어트 I 이후부터 연구를 건너 뛸 수 있는 차량이 없다.
영국 육군 중전차 · MBT 트리는 3랭크 처칠 III부터 6랭크 빅커스 Mk.7까지 트리로 연계되어 있기 때문에 3랭크 처칠 III 이후부터 연구를 건너 뛸 수 있는 차량이 없다.


2.2. 스튜어트 III[편집]


Stuart III
[ 펼치기 · 접기 ]
영국 육군 중전차 · MBT 트리
파일:uk_m3a1_stuart.png
이전 차량현재 차량다음 차량
스튜어트 I스튜어트 III마틸다 III


3. 2랭크[편집]



3.1. 발렌타인 계열[편집]



3.1.1. 발렌타인 I[편집]


Valentine I
Tank, Infantry, Mk III, Valentine I
보병전차 Mk III 발렌타인 I
[ 펼치기 · 접기 ]
영국 육군 자주포 · 대전차 차량 트리
파일:uk_valentine_mk_1.png
이전 차량현재 차량다음 차량
다임러 Mk.II발렌타인 I발렌타인 XI

필요 RP7,900가격(라이언)7,000

  • 차량 성능
차종중형전차랭크2BR2.7/2.3/2.3
중량15.7 톤최대속도26.7 km/h포탑회전 속도초당 15.2°
엔진 출력213 마력, 1,850 RPM등반각40°부앙각-15 / 20°
차체장갑정면 60측면 60후면 60최대 수리 코스트570/740/1,000
포탑장갑정면 60측면 60후면 65무료 수리 시간41분/1시간 22분/1시간 02분

  • 주무장
명칭장전속도사용 탄종휴행탄수
40 mm QF 2파운더 전차포×13.6 초AP, HE, APCBC61 발
탄종명칭가격탄자중량포구초속관통력 (100m)관통력 (500m)관통력 (1000m)
APMk.1 AP/T 포탄무료1.08 Kg853m/초68mm52mm37mm
APCBCMk.1 APCBC/T 포탄101.24 Kg687m/초83mm64mm46mm
APMk.1 APHV/T101.08 Kg853m/초78mm67mm56mm
APHEMk.1 AP/T 포탄101.08 Kg792m/초62mm49mm36mm

  • 부무장
명칭장전속도사용 탄종휴행탄수
7.7mm Vickers machine gun×1기본3,500 발
탄종명칭가격탄자중량포구초속관통력 (100m)관통력 (500m)관통력 (1000m)
기본기본무료9mm7mm4mm

발렌타인 순항전차의 시작인 기종으로 다른 1랭크 영국 전차들과 마찬가지로 40mm QF 2파운더 전차포를 탑재하였다. 관통력은 적절한 수준으로 동랭크 적 전차를 관통하는데 무리는 없으나, 80mm 미만의 관통력으로는 자주 만나게되는 상위 BR의 M4A1 셔먼과 T-34를 상대하기에 관통력이 부족하여 정면에선 차체와 포탑 사이의 포탑링을 노리거나, 측후면을 공략해야 한다. 또한 철갑탄 고유의 문제점으로 인해 관통하였다 하더라도 적은 파편량으로 적을 격파하는데 약간의 어려움이 존재한다.

차체를 둘러싼 60mm 장갑과 30mm 경사장갑은 발렌타인 순항전차 최고의 장점으로서, 자신보다 하위 BR의 전차들을 상대로 금강불괴의 방호력을 자랑하며, 설령 상위 BR이라 할지라도 먼 거리라면 충분한 방호력을 지닐 수 있게 해준다.

다만, 차체 정면의 60mm 수직장갑 구간은 절대 보여주지 말자. 이는 모든 발렌타인 순항전차 시리즈 공통으로서 항상 적을 상대할때엔 장애물이나 언덕으로 차체 정면을 가리거나 평지에선 건물이나 바위 뒤에 차체 정면을 가리고 측면으로 각을 주어 역티타임을 잡고 상대해야 한다. 또한 상위 BR 상대론 근거리에서 포탑이 관통당하기에 주의해야 하며, 더군다나 승무원 또한 고작 3명에 불과하기에 포탑이든 차체 정면이든 뚫린다면 바로 차고로 쫒겨나게 된다.


3.1.2. 발렌타인 XI[편집]


Valentine XI
Tank, Infantry, Valentine XI
보병전차 발렌타인 XI
[ 펼치기 · 접기 ]
영국 자주포 · 대전차 차량 트리
파일:uk_valentine_mk_11.png
이전 차량현재 차량다음 차량
발렌타인 I발렌타인 XI발렌타인 XI
(필수 연구 X)
아쳐
(발렌타인 XI에서 바로 연구 가능)

필요 RP9,200가격(라이언)15,400

* 차량 성능
차종중형전차랭크2BR3.0/3.0/3.0
중량18 톤최대속도26 km/h포탑회전 속도초당 13.2°
엔진 출력266마력, 1850RPM등반각°부앙각-12 / 20°
차체장갑정면 60측면 50후면 60최대 수리 코스트750
포탑장갑정면 65측면 60후면 65무료 수리 시간1시간 25분


  • 주무장
명칭장전속도사용 탄종휴행탄수
75 mm OQF Mk.V 전차포×16.5 초AP, APCBC, HE45 발
탄종명칭가격탄자중량포구초속관통력 (100m)관통력 (500m)관통력 (1000m)
APM72무료6,3 Kg619m/초88mm78mm67mm
APCBCM61206.8 Kg618m/초100mm89mm77mm
HEM48무료6.3 Kg463m/초10mm10mm10mm
연막M8983 Kg259m/초치장 반경: 13m
소요 시간: 5초
지속 시간: 20초

  • 부무장
명칭장전속도사용 탄종휴행탄수
7.92mm BESA 기관총 ×1기본1574 발
탄종명칭가격탄자중량포구초속관통력 (100m)관통력 (500m)관통력 (1000m)
기본기본무료12mm7mm4mm

기존의 발렌타인 전차의 개량형으로 40mm QF 2파운더 전차포보다 훨씬 위력적인 75mm QF Mk.V 전차포를 탑재하였다. 비슷한 BR의 순항전차인 크롬웰 V과 비교하면 주행 속도가 느리지만 경사장갑과 중장갑을 채택하여 동랭크대의 크롬웰 V보다 방호력이 상대적으로 괜찮은 편이다 전차 중량 역시 18톤으로 상당히 가벼운 편. 하지만 여기까지가 장점이고 단점도 있는 법. 이 녀석의 엔진 마력을 보자 아케이드 기준 200마력에 불과하고 풀업 한다해도 300마력 부근이다. 크롬웰 V가 기본 마력이 900이고 풀업시 1100마력인걸 생각하면... 아케이드가 이정도인데 리얼은 약 150마력이다.더 이상 설명이 필요한가? 더군다나 최대속력 26km로 제한을 두어서 가뜩이나 구린 마력에 족쇄를 채워 분명 중형전차분류로 되어있는데 움직임은 중전차스럽게 변해버렸다. 피봇턴역시 안되고 후진은 -3km니 각을 잘잡아야하는 전차. 크롬웰 V 보다 느린 포탑선회속도는 덤.

