워 썬더/지상 병기/미국 트리/자주대공포

덤프버전 : (♥ 0)

파일:나무위키+상위문서.png   상위 문서: 워 썬더/지상 병기/미국 트리


워 썬더의 등장 병기 둘러보기
[ 공군 ]

파일:워 썬더 미국 국기.png 미국요격기 | 육군 전투기 | 해군 전투기 | 공격기 | 폭격기 | 프리미엄 | 회전익기
파일:워 썬더 독일 국기.png 독일메서슈미트 · 서독 계열 | 포케불프 · 동독 계열 | 중전투기 | 공격기 · 요격기 | 폭격기 | 프리미엄 | 회전익기
파일:워 썬더 소련 국기.png 소련야크 계열 | 미그 계열 | 라보츠킨 · 수호이 계열 | 공격기 | 폭격기 | 프리미엄 | 회전익기
파일:워 썬더 영국 국기.png 영국호커 계열 | 슈퍼마린 · 글로스터 계열 | 해군 항공기 | 중전투기 | 폭격기 | 프리미엄 | 회전익기
파일:워 썬더 일본 국기.png 일본해군 전투기 | 육군 전투기 | 중전투기 | 경폭격기 | 중형 · 중폭격기 | 프리미엄 | 회전익기
파일:워 썬더 중국 국기.png 중국국민당 | 공산당 | 공격기 | 폭격기 | 프리미엄 | 회전익기
파일:워 썬더 이탈리아 국기.png 이탈리아레지아네 계열 | 피아트 · 마키 계열 | 공격기 | 폭격기 | 프리미엄 | 회전익기
파일:워 썬더 프랑스 국기.png 프랑스자국산 | 공여 전투기 · 공격기 | 공격기 | 폭격기 | 프리미엄 | 회전익기
파일:워 썬더 스웨덴 국기.png 스웨덴전투기 | 전투기 · 폭격기 혼합 | 폭격기 | 핀란드 | 프리미엄 | 회전익기
파일:워 썬더 이스라엘 국기.png 이스라엘전투기 | 전투기 · 공격기 혼합 | 폭격기 | 프리미엄 | 회전익기
{{{-2 * 항공 병기 전반에 대한 내용은 워 썬더/항공 병기를 참고.
* 새로운 기체 문서를 추가하실 때 템플릿:워 썬더를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 육군 ]

파일:워 썬더 미국 국기.png 미국경전차 | 중형전차 · MBT | 중전차 · MBT | 자주대공포 | 대전차 자주포 | 프리미엄
파일:워 썬더 독일 국기.png 독일자주포 · 경전차 | 중전차 · MBT | 중형전차 · MBT | 자주대공포 | 구축전차 · 대전차 차량 | 프리미엄
파일:워 썬더 소련 국기.png 소련중형전차 · MBT | 중전차 · MBT | 경전차 | 자주포 · 대전차 차량 | 자주대공포 | 프리미엄
파일:워 썬더 영국 국기.png 영국중형전차 · MBT | 중전차 · MBT | 자주포 · 대전차 차량 | 자주대공포 | 남아프리카 | 프리미엄
파일:워 썬더 일본 국기.png 일본경전차 | 중형전차 · MBT | 구축전차 | 자주대공포 | 프리미엄
파일:워 썬더 중국 국기.png 중국경전차 · MBT | 중형전차 · MBT | 자주대공포 | 자주포 · 대전차 차량 | 프리미엄
파일:워 썬더 이탈리아 국기.png 이탈리아경전차 | 중형전차 · MBT | 자주대공포 | 구축전차 · 대전차 차량 | 헝가리 | 프리미엄
파일:워 썬더 프랑스 국기.png 프랑스경전차 | 중형전차 · MBT | 중전차 | 대공전차 | 구축전차 | 프리미엄
파일:워 썬더 스웨덴 국기.png 스웨덴경전차 | 중형전차 · MBT | 자주대공포 | 구축전차 · 대전차 차량 | 핀란드 | 프리미엄
파일:워 썬더 이스라엘 국기.png 이스라엘미국제 | 유럽제 · 자국산 | 자주대공포 · 대전차 차량 | 프리미엄
{{{-2 * 지상 병기 전반에 대한 내용은 워 썬더/지상 병기를 참고.
* 새로운 기체 문서를 추가하실 때 템플릿:워 썬더를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 해군 ]




파일:워 썬더 미국 국기.png 미국 지상 병기
[ 연구 가능 장비 ]
## -↓- 1랭 -↓- ##
I 랭크
## ↓ 1행 ↓ ##
파일:WarThunder_M2A4.png
파일:WarThunder_M2.png
파일:WarThunder_LVT(A)(1).png
파일:WarThunder_M13_MGMC.png
파일:WarThunder_M2A2.png
## ↓ 2행 ↓ ##
## ↓ 3행 ↓ ##
[ M3/M3A1 스튜어트 ]
파일:WarThunder_M3_Stuart.png
파일:WarThunder_M3A1_Stuart.png

파일:WarThunder_M22.png
파일:WarThunder_M8_Scott.png
## ↓ 4행 ↓ ##
## ↓ 5행 ↓ ##
파일:WarThunder_M3_GMC.png
## ↓ 6행 ↓ ##
## -↓- 2랭 -↓- ##
II 랭크
## ↓ 1행 ↓ ##
파일:WarThunder_M5A1.png
파일:WarThunder_M3_Lee.png
파일:WarThunder_M4A3_(105).png
파일:WarThunder_M15_CGMC.png
파일:WarThunder_M10_GMC.png
## ↓ 2행 ↓ ##
## ↓ 3행 ↓ ##
파일:WarThunder_M24.png
파일:WarThunder_M4A1.png
파일:WarThunder_M16_MGMC.png
## ↓ 4행 ↓ ##
## ↓ 5행 ↓ ##
파일:WarThunder_M4.png
## ↓ 6행 ↓ ##
## -↓- 3랭 -↓- ##
III 랭크
## ↓ 1행 ↓ ##
파일:WarThunder_M4A2.png
파일:WarThunder_M6A1.png
파일:WarThunder_M19A1.png
파일:WarThunder_M18_GMC.png
## ↓ 2행 ↓ ##
## ↓ 3행 ↓ ##
파일:WarThunder_M4A1_(76)_W.png
파일:WarThunder_T1E1.png
파일:WarThunder_M42.png
## ↓ 4행 ↓ ##
## ↓ 5행 ↓ ##
파일:WarThunder_M4A2_(76)_W.png
파일:WarThunder_M4A3E2.png
## ↓ 6행 ↓ ##
## -↓- 4랭 -↓- ##
IV 랭크
## ↓ 1행 ↓ ##
파일:WarThunder_M41A1.png
파일:WarThunder_M4A3_(76)_W.png
파일:WarThunder_M4A3E2_(76)_W.png
파일:WarThunder_M36_GMC.png
## ↓ 2행 ↓ ##
## ↓ 3행 ↓ ##
파일:WarThunder_M56.png
파일:WarThunder_T25.png
파일:WarThunder_T26E5.png
파일:WarThunder_M36B2.png
## ↓ 4행 ↓ ##
## ↓ 5행 ↓ ##
파일:WarThunder_T92.png
파일:WarThunder_M26.png
파일:WarThunder_T26E1-1.png
## ↓ 6행 ↓ ##
## ↓ 7행 ↓ ##
파일:WarThunder_T34.png
## ↓ 8행 ↓ ##
## -↓- 5랭 -↓- ##
V 랭크
## ↓ 1행 ↓ ##
파일:WarThunder_M50.png
[ M46/M47 ]
파일:WarThunder_M46.png
파일:WarThunder_M47.png

[ T32/T32E1 ]
파일:WarThunder_T32.png
파일:WarThunder_T32E1.png

파일:WarThunder_M163.png
파일:WarThunder_T95.png
## ↓ 2행 ↓ ##
## ↓ 3행 ↓ ##
[ M48/M60 ]
파일:WarThunder_M48A1.png
파일:WarThunder_M60.png

파일:WarThunder_M103.png
## ↓ 4행 ↓ ##
## -↓- 6랭 -↓- ##
VI 랭크
## ↓ 1행 ↓ ##
파일:WarThunder_M551.png
파일:WarThunder_M60A1_(AOS).png
파일:WarThunder_T95E1.png
파일:WarThunder_M247.png
파일:WarThunder_M60A2.png
## ↓ 2행 ↓ ##
## ↓ 3행 ↓ ##
파일:WarThunder_M3_Bradley.png
파일:WarThunder_M60A1_RISE_(P).png
[ MBT/TM ]
파일:WarThunder_XM-803.png
파일:WarThunder_MBT-70.png

파일:WarThunder_LAV-AD.png
## ↓ 4행 ↓ ##
## ↓ 5행 ↓ ##
파일:WarThunder_M3A3_Bradley.png
파일:WarThunder_M60A3_TTS.png
파일:WarThunder_M1_Abrams.png
## ↓ 6행 ↓ ##
## -↓- 7랭 -↓- ##
VII 랭크
## ↓ 1행 ↓ ##
파일:WarThunder_HSTV-L.png
파일:WarThunder_M1A1.png
파일:WarThunder_XM975.png
파일:WarThunder_M1128.png
## ↓ 2행 ↓ ##
## ↓ 3행 ↓ ##
파일:WarThunder_IPM1.png
파일:WarThunder_ADATS.png
## ↓ 4행 ↓ ##
## ↓ 5행 ↓ ##
파일:WarThunder_M1A1_HC.png
## ↓ 6행 ↓ ##
## ↓ 7행 ↓ ##
파일:WarThunder_M1A2_Abrams.png
## ↓ 8행 ↓ ##
## ↓ 9행 ↓ ##
파일:WarThunder_M1A2_SEP.png
## ↓ 10행 ↓ ##
## -↓- 구분선 -↓- ##

