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워 썬더/지상 병기/소련 트리/자주포 · 대전차 차량

덤프버전 :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워 썬더/지상 병기/소련 트리


워 썬더의 등장 병기 둘러보기
[ 공군 ]

파일:워 썬더 미국 국기.png 미국요격기 | 육군 전투기 | 해군 전투기 | 공격기 | 폭격기 | 프리미엄 | 회전익기
파일:워 썬더 독일 국기.png 독일메서슈미트 · 서독 계열 | 포케불프 · 동독 계열 | 중전투기 | 공격기 · 요격기 | 폭격기 | 프리미엄 | 회전익기
파일:워 썬더 소련 국기.png 소련야크 계열 | 미그 계열 | 라보츠킨 · 수호이 계열 | 공격기 | 폭격기 | 프리미엄 | 회전익기
파일:워 썬더 영국 국기.png 영국호커 계열 | 슈퍼마린 · 글로스터 계열 | 해군 항공기 | 중전투기 | 폭격기 | 프리미엄 | 회전익기
파일:워 썬더 일본 국기.png 일본해군 전투기 | 육군 전투기 | 중전투기 | 경폭격기 | 중형 · 중폭격기 | 프리미엄 | 회전익기
파일:워 썬더 중국 국기.png 중국국민당 | 공산당 | 공격기 | 폭격기 | 프리미엄 | 회전익기
파일:워 썬더 이탈리아 국기.png 이탈리아레지아네 계열 | 피아트 · 마키 계열 | 공격기 | 폭격기 | 프리미엄 | 회전익기
파일:워 썬더 프랑스 국기.png 프랑스자국산 | 공여 전투기 · 공격기 | 공격기 | 폭격기 | 프리미엄 | 회전익기
파일:워 썬더 스웨덴 국기.png 스웨덴전투기 | 전투기 · 폭격기 혼합 | 폭격기 | 핀란드 | 프리미엄 | 회전익기
파일:워 썬더 이스라엘 국기.png 이스라엘전투기 | 전투기 · 공격기 혼합 | 폭격기 | 프리미엄 | 회전익기
{{{-2 * 항공 병기 전반에 대한 내용은 워 썬더/항공 병기를 참고.
* 새로운 기체 문서를 추가하실 때 템플릿:워 썬더를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 육군 ]

파일:워 썬더 미국 국기.png 미국경전차 | 중형전차 · MBT | 중전차 · MBT | 자주대공포 | 대전차 자주포 | 프리미엄
파일:워 썬더 독일 국기.png 독일자주포 · 경전차 | 중전차 · MBT | 중형전차 · MBT | 자주대공포 | 구축전차 · 대전차 차량 | 프리미엄
파일:워 썬더 소련 국기.png 소련중형전차 · MBT | 중전차 · MBT | 경전차 | 자주포 · 대전차 차량 | 자주대공포 | 프리미엄
파일:워 썬더 영국 국기.png 영국중형전차 · MBT | 중전차 · MBT | 자주포 · 대전차 차량 | 자주대공포 | 남아프리카 | 프리미엄
파일:워 썬더 일본 국기.png 일본경전차 | 중형전차 · MBT | 구축전차 | 자주대공포 | 프리미엄
파일:워 썬더 중국 국기.png 중국경전차 · MBT | 중형전차 · MBT | 자주대공포 | 자주포 · 대전차 차량 | 프리미엄
파일:워 썬더 이탈리아 국기.png 이탈리아경전차 | 중형전차 · MBT | 자주대공포 | 구축전차 · 대전차 차량 | 헝가리 | 프리미엄
파일:워 썬더 프랑스 국기.png 프랑스경전차 | 중형전차 · MBT | 중전차 | 대공전차 | 구축전차 | 프리미엄
파일:워 썬더 스웨덴 국기.png 스웨덴경전차 | 중형전차 · MBT | 자주대공포 | 구축전차 · 대전차 차량 | 핀란드 | 프리미엄
파일:워 썬더 이스라엘 국기.png 이스라엘미국제 | 유럽제 · 자국산 | 자주대공포 · 대전차 차량 | 프리미엄
{{{-2 * 지상 병기 전반에 대한 내용은 워 썬더/지상 병기를 참고.
* 새로운 기체 문서를 추가하실 때 템플릿:워 썬더를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 해군 ]




파일:워 썬더 소련 국기.png 소련 지상 병기
[ 연구 가능 장비 ]
## -↓- 1랭 -↓- ##
I 랭크
## ↓ 1행 ↓ ##
파일:WarThunder_BT-5.png
파일:WarThunder_T-26.png
파일:WarThunder_T-26-4.png
파일:WarThunder_SU-5-1.png
파일:WarThunder_GAZ-AAA_(4M).png
## ↓ 2행 ↓ ##
## ↓ 3행 ↓ ##
파일:WarThunder_BT-7.png
파일:WarThunder_T-28_(1938).png
파일:WarThunder_T-60.png
파일:WarThunder_SU-76M.png
파일:WarThunder_GAZ-AAA_(DShK).png
## ↓ 4행 ↓ ##
## ↓ 5행 ↓ ##
파일:WarThunder_BT-7M.png
파일:WarThunder_T-28.png
파일:WarThunder_T-70.png
## ↓ 6행 ↓ ##
## -↓- 2랭 -↓- ##
II 랭크
## ↓ 1행 ↓ ##
파일:WarThunder_T-50.png
파일:WarThunder_T-28E.png
파일:WarThunder_T-80.png
파일:WarThunder_ZiS-30.png
파일:WarThunder_GAZ-MM_(72-K).png
## ↓ 2행 ↓ ##
## ↓ 3행 ↓ ##
[ T-34 40 / 41 ]
파일:WarThunder_T-34_(1940).png
파일:WarThunder_T-34_(1941).png

[ KV-1 / 2 ]
파일:WarThunder_KV-1_(L-11).png
파일:WarThunder_KV-2_(1939).png

파일:WarThunder_SU-122.png
파일:WarThunder_BTR-152A.png
## ↓ 4행 ↓ ##
## ↓ 5행 ↓ ##
[ T-34 42 / E ]
파일:WarThunder_T-34_(1942).png
파일:WarThunder_T-34E_STZ.png

파일:WarThunder_KV-1S.png
파일:WarThunder_YaG-10_(29-K).png
[ ZiS-12 / 43 ]
파일:WarThunder_ZiS-12_(94-KM).png
파일:WarThunder_ZiS-43.png

## ↓ 6행 ↓ ##
## -↓- 3랭 -↓- ##
III 랭크
## ↓ 1행 ↓ ##
파일:WarThunder_T-34-57.png
[ KV-1 / 85 ]
파일:WarThunder_KV-1_(ZiS-5).png
파일:WarThunder_KV-85.png

파일:WarThunder_ASU-57.png
[ SU / ISU ]
파일:WarThunder_SU-152.png
파일:WarThunder_SU-85.png
파일:WarThunder_ISU-152.png

파일:WarThunder_ZSU-37.png
## ↓ 2행 ↓ ##
## ↓ 3행 ↓ ##
파일:WarThunder_T-34-85_(D-5T).png
파일:WarThunder_IS-1.png
파일:WarThunder_PT-76B.png
[ SU-85M / ISU-122 ]
파일:WarThunder_SU-85M.png
파일:WarThunder_ISU-122.png

## ↓ 4행 ↓ ##
## -↓- 4랭 -↓- ##
IV 랭크
## ↓ 1행 ↓ ##
파일:WarThunder_T-34-85.png
파일:WarThunder_IS-2.png
파일:WarThunder_ASU-85.png
[ ISU-122S / SU-100 ]
파일:WarThunder_ISU-122S.png
파일:WarThunder_SU-100.png