앵글을 전혀 주지 않았을 때의 장갑은 얇지만 각진 형태의 차체 덕분에 45도로 티타임을 잡으면 실질 방어력은 80~90수준이므로 해당 BR대의 일반 전차 포탄정도는 튕길 수 있다. 물론 구축전차들은 어느 국가든 BR대비 관통력이 좋기 때문에 운이 좋아야 한두번 튕기는 정도다. 가장 좋은 포지션은 좋은 부각을 이용해서 헐다운으로 적을 저격하는 것이지만, 상대를 봐가면서 밀어붙이더라도 제값은 한다.

주포는 100밀리 정도의 관통력을 보이는데, 이 BR대를 생각하면 나쁘지 않다. 포탄도 생 철갑탄 뿐이지만 구경이 구경이라 파편량도 나쁘지 않다. 다만 작약탄처럼 한번에 전차를 사살하지 못할 가능성이 높으므로 포탑을 먼저 무력화 시키는 습관을 들이는게 좋다. 어차피 대부분의 전차는 포탑에 인원이 집중되기 때문에 이 편이 승무원 사살에도 유리하다.

이 전차의 가장 큰 단점은 의외로 엔진이 아니라 승무원 숫자다. 승무원이 단 3명뿐이기 때문에 뚫리면 죽는다고 봐야한다. 때문에 위에서 설명한 것 처럼 상대가 나를 뚫을 수 있는가? 를 잘 저울질 해서 운용하는게 중요하다.

정리하면, 기동성을 포기하는 대신에 장갑과 주포를 얻은 전차다. 장갑은 적의 포탄을 어느정도 막아낼 수준은 되지만 생존성이 뛰어나지는 않기 때문에 자리를 잘 잡고 사격하는게 중요하다. 후진이 워낙 느려서 자리잡고 사격하기 좋은 리얼리스틱을 더 추천한다. 참고로 리얼리스틱 BR은 2.7이다.


3.1.3. 발렌타인 IX[편집]


Valentine IX
Tank, Infantry, Valentine IX
보병전차 발렌타인 IX
[ 펼치기 · 접기 ]
영국 육군 자주포 · 대전차 차량 트리
파일:uk_valentine_mk_9.png
이전 차량현재 차량다음 차량
발렌타인 XI발렌타인 IX
(필수 연구 X)
아쳐
(발렌타인 XI에서 바로 연구 가능)

필요 RP(입력)가격(라이언)(입력)

  • 차량 성능
차종랭크BR
중량최대속도km/h포탑회전 속도초당 °
엔진 출력256 마력, 1850 RPM등반각°부앙각-12 / 20°
차체장갑정면측면후면최대 수리 코스트
포탑장갑정면측면후면무료 수리 시간

  • 주무장
명칭장전속도사용 탄종휴행탄수
57 mm 6파운더 OQF Mk.III 전차포x15.2초53발
탄종명칭가격탄자중량포구초속관통력 (100m)관통력 (500m)관통력 (1000m)
APMk.5무료2.8 Kg815m/초97mm82mm66mm
APMk.5 HV202.8 Kg853m/초104mm87mm70mm
APCMk.8202.87 Kg853m/초106mm89mm72mm
APCBCMk.9203.23 Kg801m/초118mm101mm84mm
HEMk.10무료2.79 Kg655m/초9mm9mm9mm

  • 부무장
명칭장전속도사용 탄종휴행탄수
×기본
탄종명칭가격탄자중량포구초속관통력 (100m)관통력 (500m)관통력 (1000m)
mmmmmm

57mm 6파운더 QF Mk.III 전차포를 탑재한 발렌타인 전차이다. 75mm보다 구경이 작은 57mm 전차포를 사용하여서 관통력과 위력을 의심하지만 오히려 빠른 장전 속도와 빠른 탄속, 우수한 관통력을 겸비하고 있다 덕분에 장거리 교전에서 큰 활약을 하고 기관포를 탑재하였거나 포탄의 탄속과 관통력이 미흡한 일본군 전차를 손쉽게 격파하나 동축 기관총이 존재하지 않으며 아케이드 배틀레이팅이 3.3(리얼리스틱 3.0)이기에 근거리 전투나 시가지 전투에서는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3.2. 마틸다 III[편집]


Matilda III
Tank, Infantry, Mk IIA*, Matilda III (A12)
보병전차 마틸다 III Mk.IIA* (A12)
[ 펼치기 · 접기 ]
영국 육군 중전차 · MBT 트리
파일:uk_a_12_mk_2_matilda_2.png
이전 차량현재 차량다음 차량
스튜어트 III마틸다 III마틸다 III

필요 RP11,000가격(라이언)38,000

  • 차량 성능
차종중전차랭크2BR3.0/3.0/3.0
중량27.3 톤최대속도24 km/h포탑회전 속도초당 7.1°
엔진 출력212 마력, 2,000 RPM등반각40°부앙각-20 / 10°
차체장갑정면 75측면 70후면 55최대 수리 코스트1,030/780/1,060
포탑장갑정면 75측면 75후면 75무료 수리 시간2시간 46분/3시간 27분/3시간 54분

  • 주무장
명칭장전속도사용 탄종휴행탄수
40mm QF 2파운더 전차포 ×13.6 초AP, HE, APCBC, APHE110 발
탄종명칭가격탄자중량포구초속관통력 (100m)관통력 (500m)관통력 (1000m)
APMk.1 AP/T 포탄무료1.1 Kg792m/초68mm52mm37mm
HEMk.2무료1.34 Kg687m/초4mm4mm4mm
APCBCMk.1 APCBC/T 포탄31.2 Kg792m/초83mm64mm46mm
APMk.1 APHV/T31.08 Kg853m/초78mm67mm56mm
APHEMk.1 AP/T 포탄31.08 Kg792m/초62mm49mm36mm

  • 부무장
명칭장전속도사용 탄종휴행탄수
7.92mm BESA machine gun×1기본4,000 발
탄종명칭가격탄자중량포구초속관통력 (100m)관통력 (500m)관통력 (1000m)
기본기본무료12mm7mm4mm

사막의 여왕! 그 유명한 마틸다 전차이다. 고증과 같게 굉장히 느리다. 최대 속도는 24km/h로 이 BR대 영국전차들은 사실 크루세이더를 제외한다면 그리 빠르지 않다. 옆동네같이 동티어들의 포탄을 전부 튕겨버리고 죄다 뚫으면서 휩쓸고다니는 플레이를 생각하면 큰 오산이다! 현실의 마틸다를 생각하고 타면 곤란하다. BR이 2.7로 내려가는(리얼 기준) 간접적 상향을 받았지만 심심하면 3.0으로 끌려가 고통을 받는다. 그래도 BR이 낮아져서 전처럼 T-34나 KV-1보다는 현실에서 주로 상대하던 단포신 4호 전차나 3호 전차들, 경전차들을 주로 상대하게 되어 2파운더의 장점인 빠른 연사속도와 곧은 탄도의 장점을 살리기 한결 용이해진 것은 사실이다. 하지만 상당히 느린데다가 장갑도 생각보다는 물살, 있으나 마나한 철갑유탄으로 인해 기습에는 대단히 취약하다. 경전차급과 3호, 4호는 일단 만나게 된다면 충분히 관통이 가능하지만, T-34는 측, 후방에서 선제공격을 가하는 경우에만 격파가 가능하고 KV-1은 영거리 사격을 해도 뚫을까말까 할 정도다. 그리고 포방패가 뚫리면 옹기종기 모여있는 전차장,장전수,포수가 사이좋게 넉다운당하기도 한다. 사실 단포신 4호 전차를 만난다고 해도 안전하게 이긴다고 보장을 할수도 없는게 4호 전차에겐 100mm의 관통력을 자랑하는 HEAT탄이 있기 때문에...