[ 프리미엄 장비 ]
## -↓- 1랭 -↓- ##
I 랭크
## ↓ 1행 ↓ ##
파일:WarThunder_M2A4_(1st_Arm.Div.).png
파일:WarThunder_LVT(A)(1)_(TheRussianBadger).png
## ↓ 2행 ↓ ##
## ↓ 3행 ↓ ##
파일:WarThunder_LVT(A)(4).png
파일:WarThunder_M8_LAC.png
## ↓ 4행 ↓ ##
## ↓ 5행 ↓ ##
파일:WarThunder_M3A1_(USMC).png
파일:WarThunder_M8A1_GMC.png
## ↓ 6행 ↓ ##
## -↓- 2랭 -↓- ##
II 랭크
## ↓ 1행 ↓ ##
파일:WarThunder_Stuart_VI_(5th_CAD)_(USA).png
파일:WarThunder_M5A1_TD.png
## ↓ 2행 ↓ ##
## ↓ 3행 ↓ ##
파일:WarThunder_Grant_I_(USA).png
파일:WarThunder_LVT(A)(4)_(ZIS-2)_(USA).png
## ↓ 4행 ↓ ##
## ↓ 5행 ↓ ##
파일:WarThunder_M4A5.png
파일:WarThunder_T18E2.png
## ↓ 6행 ↓ ##
## ↓ 7행 ↓ ##
파일:WarThunder_M24_(TL).png
## ↓ 8행 ↓ ##
## -↓- 3랭 -↓- ##
III 랭크
## ↓ 1행 ↓ ##
파일:WarThunder_T14.png
파일:WarThunder_T55E1.png
## ↓ 2행 ↓ ##
## ↓ 3행 ↓ ##
파일:WarThunder_M18_Black_Cat.png
파일:WarThunder_Cobra_King.png
## ↓ 4행 ↓ ##
## ↓ 5행 ↓ ##
파일:WarThunder_Calliope.png
파일:WarThunder_T20.png
## ↓ 6행 ↓ ##
## -↓- 4랭 -↓- ##
IV 랭크
## ↓ 1행 ↓ ##
파일:WarThunder_Super_Hellcat.png
파일:WarThunder_T28.png
## ↓ 2행 ↓ ##
## ↓ 3행 ↓ ##
파일:WarThunder_M26_T99.png
파일:WarThunder_T29.png
## ↓ 4행 ↓ ##
## ↓ 5행 ↓ ##
파일:WarThunder_M26E1.png
파일:WarThunder_T30.png
## ↓ 6행 ↓ ##
## ↓ 7행 ↓ ##
파일:WarThunder_M46_Tiger.png
파일:WarThunder_M6A2E1.png
## ↓ 8행 ↓ ##
## -↓- 5랭 -↓- ##
V 랭크
## ↓ 1행 ↓ ##
파일:WarThunder_T114.png
파일:WarThunder_Magach_3_(ERA)_(USA).png
## ↓ 2행 ↓ ##
## ↓ 3행 ↓ ##
파일:WarThunder_M728_CEV.png
파일:WarThunder_T54E1.png
## ↓ 4행 ↓ ##
## -↓- 6랭 -↓- ##
VI 랭크
## ↓ 1행 ↓ ##
파일:WarThunder_XM-1_(GM).png
파일:WarThunder_Merkava_Mk.1_(USA).png
## ↓ 2행 ↓ ##
## ↓ 3행 ↓ ##
파일:WarThunder_XM-1_(Chrysler).png
파일:WarThunder_Merkava_Mk.2B_(USA).png
## ↓ 4행 ↓ ##
## ↓ 5행 ↓ ##
파일:WarThunder_M901.png
파일:WarThunder_XM8.png
## ↓ 6행 ↓ ##
## ↓ 7행 ↓ ##
파일:WarThunder_M1128_Wolfpack.png
파일:WarThunder_AGS.png
## ↓ 8행 ↓ ##
## ↓ 9행 ↓ ##
파일:WarThunder_CCVL.png
## ↓ 10행 ↓ ##
## -↓- 7랭 -↓- ##
VII 랭크
## ↓ 1행 ↓ ##
파일:WarThunder_M1A1_AIM.png
파일:WarThunder_M60_AMBT.png
## ↓ 2행 ↓ ##
## ↓ 3행 ↓ ##
파일:WarThunder_Merkava_Mk.3D_(USA).png
## ↓ 4행 ↓ ##
## ↓ 5행 ↓ ##
파일:WarThunder_M1A1_(YouTube_Cup).png
## ↓ 6행 ↓ ##





1. 개요
2. 1랭크
3. 2랭크
4. 3랭크
5. 5랭크
6. 6랭크
7. 7랭크



1. 개요[편집]


항공기에게는 엄청난 화력을 자랑하며 전차들을 상대로는 일단 장갑이 두껍지 않은 측면을 점하거나 해서 관통만 시키면 갈아 버릴 수 있다. 보통 구축전차와 같은 위치에서 적 항공기를 제압한다. 치명적인 약점은 1랭크부터 5랭크까지 계속 승무원이 노출되어있다는 것. 그래서 적의 기관총 사격이나 항공기의 기관총 세례에도 쉽게 무력화될 수 있다.

실제 역사에서 옛날이고 지금이고 제공권이 압도적인 미국 아니랄까봐 7.7의 M163 이전까지는 2.7 M16 말고는 쓸만한 대공장비가 없다고 봐도 될 정도로 장비가 빈약하다.

M16 GMC와 M163 사이에는 M19와 M42 더스터가 있는데 둘 다 2연장 40mm 기관포를 사용한다. 40mm라 항공기는 한 대만 맞아도 못해도 반 죽고 높은 확률로 죽지만 문제는 탄막 형성이 힘들다. 애초에 항공기는 소프트타겟이니 20mm도 치명적이고 속도도 빠르니 탄막을 만들어서 한 발이라도 맞추는 게 나은데 얘들은 그게 안된다. 오스트빈트 2는 30mm 2연장이지만 오스트빈트 2는 1분당 250발로 M19와 M42의 1분당 120발의 2배를 넘게 쏜다. 정말 잘 맞출 자신이 없다면 BR 7.7인 M163이 나오기 전까지는 M16 MGMC를 쓰자.

탑 랭크인 ADATS는 미사일이 반 수동 유도라 (추적레이더의 도움을 받긴 하지만 결과적으로 손으로 맞춰야 한다.)다른 국가의 대공 전차들에 비해서 대공력은 약간 애매한 점이 있다. 대신 관통력이 대전차 미사일급으로 높은 데다 지대공 미사일이라고 탄속도 매우 빨라서 전차도 잘 잡는다.


2. 1랭크[편집]



2.1. M13 MGMC[편집]


M13 MGMC
Multiple Gun Motor Carriage M13
다연장자주대공차량 M13
[ 펼치기 · 접기 ]
미국 육군 자주대공포 트리
파일:us_halftrack_m13.png
이전 차량현재 차량다음 차량
(시작)M13 MGMCM16 MGMC
미국 육군 자주대공포 트리는 1랭크 M13 MGMC부터 7랭크 ADATS까지 트리로 연계되어 있기 때문에 1랭크 M13 이후부터 연구를 건너 뛸 수 있는 차량이 없다.

  • 차량 성능
차종자주대공포랭크1BR1.3
중량8.3 톤최대속도72 km/h포탑회전 속도초당 51.0°
엔진 출력118 마력, 3,000 RPM등반각15°부앙각-5 / 90°
차체장갑정면 6측면 6후면 6최대 수리 코스트130
포탑장갑정면 12측면 6후면 6무료 수리 시간10분

  • 주무장
명칭장전속도사용 탄종휴행탄수
12.7mm M2HB 기관총×210.4 초기본, API+API-T, AP+API-T, API-T4,800 발
탄종명칭가격탄자중량포구초속관통력 (100m)관통력 (500m)관통력 (1000m)
기본기본무료25mm19mm12mm
API+API-TAPI322mm16mm10mm
AP+API-TAP325mm19mm12mm
API-TAPI-T30.04 Kg887m/초22mm16mm10mm

2연장 12.7mm 기관총이 달린 하프트랙이다. 다른 대공 차량과 비교했을 때 12.7mm이라는 작은 구경으로 무장이 빈약해보일 수 있지만 발사속도도 빠르고 항공기 기관총처럼 과열되는 일도 없어서 마구 쏠 수 있다. 거기에 동BR대 항공기들은 대부분 느리고 무장과 장갑이 빈약한지라 근처를 지나가거나 본인을 향해 돌진하는 항공기들을 쉽게 갈아버린다. 다만 수직으로 급강하폭격하는 항공기는 사격각이 안 나와서 못 잡는다.

M3 하프트랙을 기반으로한 승공포로 워 썬더 미국 자주대공포의 시작이라고 할 수 있다. 12.7mm M2 브라우닝 중기관총 2정이 주력 무기로 화력 부족 문제가 염려되지만 1랭크 전차전에서 이 승공포는 대단한 활약상을 많이 남겼다. 복엽기는 물론 저공 저속으로 비행하는 전투기나 폭격기를 상대하기에 적절한 위력의 무장이다. 또한 안정적인 지속 사격 능력에 최대 26mm 장갑 관통력을 지니고 있어서 1랭크의 경전차를 격파할 수 있어서 제한적인 대전차 화기로 사용할 수 있다. 다만 대전차 화기로 사용할 때에는 가급적이면 적 전차와의 거리가 가깝고 측,후면을 공략해야 효율적이다.

앞서 설명하였듯이 M3 하프트랙을 기반으로 제작되었기 때문에 고속 주행이 가능하며 기동성도 민첩하다. 하지만 장갑 방호력이 매우 약해 기관총 사격에 무력화 되는 경우 역시 빈번하다.