파일:WarThunder_BTR-ZD.png
## ↓ 2행 ↓ ##
## ↓ 3행 ↓ ##
파일:WarThunder_T-44.png
파일:WarThunder_IS-2_(1944).png
파일:WarThunder_SU-100P.png
파일:WarThunder_2S1.png
파일:WarThunder_M53_59.png
## ↓ 4행 ↓ ##
## ↓ 5행 ↓ ##
파일:WarThunder_2S3M.png
## ↓ 6행 ↓ ##
## -↓- 5랭 -↓- ##
V 랭크
## ↓ 2행 ↓ ##
## ↓ 3행 ↓ ##
[ T-54 ]
파일:WarThunder_T-54_(1947).png
파일:WarThunder_T-54_(1949).png
파일:WarThunder_T-54_(1951).png

파일:WarThunder_IS-4M.png
[ BMP-1 / Ob.906 ]
파일:WarThunder_BMP-1.png
파일:WarThunder_Object_906.png

파일:WarThunder_Object_268.png
파일:WarThunder_ZSU-37-2.png
## ↓ 4행 ↓ ##
## -↓- 6랭 -↓- ##
VI 랭크
## ↓ 1행 ↓ ##
[ T-55 ]
파일:WarThunder_T-55A.png
파일:WarThunder_T-55AMD-1.png

파일:WarThunder_T-10M.png
[ BMP-2 / Ob.685 ]
파일:WarThunder_BMP-2.png
파일:WarThunder_Object_685.png

파일:WarThunder_IT-1.png
파일:WarThunder_ZSU-23-4.png
## ↓ 2행 ↓ ##
## ↓ 3행 ↓ ##
[ T-62 ]
파일:WarThunder_T-62.png
파일:WarThunder_T-62M-1.png

[ BMP-3 / 2S25 ]
파일:WarThunder_BMP-3.png
파일:WarThunder_2S25.png

파일:WarThunder_Shturm-S.png
파일:WarThunder_Strela-10M2.png
## ↓ 4행 ↓ ##
## ↓ 5행 ↓ ##
파일:WarThunder_T-72A.png
[ T-64 ]
파일:WarThunder_T-64A_(1971).png
파일:WarThunder_T-64B.png

## ↓ 6행 ↓ ##
## -↓- 7랭 -↓- ##
VII 랭크
## ↓ 1행 ↓ ##
[ T-72B ]
파일:WarThunder_T-72B.png
파일:WarThunder_T-72B_(1989).png

파일:WarThunder_T-80B.png
파일:WarThunder_2S25M.png
파일:WarThunder_Khrizantema-S.png
파일:WarThunder_2S6.png
## ↓ 2행 ↓ ##
## ↓ 3행 ↓ ##
파일:WarThunder_T-90A.png
파일:WarThunder_T-80U.png
파일:WarThunder_Pantsir-S1.png
## ↓ 4행 ↓ ##
## ↓ 5행 ↓ ##
파일:WarThunder_T-72B3.png
파일:WarThunder_T-80BVM.png
## ↓ 6행 ↓ ##
## -↓- 구분선 -↓- ##

[ 프리미엄 장비 ]
## -↓- 1랭 -↓- ##
I 랭크
## ↓ 1행 ↓ ##
파일:WarThunder_T-26_(1st_Gv.T.Br.).png
파일:WarThunder_T-26E.png
## ↓ 2행 ↓ ##
## ↓ 3행 ↓ ##
파일:WarThunder_T-35.png
파일:WarThunder_BT-7_TD.png
## ↓ 4행 ↓ ##
## ↓ 5행 ↓ ##
파일:WarThunder_SU-57.png
파일:WarThunder_RBT-5.png
## ↓ 6행 ↓ ##
## ↓ 7행 ↓ ##
파일:WarThunder_T-III_(USSR).png
파일:WarThunder_BA-11.png
## ↓ 8행 ↓ ##
## ↓ 9행 ↓ ##
파일:WarThunder_BM-8-24.png
파일:WarThunder_M3_Medium_(USSR).png
## ↓ 10행 ↓ ##
## -↓- 2랭 -↓- ##
II 랭크
## ↓ 1행 ↓ ##
파일:WarThunder_T-126.png
파일:WarThunder_SU-76M_(5th_Gv.Kav.Corps).png
## ↓ 2행 ↓ ##
## ↓ 3행 ↓ ##
파일:WarThunder_ZUT-37.png
파일:WarThunder_SU-76D.png
## ↓ 4행 ↓ ##
## ↓ 5행 ↓ ##
파일:WarThunder_SMK.png
파일:WarThunder_BT-7A_(F-32).png
## ↓ 6행 ↓ ##
## ↓ 7행 ↓ ##
파일:WarThunder_BM-13N.png
파일:WarThunder_MK-II_Matilda_(USSR).png
## ↓ 8행 ↓ ##
## ↓ 9행 ↓ ##
파일:WarThunder_MK-IX_Valentine_(USSR).png
파일:WarThunder_SU-85A.png
## ↓ 10행 ↓ ##
## ↓ 11행 ↓ ##
파일:WarThunder_T-34_(1st_Gv.T.Br.).png
파일:WarThunder_T-34E.png
## ↓ 12행 ↓ ##
## ↓ 13행 ↓ ##
파일:WarThunder_T-34_(Prototype).png
## ↓ 14행 ↓ ##
## -↓- 3랭 -↓- ##
III 랭크
## ↓ 1행 ↓ ##
파일:빈 프리미엄 장비 이미지.png
BM-31-12
파일:WarThunder_KV-2_(1940).png
## ↓ 2행 ↓ ##
## ↓ 3행 ↓ ##
파일:WarThunder_T-34-57_(1943).png
파일:WarThunder_KV-1E.png
## ↓ 4행 ↓ ##
## ↓ 5행 ↓ ##
파일:WarThunder_SU-100Y.png
파일:WarThunder_KV-220.png
## ↓ 6행 ↓ ##
## ↓ 7행 ↓ ##
파일:WarThunder_M4A2_(USSR).png
파일:WarThunder_KV-2_(ZiS-6).png
## ↓ 8행 ↓ ##
## ↓ 9행 ↓ ##
파일:WarThunder_Phòng_không_T-34_(USSR).png
파일:WarThunder_T-V_(USSR).png
## ↓ 10행 ↓ ##
## -↓- 4랭 -↓- ##
IV 랭크
## ↓ 1행 ↓ ##
파일:WarThunder_T-34-85E.png
파일:WarThunder_KV-122.png
## ↓ 2행 ↓ ##
## ↓ 3행 ↓ ##
파일:WarThunder_SU-122P.png
파일:WarThunder_IS-2_Revenge.png
## ↓ 4행 ↓ ##
## ↓ 5행 ↓ ##
파일:WarThunder_T-44-122.png
파일:WarThunder_Object_248.png
## ↓ 6행 ↓ ##
## ↓ 7행 ↓ ##
파일:WarThunder_T-34-100.png
파일:WarThunder_IS-6.png
## ↓ 8행 ↓ ##
## ↓ 9행 ↓ ##
파일:WarThunder_Type_62_(USSR).png
## ↓ 10행 ↓ ##
## ↓ 11행 ↓ ##
파일:WarThunder_PT-76-57.png
## ↓ 12행 ↓ ##
## -↓- 5랭 -↓- ##
V 랭크
## ↓ 1행 ↓ ##
파일:WarThunder_Object_120.png
파일:WarThunder_T-10A.png
## ↓ 2행 ↓ ##
## ↓ 3행 ↓ ##
파일:WarThunder_IS-7.png
## ↓ 4행 ↓ ##
## -↓- 6랭 -↓- ##
VI 랭크
## ↓ 1행 ↓ ##
파일:WarThunder_T-55AM-1.png
파일:WarThunder_Object_279.png
## ↓ 2행 ↓ ##
## ↓ 3행 ↓ ##
파일:WarThunder_T-72AV_(TURMS-T).png
파일:WarThunder_BMD-4.png
## ↓ 4행 ↓ ##
## ↓ 5행 ↓ ##
파일:WarThunder_2S38.png
파일:WarThunder_T-72M2_Moderna.png
## ↓ 6행 ↓ ##
## ↓ 7행 ↓ ##
파일:WarThunder_BMP-2M.png
## ↓ 8행 ↓ ##
## -↓- 7랭 -↓- ##
VII 랭크
## ↓ 1행 ↓ ##
파일:WarThunder_T-80UM2.png
파일:WarThunder_T-80U_(YouTube_Cup).png
## ↓ 2행 ↓ ##
## ↓ 3행 ↓ ##
파일:WarThunder_T-80UK.png
## ↓ 4행 ↓ ##