이렇게 써놓으면 단점만 가득해 보이지만 사실 나름대로의 장점 역시 존재한다. 먼저 2.0대 BR의 영국군 전차 중에 유일하게 4명이 탑승해 그나마 생존에 능하다는 점, 포탑의 회전속도가 상당히 빠르고 장갑 역시 낮아진 BR로 간접상향을 받은 점, 2파운더 특유의 고속 재장전과 멀리까지 곧게 나가는 탄도, 부각이 -20도로 워썬더에서 최강급 부각을 가지고 있다는 점 등으로 시가전 등 난전에서는 큰 힘을 발휘한다. ASU-57이 들이받았을 때 주포로 격파가 가능한 몇 안되는 전차 중 하나이다. 차체 하부에 두께가 22mm밖에 되지 않는 부분이 있어 약점이라 생각할 수 있으나, 내부 구조물이 구현되어 오히려 제일 튼튼한 부분이 되었다.


3.3. 처칠 I[편집]


Churchill I
Tank, Infantry, Mk IV, Churchill I (A22)
보병전차 Mk IV 처칠 I (A22)
[ 펼치기 · 접기 ]
영국 육군 중전차 · MBT 트리
파일:uk_a_22_mk_1_churchill_1941.png
이전 차량현재 차량다음 차량
마틸다 III처칠 I(처칠 III)
(해당 차량과의 트리 연계 X)

필요 RP14,000가격(라이언)55,000

  • 차량 성능
차종중전차랭크2BR3.0/3.0/3.0
중량37.8 톤최대속도31 km/h포탑회전 속도초당 14.3°
엔진 출력310 마력, 2,000 RPM시인성87%부앙각-15 / 20°
차체장갑정면 89측면 63후면 50최대 수리 코스트1,440/2,020/2,440
포탑장갑정면 102측면 89후면 89무료 수리 시간3시간 52분/7시간 45분/7시간 45분

  • 주무장
명칭장전속도사용 탄종휴행탄수
40mm QF 2파운더 전차포 ×13.6 초AP, APCBC, APHE110 발
탄종명칭가격탄자중량포구초속관통력 (100m)관통력 (500m)관통력 (1000m)
APMk.1 AP/T 포탄무료1.1 Kg792m/초68mm52mm37mm
APCBCMk.1 APCBC/T 포탄201.2 Kg792m/초83mm64mm46mm
APMk.1 APHV/T201.08 Kg853m/초78mm67mm56mm
APHEMk.1 AP/T 포탄201.08 Kg792m/초62mm49mm36mm

명칭장전속도사용 탄종휴행탄수
76mm OQF 3인치 곡사포 Mk.I ×18.1 초HE, 연막탄58 발
탄종명칭가격탄자중량포구초속관통력 (100m)관통력 (500m)관통력 (1000m)
HE3인치 마크 II무료6.02 Kg210m/초10mm10mm10mm
연막3인치 연막탄103.18 Kg210m/초치장 반경: 13m
소요 시간: 5초
지속 시간: 20초

  • 부무장
명칭장전속도사용 탄종휴행탄수
7.92mm BESA machine gun×1기본4,950 발
탄종명칭가격탄자중량포구초속관통력 (100m)관통력 (500m)관통력 (1000m)
기본기본무료12mm7mm4mm

뒤로 있을 처칠 Mk.3, Mk.7의 초석인 Mk.1이다. 처칠의 첫 시리즈지만 나름 처칠은 처칠이라고 BR대비로 따지자면 어느정도 단단한 편이다. 전면 장갑이 80~100이며 머리는 110까지도 올라간다. 다만 약점이 이곳저것 있어서 아케이드에서는 한두발정도 막다가 방심하면 뚫릴 수 있는 그런 '약간' 수준의 단단함만 보유하고있다.

주포로 2파운더 포를 사용하는데, 처칠 1은 셔먼이나 T-34를 확정적으로 만나기 때문에 화력은 3.3BR에서 최하위권에 있다고 보아도 무방하다. 마주치는 대부분의 전차를 전면에서 관통할수 없어서 반강제로 측면을 노려야 하는데 처칠의 처참한 기동성 때문에 측면 우회는 불가능에 가깝다.
독특한 점은 옆동네 처칠 Mk.1이랑은 다르게 하단 차체에 부포를 쓸 수 있다는 점인데, 76mm로 나름 구경도 쌈박한 편이지만, 고폭탄과 연막탄만 쓸 수 있기때문에 이렇다할 화력 어드밴티지는 없다. 이 차체포는 주로 연막탄을 쏘는데 사용하게 된다.

당연하지만 처칠시리즈 답게 이 녀석도 굉장히 굉장히 굉장히 느린 기동력을 보이는데 그래도 제일 초창기 처칠이라서인지 제일 빠른 축에 속한다...만 28km/h밖에 안되어 우울하기 짝이 없으며, 후진은 빨라봐야 5km/h 내외.


4. 3랭크[편집]



4.1. 처칠 III/NA75 계열[편집]



4.1.1. 처칠 III[편집]


Churchill III
Tank, Infantry, Mk IV, Churchill III (A22)
전차, 보병 Mk.IV 처칠 III (A22)
[ 펼치기 · 접기 ]
영국 육군 중전차 · MBT 트리
파일:uk_a_22b_mk_3_churchill_1942.png
이전 차량현재 차량다음 차량
(처칠 I)
(해당 차량과의 트리 연계 X)
처칠 III처칠 VII
영국 육군 중전차 · MBT 트리는 3랭크 처칠 III부터 6랭크 빅커스 Mk.7까지 트리로 연계되어 있기 때문에 3랭크 처칠 III 이후부터 연구를 건너 뛸 수 있는 차량이 없다.

필요 RP(14000)가격(라이언)(80000)

  • 차량 성능
차종중전차랭크3BR4.3
중량최대속도24km/h포탑회전 속도초당 °
엔진 출력마력, RPM등반각°부앙각- / °
차체장갑정면 89정면 76후면 50최대 수리 코스트
포탑장갑정면 89측면 76후면 76무료 수리 시간

  • 주무장
명칭장전속도사용 탄종휴행탄수
57 mm 6파운더 QF Mk.III 전차포×15.2 초AP, AP, APC, APCBC, HE65 발
탄종명칭가격탄자중량포구초속관통력 (100m)관통력 (500m)관통력 (1000m)
APCMk.5무료2.8 Kg815m/초111mm94mm76mm
APMk.5 HV302.8 Kg853m/초111mm93mm75mm
APCBCMk.9303.23 Kg801m/초127mm110mm91mm
HEMk.10무료2.79 Kg655m/초9mm9mm9mm

  • 부무장
명칭장전속도사용 탄종휴행탄수
×기본
탄종명칭가격탄자중량포구초속관통력 (100m)관통력 (500m)관통력 (1000m)
mmmmmm

APCR에 뻥뻥 바람구멍이 나며 궤도 안쪽에 약점이 존재 하기 때문에 각을 안준 방호력은 의외로 매우 약한 편.(4호 F2는 물론이고 88이라던가 T-34 1942를 주의하자.) 게다가 포탑의 방호력은 처칠 Mk1보다도 떨어진다. 때문에 거의 45도 가까이 각을 주며 앞으로 툭 튀어나온 궤도로 차체 전면을 완전히 가려버리도록 각을 주는 전술이 처칠7과 블랙프린스까지 쓰이게 된다. 다만 그래도 포탑 전면이 비교적 약하므로 발포시가 아니면 각을 주자. 4초에 한번씩 도리도리
티타임유지하고 앞으로 나가면 궤도가 손상되고 샌드백이돼서 터질때까지 얻어맞는다. 또 적들이 각준 처칠은 답이 없다고 생각하는지 포탑이나 궤도 양쪽 문짝에 있는 탄약고를 노려 폭사시킨다. 주의하자. 이건 마크7까지 공통이다.