장갑이 빈약한 것은 단점이라고 할 수 있지만 포탑선회가 무지 빨라서 같은 BR대인 스튜어트의 하드카운터이다.

1.72 패치로 후진 속도가 떡 너프를 먹었다. 20~30은 기본적으로 뽑아주던 후진 속도가 이제는 10km도 못 나온다.


2.2. M15 CGMC[편집]


M15 CGMC
Combination Gun Motor Carriage M15
혼성자주대공차량 M15
[ 펼치기 · 접기 ]
미국 육군 자주대공포 트리
파일:us_halftrack_m15.png
이전 차량현재 차량다음 차량
M13 MGMCM15 CGMCM16 MGMC

필요 RP: 14,000
가격: 55,000
승무원 훈련비:16000

  • 차량 성능
차종자주대공포랭크2BR2.0 (AB) , 2.0 (RB), (SB)
중량9.0 톤최대속도72 km/h포탑회전 속도초당 21.3°
엔진 출력118 마력, 3,000 RPM등반각14°부앙각-5 / 85 °
차체장갑정면 6측면 6후면 6최대 수리 코스트1,360
포탑장갑정면 6측면 6후면 6무료 수리 시간4시간 58분

  • 주무장
명칭장전속도사용 탄종휴행탄수
37mm M1A2 기관포×12.6 초AP-T+HEFI-T*, HEFI-T*, AP-T240 발
탄종명칭가격탄자중량포구초속관통력 (100m)관통력 (500m)관통력 (1000m)
AP-T+HEFI-T*M59A1무료44mm27mm17mm
HEFI-T*M542000.61 kg792m/s5mm5mm5mm
AP-TM59A12000.87 kg625m/s44mm27mm14mm

  • 부무장
명칭장전속도사용 탄종휴행탄수
12.7mm M2HB 기관총×2다목적, API+API-T, AP+API-T, API-T3,400 발
탄종명칭가격탄자중량포구초속관통력 (100m)관통력 (500m)관통력 (1000m)
다목적다목적무료27mm19mm14mm
API+API-TAPI1027mm26mm12mm
AP+API-TAP1027mm19mm14mm
API-TAPI-T100.04 Kg887m/초26mm18mm12mm

12.7mm M2 브라우닝 중기관총 두 정과 37mm M1A2 기관포 1문이 달린 하프트랙이다. 기관총은 동축 기관총 취급이라서 기관총 발사 버튼을 눌러야 발사된다. 특이하게 37mm 기관포를 얹었음에도 기관총 4정 밖에 없는 M16보다 BR이 소폭 낮은데, 그것은 이 차량이 M16에 비해 나은 점이라곤 37mm의 수치상 성능 밖에 없기 때문이다. 사실 과거에는 M16보다 상단티어였다.

가장 큰 문제는 전방 포각. 차체에 비해 비교적 작은 1인승 기관총좌를 적당한 높이로 만들어놓은 M13 및 M16과는 달리, M15는 커다란 3인승 포탑을 달아놓은데다, 포좌는 장갑차 조종석보다 낮게 배치된 탓에 정면을 바라볼시에는 전방으로 포를 아예 내릴 수 없다. 이 때문에 항공기나 적 차량을 공격하다가 포가 내려가지 않아서 사격할 수 없는 불상사가 일어나기도 한다. 그 다음은 포탑 회전속도로, 리얼리스틱 기준으로 초당 14.88도(스톡)/17.5도(풀업) 밖에 안 되어, 초당 42도(스톡)/51도(풀업)의 속도로 빠르게 돌리는 M16보다 2배 이상 느리다.

화력도 37mm와 12.7mm의 탄속과 탄도가 다르기 때문에 근거리가 아닌 이상 두 무기를 동시에 사용하는 것은 효율이 떨어지고, 37mm를 지속적으로 사격하면 명중률이 급감하는 문제가 생긴다. 또한 전방 부각을 제외한 나머지 부각도 M16의 절반 밖에 안되는 -5도로, 굴곡진 지형에서 적 차량이나 항공기를 상대할 때 꽤 성가신 문제이다.

사실상 대공차량으로선 실격이고, 대전차도 제한적으로나마 가능할 뿐[1][2]이라서 전 차량 풀업 같은 고행의 길을 걸으려는 것이 아닌 이상 굳이 이걸 뽑아서 탈 이유가 없다. 대전차차량이 필요하다면 차라리 구축전차나 중형전차 트리에서 찾는 것이 낫고, 성능이 준수한 자주대공포가 필요하다면 바로 다음의 M16을 고르는 것이 낫다.

굳이 이걸 타보겠다면, 아예 포탑을 뒤로 돌리고 후진으로 이동하면서 써먹어보자. 후진속도가 15Km를 넘지 못하지만, 사격하기 한결 수월하고, 혹여라도 포탑에 피탄당해 발사가 불가능해도 그대로 전진기어 넣고 도주하면 되기 때문이다.

3. 2랭크[편집]




3.1. M16 MGMC[편집]


M16 MGMC
Multiple Gun Motor Carriage M16
다연장자주대공차량 M16
[ 펼치기 · 접기 ]
미국 육군 자주대공포 트리
파일:us_halftrack_m16.png
이전 차량현재 차량다음 차량
M13 MGMCM16 MGMCM15A1 CGMC

필요 RP: 7,900
가격: 10,000

  • 차량 성능
차종자주대공포랭크2BR2.3
중량8.6 톤최대속도72 km/h포탑회전 속도초당 51.0°
엔진 출력118 마력, 3,000 RPM등반각15°부앙각-10 / 90°
차체장갑정면 6측면 6후면 6최대 수리 코스트550
포탑장갑정면 6측면 6후면 6무료 수리 시간41분

  • 주무장
명칭장전속도사용 탄종휴행탄수
12.7mm M2HB 기관총×418.2 초기본, API+API-T, AP+API-T, API-T4,800 발
탄종명칭가격탄자중량포구초속관통력 (100m)관통력 (500m)관통력 (1000m)
기본기본무료25mm19mm12mm
API+API-TAPI622mm16mm10mm
AP+API-TAP625mm19mm12mm
API-TAPI-T60.04 Kg887m/초22mm16mm10mm
다연장자주대공차량 M16

M16 MGMC는 이전의 M13 MGMC와 비교하였을때 화력이 강력해졌다는 것이 주요 특징이다. 12.7mm M2 브라우닝 중기관총 4연장은 더욱 더 강력한 화력 투사 능력과 지속 사격 능력을 지니고 있다. 차체의 특징은 M13 대공포와 동일하다. 빠른 주행성과 기동성 그리고 빠른 후진 속도가 장점이지만, 이전의 M13 MGMC나 이 전의 M15 CGMC와 마찬가지로 하프 트랙에다 기관총을 얹은 것이기 때문에 장갑 방호력은 기대할 수 없다. 애초에 장갑을 기대할수 있는 대공은 거의 없다.

그러므로 평지에 대놓고 있거나 맵을 돌아다니는것보다는 스폰같이 안전한 공간에 숨어서 적 항공기를 기다리자. 소리가 나고 가까이 오면 공격하자. 굳이 위치를 알려줘서 폭탄 로켓 맞을 필요는 없다.

M163 이전까지 탄막, 미국의 대공을 책임지는 소중한 대공전차다. .50cal 답게 곧은 탄도, 준수한 탄속, 준수한 위력에 훌륭한 지속사격 능력까지 갖췄다. 밑의 M19나 M42는 연사속도가 매우 떨어지고, 비르벨빈트는 지속사격 능력이 떨어지는 등 한가지는 잘해도 밸런스가 맞지 않은 경우가 많지만 이 M16 MGMG는 1발당 화력이 약간 딸린다는걸 제외하면 정말 밸런스가 잘 맞는다 할수 있다. 천장이 부실해 맞으면 죽는다는 단점이 있지만, 어차피 위에서부터 피격당하면 죽는건 대다수가 오픈탑인 다른 대공전차들도 똑같고, 성능 준수한 12.7mm 중기관총 4정이 연사력이 부실한 40mm 기관포 2문보다 훨씬 나은 대공 성능을 자랑한다. 따라서 본인이 실력이 좋아서 항공기를 정확하게 맞출수 있는게 아닌이상 M163 전까지는 이것으로 대공을 하는 것을 추천한다. 탄띠도 미국의 API-T 예광탄 탄띠를 사용할수 있어서 한발 한발의 위력도 매우 낮지 않다. 위와 같은 이유로 M163전까지 M19나 M42보다는 이 M16을 더 많이 보게 될것이다.


4. 3랭크[편집]



4.1. M19A1[편집]


M19A1
Twin Gun Motor Carriage M19
쌍열자주대공차량 M19A1
[ 펼치기 · 접기 ]
미국 육군 자주대공포 트리
파일:us_m19.png
이전 차량현재 차량다음 차량
M15 CGMCM19A1M42

필요 RP: 40,000
가격: 230,000

  • 차량 성능
차종자주대공포랭크3BR4.0
중량17.5 톤최대속도56 km/h포탑회전 속도초당 21.3°
엔진 출력247 마력, 3,199 RPM등반각32°부앙각-3/85 °
차체장갑정면 12측면 12후면 12최대 수리 코스트4,000
포탑장갑정면 12측면 8후면 8무료 수리 시간1일 21시간

  • 주무장
명칭장전속도사용 탄종휴행탄수
40mm M2 기관포×20.6 초AP-T+HEFI-T*, HEFI-T*, AP-T352 발
탄종명칭가격탄자중량포구초속관통력 (100m)관통력 (500m)관통력 (1000m)
AP-T+HEFI-T*기본무료74mm62mm45mm
HEFI-T*Mk.II5000.86 kg874m/s9mm9mm9mm
AP-TM81A15000.88 kg874m/s74mm62mm45mm

M24 채피의 차체를 사용했으며, 보포스 40mm 포 두 문이 달린 대공 전차다. 연사속도가 그리 빠른 편이 아니라 항공기를 맞추는 게 꽤나 힘들다.