1. 개요
2. 상세
2.1. 전간기~냉전기(구축전차)
2.2. 냉전기(대전차미사일차량)
3. 1랭크
4. 2랭크
4.1. ZiS-30/SU-57B 계열
4.3. YaG-10 (29-K)
5. 3랭크
5.1. SU/ISU 계열
5.2. SU-85M/ISU-122 계열
5.2.1. SU-85M
5.2.2. ISU-122
6. 4랭크
6.1. ISU-122S/SU-100 계열
6.1.1. ISU-122S
6.2. 2S1
7. 5랭크
8. 6랭크
9. 7랭크



1. 개요[편집]


경전차 라인에 비견될 정도로 소련 지상군 내에서 가장 손을 많이 타는 대전차 차량들이 모여있다. 이 게임에 편하게 입문하고 싶다면 경전차나 자주포를 몰지 말고 중형전차나 중전차 라인을 밀 것을 추천한다. SU-5-1 자주포로 시작해 흐리잔테마-S 대전차 차량으로 끝나는 라인이다.

한국어판의 경우 구축전차, 러시아어판에서는 자주포를 뜻하는 САУ(Самоходная артиллерийская установка), 영문판에서는 대전차 차량(대전차 자주포, 구축전차 포괄)을 뜻하는 TD(Tank destroyer), 독일어판은 대전차 자주포를 뜻하는 Panzerjäger로 번역되어 있기 때문에 사실상 자주포 라인이나 구축전차 라인으로 불러도 상관없다. 다만 한국어판을 중점으로 서술한다.


2. 상세[편집]


전간기부터 냉전기 당시 소련 사람들의 웅대한 기상을 실체화한 대구경 포에서 투사되는 무자비한 화력은 꽤나 매력적이다. 하지만 장점이 있으면 단점도 있듯, 이 라인에 속한 자주포들 대다수가 가지고 있는 큰 단점들이 있는데...


2.1. 전간기~냉전기(구축전차)[편집]


  • 일단 대다수 자주포들이 포탑이 없고 목고자다. 물론 목이 돌아가는 정도는 차종에 따라 달라서 ISU 시리즈 자주포들처럼 추간판 탈출증이라도 발병했는지 좌우포각이 없다시피한 경우도 있고, SU 시리즈 자주포들처럼 그나마 목이 좀 돌아가는 경우도 있다. 다만 차이가 있어봐야 도긴개긴 수준이라 차체를 선회해가며 조준을 하는 테크닉은 필수로 갖춰야 한다. 그래서 궤도를 한쪽 잃으면 조준이 느려지며 둘다 잃으면 약간의 목 돌아가는것을 제외하면 조준이 불가능하다.
  • 장갑의 방호력이 빈약하다. 두부살. 대체적으로 전고가 낮고 차체도 경사져 있어서 가끔씩 도탄을 내거나 피격당해도 별 피해 없이 넘어가는 행운을 경험할 수 있지만, 그런 행운을 겪을 확률보단 포탄 한 방에 승무원들이 몰살당해 격파판정이 나는 불운을 경험할 확률이 더 높을 것이다. 즉, 되도록 맞지 않고 상대를 때려야 하므로 눈치와 시야가 필요하다.
  • SU-100 이후의 자주포들은 해당되지 않는 이야기지만, 재장전 시간이 긴 자주포들이 꽤 있다. 상대와 대치할 때 선빵을 날렸는데 유효타를 먹이지 못한 데다가 즉시 자리를 피하지도 못하면 차탄을 준비하기도 전에 맞아죽는 안타까운 일이 종종 발생하므로 치고 빠지는 컨트롤이 필요하다. 이런 (대전차)자주포의 경우 흔히 목이라고 부르는 회전식 터렛에 없는대신 주포가 좋은경우가 많은데다가 152mm같은 무식한 구경의 포를 탑재하는 경우가 많아서 일반적으로 정면에서라도 관통이 불가능한 적은 많지 않고 많은 작약[1]으로 인해 관통만 하면 너무 경장갑 또는 무장갑이라 신관이 작동하지 않는 경우를 제외하면[2] 어지간해서는 한방에 잡는다지만, 워썬더의 관통 시스템이 완벽하지 않고 이상하게 안뚤리는 곳이 있다보니 맞추더라도 100%로 적을 잡는다는 보장이 없다.

종합하자면 컨트롤과 테크닉, 눈치가 필요한 숙련자용 테크트리라고 할 수 있다.한 방에 적을 제압하는 쾌감을 만끽할 수 있으나, 그게 안되면 그야말로 걸어다니는 경험치. 위에서 설명한 각 단점들의 시너지 효과도 상당히 커서 한 가지 단점이 또다른 단점을 증폭시키고, 증폭된 단점이 또다른 단점을 불러오는 경우가 많다. (적과 대치중인데, 적이 절묘하게 움직여서 목고자인 내가 적을 한 방에 못 죽였다.) → (포탄 재장전 중) → (근데 재장전 시간이 기네...) → (그 사이에 적이 공격) →(두부살인 나의 자주포는 전차 승무원을 못 지켜줌) → (전차 승무원 죽음) → (재장전 시간 초기화, 반격을 하기 전에 다음 공격을 얻어맞고 차고행) 이라는 혈압상승 시나리오가 그 예시. 그러므로 소련산 자주포를 몰 때에는 소련 자주포 특유의 단점을 부각시켜서는 안된다. 즉, 게임을 잘 해야 한다. 얻어맞지 말아야 하고 적이 시야에 보이면 한 방에 보내야 하고, 재장전을 할 때에는 적절한 은폐/엄폐물 뒤에 숨어서 다음 공격을 준비해야 한다.

무지막지하게 어려운 차종이라고 생각할 수 있는데, 그래도 매력이 확실한 전차들이 많이 있는 흥미로운 테크트리인 것만큼은 확실하다.

재미있다고 평가받는 소련의 골탱들인 SU-100Y와 T-44-122, SU-122P 등은 운용법[3]이 이 테크트리에 속한 전차들과 상당히 유사하므로, 이 골탱들을 쓸 마음이 있는 플레이어라면 본 테크트리의 전차들을 통해 예행연습을 해보자.

그런데 썬더스킬 같은 통계 사이트의 승률 통계를 보면, 본 테크트리에 속한 차량들의 승률이 영 좋지 않다.[4] 절대적인 기준으로 보면 그냥저냥 평범한 수준이지만, 소련의 승률을 책임지는 중형전차 라인들의 전차들과 비교하면 초라할 정도. 이런 현상이 나타나는 데에는 여러가지 이유가 있겠지만, 무엇보다도 가장 큰 이유는 여타 소련 전차들과 운영방식이 다르기 때문일 것이다. 대표적인 소련 전차라고 할 수 있는 소련의 중형전차들과 비교를 해보자. 장전속도부터가 9~10초 수준인 소련 중형전차 라인과는 다르게 자주포 테크트리의 차량들은 재장전 시간이 20~30초를 넘나든다. 거기에 (1.63 패치 이후로 줄어들었다고는 하지만) 경사장갑으로 인한 도탄을 기대해볼 수 있는 소련 중형전차들과는 다르게 자주포들은 한 방을 맞으면 승무원 몇이 죽어나가고 모듈이 터진다. 즉, 시가전과 근접전에 전혀 강세를 보이지 못한다.