KV-1 (Zis-5)보다 BR 0.3 더 낮은 점과 빠른 재장전 속도를 제외한다면 완벽한 하위호환이다. 주포의 재장전이 빠르다고 하지만 그놈의 관통력이 발목을 잡아서 상대 중전차는 정확한 약점을 노리지 않는 이상 격파는 상당히 어렵다. 그래도 6파운더보다도 관통력이 떨어지는 75mm 포를 단 밑의 처칠 Mk7 보다는 덜 답답하다.

1.69 서버 패치로 2랭크에서 3랭크로 옮겨졌다.


4.1.2. 처칠 NA75[편집]



북아프리카 전선에서 처칠 IV에게 M4 셔먼의 포방패와 75mm 포를 장착시킨 현지 개조 사양. 이로 인해 NA75 (North Africa 75) 라는 이름이 붙었다.

영국 트리에선 보기 힘든 작약탄을 사용하는 전차로, 관통만 한다면 대부분의 전차를 1방에 보내버릴 수 있다. 문제는 이 전차가 4.3 이라는 BR에 배치되었다는 것으로, BR은 올라갔지만 처칠 III과 동일한 수준의 장갑을 가지고 있어 주적인 장포신 4호 전차들에게 속절없이 뚫린다. 그나마 미국의 75mm나 소련의 76mm 탄 정도는 막아 볼 수 있으나, 대부분 업티어를 당해 별 의미는 없다.[1]

4.2. 처칠 VII[편집]


Churchill VII
Tank, Infantry, Mk IV, Churchill VII (A22F)
전차, 보병 Mk.IV, 처칠 VII (A22F)
[ 펼치기 · 접기 ]
영국 육군 중전차 · MBT 트리
파일:uk_a_22f_mk_7_churchill_1944.png
이전 차량현재 차량다음 차량
처칠 III처칠 VIIFV4202

필요 RP40,000가격(라이언)150,000

  • 차량 성능
차종랭크BR
중량최대속도21km/h포탑회전 속도초당 °
엔진 출력마력, RPM등반각°부앙각- / °
차체장갑152정면95측면40후면최대 수리 코스트
포탑장갑152정면95측면95후면무료 수리 시간

  • 주무장
명칭장전속도사용 탄종휴행탄수
×
탄종명칭가격탄자중량포구초속관통력 (100m)관통력 (500m)관통력 (1000m)
Kgm/초mmmmmm
Kgm/초mmmmmm
Kgm/초mmmmmm
Kgm/초mmmmmm
Kgm/초mmmmmm

  • 부무장
명칭장전속도사용 탄종휴행탄수
×기본
탄종명칭가격탄자중량포구초속관통력 (100m)관통력 (500m)관통력 (1000m)
mmmmmm

중전차 처칠 마크7은 중전차의 장점인 단단함에 모든 것을 걸어 아래 티어의 마크3보다 정면장갑을 더 강화하여 평균 150mm단위까지 끌어올려낸 보병전차다. 여기서 150mm 중장갑은 티타임하지 않은 순수 두께를 의미하며, 티타임 시에는 500m 외의 8.8cm 포도 비관통이 뜰 수 있는 막강함을 자랑한다. 궤도가 넓어 아군과 소통이 잘 된다면 엄폐물로써의 기능도 가능하며, 험지주파력 역시 나쁘진 않은 편이기 때문에 지형상관안하고 여기저기 굴러다닐 수 있다. 하지만 보병전차 처칠시리즈 특유의 끔찍한 기동력과 전 티어의 처칠 마크3의 6파운더 주포보다 암담한 75mm QQF 주포를 가지고 와 화력면에서도 애로사항이 꽃핀다.

2019년 2월 관통력 패치로 인해 영거리 기준 관통력 110mm에서 103mm로 너프되었다. 500m 기준으론 무려 89mm이기때문에 때문에 중형전차를 만날 때도 신중하게 쏴야한다.

처음 처칠 마크7을 출고하고 나면 그 엄청난 장갑에 한번쯤은 감탄해볼만 하다. 미국 트리에 있는 M4A3E2 점보 셔먼은 5.3 BR라는 애매한 BR[2]과 기관총구쪽, 측면의 치명적인 약점 때문에 삐끗하면 죽기 마련이지만 처칠 마크7는 머리, 차체, 심지어 기관총구까지 152mm 주조균질장갑, 후에 연구를 통해 전면에는 빽빽하게 궤도추가장갑(20mm)를 붙여 강화가 가능한 말그대로 떡장에 모든 것을 투자한 전차이기에 500m 외 기준으로 자탑방(~4.7) 기준으론 타의 추종을 불허하며, 적탑방(~5.7)의 흉악한 티거의 8.8cm도 티타임으로 막아낼 수도 있다. 보병전차답게 궤도가 길기 때문에 골목 시가전에서는 팀원과 소통하면 차체엄폐물로 활용이 가능하다. 그야말로 중전차의 역할 그 자체를 위해 태어난 전차와도 같다. 4.7탑방에서 살아남고 싶으면 추천한다.

처칠산맥은 처음부터 끝까지, 심지어 프리미엄을 하고, 다른 국가에서 팔아먹어도 영국 보병전차 전통의 끔찍한 기동력은 변하지 않는다. 카탈로그상으론 21km/h 정도를 달린다지만 리얼리스틱에선 해당 최고속도까지 달릴려면 내리막길에서 굴러야 한다.
후진속도는 영국답게 무려 3km/h(...).대영제국의 기사에게 후퇴란 없다.

후진속도가 느린만큼 후퇴가 사실상 불가능하다는 걸 감안하며, 아군을 도와 아군의 라인배틀 위치를 조금씩 조여가도록 하자.

게다가 추가장갑 업그레이드가 있어서 장착한다면 궤도릏 추가장갑으로 붙이는데, 터렛 전면이 포함된다. 즉 영거리하도 티거의 8,8cm를 약간 각을 주면 포탑의 경우 모서리 제외 막아낼수 있으며 관통력을 약간 포기하고 작약을 늘린 Pzgr. 탄의 경우 각을 안줘도 막아낼수 있다. 터렛 측면에도 붙은데 이 측면장갑+궤도는 75mm 셔먼의 APCBC를 거의 90°로 맞지 않는다면 영거리에서조차 방어해주는 상당히 좋은 장갑이다. 만약 75mm 셔먼을 타는데 처칠 Mk.7을 잡아야한다면 차체 측면이나 터렛 후방을 노려야한다.