포탑 회전속도와 포신 상하조절 각도 조절 속도가 빠른 편이 아니라 오히려 항공기 속도를 못 따라잡는 경우가 많다. 항공기와 1대1 헤드온을 해도 구린 연사속도+물장덕에 같이 또는 혼자 죽을 때가 많다.

항공기 입장에선 일단 맞았다 하면 철갑탄이던 고폭탄이든 대여섯 발이 훑고 지나가기 때문에 화망에 걸려든 순간 중폭격기고 뭐고 죄다 터져나간다. 맞추는 건 어렵지만, 일단 한 발이라도 맞추면 확정적으로 격추된다.

오히려 오스트빈트 같은 대구경 대공차량과 같이 항공기보단 전차를 잡는 데에 많이 보이는데 관통력이 꽤나 쓸만해 포신 부수고 마사지 해주면 전차 하나 잡는 건 일도 아니다.

비르벨빈트나 오스트빈트 등 독일 대공포들의 관통력이 크게 칼질당한 지금은 대전차를 할 수 있는 얼마 없는 대공포이기도 하다. 특히 4.0BR에 위치해서 4호 전차같은 대전 초반의 비교적 장갑이 부실한 전차들을 만나기 때문에 대전차 성능이 좋다. 사실 이 차량으로 대공을 하기는 까다로운 편이다. 보포스 기관포는 발사속도가 느리고 탄속도 20mm급의 소구경 기관포보다 훨씬 느리기 때문.


4.2. M42 더스터[편집]


M42
Twin 40 mm Self-Propelled Gun M42 Duster
쌍열 40mm 자주대공포 M42 더스터
[ 펼치기 · 접기 ]
미국 육군 자주대공포 트리
파일:us_m42_duster.png
이전 차량현재 차량다음 차량
M19M42M163

필요 RP: 220,000
가격: 610,000

  • 차량 성능
차종자주대공포랭크5BR4.7
중량22.6 톤최대속도72 km/h포탑회전 속도초당 34.0°
엔진 출력417 마력, 2,800 RPM등반각29°부앙각-3 / 85 °
차체장갑정면 25측면 12후면 19최대 수리 코스트5,500
포탑장갑정면 12측면 8후면 8무료 수리 시간4일 03시간

  • 주무장
명칭장전속도사용 탄종휴행탄수
40mm M2 기관포×20.6 초AP-T+HEFI-T*, HEFI-T*, AP-T480 발
탄종명칭가격탄자중량포구초속관통력 (100m)관통력 (500m)관통력 (1000m)
AP-T+HEFI-T*기본무료74mm62mm45mm
HEFI-T*Mk.II1,1000.86 kg874m/s9mm9mm9mm
AP-TM81A11,1000.88 kg874m/s74mm62mm45mm

M41 워커 불독의 차체를 이용한 대공 전차로, 40 mm 보포스 두 문으로 무장하고 있어 사실상 M19와 같은 물건이다. 탄약도 더 많고 더 빠르긴 해도 여전히 굼뜨며 장갑도 약해 적 항공기의 기총 사격에 터져나간다. 펀치력 빼고는 옆나라의 쾰리안보다 나을게 없는 물건.

게다가 탄약고에 장갑조차 없어 추축 전투기들이 발악하며 쏴대는 7mm 기관총으로도 유폭이 되므로 거르는게 답이다.

Br이 1.0이나 오른 주제 달라진게 거의 없다! 기껏해봐야 차체 장갑이나 약간 좋아진 포탑 회전속도인 정도...

사실 이 차량은 아주 슬픈 전설이 숨겨져 있는 차량으로, 지금과 똑같은 성능으로 현 쿠겔블리츠와 같은 BR인 6.7에 위치하고 있던 시절이 있었다! 당시 M19가 5.0이었으니 차체 하나 바꿨다고 BR이 1.7이나 뻥튀기된 셈이다. 꽤 최근까지도 미국의 초기젯 대공을 담당했던 안타깝기 그지없는 녀석이었으나 어느 시점을 기준으로 마이너 패치 때마다 0.3 BR씩 야금야금 내려가기 시작하더니 현재의 BR이 되었다. 현재는 구리긴 하지만 그럭저럭 밥값은 하는 대공포가 되었다.


5. 5랭크[편집]



5.1. M163[편집]


M163
Gun, Air Defence Artillery, Self-Propelled: 20-mm, M163
기관포 장착, 방공포, 자주화: 20-mm, M163
[ 펼치기 · 접기 ]

미국 육군 자주대공포 트리
파일:us_m163_vulcan.png
이전 차량현재 차량다음 차량
M42M163M247


차량 성능
[ 펼치기 · 접기 ]

국가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차종자주대공포랭크VBR8.0
(AB)
8.0
(RB)
8.0
(SB)
승무원 인원4명
전차장
포수
조종수
탄약수
중량11.2 톤시인성117 %포탑 회전 속도66.0°/초
(AB)
44.6°/초
(RB)(SB)
엔진-변속기-
전진 기어: 3단 | 후진 기어: 1단
엔진 출력301 마력 | 2800 rpm
(AB)
188 마력 | 2800 rpm
(RB)(SB)
최대속도전진: 70 km/h | 후진: 16.1 km/h
(AB)
전진: 64 km/h | 후진: 14.8 km/h
(RB)(SB)
차체 장갑
(전면/측면/후면)
38 mm44 mm38 mm남은 무료 수리 횟수10최대 수리비9,900파일:19px-Sl_icon.png
(AB)
2,800파일:19px-Sl_icon.png
(RB)
4,170파일:19px-Sl_icon.png
(SB)
포탑 장갑
(전면/측면/후면)
17 mm17 mm17 mm무료 수리 시간6일 18시간
(AB)
6일 22시간
(RB)
7일
(SB)
최대 장비 연구 효율IV - VI 랭크
필요 RP120,000파일:13px-Rp_icon.png가격300,000파일:19px-Sl_icon.png전환 훈련 비용85,000파일:19px-Sl_icon.png보상 196%파일:13px-Rp_icon.png
(AB)(SB)(RB)
1.96×(100%)
(AB)(SB)(RB)
보상 130%파일:19px-Sl_icon.png
(AB)
보상 120%파일:19px-Sl_icon.png
(RB)
보상 180%파일:19px-Sl_icon.png
(SB)
1.3×(100%)
(AB)
1.2×(100%)
(RB)
1.8×(100%)
(SB)


광학 / 야시장비 성능
[ 펼치기 · 접기 ]

광학장비야간장비
확대1.8x-3.5xNVD 종류포수야시경
전차장주간
조종수야시경
거리 측정기 종류-적외선 탐조등 종류-
시야 FOV40-21NVD 성능포수야시경
전차장-
조종수야시경


주무장
[ 펼치기 · 접기 ]

명칭재장전 시간발사 속도사용 탄종탄약적재량
20 mm M168 기관포26 초
(기초 자격)
3000 발/분AP-I (철갑소이탄)
HEI-T* (고폭소이예광탄 (자폭탄))
2200 발
고저각수평 회전각조준 속도수직 조준 속도주포 안정기장전 방식준비탄 적재소
-5° / +80°±180°66°/초
(AB)
45°/초
(RB)(SB)
82°/초
(AB)
34°/초
(RB)(SB)
-수동 장전발 ×
탄종명칭가격구경탄체중량포구초속폭약 종류폭약 질량
탄종명칭가격구경설명
AP-I
HEI-T*
기본무료20 mmAP-I/HEI-T*/AP-I (으)로 채워진 20 mm 기관포 탄띠/탄알집
HEI-T*
AP-I
고폭소이예광탄890파일:19px-Sl_icon.png20 mmHEI-T*/HEI-T*/HEI-T*/AP-I (으)로 채워진 20 mm 기관포 탄띠/탄알집
AP-I
HEI-T*
철갑예광탄1,200파일:19px-Sl_icon.png20 mmAP-I/AP-I/AP-I/HEI-T* (으)로 채워진 20 mm 기관포 탄띠/탄알집
탄종명칭착탄각 0° 거리별 관통력
10m100m500m1000m1500m2000m
AP-I
HEI-T*
기본53mm50mm39mm28mm20mm14mm
HEI-T*
AP-I
고폭소이예광탄53mm50mm39mm28mm20mm14mm
AP-I
HEI-T*
철갑예광탄53mm50mm39mm28mm20mm14mm
탄종명칭착탄각 30° 거리별 관통력
10m100m500m1000m1500m2000m
AP-I
HEI-T*
기본46mm44mm34mm24mm17mm13mm
HEI-T*
AP-I
고폭소이예광탄46mm44mm34mm24mm17mm13mm
AP-I
HEI-T*
철갑예광탄46mm44mm34mm24mm17mm13mm
탄종명칭착탄각 60° 거리별 관통력
10m100m500m1000m1500m2000m
AP-I
HEI-T*
기본27mm25mm19mm14mm10mm7mm
HEI-T*
AP-I
고폭소이예광탄27mm25mm19mm14mm10mm7mm
AP-I
HEI-T*
철갑예광탄27mm25mm19mm14mm10mm7mm


M163 발칸 소개 페이지
일명 발칸. 1.63 "Desert Hunters" 업데이트 (16년 9월 29일)로 추가되었다.

연사속도가 분당 3,000발로 아주 빠르고 탄속도 빨라서 화망 안에 든 적은 상당히 잘 잡아죽인다. 특히 둔한 폭격기는 화망을 피하는게 거의 불가능 할 정도. 그러나 집탄 관련 부품을 아예 장착하지 않아도 기본 집탄률이 상당히 높아서 탄이 잘 흩뿌려지지 않기 때문에 화망이 썩 넓지는 않고, 영점 조절과 포신 구동 장비 부품을 장착하면 탄이 그냥 일직선으로 나간다. 화망을 뿌려야 하는 대공전차기도 하고 기본 포신 구동 속도가 빠르기 때문에 탄 분산 관련 부품 장착은 비효율적이다.