폴란드 맵에서 게임을 한다고 치자. 만약 당신이 T-34-85나 T-44를 몰고 있다면 상황을 보다가 시가지로 진입해 강력한 기동성을 살려 적들의 빈틈을 노릴 것이다. 설령 적에게 치명타를 주지 못해 반격을 받을 상황에 처했더라도, 정타를 맞지 않도록 끊임없이 기동을 할 수 있을 것이며 현란한 기동에 현혹된 적들은 제대로 약점을 노리지 못할 것이고 약점을 노리지 못한 눈 먼 포탄은 경사장갑을 맞고 튕겨져 나갈 것이다. 그 사이에 재장전을 마친 당신의 전차는 적을 공격할 기회를 얻게 될 것이다.

하지만 당신이 SU-152나 ISU-122S를 몰고 있다면? 시가지에 들어가는 시점부터 생존 확률이 크게 줄어든다. 적에게 치명타를 주지 못하면, 다음 포탄을 쏠 때까지 20초 정도의 시간을 기다려야 한다. 그리고 그 사이에 맞아죽는다. 기동력은 폐급까진 아니지만 중형전차에 비하면 매우 느리다. 경사장갑이 있기는 하지만, 두께가 매우 알량하기 때문에 한 대 맞으면 승무원 서넛이 죽고 엔진이 검은색이 된다. 목도 안 돌아가서 기동불능이 되면 적이 정면에 있지 않는 이상 J키를 3초간 누르는 것이 정신건강에 도움이 된다.

소련 자주포 라인은 매우 이질적이다. 특성을 따져보면 다른 소련 전차들보단 독일 전차들에 더욱 가까울 정도다. 그런데 이 라인을 접하는 사람들 대다수가 소련을 중형전차들로 입문해 시가전/근접전을 펼치다가 온 사람들이라, 자주포를 몰 때에도 중형전차를 다룰 때처럼 시가전/근접전을 시도한다. 그리고 악질적이게도 저랭크 소련 자주포들은 죄다 재장전 시간도 짧고(SU-122 제외), 기동력도 랭크 대비 좋은 편이고, 저랭크인지라 플레이어들도 어리버리해서 시가전/근접전을 하려면 할 수 있다. 문제는 그렇게 SU-152까지 뚫었을 때 발생한다. SU-152부턴 근거리에서 치고박고 싸우는 것보다 원거리에서 화력지원을 하는 것이 더 나은 상황이 많아진다. 그런데도 무턱대고 전장에 나섰다가 포탄 한 발 쏘고 순삭당하는 사람들이 많다. 그것이 본 자주포 라인의 (비교적) 낮은 승률의 원인 중 하나가 아닐까 추측된다. 거기에 소련 자주포들 중 가장 사거리가 짧은 SU-100조차 4km 포격지원이 가능했는데, 워 썬더의 전장은 길이가 1~2km 수준이라서 게임 자체부터가 자주포들이 힘을 쓰기 힘든 환경이기도 하다.

아예 스쿼드를 짜서 보이스채팅을 하며 재장전 느린 SU-152같은 차량을 옆에서 T-34같이 비교적 장전이 빠른 차량으로 보조하는것도 좋다.


2.2. 냉전기(대전차미사일차량)[편집]


6랭크부터는 목고자 자주포 대신 360° 방위로 대전차미사일을 운용하는 IT-1 미사일 전차와 9P149 쉬투름-S, 그리고 흐리잔테마-S 등등의 대전차 차량이 등장한다.


3. 1랭크[편집]



3.1. SU-5-1[편집]


SU-5-1
[ 펼치기 · 접기 ]
소련 육군 자주포 · 대전차 차량 트리
파일:ussr_su_5_1.png
이전 차량현재 차량다음 차량
(시작)SU-5-1SU-76M
소련 육군 자주포 · 대전차 차량 트리는 1랭크 SU-5-1부터 7랭크 흐리잔테마-S까지 트리로 연계되어 있기 때문에 1랭크 SU-5-1 이후부터 연구를 건너 뛸 수 있는 차량이 없다.

  • 차량 성능
국가파일:소련 국기.svg 소련차종구축전차랭크IBR1.0
승무원 인원5 명
전차장
포수
조종수
탄약수 2 명
중량10.0 톤시인성76 %포탑 회전 속도7.0°/초 (AB)
4.8°/초 (RB)
4.8°/초 (SB)
엔진변속기전진 5 단 | 후진 1 단
엔진 출력128 마력 | 2100 rpm (AB)
80 마력 | 2100 rpm (RB)
80 마력 | 2100 rpm (SB)
최고 속도전진 33 km/h | 후진 3.4 km/h (AB)
전진 30 km/h | 후진 3.1 km/h (RB)
전진 30 km/h | 후진 3.1 km/h (SB)
차체 장갑
(전 / 측 / 후)
10 mm7 mm7 mm남은 무료
수리 횟수
10최대 수리비280파일:19px-Sl_icon.png (AB)
250파일:19px-Sl_icon.png (RB)
290파일:19px-Sl_icon.png (SB)
포탑 장갑
(전 / 측 / 후)
5 mm0 mm0 mm무료 수리 시간12분 (AB)
23분 (RB)
23분 (SB)
최대 장비
연구 효율
I - II 랭크
필요 RP4,000파일:13px-Rp_icon.png가격2,100파일:19px-Sl_icon.png전환 훈련 비용600파일:19px-Sl_icon.png보상 100%파일:13px-Rp_icon.png1×(100%)
보상 30%파일:19px-Sl_icon.png (AB)
보상 50%파일:19px-Sl_icon.png (RB)
보상 50%파일:19px-Sl_icon.png (SB)
0.3×(100%) (AB)
0.5×(100%) (RB)
0.5×(100%) (SB)

  • 주무장
명칭재장전 시간발사 속도사용 탄종탄약적재량
76 mm 1902/30 야포6.5 초9.23 발/분APHE
APBC
HE
유산탄
8 발
고저각회전각조준 속도수직 조준 속도주포 안정기장전 방식준비탄
-5 / 60°±15°7.0°/초 (AB)
4.8°/초 (RB)
4.8°/초 (SB)
5.5°/초 (AB)
2.2°/초 (RB)
2.2°/초 (SB)
없음수동 장전8 발
탄종명칭가격구경탄체중량포구초속폭약 종류폭약 질량
APHEBR-350A (MD-5 신관)무료76 mm6.3 kg662 m/sTNT150 g
APBCBR-350SP7파일:19px-Sl_icon.png76 mm6.78 kg655 m/s
HEOF-350M무료76 mm6.2 kg680 m/sTNT621 g
유산탄Sh-354T무료76 mm6.2 kg680 m/sTNT85 g
탄종명칭TNT 당량신관 지연거리신관 민감도유도체계 유형사거리격발 범위
APHEBR-350A (MD-5 신관)1.2 m14 mm
APBCBR-350SP
HEOF-350M0.05 m0.1 mm
유산탄Sh-354T0.5 m8 mm
탄종명칭착탄각도별 도탄확률
0%50%100%
APHEBR-350A (MD-5 신관)48°63°71°
APBCBR-350SP48°63°71°
HEOF-350M79°80°81°
유산탄Sh-354T62°69°73°
탄종명칭착탄각 0° 거리별 관통력
10m100m500m1000m1500m2000m
APHEBR-350A (MD-5 신관)86mm85mm76mm67mm59mm52mm
APBCBR-350SP102mm100mm91mm81mm72mm64mm
HEOF-350M10mm10mm10mm10mm10mm10mm
유산탄Sh-354T37mm35mm29mm25mm20mm17mm
탄종명칭착탄각 30° 거리별 관통력
10m100m500m1000m1500m2000m
APHEBR-350A (MD-5 신관)77mm75mm68mm60mm53mm46mm
APBCBR-350SP90mm89mm81mm72mm64mm57mm
HEOF-350M10mm10mm10mm10mm10mm10mm
유산탄Sh-354T32mm30mm25mm21mm17mm15mm
탄종명칭착탄각 60° 거리별 관통력
10m100m500m1000m1500m2000m
APHEBR-350A (MD-5 신관)32mm31mm28mm25mm22mm19mm
APBCBR-350SP37mm36mm33mm30mm26mm23mm
HEOF-350M10mm10mm10mm10mm10mm10mm
유산탄Sh-354T14mm13mm11mm10mm8mm6mm

T-26 경전차 차체에다가 76mm 1902/30년형 사단포를 얹은 자주포로 원래는 없었는데 어느샌가 추가되었다. 기동성은 T-26 차체 답게 구데기다. 탄약적재량이 8발 밖에 되지 않아 한발 한발에 매우 신중히 쏴야 된다. 부무장으로 기관총 하나 없다. 거기다 부각도 안좋고 목고자다... 장갑은 없는 수준이나 승무원이 5명씩이나 타서 한방에 쉽게 죽지는 않는다.