의외의 약점이 2군데 있다. 첫번째는 터렛 상부인데, 두께도 20mm로 얇은데 문제는 이게 평편한 판이 아니고 약간 각이 있어서 앞에서 보이는 부분이다. 즉 경사도는 높지만 튕겨내지 못하고 관통당할수 있는데, 평지에서도 노려질수 있는 약점이고 적이 처칠보다 약간이라도 윗쪽에 있다면 관통력이 낮은 포에도 뚤릴수 있다. 정면에서 처칠 Mk.7을 잡을 가망이 없다면 이 곳을 계속 노리고 쏘면 뚤릴수도 있다.
두번째는 엔진 좌, 우측의 구멍이다. 측면장갑이 95mm인데, 엔진 부분 양옆에만 구멍이 뚤려있다. 안쪽에는 엔진이 있는데 각을 준 상태에서 고관통 탄을 맞으면 엔진과 트랜스미션이 동시에 나갈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유효 방어력이 대략 13mm정도 나오는 부분이라 1티어 경전차에도 뚤려서 엔진이 피격될수 있는것이다.

대부분의 중장갑 탱크들이 업티어에서 만나는 높은 BR의 적에게는 장갑이 의미가 없지만[3] 처칠은 풀 업티어(5.7)를 당해도 생각보다 대놓고 처칠을 뚫는 적이 의외로 많지 않다.
판터는 각을 안준 152mm 주조장갑을 정면으로 보여주면 뚤리며 차체는 각을 줘서 막을수 있고, 터렛은 방어하기 힘들다. 티거의 경우 터렛도 각을 준다면 막을수도 있다. 프랑스의 M4A4 SA50이나 ARL은 처칠을 뚫을수 있지만 생철갑탄인데다가 애초에 프랑스 유저가 소수이다. 미국의 셔면중 점보제외 최종형인 M4A3E8(Easy 8)은 APCR을 지급받아서 뚫을수는 있긴 한데 APCR 자체가 너무 않좋은 탄이다. M36/M36B2 잭슨은 APCBC, HEAT-FS[4]으로 처칠을 관통한다.
즉 APHE로 처칠을 관통하려면 88/71, 10,5cm, 12,8cm를 5.x 또는 더 낮은 BR에서 사용하는 대신 오픈탑에 무장갑인 니스호른, 바펜트레거, 디커막스 그리고 슈투러 에밀, 또는 판터 같은 고관통 주포를 가진 차량을 가져와야하는것이다.
즉 처칠은 장갑이 매우 두꺼워서 의외로 5.7에서도 속도와 저관통 저피해량 주포만 고려하며 사용하면 그럭저럭 쓸만하다.

각을 줄때는 궤도가 정면장갑을 거의 다 가릴정도로 각을 주면 된다. 측면도 두꺼워서 측면맞고 뚫릴일은 거의 없다.
처칠의 75mm는 관통력이나 관통후 피해나 4.7의 최약체지만 에이스 기준 장전속도가 5초로 매우 빠르다. 어차피 적을 잡는건 경전차나 물장갑이 아니면 쉽지 않으니 빠른 장전과 두꺼운 장갑으로 적의 궤도와 주포를 무력화시키는게 좋다. 어차피 킬하기 쉽지 않으니 근처에 아군이 있다면 킬은 힘드니 주포와 궤도를 무력화시켜놓고 아군에게 킬을 맏기는것도 괜찮다.

76mm T-34 등의 저관통 주포를 가진 적이라면 영거리 측면이라도 정확히 90°로 맞는게 아닌이상 못뚫는 경우가 많으며 그래서 적 2~3대가 주포와 궤도를 무력화시켜놓고 옆으로 와서 계속 뚫리지도 않는 부위를 쏴대고 있는 경우가 흔하다. 다운티어면 처칠 정면을 뚫는 적이 정말 거의 없으니 적이 여럿이면 적 하나 궤도 부수고 다음 적도 궤도를 부수는게 좋다. 그러면 어차피 처칠의 정면을 못뚫는 적들은 주포, 궤도 맞추는거 말고는 할수 있는게 없다.

정면에서 처칠을 관통 불가능한 적의 구동/포 중 하나라도 무력화시키지 못했다면, 적은 주포를 부수려 할텐데 장전하는동안 포를 마구 움직여서 주포가 박살나는것을 피해야한다. 차체도 같이 움직여주면 더 좋다.


5. 4랭크[편집]



5.1. 채리오티어 Mk.VII[편집]


Charioteer Mk VII
[ 펼치기 · 접기 ]
영국 육군 자주포 · 대전차 차량 트리
파일:uk_charioteer_mk_7.png
이전 차량현재 차량다음 차량
어벤저채리오티어 Mk.VII토터스

필요 RP46,000가격(라이언)170,000

  • 차량 성능
차종중형전차랭크IVBR5.7/6.3/6.0
중량30.0 톤최대속도57 km/h포탑회전 속도초당 10.7°
엔진 출력531 마력, 2550 RPM등반각°부앙각-5 / 10°
차체장갑정면 64측면 46후면 32최대 수리 코스트
포탑장갑정면 30측면 30후면 30무료 수리 시간

  • 주무장
명칭장전속도사용 탄종휴행탄수
84 mm 20파운더 OQF Mk.1 전차포 ×18.1 초APCBC, APDS, HE, 연막25 발
탄종명칭가격탄자중량포구초속관통력 (100m)관통력 (500m)관통력 (1000m)
APMk.1무료9.1 Kg1000 m/초229mm216mm201mm
APDSMk.3703.2 Kg1430 m/초283mm262mm239mm
HEMk.1무료7.5 Kg600 m/초15mm15mm15mm
연막20파운더 Mk.1 연막탄309.3 Kg250 m/초치장 반경: 13m
소요 시간: 5초
지속 시간: 20초

  • 부무장
명칭장전속도사용 탄종휴행탄수
7.62mm L3A1 기관총×1기본3,000 발
탄종명칭가격탄자중량포구초속관통력 (100m)관통력 (500m)관통력 (1000m)
AP, T기본무료9mm7mm4mm

1950년대에 개발된 대전차자주포이다. 자국의 전차 보유 댓수가 소련의 기갑장비의 대량 진격을 막기에 부족하다는 것을 깨달은 영국군이 크롬웰 전차의 차체를 기반으로 84mm 20파운더 QF Mk.1 전차포를 탑재하였다.

주행성은 크롬웰 전차와 비교하면 더 무거워진 전차포를 탑재하였기에 느리다. 7.3BR에서 주로 사용되는 20파운더 포를 훨씬 일찍 끌어다 쓰기 때문에 화력은 매우 좋다. 특히 APDS탄은 대단한 관통력을 지니고 있어서 중장갑 전차를 쉽게 관통할 수 있으며 탄속이 매우 빨라 장거리 전투에서도 효과적이다. 모든 크롬웰 기반 전차가 다 그렇듯 장갑은 영 좋지 않다. 만나는 랭크대의 전투기들이 조금만 쏴줘도 모듈파괴 내지는 격파당하는 수준이니 전투기들을 조심하자.

단점은 승무원이 전차장과 탄약수 그리고 운전병 이렇게 3명인 점[5]과 전차의 전체적인 장갑 방호력의 결여, 느린 후진 속도, 처참한 부앙각이다.

5.7이라는 애매한 BR이 발목을 잡는 아케이드와는 달리, 리얼리스틱에서는 그럭저럭 활약이 가능하다. 어차피 5.7이든 6.3이든 적 전차들이 채리오티어를 쉽게 부수는 건 매한가지라, 차라리 네임태그가 뜨지 않아서 기습공격이 가능한 리얼리스틱 쪽이 낫다. 게다가 이 쪽도 4랭크 전차들은 20파운더의 APDS로 쉽게 부술 수 있으므로 아케이드에 비해 그나마 평등한 싸움이 가능하다.