탄 소비가 굉장히 빠르지만 2200발을 적재하기 때문에 아주 부족하지는 않다. 원거리 적에게 탄을 낭비하지 않고 근접하는 항공기에만 기습적으로 사격하면 몇 대씩 잡아도 탄이 모자라지 않는다. 탄은 1,100발씩 2묶음으로 나뉘어 있고 장전시간이 상당히 긴 편. 한 탄창을 다 쓰고 나면 점령지 주변에서 서식하자. 1,100발씩 재보충하는 시간이 굉장히 오래 걸린다. 게다가 점령지 안에서 조금만 움직여도 보충게이지가 리셋되니 안전한 곳에서 가만히 있는 것이 좋다.

20mm 인지라 사거리가 상당히 짧다. 2km 정도 안의 목표물만 리드선이 뜬다.

탐색 레이더가 없고 추적 기능만 있다. 추적레이더가 없기 때문에 적기를 락온하려면 포수 시점으로 적기를 바라보며 레이더 락온 키를 눌러야 한다.[3] 20mm라 사거리가 짧은 편이므로 숨어서 조용히 기다리다가 적기가 2km 안쪽으로 들어오면 기습적으로 사격하는게 좋다. 이 사격 방식은 M163뿐만 아니라 모든 기관포 대공전차에게 유용하다.

M113의 차대를 가져 하천을 도하할 수 있었지만 2022년 패치로 도하 기능이 삭제되었다.[4] 전측면 장갑은 알루미늄 합금이지만 두께가 꽤 돼서 12.7mm까지는 버티며, 특히 상판 장갑이 꽤 두꺼운 편이다. 하지만 포좌가 겉으로 노출되어 있어 포수와 약실 모두가 그대로 드러나 있기 때문에 항공기 기총소사는 물론이고 전차의 7mm 기관총에도 포수가 죽고 약실이 깨지는 일이 쉽게 발생한다. 또한 오픈탑 판정이라 꽤 멀리 떨어진 폭탄에도 폭압에 어이없게 죽는 경우가 잦기 때문에 폭격음이 나는 즉시 멀리 도망가자.

20mm대 탄환의 한계로 쉴카와 더불어 대전차 관통력이 그닥이다. 레오파르트1 측면도 근거리에서 수직에 가까워야 뚫리니 주의. 가끔 가다 보이는 타란이나 BMP 같은 물몸전차에게나 샤워 한번씩 시켜주고 가자. 현재 발칸의 20mm는 고폭탄의 위력이 제대로 적용되지 않는 버그가 있으므로 이 차량이나 발칸을 쓰는 항공기나 철갑탄띠를 쓰는 편이 좋다.

발칸은 0.5초의 예열시간이 있다. 원래 현실의 발칸은 포신 회전과 급탄, 발사가 기계적으로 전부 연동되어 있기 때문에 당기는 즉시 발사되지만 워썬더에서는 이 차량은 물론이고 항공기 발칸까지 예열시간이 있다.[5]

전반적으로 나사 빠진 성능을 보여주던 미국 대공포 트리가 쓸만해지기 시작하는 시점으로, 사거리가 짧은 것은 단점이지만 리드가 떠서 사격도 쉽고 화망이 촘촘해서 기습 사격을 하면 킬을 꽤 잘 물어온다.

2022/10 기준 리얼 BR이 7.7으로 버프되었다.


6. 6랭크[편집]



6.1. M247[편집]


M247
Gun, Air Defence Artillery, Self-Propelled, 40-mm, M247
40mm 자주대공포 M247
[ 펼치기 · 접기 ]

미국 육군 자주대공포 트리
파일:us_m247.png
이전 차량현재 차량다음 차량
M163M247XM975


차량 성능
[ 펼치기 · 접기 ]

국가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차종자주대공포랭크VIBR9.0
(AB)
9.0
(RB)
9.0
(SB)
승무원 인원3명
전차장
포수
조종수
중량49.3 톤시인성192 %포탑 회전 속도79.3°/초
(AB)
53.5°/초
(RB)(SB)
엔진-변속기-
전진 기어: 4단 | 후진 기어: 1단
엔진 출력1065 마력 | 2400 rpm
(AB)
663 마력 | 2400 rpm
(RB)(SB)
최대속도전진: 52 km/h | 후진: 9.8 km/h
(AB)
전진: 48 km/h | 후진: 9.0 km/h
(RB)(SB)
차체 장갑
(전면/측면/후면)
110 mm76 mm35 mm남은 무료 수리 횟수10최대 수리비12,000파일:19px-Sl_icon.png
(AB)
3,100파일:19px-Sl_icon.png
(RB)
8,730파일:19px-Sl_icon.png
(SB)
포탑 장갑
(전면/측면/후면)
25 mm12 mm12 mm무료 수리 시간7일
(AB)
9일
(RB)
11일
(SB)
최대 장비 연구 효율V - VII 랭크
필요 RP180,000파일:13px-Rp_icon.png가격490,000파일:19px-Sl_icon.png전환 훈련 비용140,000파일:19px-Sl_icon.png보상 214%파일:13px-Rp_icon.png
(AB)(SB)(RB)
2.14×(100%)
(AB)(SB)(RB)
보상 130%파일:19px-Sl_icon.png
(AB)
보상 120%파일:19px-Sl_icon.png
(RB)
보상 170%파일:19px-Sl_icon.png
(SB)
1.3×(100%)
(AB)
1.2×(100%)
(RB)
1.7×(100%)
(SB)


광학 / 야시장비 성능
[ 펼치기 · 접기 ]

광학장비야간장비
확대12.0xNVD 종류포수야시경
전차장야시경
조종수야시경
거리 측정기 종류레이저 거리 측정기 (LR)적외선 탐조등 종류-
시야 FOV6NVD 성능포수야시경
전차장야시경
조종수야시경


주무장
[ 펼치기 · 접기 ]

명칭재장전 시간발사 속도사용 탄종탄약적재량
40 mm M266 ×26.5 초300 발/분AP-T (철갑예광탄)
HEFI-T* (고폭파편소이예광탄 (자폭탄))
HE-VT* (가변 시한신관 고폭탄 (자폭탄))
560 발
(각 주포 당 280 발 ×2)
고저각수평 회전각조준 속도수직 조준 속도주포 안정기장전 방식준비탄 적재소
-10° / +85°±180°79°/초
(AB)
54°/초
(RB)(SB)
41°/초
(AB)
17°/초
(RB)(SB)
2축자동 장전560 발
탄종명칭가격구경탄체중량포구초속폭약 종류폭약 질량
탄종명칭가격구경설명
HEFI-T*
AP-T
기본무료40 mmHEFI-T*/AP-T (으)로 채워진 40 mm 기관포 탄띠/탄알집
AP-T
HEFI-T*
40 mm AP-T1,500파일:19px-Sl_icon.png40 mmAP-T/AP-T/AP-T/HEFI-T* (으)로 채워진 40 mm 기관포 탄띠/탄알집
HEFI-T*
AP-T
M8111,200파일:19px-Sl_icon.png40 mmHEFI-T*/HEFI-T*/HEFI-T*/AP-T (으)로 채워진 40 mm 기관포 탄띠/탄알집
HE-VT*
AP-T
M8222,300파일:19px-Sl_icon.png40 mmHE-VT*/HE-VT*/AP-T (으)로 채워진 40 mm 기관포 탄띠/탄알집
탄종명칭착탄각 0° 거리별 관통력
10m100m500m1000m1500m2000m
HEFI-T*
AP-T
기본94mm90mm77mm62mm51mm41mm
AP-T
HEFI-T*
40 mm AP-T94mm90mm77mm62mm51mm41mm
HEFI-T*
AP-T
M81194mm90mm77mm62mm51mm41mm
HE-VT*
AP-T
M82294mm90mm77mm62mm51mm41mm
탄종명칭착탄각 30° 거리별 관통력
10m100m500m1000m1500m2000m
HEFI-T*
AP-T
기본81mm78mm66mm53mm43mm35mm
AP-T
HEFI-T*
40 mm AP-T81mm78mm66mm53mm43mm35mm
HEFI-T*
AP-T
M81181mm78mm66mm53mm43mm35mm
HE-VT*
AP-T
M82281mm78mm66mm53mm43mm35mm
탄종명칭착탄각 60° 거리별 관통력
10m100m500m1000m1500m2000m
HEFI-T*
AP-T
기본36mm34mm29mm24mm19mm16mm
AP-T
HEFI-T*
40 mm AP-T36mm34mm29mm24mm19mm16mm
HEFI-T*
AP-T
M81136mm34mm29mm24mm19mm16mm
HE-VT*
AP-T
M82236mm34mm29mm24mm19mm16mm


연막 차장
[ 펼치기 · 접기 ]

명칭차장 횟수재장전 시간차장 범위차장 시간차장 지속시간
66 mm 연막탄 발사기 ×122 회-13 m2 초20 초
엔진 연막발생 시스템 (ESS)-


M247 서전트 요크 소개 페이지
일명 서전트 요크, 요크 상사. 1.81 "The Valkyries" 업데이트 (18년 9월 19일)로 추가되었다.

40mm 보포스 2정은 M42와 다를게 없다고 생각될 수 있지만, 발사속도가 1문당 분당 300발로 훨씬 빨라진데다[6] 이전의 자폭탄과 다르게[7] 제대로 된 VT신관을 달고 나왔다.[8] 기본 탄띠에는 VT가 없고 4티어 부품인 M822 탄띠에 VT신관 고폭탄이 포함되어 있다.