대신 조종수를 제외한 나머지 4명이 모두 후방에 장갑 없이 노출된 상태로 있기 때문에 후방에서 기관총 세례라도 받으면 꼼짝없이 몰살이다. 그래도 76mm포는 1랭크에서 무시무시한 위력을 보여주니 선빵만 맞지 말고 저격을 하자. 76mm 장포신 답게 일단 동랭크 혹은 상위랭크의 탱크라도 왠만해선 한방에 골로간다.(br 4~5까지 유효)


3.2. SU-76M[편집]


SU-76M
[ 펼치기 · 접기 ]
소련 육군 자주포 · 대전차 차량 트리
파일:ussr_su_76m_1943.png
이전 차량현재 차량다음 차량
SU-5-1SU-76MZiS-30

  • 차량 성능
국가파일:소련 국기.svg 소련차종구축전차랭크IIBR2.7 (AB)
2.3 (RB)
2.3 (SB)
승무원 인원4 명
전차장
포수
조종수
탄약수
중량10.5 톤시인성75 %포탑 회전 속도6.2°/초 (AB)
4.2°/초 (RB)
4.2°/초 (SB)
엔진변속기전진 4 단 | 후진 1 단
엔진 출력199 마력 | 3400 rpm (AB)
124 마력 | 3400 rpm (RB)
124 마력 | 3400 rpm (SB)
최고 속도전진 44 km/h | 후진 5.7 km/h (AB)
전진 40 km/h | 후진 5.3 km/h (RB)
전진 40 km/h | 후진 5.3 km/h (SB)
차체 장갑
(전 / 측 / 후)
25 mm15 mm15 mm남은 무료
수리 횟수
10최대 수리비440파일:19px-Sl_icon.png (AB)
340파일:19px-Sl_icon.png (RB)
320파일:19px-Sl_icon.png (SB)
포탑 장갑
(전 / 측 / 후)
25 mm10 mm15 mm무료 수리 시간27분 (AB)
52분 (RB)
52분 (SB)
최대 장비
연구 효율
I - III 랭크
필요 RP7,900파일:13px-Rp_icon.png가격10,000파일:19px-Sl_icon.png전환 훈련 비용3,000파일:19px-Sl_icon.png보상 112%파일:13px-Rp_icon.png1.12×(100%)
보상 90%파일:19px-Sl_icon.png (AB)
보상 80%파일:19px-Sl_icon.png (RB)
보상 90%파일:19px-Sl_icon.png (SB)
0.9×(100%) (AB)
0.8×(100%) (RB)
0.9×(100%) (SB)

  • 주무장
명칭재장전 시간발사 속도사용 탄종탄약적재량
76 mm ZiS-3 사단포9.0 초6.67 발/분APHE
APHEBC
APBC
APCR
HEAT
HE
유산탄
연막탄
60 발
고저각회전각조준 속도수직 조준 속도주포 안정기장전 방식준비탄
-3 / 25°±15°6.2°/초 (AB)
4.2°/초 (RB)
4.2°/초 (SB)
5.5°/초 (AB)
2.2°/초 (RB)
2.2°/초 (SB)
없음수동 장전60 발
탄종명칭가격구경탄체중량포구초속폭약 종류폭약 질량
APHEBR-350A (MD-5 신관)무료76 mm6.3 kg662 m/sTNT150 g
APBCBR-350SP10파일:19px-Sl_icon.png76 mm6.78 kg655 m/s
APCRBR-350P10파일:19px-Sl_icon.png76 mm3.02 kg950 m/s
HEATBP-350A30파일:19px-Sl_icon.png76 mm5.3 kg355 m/sA-IX-1623 g
APHEBCBR-350B (MD-8 신관)10파일:19px-Sl_icon.png76 mm6.3 kg665 m/sA-IX-264 g
HEOF-350M무료76 mm6.2 kg680 m/sTNT621 g
유산탄Sh-354T무료76 mm6.2 kg680 m/sTNT85 g
연막탄D-350A6파일:19px-Sl_icon.png76 mm6.45 kg680 m/s연막 조성물50 g
탄종명칭TNT 당량신관 지연거리신관 민감도유도체계 유형사거리격발 범위
APHEBR-350A (MD-5 신관)1.2 m14mm
APBCBR-350SP
APCRBR-350P
HEATBP-350A959.42 g0.1 mm
APHEBCBR-350B (MD-8 신관)98.56 g0.9 m14 mm
HEOF-350M0.05 m0.1 mm
유산탄Sh-354T0.5 m8 mm
연막탄D-350A연막 치장 범위: 13m
연막 치장 시간: 5초
연막 치장 지속시간: 20초
탄종명칭착탄각도별 도탄확률
0%50%100%
APHEBR-350A (MD-5 신관)48°63°71°
APBCBR-350SP48°63°71°
APCRBR-350P66°70°72°
HEATBP-350A62°69°73°
APHEBCBR-350B (MD-8 신관)48°63°71°
HEOF-350M79°80°81°
유산탄Sh-354T62°69°73°
연막탄D-350A
탄종명칭착탄각 0° 거리별 관통력
10m100m500m1000m1500m2000m
APHEBR-350A (MD-5 신관)86mm85mm76mm67mm59mm52mm
APBCBR-350SP102mm100mm91mm81mm72mm64mm
APCRBR-350P124mm119mm92mm68mm50mm36mm
HEATBP-350A80mm80mm80mm80mm80mm80mm
APHEBCBR-350B (MD-8 신관)94mm92mm83mm73mm65mm57mm
HEOF-350M10mm10mm10mm10mm10mm10mm
유산탄Sh-354T37mm35mm29mm25mm20mm17mm
연막탄D-350A
탄종명칭착탄각 30° 거리별 관통력
10m100m500m1000m1500m2000m
APHEBR-350A (MD-5 신관)77mm75mm68mm60mm53mm46mm
APBCBR-350SP90mm89mm81mm72mm64mm57mm
APCRBR-350P95mm91mm71mm52mm38mm28mm
HEATBP-350A69mm69mm69mm69mm69mm69mm
APHEBCBR-350B (MD-8 신관)83mm82mm74mm65mm57mm51mm
HEOF-350M10mm10mm10mm10mm10mm10mm
유산탄Sh-354T32mm30mm25mm21mm17mm15mm
연막탄D-350A
탄종명칭착탄각 60° 거리별 관통력
10m100m500m1000m1500m2000m
APHEBR-350A (MD-5 신관)32mm31mm28mm25mm22mm19mm
APBCBR-350SP37mm36mm33mm30mm26mm23mm
APCRBR-350P29mm28mm21mm16mm12mm8mm
HEATBP-350A40mm40mm40mm40mm40mm40mm
APHEBCBR-350B (MD-8 신관)34mm34mm30mm27mm24mm21mm
HEOF-350M10mm10mm10mm10mm10mm10mm
유산탄Sh-354T14mm13mm11mm10mm8mm6mm
연막탄D-350A

T-70 경전차를 개량하여 제작된 대전차자주포이다. 탑재된 주포는 76mm ZiS-3 사단포로 2랭크 초기 전차전에서 좋은 살상력을 지니고 있으며 76mm 경심철갑탄을 장전할 수 있기 때문에 고관통력이 필요한 상황에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포탑이 없는 많은 소련의 대전차자주포들과 비교하면 포신의 좌우 조준 범위가 넓다는 장점도 있다.