5.2. FV4202[편집]


FV4202
[ 펼치기 · 접기 ]
영국 육군 중전차 · MBT 트리
파일:uk_fv4202.png
이전 차량현재 차량다음 차량
처칠 VIIFV4202카나본

필요 RP63,000가격(라이언)200,000

  • 차량 성능
차종중형전차랭크4BR6.7 : 7.0 : 6.7
중량37톤최대속도km/h포탑회전 속도초당 21.8° : 18°
엔진 출력973마력 2700RPM : 510마력, 2700RPM등반각°부앙각- 10~20 °
차체장갑정면 51.2mm측면 51.2mm후면 31mm최대 수리 코스트4,833 : 6,547
포탑장갑정면 240mm측면 89.6mm후면 92.6mm무료 수리 시간3일 20시간 : 5일 13시간

  • 주무장
명칭장전속도사용 탄종휴행탄수
84mm 20파운더 OQF MK.1 전차포6.3초APCBC, APDS, HE, 20pdr Shell SS MK.150발
탄종명칭가격탄자중량포구초속관통력 (100m)관통력 (500m)관통력 (1000m)
APCBCMk.1무료9.1Kg1019 m/초218mm215mm189mm
APDSMk.32704Kg1430 m/초283mm262mm239mm
HEMk.1무료7.8Kg1019 m/초9mm9mm9mm
Smoke20pdr Shell SS Mk.19010Kg650m/초0mm0mm0mm

  • 부무장
명칭장전속도사용 탄종휴행탄수
7.62 mm L3A1기본 (AP, T)7500 발
탄종명칭가격탄자중량포구초속관통력 (100m)관통력 (500m)관통력 (1000m)
9mm7mm4mm

2016년 9월 29일 1.63 패치로 추가된 신규 중형전차. 센추리온 Mk.3와 동등한 20파운더 포를 쓰며 포탑 정면의 장갑 방호력이 최소 170mm에서 최대 240mm 수준. 고증상 센추리온 전차를 베이스로 한 실험용 전차였는데, 이 전차를 만드는 데 쓰인 설계사상은 치프틴으로 이어지게 된다. 돌머리란 점도 그렇고, 부앙각도 치프틴이랑 똑같으므로, 사실상 '열화판 치프틴' 한 별칭으로 정리된다.

포탑 장갑은 치프틴의 모태답게 정중앙으로 가면 갈수록 단단해진다. 포탑 최중심부는 120mm, 중심부는 240mm. 하지만 포신 바로 옆 부분은 포방패 없이 방호력이 120mm이라 약점에 해당한다.https://youtu.be/XtPgTZkpWbc?t=2m 그리고 포탑 바깥쪽 평평한 부분으로 갈 수록 방호력이 140mm정도까지 줄어든다. 따라서 포탑의 경우 방호력이 높긴 하지만 포신 방향으로만 방호력이 집중되어 있다.
그리고 차체 장갑의 경우 전방위 100mm 이하로 좋지 않은데, 차체 전면을 보면 조종수 옆에 위치한 탄약고가 있어서 피격 시 일격에 격파당할 가능성이 높다. 다른 차량들은 탄약고 앞에 위치한 변속기나 라디에이터가 탄약고를 막아주기라도 하지만, FV4202는 탄약고에 직격할 가능성이 높아 더더욱 이 문제점은 심각하게 다가온다. 차체장갑이 피격되면 탄약고 유폭이 일어나므로 차체를 노출하지 않아야 한다.

속도가 느린편이다. 센츄리온의 시속 35킬로미터보다 못한 32킬로미터다. 다른국가의 전차들은 적어도 내리막길이나 포장도로 위에서는 카탈로그상의 최고속도를 넘길수 있지만, 영국은 기계적으로 꼬박꼬박 속도제한을 걸어놓아서 어떠한 상황에서도 시속 32킬로미터 이상의 속도를 내지 못한다고 보면 된다. 기동성 관련 업그레이드를 모두 끝마쳐도 대전기 중전차와 맞먹는 답답한 기동성이 나온다.

주포인 20 파운더는 높은 관통력과 포구초속이 특징으로, 스톡탄의 관통력만 해도 200mm를 상회하고 장전속도와 포구초속도 17파운더 못지않게 빠르다. 그리고 2축 안정기를 갖추고있기때문에 관통력과 스태빌라이저를 이용한 플레이를 해야한다. 탄약고를 초탄에 노릴 수 있다면 가장 좋지만 일반적으로는 적의 공격기능을 봉쇄하고 차탄으로 승무원이나 탄약고 등을 타격하여 킬을 내는 방식으로 운용해야한다.

분철탄 버프 이후로 훌륭한 전차가 되었다. 분철탄 버프에 대해서는 센추리온 마크3과 궤를 같이 하므로 해당 전차 설명 참고.

부각은 영국전차 평균대로의 10도로. 적당히 낮은 언덕능선을 지고 헐다운이 가능하다. 포탑 전면의 방호력이 상당하여 헐다운을 시전하고있는 중에는 격파를 당하지는 않지만, 10도가 만능의 각도는 아니므로 꼭 낮은 능선이나 적당히 높은 엄폐물을 잘 찾아야 한다.

6. 5랭크[편집]



6.1. 빅커스 Mk.1[편집]


Vickers MBT
Vickers Main Battle Tank Mk.1
빅커스 MBT Mk.1
[ 펼치기 · 접기 ]
영국 육군 중전차 · MBT 트리
파일:uk_vickers_mbt_mk_1.png
이전 차량현재 차량다음 차량
카나본빅커스 MBT컨커러

필요 RP: 130,000
가격: 300,000

  • 차량 성능
차종중형전차랭크5BR7.7
중량38.1톤최대속도48km/h포탑회전 속도초당 23.5°
엔진 출력608 마력, 2,375RPM등반각42°부앙각-7 / 15°
차체장갑정면 60측면 30후면 20최대 수리 코스트8,686
포탑장갑정면 80측면40후면 40무료 수리 시간13일

  • 주무장
명칭장전속도사용 탄종휴행탄수
105mmL7A16.5초APDS,HESH44발
탄종명칭가격탄자중량포구초속관통력 (100m)관통력 (500m)관통력 (1000m)
APDSL28A1무료4Kg1478m/초302mm296mm277mm
HESHL35무료14.85 Kg730m/초127mm127mm127mm

  • 부무장
명칭장전속도사용 탄종휴행탄수
×기본
탄종명칭가격탄자중량포구초속관통력 (100m)관통력 (500m)관통력 (1000m)
mmmmmm

섬나라는 뭔가 통하는게 있는지 일제의 치리 2가 있다면 영국에는 이 전차가 있다. 물론 이 전차는 클립식이 아니라 삼연발로 쏘지는 못하지만 악랄하기는 이놈이 더 악랄하다. 장전속도가 최대 5초[6]이기 때문에 포탄을 분당 12발씩 뿌리고 다닌다. 다만 연사력에 취해 준비탄을 순식간에 다 써버리면 장전속도가 늘어나버리니 주의해서 쏘자.

기본적으로 APDS와 HESH탄을 탄값소모없이 지급받는다. 2020년 이후 HESH는 너프로 관짝에 들어갔으나 분리철갑탄이 예전에 비해서 굉장한 버프를 받았기 때문에 쓰기도 편하고 강한 분철탄을 쓰는 것이 정답이다. 거리를 재보기위한 축사총이 있지만 HESH와 탄낙차가 600~700m까지만 엇비슷할 뿐이지 저격하기에 그닥 도움이 되진 못한다.