스톡 상태에서는 꽤 답답하다. VT탄이 없는 서전트 요크는 그저 레이더 달린 더스터에 불과하기 때문이다. VT탄을 뚫기 전까지는 거점을 점령하거나 경전차를 잡으면서 점수를 쌓는것도 나쁘지 않다.

VT신관 고폭탄은 항공기가 6m 반경에 감지되면 자동으로 폭발하여 파편으로 피해를 입히기 때문에 고속 비행하는 기체 상대로 직격탄을 맞추지 않아도 피해를 누적시키는 매우 강한 위력을 보여준다.[9] 근접신관 고폭탄 덕분에 6랭크 대공전차 중에서는 평가가 가장 좋으며, 해당 BR에서 매우 자주 보이는 G.91을 제대로 견제할만한 몇 안되는 차량이다. 기관포를 사용하는 대공포 중에서는 독일의 게파르트, 일본의 87식 자주대공포와 함께 최강자로 꼽힌다.

폭압 패치 이후로 구경에 관계없이 모든 고폭탄에 폭압 효과가 적용되게 바뀌었는데, 이게 요크의 40mm 고폭탄에도 똑같이 적용되어서 요크의 기관포탄으로 전면에서 관통이 불가능한 T-72 등 중장갑 전차도 고폭탄을 퍼붓다 보면 어딘가로 폭압이 새어들어가서 어이없게 킬이 들어오는 경우도 자주 생기니 전면이라도 탄을 좀 퍼부어볼만하다.

레이저 거리측정기가 존재하지만 다른 전차들과는 달리 거리측정을 찍으면 자동으로 조준선을 맞춰주는 기능은 없다. 대공포답지 않게 전차장 사격기능이 있다.

기동이 느린 편이다. 무게가 49톤인데, 원본이 되는 M48 패튼보다 오히려 3톤이나 무거워졌다. 엔진 마력도 원본 M48에 비해 80 마력정도 깎여나갔다.

업데이트로 대공포탄 VT 신관 작동 거리가 15 m → 4 m로 변경되었으며 VT탄의 예광 효과가 사라졌다.[10]

워낙 사기적인 대공성능을 자랑했기에 꾸준한 너프를 먹었는데, 1년만에 8.0에서 9.0까지 올라왔다. 8.0일 당시에는 RWR도 없어서 자기가 조준당하는지도 모르는 적기[11]를 지워버릴 수 있는 사신같은 존재였다. 너프 받은 지금도 VT탄 덕분에 여전히 좋다. 다만 RWR이 흔해지고 서전트 요크의 주요 먹잇감이었던 독일의 프리미엄 G.91이 노르드 미사일 너프로 공방에서 거의 사라지고, 유저들의 전반적인 실력이 올라가면서 운용의 난이도는 훨씬 올라갔다.


6.2. 개량형 채퍼럴[편집]


개량형 채퍼럴
Improved Chaparral
[ 펼치기 · 접기 ]

미국 육군 자주대공포 트리
이전 차량현재 차량다음 차량
M247개량형 채퍼럴LAV-AD


공대공 미사일인 사이드와인더D형을 기반으로 한 대공미사일을 사용하는 차량이다.
전방위 락온을 지원하는 MIM-72C형과 업그레이트인 E형을 사용할 수 있다.
이스라엘도 채퍼럴을 받았지만 스톡으로 쓰는 미사일이 미국트리의 채퍼럴이 쓰는 E형인데다가, 시커를 맨패즈인 스팅어에 달린 것으로 교체해서 IRCCM기능이 생긴 G형을 쓰기 때문에 성능면에서는 이스라엘 채퍼럴이 더 좋다.



7. 7랭크[편집]



7.1. LAV-AD[편집]


LAV-25
[ 펼치기 · 접기 ]

미국 육군 자주대공포 트리
파일:US_LAV-AD.png
이전 차량현재 차량다음 차량
개량형 채퍼럴LAV-ADXM975


LAV-25에 25mm 개틀링 기관포와 스팅어 발사대를 올린 야전방공 차량이다.

장륜장갑차 차대를 기반으로 하고 있어서 쾌적한 기동성을 보여주며, 기본적으로 4연장 스팅어 발사대 2개가 달려있다. 25mm 기관포의 HVAP는 최대 91mm 관통력이 나오기 때문에 경장갑 차량이나 MBT의 측면 정도는 갈아버릴 수 있으며, 스팅어는 차체에 예비탄 8발이 실리기 때문에 최대 16발까지 적재가 가능하여 상당히 넉넉하다.

스팅어는 기본 E형을 사용하지만, 업그레이드를 하면 1m짜리 근접신관이 달린 K형으로 개량된다. 1m라지만 없는것보단 훨씬 낫다. 또한 스팅어는 표기 상 기동성은 10G로 좋은 편이 아니지만, 유도 매커니즘이 개선된 이후로는 헬기는 거의 무조건 직격하며 항공기도 상대가 방심하고 있거나 에너지가 없다면 높은 확률로 명중하기 때문에 꽤나 잘 맞는 편이다.

포탑 중앙 스팅어 발사대는 업그레이드를 통해 19발짜리 히드라 로켓 발사대로 교체할 수 있다. 히드라는 적 MBT의 측후면을 노릴 때 애매한 관통력의 25mm 기관포를 효과적으로 보완해주니 플레이스타일에 따라서 장착해도 나쁘지 않다.

부각도 -8도로 괜찮은 편이고 포수 2세대 열상을 갖추고 있어서 색적능력도 좋은 편이라 전선을 누비며 상대의 측면을 노리는 플레이도 가능한, 꽤 다재다능한 대공차량이다. 다만 스팅어 자체의 한계로 인해 3km 바깥의 헬기는 아예 락이 잡히지 않아서 대응할수가 없고, 별도의 탐색 레이더가 없고 목표 수동 지정만 가능하며, 락온을 해도 락이 계속 흔들리거나 삐져나가기 때문에 25mm 기관포는 리드에 대고 쏘면 명중률이 제대로 나오지가 않아서 어느정도 숙달이 필요하다.

대공포 본연의 역할보다는 스폰포인트가 부족한 상황에서 대전차 중심 운용을 하는 것이 좀 더 효율적인 장비로, 아다츠 이전 냉전기 미국 자주대공포들의 애매한 대전차능력을 보완해주는 패자부활전 개념의 예비장비 느낌으로 사용하는 것이 권장된다.

7.2. XM975[편집]


XM975
Carrier Air Defense Missile System XM975
[ 펼치기 · 접기 ]

미국 육군 자주대공포 트리
파일:XM975.png
이전 차량현재 차량다음 차량
LAV-ADXM975ADATS


차량 성능
[ 펼치기 · 접기 ]

국가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차종자주대공포랭크VIIBR10.0
(AB)
10.0
(RB)
10.0
(SB)
승무원 인원3명
포수
조종수
전차장
중량24.8 톤시인성250 %포탑 회전 속도61.6°/초
(AB)
41.6°/초
(RB)(SB)
엔진-변속기-
전진 기어: 5단 | 후진 기어: 2단
엔진 출력773 마력 | 2300 rpm
(AB)
405 마력 | 2300 rpm
(RB)(SB)
최대속도전진: 62 km/h | 후진: 13 km/h
(AB)
전진: 57 km/h | 후진: 12 km/h
(RB)(SB)
차체 장갑
(전면/측면/후면)
32 mm32 mm32 mm남은 무료 수리 횟수10최대 수리비11,419파일:19px-Sl_icon.png
(AB)
14,947파일:19px-Sl_icon.png
(RB)
7,200파일:19px-Sl_icon.png
(SB)
포탑 장갑
(전면/측면/후면)
15 mm15 mm15 mm무료 수리 시간8일
(AB)
18일
(RB)
14일
(SB)
최대 장비 연구 효율VI - VII 랭크
필요 RP340,000파일:13px-Rp_icon.png가격930,000파일:19px-Sl_icon.png전환 훈련 비용260,000파일:19px-Sl_icon.png보상 232%파일:13px-Rp_icon.png
(AB)(SB)(RB)
2.32×(100%)
(AB)(SB)(RB)
보상 120%파일:19px-Sl_icon.png
(AB)
보상 130%파일:19px-Sl_icon.png
(RB)
보상 140%파일:19px-Sl_icon.png
(SB)
1.0×(100%)
(AB)
1.5×(100%)
(RB)
1.9×(100%)
(SB)


광학 / 야시장비 성능
[ 펼치기 · 접기 ]

광학장비야간장비
확대6.0x-12.0xNVD 종류포수-
전차장-
조종수-
거리 측정기 종류-적외선 탐조등 종류-
시야 FOV12-6NVD 성능포수-
전차장-
조종수-


주무장
[ 펼치기 · 접기 ]

명칭재장전 시간발사 속도사용 탄종탄약적재량
롤랑 지대공미사일5.0 초
(자동 장전)
144 발/분
(자동 장전)
SAM (지대공 미사일)10 발
고저각수평 회전각조준 속도수직 조준 속도주포 안정기장전 방식준비탄 적재소
-10° / +35°±180°75°/초
(AB)
51°/초
(RB)(SB)
55°/초
(AB)
22°/초
(RB)(SB)
-자동 장전10 발
탄종명칭가격구경탄체중량포구초속폭약 종류폭약 질량
SAM롤랑 1무료163 mm65 kg900 m/s콤포지션 B3.5 kg
SAM롤랑 3480파일:19px-Sl_icon.png163 mm77 kg900 m/s콤포지션 B5.2 kg
탄종명칭TNT 당량신관 지연거리신관 민감도유도체계 유형사거리최소 발사 거리
격발 범위
SAM롤랑 14.59 kg-0.1 mm반자동6.30 km300 m
6 m
SAM롤랑 36.81 kg-0.1 mm반자동8.50 km300 m
6 m
탄종명칭착탄각 0° 거리별 관통력
10m100m500m1000m1500m2000m
SAM롤랑 139mm39mm39mm39mm39mm39mm
SAM롤랑 354mm54mm54mm54mm54mm54mm
탄종명칭착탄각 30° 거리별 관통력
10m100m500m1000m1500m2000m
SAM롤랑 139mm39mm39mm39mm39mm39mm
SAM롤랑 354mm54mm54mm54mm54mm54mm
탄종명칭착탄각 60° 거리별 관통력
10m100m500m1000m1500m2000m
SAM롤랑 139mm39mm39mm39mm39mm39mm
SAM롤랑 354mm54mm54mm54mm54mm54mm


"Winged Lions" 업데이트로 추가된 미 국방부가 시험적으로 소량 도입 및 시험 운용을 해본 롤랑 대공 시스템이다. 일명 미롤랑으로 불린다.