독일의 마르더 대전차자주포와 비교되는데 포탄의 살상력은 SU-76M이 우수하나 포탄의 관통력은 마르더가 우세하다.

공력력은 1랭크와 2랭크 초반 대에 위치한 전차를 상대로 위력적이지만 전체적인 장갑 방호력은 좋지 않은데 특히 상부와 후방은 무방비 상태에 가까울 정도로 극도의 장갑 방호력만 제공 받기 때문에 전투기의 기총 사격에 쉽게 무력화 될 수 있다.


4. 2랭크[편집]





4.1. ZiS-30/SU-57B 계열[편집]



4.1.1. ZiS-30[편집]


ZiS-30
[ 펼치기 · 접기 ]
소련 육군 자주포 · 대전차 차량 트리
파일:ussr_zis_30.png
이전 차량현재 차량다음 차량
SU-76MZiS-30SU-122

  • 차량 성능
국가파일:소련 국기.svg 소련차종구축전차랭크IIBR2.7 (AB)
2.3 (RB)
2.3 (SB)
승무원 인원4 명
전차장
포수
조종수
탄약수
중량4.0 톤시인성76 %포탑 회전 속도6.2°/초 (AB)
4.2°/초 (RB)
4.2°/초 (SB)
엔진변속기전진 4단 | 후진 1 단
엔진 출력71 마력 | 3400 rpm (AB)
44 마력 | 3400 rpm (RB)
44 마력 | 3400 rpm (SB)
최고 속도전진 46 km/h | 후진 5.9 km/h (AB)
전진 42 km/h | 후진 5.4 km/h (RB)
전진 42 km/h | 후진 5.4 km/h (SB)
차체 장갑
(전 / 측 / 후)
10 mm7 mm7 mm남은 무료
수리 횟수
10최대 수리비470파일:19px-Sl_icon.png (AB)
470파일:19px-Sl_icon.png (RB)
740파일:19px-Sl_icon.png (SB)
포탑 장갑
(전 / 측 / 후)
5 mm0 mm0 mm무료 수리 시간27분 (AB)
54분 (RB)
54분 (SB)
최대 장비
연구 효율
I - III 랭크
필요 RP7,900파일:13px-Rp_icon.png가격10,000파일:19px-Sl_icon.png전환 훈련 비용3,000파일:19px-Sl_icon.png보상 112%파일:13px-Rp_icon.png1.12×(100%)
보상 80%파일:19px-Sl_icon.png (AB)
보상 80%파일:19px-Sl_icon.png (RB)
보상 90%파일:19px-Sl_icon.png (SB)
0.8×(100%) (AB)
0.8×(100%) (RB)
0.9×(100%) (SB)

  • 주무장
명칭재장전 시간발사 속도사용 탄종탄약적재량
57 mm ZiS-2 대전차포6.5 초9.23 발/분APHE
APHEBC
HE
20 발
고저각회전각조준 속도수직 조준 속도주포 안정기장전 방식준비탄
-4 / 22°±30°6.2°/초 (AB)
4.2°/초 (RB)
4.2°/초 (SB)
5.5°/초 (AB)
2.2°/초 (RB)
2.2°/초 (SB)
없음수동 장전20 발
탄종명칭가격구경탄체중량포구초속폭약 종류폭약 질량
APHEBCBR-271무료57 mm3.14 kg990 m/sA-IX-214 g
APHEBR-271K10파일:19px-Sl_icon.png57 mm3.14 kg990 m/sA-IX-218 g
HEO-271무료57 mm3.72 kg700 m/sTNT220 g
탄종명칭TNT 당량신관 지연거리신관 민감도유도체계 유형사거리격발 범위
APHEBCBR-27121.56 g1.2 m9 mm
APHEBR-271K27.72 g1.2 m9 mm
HEO-2710.4 m0.01 mm
탄종명칭착탄각도별 도탄확률
0%50%100%
APHEBCBR-27148°63°71°
APHEBR-271K47°60°65°
HEO-27179°80°81°
탄종명칭착탄각 0° 거리별 관통력
10m100m500m1000m1500m2000m
APHEBCBR-271145mm143mm132mm119mm108mm98mm
APHEBR-271K145mm143mm132mm119mm108mm98mm
HEO-2715mm5mm5mm5mm5mm5mm
탄종명칭착탄각 30° 거리별 관통력
10m100m500m1000m1500m2000m
APHEBCBR-271128mm127mm117mm106mm96mm87mm
APHEBR-271K124mm123mm13mm103mm93mm84mm
HEO-2715mm5mm5mm5mm5mm5mm
탄종명칭착탄각 60° 거리별 관통력
10m100m500m1000m1500m2000m
APHEBCBR-27153mm52mm48mm44mm39mm36mm
APHEBR-271K55mm54mm50mm45mm41mm37mm
HEO-2715mm5mm5mm5mm5mm5mm

  • 부무장
명칭재장전 시간발사 속도사용 탄종탄약적재량
7.62 mm DT 기관총AP-I
API-T
756 발
탄종명칭착탄각 0° 거리별 관통력<script>alert("Hi");</script>10m100m500m1000m1500m2000m
AP-I, API-T[A][B]기본10mm9mm7mm4mm0mm0mm

T-20 콤소몰레츠 트랙터에 ZiS-2 대전차포를 장착한 것으로 실제로 GABTU(기갑기계화총국)가 대전차전을 염두에 둔 채로 개발하였다. 57mm 포탄은 3랭크 T-34-57 중형전차와 동일하기 때문에 2랭크는 물론 4랭크 일부 전차까지 상대할 수 있을 정도로 상당히 위력적이다. 76mm에 비해 살짝 딸리는 화력을 제외하고는 탄속, 관통력, 장전속도 모두 2랭크 전차전에서 부족함이 없다. 주행성이나 기동성도 좋기 때문에 소련 구축전차 계열 중에서 꽤나 인기가 있는 모델이다. 하지만 주행 중 급 정차 시 포신이 흔들리기 때문에 빠른 대응 사격 능력은 떨어지고 가벼운 차체에 반동이 큰 대전차포를 장착하여서 사격 후 반동이 엄청나다 또한 방호력이 약한데 포수와 탄약수는 정면 방탄 장비를 제외하면 별 다른 방호 장비가 없으며 전면 방탄 장비도 두께가 얇아서 20mm 기관포는 물론 50구경 기관총에도 쉽게 관통된다. 심지어 이 포방패가 포수와 장전수를 전부 다 가리지 못해 동축기관총에 후두둑 맞다보면 전투불능이 되기 일쑤이다.

특이한 점으로는 크기가 미친듯이 작다보니 일부 시가전 맵의 헤지호그형 대전차 장애물을 비집고 들어가서 통과가 가능하며 후진과 주포 반동을 이용하면 다른 전차들이 못 오르는 40도 경사의 언덕도 등판 가능해서 연구를 좀 해본 사람이 몬다면 온갖 기상천외한 곳에 숨어있는 이 녀석을 볼 수 있다.

아울러 포의 성능이 워낙 걸출하다보니 만일 플레이어가 이 구축전차를 가지고 적 전차들이 몰려가는 길목에서 조준을 하고 있다가 쏘면 완전 초보라도 1~2대, 숙련자는 최고 4~6대까지 한방에 격파가 가능하다.
2랭크 구축전차와 돌격전차중에서 관통력이 가장 좋다.

또한 탄약적재량이 20발 밖에 안되므로 기물들 부순다고 이리저리 함부로 쏘지 않는게 좋다. 그래도 전 트리의 SU-5-1 보다는 탄약 적재량이 훨씬 많으니 나름 솔솔하다.

부무장인 차체 동축기관총의 유무가 패치 때마다 바뀌는 일이 빈번하다.