APDS의 탄낙차가 적고 탄속이 굉장히 빠르지만 조준경 배율이 낮고 거리측정기가 없어서 저격하기엔 약간 부적합한 전차다. 특히 부각도 -7도로 영국 전차치곤 애매해서 헐다운 저격에는 그다지 맞지 않다. 거기다 분리철갑탄 계열 관통식 변경으로 거리가 벌어지면 경사장갑으로 도배된 소련 중전차 계열은 관통이 쉽지 않다. [7]그래도 이 둘을 제외한 어지간한 동랭크 전차들은 그리 힘들이지 않아도 관통 가능하다.

기동력은 풀업시 5랭크 영국전차 기준으론 상당히 빠르다. 하지만 미영소를 제외한 다른 국가들의 2세대 MBT랑 비교하면 좋다고 하기는 힘들다. 미국의 M60 패튼과 유사한 수준이라 장갑을 극단적으로 포기한 것에 비하면 좀 실망스러운 편으로, 직접 우회공격을 시도하는건 추천하기 힘들다.

장갑은 얇은 편이다. 무언가를 맞았다면 100% 뚫린다고 보면 된다. 사실상 기관포를 제외하면 아무것도 막지 못한다. 특히 측면장갑이 지나치게 부실한데, 두께가 20mm에 불과한 지점도 있어서 정확히 측면을 보여준 상태에서는 미국의 50구경이나 소련의 14.5mm에도 관통당할 수 있다.

영국 7.7점대 라인업 중에선 첫 타자로 꺼내기 가장 부담없는 괜찮은 성능의 전차로, 포격지원도 있고 5랭크 영국 전차의 고질적인 기동성 문제에서 어느 정도 자유롭고, 스테빌+5초 장전 105mm 분리철갑탄+좋은 포탑 회전 속도로 근접전에서 큰 우위를 가지고 있어서 초반 거점 근접전에서 강한 모습을 보여준다. 이 전차로 거점을 먹고 주변을 돌아다니면서 킬수를 올리다가 죽으면 어느 정도 라인이 형성된 이후일테니 컨커러나 스트라이커 같은 장비로 저격전을 하면 된다.





7. 6랭크[편집]



7.1. 빅커스 Mk.3[편집]


빅커스 Mk.1의 개량형이다. 장갑은 여전히 약하지만 화력이 크게 개선되었다. 레이저 거리측정기가 생기고, 대전차고폭탄이 추가되었다. 분리철갑탄 탄종이 L28A1에서 M728로 바뀌었다.


7.2. 빅커스 Mk. 11[편집]



7.3. VFM5[편집]


VFM5
Vickers/FMC VFM5
[ 펼치기 · 접기 ]

영국 육군 중전차 · MBT 트리
파일:uk_vfm_5.png
이전 차량현재 차량다음 차량
컨커러VFM5빅커스 Mk.7


차량 성능
[ 펼치기 · 접기 ]

국가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차종경전차랭크VIBR9.0
(AB)
9.0
(RB)
9.0
(SB)
승무원 인원4명
전차장
포수
조종수
탄약수
중량19.8 톤시인성81 %포탑 회전 속도38.1°/초
(AB)
23.8°/초
(RB)(SB)
엔진변속기전진 기어: 6단 | 후진 기어: 2단
엔진 출력868 마력 | 2400 rpm
(AB)
495 마력 | 2400 rpm
(RB)(SB)
최대속도전진: 78 km/h | 후진: 17.4 km/h
(AB)
전진: 70 km/h | 후진: 15.6 km/h
(RB)(SB)
차체 장갑
(전면/측면/후면)
38 mm44 mm25 mm남은 무료 수리 횟수10최대 수리비3,660파일:19px-Sl_icon.png
(AB)
3,100파일:19px-Sl_icon.png
(RB)
3,080파일:19px-Sl_icon.png
(SB)
포탑 장갑
(전면/측면/후면)
50 mm38 mm12 mm무료 수리 시간6일 09시간
(AB)
11일
(RB)
11일
(SB)
최대 장비 연구 효율V - VII 랭크
필요 RP390,000파일:13px-Rp_icon.png가격1,020,000파일:19px-Sl_icon.png전환 훈련 비용290,000파일:19px-Sl_icon.png보상 232%파일:13px-Rp_icon.png
(AB)(SB)(RB)
2.32×(100%)
(AB)(SB)(RB)
보상 130%파일:19px-Sl_icon.png
(AB)
보상 150%파일:19px-Sl_icon.png
(RB)
보상 150%파일:19px-Sl_icon.png
(SB)
1.3×(100%)
(AB)
1.5×(100%)
(RB)
1.5×(100%)
(SB)


광학 / 야시장비 성능
[ 펼치기 · 접기 ]

광학장비야간장비
확대12.0xNVD 종류포수야시경
전차장야시경
조종수야시경
거리 측정기 종류레이저 거리 측정기 (LR)적외선 탐조등 종류-
시야 FOV6NVD 성능포수야시경
전차장야시경
조종수야시경


주무장
[ 펼치기 · 접기 ]

명칭재장전 시간발사 속도사용 탄종탄약적재량
105 mm LRF cannon8.7 초
(기본)
6.89 발/분
(기본)
APFSDS (날개안정분리철갑탄)
HEATFS (날개안정식 대전차고폭탄)
HESH (점착유탄)
41 발
고저각회전각조준 속도수직 조준 속도주포 안정기장전 방식준비탄 적재소
-10° / +20°±180°38°/초
(AB)
24°/초
(RB)(SB)
17°/초
(AB)
6.2°/초
(RB)(SB)
2축수동 장전7 발
탄종명칭가격구경탄체중량포구초속폭약 종류폭약 질량
HEATFSM456A2무료105 mm10.5 kg1173 m/s콤포지션 B970 g
HESHM393A2110파일:19px-Sl_icon.png105 mm14.85 kg732 m/s콤포지션 A2.99 kg
APFSDSM735110파일:19px-Sl_icon.png105 mm3.7 kg1501 m/s--
APFSDSC76A1230파일:19px-Sl_icon.png105 mm3.6 kg1509 m/s--
탄종명칭TNT 당량신관 지연거리신관 민감도유도체계 유형사거리최소 발사 거리
격발 범위
HEATFSM456A21.27 kg0.05 m0.1 mm---
HESHM393A24.31 kg0.05 m0.1 mm---
APFSDSM735------
APFSDSC76A1------
탄종명칭착탄각도별 도탄확률
0%50%100%
HEATFSM456A265°72°77°
HESHM393A273°77°80°
APFSDSM73576°77°80°
APFSDSC76A178°80°81°
탄종명칭착탄각 0° 거리별 관통력
10m100m500m1000m1500m2000m
HEATFSM456A2400mm400mm400mm400mm400mm400mm
HESHM393A2127mm127mm127mm127mm127mm127mm
APFSDSM735353mm350mm342mm333mm322mm312mm
APFSDSC76A1334mm330mm323mm314mm306mm297mm
탄종명칭착탄각 30° 거리별 관통력
10m100m500m1000m1500m2000m
HEATFSM456A2346mm346mm346mm346mm346mm346mm
HESHM393A2127mm127mm127mm127mm127mm127mm
APFSDSM735274mm271mm265mm258mm250mm242mm
APFSDSC76A1282mm278mm273mm265mm258mm251mm
탄종명칭착탄각 60° 거리별 관통력
10m100m500m1000m1500m2000m
HEATFSM456A2200mm200mm200mm200mm200mm200mm
HESHM393A2127mm127mm127mm127mm127mm127mm
APFSDSM735166mm164mm161mm156mm151mm146mm
APFSDSC76A1193mm191mm187mm182mm177mm172mm