M109 자주포의 차체에 프랑스의 롤랑 지대공 미사일 시스템 포탑을 올려놓은 대공포. 포탑의 미사일 발사각이 최대 앙각이 35도라는 절망적이였으나 고증 리폿으로 -10 ~ 80도로 패치되었다.

대공 미사일은 원판과 동일하게 자동장전되는 롤랑 1, 그리고 업탄으로 8.0 km의 최대 사거리를 가진 롤랑 3을 사용할수있다. 원판인 독일 롤랑과 마찬가지로 IRST 기능이 달려있다.

VT 신관을 사용하지만 최대 유효 사거리가 사실상 3km인 M247과는 다르게 훨씬 더 먼 거리의 적기를 상대할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10.3이라는 애매한 BR, NVD가 없기에 야간전에서 적기를 색적하는게 매우 힘들다는 단점도 있다.

수리비가 리얼리스틱 기준 14,000정도로 상당히 비싼 편.


7.3. XM1069[편집]


ADATS
Missile, Air Defence Artillery, Self-Propelled, ADATS, XM1069
방공 대전차 무기 시스템
[ 펼치기 · 접기 ]

미국 육군 자주대공포 트리
파일:us_adats_bradley.png
이전 차량현재 차량다음 차량
M247ADATS(추가 예정)


차량 성능
[ 펼치기 · 접기 ]

국가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차종대전차미사일차량랭크VIIBR10.3
(AB)
10.3
(RB)
10.3
(SB)
승무원 인원3명
포수
조종수
탄약수
중량25.0 톤시인성250 %포탑 회전 속도61.6°/초
(AB)
41.6°/초
(RB)(SB)
엔진-변속기-
전진 기어: 6단 | 후진 기어: 2단
엔진 출력720 마력 | 2600 rpm
(AB)
448 마력 | 2600 rpm
(RB)(SB)
최대속도전진: 72 km/h | 후진: 13.8 km/h
(AB)
전진: 66 km/h | 후진: 12.7 km/h
(RB)(SB)
차체 장갑
(전면/측면/후면)
38 mm25 mm44 mm남은 무료 수리 횟수10최대 수리비7,490파일:19px-Sl_icon.png
(AB)
4,800파일:19px-Sl_icon.png
(RB)
5,400파일:19px-Sl_icon.png
(SB)
포탑 장갑
(전면/측면/후면)
12 mm12 mm12 mm무료 수리 시간7일
(AB)
12일
(RB)
12일
(SB)
최대 장비 연구 효율VI - VII 랭크
필요 RP390,000파일:13px-Rp_icon.png가격1,020,000파일:19px-Sl_icon.png전환 훈련 비용290,000파일:19px-Sl_icon.png보상 232%파일:13px-Rp_icon.png
(AB)(SB)(RB)
2.32×(100%)
(AB)(SB)(RB)
보상 120%파일:19px-Sl_icon.png
(AB)
보상 130%파일:19px-Sl_icon.png
(RB)
보상 140%파일:19px-Sl_icon.png
(SB)
1.2×(100%)
(AB)
1.3×(100%)
(RB)
1.4×(100%)
(SB)


광학 / 야시장비 성능
[ 펼치기 · 접기 ]

광학장비야간장비
확대6.0x-12.0xNVD 종류포수열영상
전차장야시경
조종수야시경
거리 측정기 종류레이저 거리 측정기 (LR)적외선 탐조등 종류-
시야 FOV12-6NVD 성능포수1세대, 500x300 해상도
전차장1세대, 500x300 해상도
조종수야시경


주무장 1
[ 펼치기 · 접기 ]

명칭재장전 시간발사 속도사용 탄종탄약적재량
MIM1461.1 초
(차탄 재장전)
30 초
(전탄 재장전)
-ATGM (대전차미사일)8 발
고저각수평 회전각조준 속도수직 조준 속도주포 안정기장전 방식준비탄 적재소
0° / +85°±180°62°/초
(AB)
42°/초
(RB)(SB)
82°/초
(AB)
34°/초
(RB)(SB)
--8 발
탄종명칭가격구경탄체중량포구초속폭약 종류폭약 질량
ATGMMIM146무료152 mm51 kg1200 m/s콤포지션 B6 kg
탄종명칭TNT 당량신관 지연거리신관 민감도유도체계 유형사거리최소 발사 거리
격발 범위
ATGMMIM1467.86 kg-0.1 mm반자동10.00 km300 m
-
탄종명칭착탄각도별 도탄확률
0%50%100%
ATGMMIM14680°82°90°
탄종명칭착탄각 0° 거리별 관통력
10m100m500m1000m1500m2000m
ATGMMIM146900mm900mm900mm900mm900mm900mm
탄종명칭착탄각 30° 거리별 관통력
10m100m500m1000m1500m2000m
ATGMMIM146779mm779mm779mm779mm779mm779mm
탄종명칭착탄각 60° 거리별 관통력
10m100m500m1000m1500m2000m
ATGMMIM146450mm450mm450mm450mm450mm450mm


주무장 2
[ 펼치기 · 접기 ]

명칭재장전 시간발사 속도사용 탄종탄약적재량
25 mm M242 기관포0.3 초500 발/분APDS (분리철갑탄)
HEI-T* (고폭소이예광탄 (자폭탄))
600 발
고저각수평 회전각조준 속도수직 조준 속도주포 안정기장전 방식준비탄 적재소
-9° / +59°±180°62°/초
(AB)
42°/초
(RB)(SB)
82°/초
(AB)
34°/초
(RB)(SB)
--300 발 ×2
탄종명칭가격구경설명
HEI-T*
APDS
기본무료25 mmHEI-T*/APDS (으)로 채워진 25 mm 기관포 탄띠/탄알집
HEI-T*
APDS
M792420파일:19px-Sl_icon.png25 mmHEI-T*/HEI-T*/HEI-T*/APDS (으)로 채워진 25 mm 기관포 탄띠/탄알집
APDS
HEI-T*
M791700파일:19px-Sl_icon.png25 mmAPDS/APDS/APDS/HEI-T* (으)로 채워진 25 mm 기관포 탄띠/탄알집
탄종명칭착탄각 0° 거리별 관통력
10m100m500m1000m1500m2000m
HEI-T*
APDS
기본81mm80mm76mm70mm66mm61mm
HEI-T*
APDS
M79281mm80mm76mm70mm66mm61mm
APDS
HEI-T*
M79181mm80mm76mm70mm66mm61mm
탄종명칭착탄각 30° 거리별 관통력
10m100m500m1000m1500m2000m
HEI-T*
APDS
기본74mm73mm69mm65mm60mm56mm
HEI-T*
APDS
M79274mm73mm69mm65mm60mm56mm
APDS
HEI-T*
M79174mm73mm69mm65mm60mm56mm
탄종명칭착탄각 60° 거리별 관통력
10m100m500m1000m1500m2000m
HEI-T*
APDS
기본31mm31mm29mm27mm25mm23mm
HEI-T*
APDS
M79231mm31mm29mm27mm25mm23mm
APDS
HEI-T*
M79131mm31mm29mm27mm25mm23mm


연막 차장
[ 펼치기 · 접기 ]

명칭차장 횟수재장전 시간차장 범위차장 시간차장 지속시간
------
엔진 연막발생 시스템 (ESS)사용 가능


ADATS 소개 페이지
ADATS(Air Defense Anti-Tank System)라는 대공 대전차 체계를 브래들리 전투차에 올린 차량으로, 국내에서는 아닷츠 또는 아다츠라고 부른다. 1.89 "Imperial Navy" 업데이트 (19년 5월 29일)로 추가되었다.

미사일 하나로 대공, 대전차를 다 해먹을 수 있는 전천후 만능 대전차미사일차량 + 자주대공포다. 게다가 브래들리에 달린 25mm 체인건도 달려 있는데, 브래들리에도 없는 유압을 끌어와 발사속도를 높이는 기능이 반영되어 있어 분당 500발을 쏠 수 있다.[12] 물론 날탄 탄띠는 없고 M3 브래들리가 쓰는 탄띠를 고스란히 가져왔기에 10.0 전차의 전면에 대한 관통력은 기대하기 힘들다. 대신 적 전차의 포신은 빠르게 부술 수 있고 탄띠에 섞인 분리철갑탄이 최대 81mm 관통력이 나오기 때문에 적이 측면을 보인다면 쉽게 격파할 수 있다. 광학추적을 걸면 리드가 뜨기 때문에 대공도 가능하지만 25mm 한 정이라 화망이 옅어서 헬기나 저BR 항공기가 아니면 명중시키기 쉽지 않다.