여담으로 너무 가벼운데 빠르기까지 하니 차체 균형이 넘어가려고 할 정도로 드리프트가 잘된다...


4.1.2. SU-57B[편집]


SU-57B
[ 펼치기 · 접기 ]
소련 육군 자주포 · 대전차 차량 트리
파일:ussr_su_57b.png
이전 차량현재 차량다음 차량
SU-122SU-57BSU-85

  • 차량 성능
국가파일:소련 국기.svg 소련차종구축전차랭크IIIBR3.3
승무원 인원4 명
전차장
포수
조종수
탄약수
중량9.5 톤시인성69 %포탑 회전 속도6.2°/초 (AB)
4.2°/초 (RB)
4.2°/초 (SB)
엔진변속기전진 4 단 | 후진 1 단
엔진 출력148 마력 | 3400 rpm (AB)
92 마력 | 3400 rpm (RB)
92 마력 | 3400 rpm (SB)
최고 속도전진 43 km/h | 후진 5.7 km/h (AB)
전진 40 km/h | 후진 5.2 km/h (RB)
전진 40 km/h | 후진 5.2 km/h (SB)
차체 장갑
(전 / 측 / 후)
25 mm16 mm16 mm남은 무료
수리 횟수
10최대 수리비940파일:19px-Sl_icon.png (AB)
810파일:19px-Sl_icon.png (RB)
1,000파일:19px-Sl_icon.png (SB)
포탑 장갑
(전 / 측 / 후)
25 mm16 mm16 mm무료 수리 시간4시간 31분 (AB)
8시간 42분 (RB)
8시간 42분 (SB)
최대 장비
연구 효율
II - IV 랭크
필요 RP18,000파일:13px-Rp_icon.png가격77,000파일:19px-Sl_icon.png전환 훈련 비용22,000파일:19px-Sl_icon.png보상 136%파일:13px-Rp_icon.png1.36×(100%)
보상 150%파일:19px-Sl_icon.png (AB)
보상 120%파일:19px-Sl_icon.png (RB)
보상 140%파일:19px-Sl_icon.png (SB)
1.5×(100%) (AB)
1.2×(100%) (RB)
1.4×(100%) (SB)

  • 주무장
명칭재장전 시간발사 속도사용 탄종탄약적재량
57 mm ZiS-4 대전차포6.5 초9.23 발/분APHE
APHEBC
HE
72 발
고저각회전각조준 속도수직 조준 속도주포 안정기장전 방식준비탄
-5 / 14°±18°6.2°/초 (AB)
4.2°/초 (RB)
4.2°/초 (SB)
5.5°/초 (AB)
2.2°/초 (RB)
2.2°/초 (SB)
없음수동 장전72 발
탄종명칭가격구경탄체중량포구초속폭약 종류폭약 질량
APHEBCBR-271무료57 mm3.14 kg990 m/sA-IX-214 g
APHEBR-271K30파일:19px-Sl_icon.png57 mm3.14 kg990 m/sA-IX-218 g
HEO-271무료57 mm3.72 kg700 m/sTNT220 g
탄종명칭TNT 당량신관 지연거리신관 민감도유도체계 유형사거리격발 범위
APHEBCBR-27121.56 g1.2 m9 mm
APHEBR-271K27.72 g1.2 m9 mm
HEO-2710.4 m0.01 mm
탄종명칭착탄각도별 도탄확률
0%50%100%
APHEBCBR-27148°63°71°
APHEBR-271K47°60°65°
HEO-27179°80°81°
탄종명칭착탄각 0° 거리별 관통력
10m100m500m1000m1500m2000m
APHEBCBR-271145mm143mm132mm119mm108mm98mm
APHEBR-271K145mm143mm132mm119mm108mm98mm
HEO-2715mm5mm5mm5mm5mm5mm
탄종명칭착탄각 30° 거리별 관통력
10m100m500m1000m1500m2000m
APHEBCBR-271128mm127mm117mm106mm96mm87mm
APHEBR-271K124mm123mm13mm103mm93mm84mm
HEO-2715mm5mm5mm5mm5mm5mm
탄종명칭착탄각 60° 거리별 관통력
10m100m500m1000m1500m2000m
APHEBCBR-27153mm52mm48mm44mm39mm36mm
APHEBR-271K55mm54mm50mm45mm41mm37mm
HEO-2715mm5mm5mm5mm5mm5mm

1.83 패치로 추가된 자주포다. 2차대전 당시 영국으로부터 렌드리스로 받은 SU-57과는 다른 T-70 경전차 차대 기반이다. 성능은 전형적인 저격하는 대전차 자주포다. 포는 좋고, 장갑은 없기에 1선은 금물이다.

57mm포는 장전속도가 빠르고 4호 전차급의 관통력을 지니고 있으며 탄속이 빠르지만 소구경이어서 탄체중량이 낮고 명중률이 영 좋지 않다. 기동성은 그럭저럭 봐줄만 하지만 전면장갑이 26mm로 매우 얇다.


4.2. SU-122[편집]


SU-122
[ 펼치기 · 접기 ]
소련 육군 자주포 · 대전차 차량 트리
파일:ussr_su_122.png
이전 차량현재 차량다음 차량
ZiS-30SU-122SU-57B

  • 차량 성능
국가파일:소련 국기.svg 소련차종구축전차랭크IIBR2.3 (AB)
3.0 (RB)
3.0 (SB)
승무원 인원5 명
전차장
포수
조종수
탄약수 2 명
중량30.9 톤시인성76 %포탑 회전 속도13.2°/초 (AB)
8.9°/초 (RB)
8.9°/초 (SB)
엔진변속기전진 5 단 | 후진 1 단
엔진 출력710 마력 | 1800 rpm (AB)
442 마력 | 1800 rpm (RB)
442 마력 | 1800 rpm (SB)
최고 속도전진 60 km/h | 후진 9.1 km/h (AB)
전진 55 km/h | 후진 8.4 km/h (RB)
전진 55 km/h | 후진 8.4 km/h (SB)
차체 장갑
(전 / 측 / 후)
45 mm45 mm45 mm남은 무료
수리 횟수
10최대 수리비1,110파일:19px-Sl_icon.png (AB)
710파일:19px-Sl_icon.png (RB)
750파일:19px-Sl_icon.png (SB)
포탑 장갑
(전 / 측 / 후)
45 mm45 mm45 mm무료 수리 시간3시간 12분 (AB)
5시간 11분 (RB)
5시간 11분 (SB)
최대 장비
연구 효율
I - III 랭크
필요 RP14,000파일:13px-Rp_icon.png가격55,000파일:19px-Sl_icon.png전환 훈련 비용16,000파일:19px-Sl_icon.png보상 130%파일:13px-Rp_icon.png1.3×(100%)
보상 150%파일:19px-Sl_icon.png (AB)
보상 120%파일:19px-Sl_icon.png (RB)
보상 140%파일:19px-Sl_icon.png (SB)
1.5×(100%) (AB)
1.2×(100%) (RB)
1.4×(100%) (SB)