부무장 1
[ 펼치기 · 접기 ]

명칭사용 탄종탄약적재량
12.7 mm M2HB 기관총AP (-2 (M2 철갑탄)
API-T (M20 철갑소이예광탄)
I (M1 소이탄)
600 발
탄종명칭착탄각 0° 거리별 관통력
10m100m500m1000m1500m2000m
API-T
I
AP
기본
(API-T/I/AP/API-T)
31mm30mm26mm22mm18mm15mm
탄종명칭착탄각 30° 거리별 관통력
10m100m500m1000m1500m2000m
API-T
I
AP
기본
(API-T/I/AP/API-T)
27mm26mm22mm19mm16mm13mm
탄종명칭착탄각 60° 거리별 관통력
10m100m500m1000m1500m2000m
API-T
I
AP
기본
(API-T/I/AP/API-T)
12mm11mm10mm8mm7mm6mm


부무장 2
[ 펼치기 · 접기 ]

명칭사용 탄종탄약적재량
7.62 mm L8A2 기관총AP (철갑탄)
T (예광탄)
4500 발
탄종명칭착탄각 0° 거리별 관통력
10m100m500m1000m1500m2000m
AP
T
기본
(AP/T)
10mm9mm7mm4mm0mm0mm
탄종명칭착탄각 30° 거리별 관통력
10m100m500m1000m1500m2000m
AP
T
기본
(AP/T)
9mm8mm6mm3mm0mm0mm
탄종명칭착탄각 60° 거리별 관통력
10m100m500m1000m1500m2000m
AP
T
기본
(AP/T)
4mm3mm3mm2mm0mm0mm


연막 차장
[ 펼치기 · 접기 ]

명칭재장전 시간차장 범위차장 시간차장 지속시간
76 mm 연막탄 발사기 ×128 초13 m2 초20 초
엔진 연막발생 시스템 (ESS)-

VFM5 소개 페이지 (한글 번역)
"New Power" 메이저 업데이트 (한글 번역) (20년 11월 17일) 때 추가되었다. 2차 데브 BR 9.3에 열상이랑 야시경조차도 아예 없고 C76A1, DM33 날탄을 썼으나, 정식 추가 이후 BR 9.0에 야시경 추가, M735, C76A1 날탄으로 변경되었다. 탄을 빼앗기는 대신 오히려 BR이 버프 받은 셈이지만 날탄이라고도 부르기 민망한 수준인 M735, C76A1 날탄을 써서 VFM5를 탈 유저의 암이 가중됐다. 반대로 동BR 라드캄프바겐 90은 DM33을 쓰고, 데브 때만 하더라도 동BR이었던 M1128 스트라이커 MGS는 105mm 날탄 중 최상인 M900을 받고 날아오른 거에 비하면 가이진의 노골적인 영국 혐오라고 할 수 있겠다.

실제 VFM5는 열상이 옵션으로 있고 한 유저가 리폿도 넣었으나, 아직 패치에 관한 소식은 없다.

2021년 5월 7일 패치로 워리어와 자리를 바꿔 구축전차 트리에서 중전차 트리로 옮겨졌다.

2021년 5월 24일 패치로 9.3으로 올라가는 대신에 M735가 사라지고 DM33을 지급받았다. 하지만 열상은 여전히 없어서 타는 사람이 극히 드물다. 9.3이나 되는 BR에 열상이 없으면 색적이 매우 불리해 터져나가는 수 밖에 없다.


8. 7 랭크[편집]



8.1. 빅커스 Mk.7[편집]


Vickers Mk.7
[ 펼치기 · 접기 ]
영국 육군 중전차 · MBT 트리
파일:uk_vickers_mk7.png
이전 차량현재 차량다음 차량
VFM5빅커스 Mk.7(추가 예정)

1.93 업데이트로 추가된 MBT로 크라우스-마파이 사에서 제공한 레오파르트 2 차체 위에 빅커스 MBT Mk.4 Valiant 포탑을 올린 개량형이다. Universal 포탑이라고도 불리는 이 포탑은 당시 서방에서 개발된 모든 종류의 105mm~120mm 전차포를 장착할 수 있다. 6랭크 최고의 추남

레오파르트 2의 차체를 사용하기 때문에 이제서야 영국 특유의 느릿느릿한 기동을 완전히 벗어났다고 할 수 있을 정도의 부드럽고 뛰어난 기동능력을 보여준다. 또한 디젤 엔진 특유의 정숙성 덕분에 주행 시나 정차 시에 은밀함을 보장받을 수 있다.

탄은 L26을 사용하여 동 BR에서 관통력으로 아쉬울 일은 없다. 장전속도는 에이스 기준 6초로 무난하지만 준비탄이 불과 3발에 불과하며, 다 쓰면 7.5초 가량으로 장전 시간이 늘어난다.

챌린저 MK.2, MK.3에 비하면 기동성이 좋아졌으나 그 대가로 장갑을 빼앗겼다. 육중에 보이는 외형에 비해 전반적인 방호력이 상당히 낮아서, 포탑은 KE 기준 주 장갑대 350mm, 포방패 290mm 정도에 불과하여 날탄 방호는 거의 불가능한 수준이고 차체는 2A4와 동일하게 KE 300mm 정도라 맞는대로 뚫린다. 분리식 탄약을 사용해서 차체 온 사방에 장약을 처박아 둔 것을 생각하면 굉장히 부담스러운 방호력이다. 대신 포탑에는 날탄 탄두만을 적재하기 때문에 포탑을 뚫려도 유폭이 나지는 않는다.

기존의 치프틴-챌린저처럼 기동성을 포기하고 방호력으로 버티는 플레이에 익숙한 영국 유저들에게 M1이나 레오파르트처럼 기동성을 적극 활용해야 하는, 기존과는 확연히 다른 피탄 회피식 운용을 요구하기 때문에 골수 영국 전차만을 운용해온 유저라면 손에 안 맞을 가능성이 매우 높다.

레오파르트 2 차체를 사용하는 모든 전차의 전진 속도가 72km/h에서 68km/h로 너프를 당했지만 이 차량은 잊혀진 것인지 시간이 한참 흘렀는데도 여전히 72키로이다.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워 썬더/지상 병기/영국 트리/중전차 트리 문서의 r43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1 07:39:27에 나무위키 워 썬더/지상 병기/영국 트리/중전차 · MBT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4.7만 해도 4호의 75mm보다 좋은 M4A1 76mm가 나온다.[2] 5.3은 매번 6.3으로 끌려가는것에 비해 4.7은 다운티어가 꽤나 많다.[3] 예를들어 점보셔먼. 다운티어에서는 가장 두껍지만 업티어에는 흔히 볼 88/71이나 소련 122mm에 숭숭 뚤린다.[4] M36B2 한정[5] 참고로 이렇게 운용해보니 큰 포를 달기 위해 많은 공간을 희생해서 시야가 나쁘다고 한명 더 태워서 전투시에는 외부(?!)로 나가 관측병을 했다고 한다[6] 에이스 승무원 기준[7] 수직 관통력이 상당히 올라가서 마우스는 포탑 전면이나 차체 하부가 반대로 예전보다 관통이 쉬워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