미사일 관통력은 900mm로, 지대공미사일이라고 믿기 어려운 관통력을 자랑한다.[13] 때문에 다른 대공미사일 차량들이 고폭탄의 폭압 효과를 노리고 상부구조물을 힘들게 노리거나 여러발을 마구잡이로 갖다 뿌릴 때 아다츠는 그냥 대놓고 뚫을 수 있다. 탄속도 대공미사일답게 최대 1027m/s로 굉장히 빠르기에 중장거리의 적 전차도 부담없이 노릴 수 있다. 일단 항공기나 헬기를 맞추기 수월한 기동성은 나오고, 작약도 다른 대공미사일보다 많은 TNT 당량 7.82kg이라서 항공기 살상력이 확실한 것은 장점. 미사일의 발사 간격도 사실상 없는 수준이라 ERA를 장비한 전차도 첫타에 ERA가 다 뜯겨나가고 바로 날아오는 차탄에 박살이 난다. 탠덤탄두는 아니라서 소련 전차의 전면은 ERA를 뜯어내야 관통이 가능하니 빠르게 2발을 쏘는 것도 좋다.

다만 구축전차로 쓰기도 예전만큼 수월하지 않은데, 미사일 기동성 조정을 여러 차례 거치면서 탄도가 좀 불안정해졌기 때문이다. 발사 직후에는 잠깐 제멋대로 날아가기 때문에 너무 가까운 곳에서 쏘면 엄한 곳에 박히기 십상이며, 조준점에 칼같이 맞춰 날아가던 예전과 다르게 지금은 직선비행 중에도 조금씩 휘청거리면서 날아가기 때문에 충분한 거리를 둔 적을 쏴도 미사일이 조금씩 휘적거리다가 조준한 곳에 정확히 박히지 않을 때가 있다. 미사일은 8발을 모두 소모해야 보급이 가능하고, 보급받는 시간과 보급 이후 장전 시간 모두 매우 길다.

차량 자체의 개발 시기가 좀 이른 편이라 인게임에 있는 판치르, 토르, 크로탈 등의 여타 현대 대공전차에 비해서는 미사일 스펙이 좀 모자란 편이다. 최대 사거리도 10km로 짧고, 탄속 자체는 평범하지만 추진체 연소가 빨라서 최대 탄속인 약 1000m/s가 유지되는 구간이 매우 짧다. 약 3~4km만 넘어가도 빠르게 느려지기 시작하며, 약 6km 이상에서는 탄속과 기동성이 크게 저하된다. 따라서 실제 유효사거리는 6~8km 내외라고 보아도 무방하며, 최대사거리는 UCAV를 쏠 때 말고는 거의 의미가 없다.

그래도 미사일의 장점도 다양한데, 우선 탑랭크 대공전차의 미사일 중 후연이 가장 적다. 발사 직후에 바로 후연이 사라지기 때문에 항공기 입장에선 쏘는 것을 보고 있지 않았다면 발사를 인지하기 어렵다. 또한 여타 대공전차들의 미사일이 발사 직후 한동안 기동성이 굳는데 비해, ADATS의 미사일은 발사 직후부터 바로 35G 기동성이 나오기 때문에 여타 대공전차들보다 근~중거리 항공기 대응 능력이 더 뛰어나다.

장갑이 매우 얇아 날탄이 박히면 과관통이 나서 파편이 별로 생기지 않고, 차체 후방에 승무원이 옹기종기 모여있는 구조로 인해 피격이 됐는데 뜻밖에 생존하는 경우도 많다. 브래들리와 마찬가지로 커다란 엔진이 승무원 구획 앞에 자리잡고 있기 때문에 엔진에서 탄자가 멈추거나 파편을 다 흡수해서 차체 한복판을 맞고도 사는 경우도 왕왕 있다. 포탑은 완전 무인화되어 있기 때문에 포탑 한복판에는 날탄을 맞아도 광학장비 외에는 아무런 피해가 없지만, 장전된 미사일이나 기관포 좌우에 위치한 탄약고에 맞으면 그대로 유폭으로 죽기 때문에 포탑을 대놓고 내놓는 것은 삼가야 한다. 또한 화학탄은 종류와 피탄 부위를 불문하고 맞으면 폭압으로 거의 100% 사망하니 주의해야 한다.

실루엣이 눈에 잘 띄고 차고가 높아서 그렇지 선타를 치는데만 성공하면 대전차도 어렵지 않기 때문에 범용성은 대공전차 중에서 가장 좋은 편이다. 기관포는 대공용으로 쓰기엔 연사력이 조금 애매하긴 하지만 IRST 리드를 따라 쭉 긁으면 거리가 가까운 전투기나 헬기 정도는 잡을 수 있고 경장갑 차량이나 MBT 측면을 쏴서 격파할 수 있기 때문에 없는 것보단 낫다.

심각한 단점이 세 가지 있다. 첫째는 우선 미사일의 관통력 때문에 구축전차 판정을 받기 때문에[14] 게임 후반부에 스폰하기에는 SP가 굉장히 부담된다는 것이다. 대공전차는 초반이나 후반에나 동일하게 굉장히 저렴한 포인트로 스폰이 가능해서 타국 대공전차는 일종의 패자부활 개념으로 사용할 수도 있는 반면, 구축전차는 다른 차종이랑 묶여서 리스폰을 거듭할수록 요구 SP가 증가하기 때문에 포인트가 넉넉해야만 스폰이 가능하다. 때문에 초반에 좀 말려도 판치르가 우글우글하게 나오는 소련과 달리 미국 팀은 초반에 터져나간 전차가 많다면 ADATS 스폰을 거의 보기 힘들다.

둘째는 앙각이 59도에 불과하여 머리 위에 있는 적기를 쏠 수가 없다는 점이다. 일단 미사일 발사대의 앙각은 85도지만, 기관포의 앙각은 59도인데 기관포가 주포 취급이라 조준 시점이 기관포에 묶여있다. 미사일 전용 조준점도 딱히 없어서 어떤 방법으로도 59도 조준 제한을 풀 수 없다. 일단 3인칭으로 조준하면 85도까지 고개를 들 수는 있지만 아무래도 정밀한 사격이 어렵다.[15]

마지막 단점은 탐색 레이더와 추적 광학장비가 연동되지 않는다는 점이다. 조준장비가 탐색 레이더 - 추적 레이더로 구성된 여타 대공전차들은 탐색 레이더가 적기를 찾았다면 그 상태에서 레이더 목표 추적 키를 눌러서 즉시 탐색된 적기를 락온할 수 있지만, ADATS는 탐색 레이더 - IRST 추적장치 구성이기 때문에 둘이 연동되지 않는다. 때문에 탐색 레이더는 단순히 적기의 방향과 거리만 알려주며, 락온을 위해서는 유저가 해당 위치에서 직접 적기를 찾아서 수동으로 락온을 걸어야 하고, 락온 거리도 최대 11km 정도로 레이더에 비해 짧다. 적기가 적당히 낮은 고도에 있다면 쉽게 찾을 수 있지만, 고고도에 떠 있거나 나무에 가려지는 저고도에 있다면 적기를 찾는게 많이 어려울 수 있다.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워 썬더/지상 병기/미국 트리/대전차 자주포 문서의 r150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1 07:38:51에 나무위키 워 썬더/지상 병기/미국 트리/자주대공포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사실 대공전차인데도 전차를 찢고 다니는 비르벨빈트, 팔콘, 2S6 퉁구스카 같은 일부 자주대공포들이 이상한 것이다. 아예 대공/대전차 다 하라고 나온 ADATS는 예외지만.[2] 하지만 몇몇 고수들은 연사가 되는 37mm 이라는 점에 기습해서 같은 티어 전차를 10대나 썰어버리기도 한다[3] M163은 탐색레이더가 달린 차량이다. 포탑 옆에 달린 접시형 안테나가 AN/VPS-2 탐색레이더이다[4] 고증상 도하를 하려면 추가 키트가 있어야 하는데 모델링에는 미구현되있다는 이유. 도하기능은 없지만 아직도 물에 들어가면 파도막이가 열린다.[5] 다만 현실 발칸도 발사 자체는 당기는 즉시 되지만 최대 RPM까지 도달하는데 0.5초에서 느리면 1초까지 걸린다.[6] 보포스가 아니라 개선된 M266 기관포이기 때문. M19와 M42는 분당 120발이다.[7] 일반 자폭탄은 항공기를 탐지해서 터지는게 아니라, 지상 피해를 막기 위해 그냥 발사되고 일정 시간 뒤에 자폭하는 방식이다.[8] 초기에는 유일하게 VT탄을 가진 대공전차였으나 지금은 이탈리아의 오토매틱과 스웨덴의 수많은 전차가 VT신관을 가지고 나와서 상대적으로 흔해졌다.[9] 물론 직격탄이 가장 강력한 위력을 발휘하나, 고속으로 비행하는 제트기를 직격타를 내기는 쉽지 않다. 또한 VT 신관 반응이 살짝 느려서 적기 주변에서 폭발은 계속 생기는데 피해는 못 주는 상황도 자주 생긴다.[10] 적기 입장에서는 탄이 보이지도 않았는데 의문사할 수도 있는 셈. 그러나 철갑탄과 일반 고폭탄의 예광 효과는 그대로 남아있는 것에 유의.[11] 대개 프리미엄 G.91을 들고온 뉴비들[12] 브래들리는 분당 220발 수준이다.[13] 출시 초기에는 지상병기 중 1위였으나 9P157-2 크리잔테마 미사일 관통력이 무려 탠덤 1,200mm이며 BMP-2M도 같은 관통력의 코넷을 사용할 수 있게 되어서 아다츠 미사일의 관통력은 더이상 1위는 아니다.[14] 차대를 바꾸고 기관포를 떼고 동일한 미사일을 사용하는 영국의 ADATS(M113)도 구축전차 판정이다. 물론 거대한 크기와 눈에 잘 띄는 실루엣에다가 스태빌라이저도 없고 기동사격도 못 하기 때문에 실제 구축전차처럼 쓰는 것은 매우 제한적인 상황에서만 가능하다.[15] 기관포가 없는 영국 ADATS는 정상적으로 85도까지 조준이 가능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