  • 주무장
명칭재장전 시간발사 속도사용 탄종탄약적재량
122 mm M-30 곡사포23.6 초2.54 발/분HEAT
HE
연막탄
40 발
고저각회전각조준 속도수직 조준 속도주포 안정기장전 방식준비탄
-3 / 25°±10°13°/초 (AB)
8.9°/초 (RB)
8.9°/초 (SB)
6.8°/초 (AB)
2.8°/초 (RB)
2.8°/초 (SB)
없음수동 장전40 발
탄종명칭가격구경탄체중량포구초속폭약 종류폭약 질량
HEOF-462무료122 mm21.76 kg515 m/sTNT3.67 kg
HEATBP-460A40파일:19px-Sl_icon.png122 mm13.4 kg335 m/sA-IX-12.18 kg
연막탄D-462A20파일:19px-Sl_icon.png122 mm23.3 kg515 m/s연막 조성물50 g
탄종명칭TNT 당량신관 지연거리신관 민감도유도체계 유형사거리격발 범위
HEOF-4620.1 m0.1 mm
HEATBP-460A3.36 kg0.1 mm
연막탄D-462A연막 치장 범위: 20m
연막 치장 시간: 5초
연막 치장 지속시간: 25초
탄종명칭착탄각도별 도탄확률
0%50%100%
HEOF-46279°80°81°
HEATBP-460A62°69°73°
연막탄D-350A
탄종명칭착탄각 0° 거리별 관통력
10m100m500m1000m1500m2000m
HEOF-46237mm37mm37mm37mm37mm37mm
HEATBP-460A160mm160mm160mm160mm160mm160mm
연막탄D-462A
탄종명칭착탄각 30° 거리별 관통력
10m100m500m1000m1500m2000m
HEOF-46237mm37mm37mm37mm37mm37mm
HEATBP-460A139mm139mm139mm139mm139mm139mm
연막탄D-462A
탄종명칭착탄각 60° 거리별 관통력
10m100m500m1000m1500m2000m
HEOF-46237mm37mm37mm37mm37mm37mm
HEATBP-460A80mm80mm80mm80mm80mm80mm
연막탄D-462A

2랭크 BR 2.3 짜리가 T-34 중형전차 차대에 122mm M-30S 곡사포를 얹고 나왔다. 화력만으로 보자면 말할것도 없는 OP 자주포지만 주포 IS-2, ISU-122처럼 A-19 평사포 기반이 아니라서 탄낙차가 심하고 철갑탄이 없다. 그래도 탄낙은 타국 105mm 곡사포와 큰 차이는 없는 수준이다.

OF-462 고폭탄 관통력이 36mm로 스펙은 4~5랭크 소련 122mm 중전차, 자주포가 쓰는 BR-471 고폭탄과 거의 비슷하다. 5랭크 BR 8.0에서도 122mm 고폭탄에 심심찮게 포탑 상판이나 차체 상판이 털려서 전차들이 죽어 나간다는걸 생각 해보면 뭐 이론상으론 상판이 40mm 두께 이하인 모든 전차, 즉, 5랭크에 있는 대부분 전차들도 한방에 격파 할 수 있는 잠재력을 지니고 있는것이다. 즉 BR 3.7 시점에서는 상당한 과잉살상 수준으로 일단 맞추기만 하면 어디 한곳은 무조건 나가며 반파 아니면 격파 수준. 단, 차체 상판이 존재 하지않는 햇쳐 같은 전차들은 정면 장갑을 고폭탄으로 때려 봤자 트랙이나 포만 부술뿐이니 주의. 게다가 패치를 먹고나서 예전처럼 고폭으로 숏트랩 샷을 내려면 탄 스펙에 TNT 당량이 나와야 있어야 가능하다. 122mm 고폭탄 전부 TNT 당량이 없기 때문에 지금은 맞춰도 킬을 기대하기 어렵다.

BP-460A 대탄의 경우는 관통력 자체는 160mm 정도로 준수하지만 타 국가 105mm 대탄과 비교한다고 쳐도 거리가 조금만 멀어지면 맞추기 매우 곤란한 335m/s의 탄속을 가지고 있어서 1km 거리의 타겟을 맞추기 위해 포를 높게 올리거나 영점 조절을 해서 쏴야 할 정도이며 포탄이 착탄하기까지 시간이 무려 3초씩이나 걸린다.

장전속도가 매우 길것 같으나 재장전 승무원 스킬 풀업에 에이스 훈련까지 마친다면 18.2초로 줄어서 그렇게 큰 단점은 아니다. BR 3.7 대의 전차가 가지고 있을법한 방어력은 가지고 있고 포탑이 없는 구축 전차기 때문에 피탄크기가 낮으나 어디까지나 T-34와 비교 한다면 생존성이 더 나은건 절대 아니다. T-34 의 주요 약점인 포탑이 없어서 언뜻 보면 방호력이 더 좋아 보일 수 도 있으나 차체 장갑의 경사도가 T-34 차체 경사도보다 훨씬 못하기 때문에 맞으면 포방패 쪽이 아닌 이상 다 뚫리는건 맞다. 대신 포방패가 면적이 상하로 길쭉하게 차체를 덮어서 보호하는 형태로 되어 있고 면적이 상당히 넓기 때문에 포가 달려있는 구간으로 포탄을 맞으면 포방패가 차체 장갑을 덮어서 2중으로 보호 하기 때문에 웬만한건 다 도탄내버릴 수 있을 정도. 그외에는 부각이 좀 구린편으로 같은 차체를 사용한 SU-85의 -5도 보다 훨씬 못한 -3도 를 가지고 있다.

장점으로는 T-34 차체라서 기동력이 상당히 준수하며 후진도 8km/h이기 때문에 엄폐물에 숨어서 치고 빠지기를 하기도 좋다.

단점으론 기본 HE탄의 화력이 나쁜 축에 속하다. HEAT탄을 언락하기 전까진 암에 걸릴 것이다.

2023년 현재까지도 2.3 BR대의 최강자로 군림하고 있다.

1.71패치로 배틀레이팅이 3.0에서 2.7로 버프를 먹었다.[5]

4.3. YaG-10 (29-K)[편집]


YaG-10 (29-K)
[ 펼치기 · 접기 ]
소련 육군 자주대공포 트리
파일:ussr_zsu_29k.png
이전 차량현재 차량다음 차량
ZiS-12 (94-KM)YaG-10 (29-K)ZiS-43

  • 필요 RP: 18,000 RP
  • 가격: 77,000 실버 라이온
  • 배치 비용: 22,000 실버 라이온

  • 차량 성능
차종구축전차랭크III(3)BR3.7
중량10.6 톤최고 속도46 km/h포탑 회전 속도9.7°/초
엔진 출력133 마력 | 3,400 rpm시인성70 %고저각-3 / 82°
차체 장갑정면 0측면 0후면 0최대 수리비1,690
포탑 장갑정면 0측면 0후면 0무료 수리 시간5시간 34분

  • 주무장
명칭재장전 시간사용 탄종탄약적재량
76 mm 3-K cannon6.5 초APHEBC, HE48 발
탄종명칭가격탄체중량포구초속관통력 (100m)관통력 (500m)관통력 (1000m)
APHEBCBR-361무료6.61 kg813 m/s119mm109mm98 mm
HEO-26122mm21mm20mm

고폭탄을 장전 후 측정기로 거리를 재면 조준경에 fuse, 즉 신관 작동거리가 거리 측정기로 측정해서나온 거리대로 뜨는데 그 상태로 쏘면 그 거리에서 포탄이 터진다. [6][7]

YaG-10 트럭에 76.2mm 3-K 대공포를 얹은 대공트럭이다. 인게임에서는 구축전차로 분류되지만 독일의 88mm 대공트럭의 소련판이라고 볼 수 있다. 3랭크이며 BR은 3.7.

76mm 대공포의 철갑탄은 포구초속이 매우 빠르고 10m에서 139mm의 관통력을 보여주기 때문에 해당 BR의 전차에 대한 관통력 문제는 없다. 장거리 저격시 포의 반동을 트럭 차체가 못이겨서 명중률이 떨어질수는 있지만 대체로 잘 맞는다. 장전속도 또한 6.5초로 매우 빠르다. 하지만 133마력이라는 경이로운 엔진 파워 때문에 속도가 매우 느리다(...). 포탑회전 속도 또한 장전속도랑 같아 느려서 바로 앞에 전차가 지나가도 포를 돌리느라 못쏠 때가 많다. 그리고 트럭 차체 때문에 정면에선 포가 허공을 향하게 되어 사격각도에도 제한이 따른다. 다른 소련 대공트럭들과 마찬가지로 방어력 또한 없는 수준으로, 차체는 1mm의 장갑을 자랑한다. 이 때문에 최대한 맞지 않게 포만 내놓고 저격하는 플레이 스타일을 추천한다. 포 하나는 매우 훌륭하다.

승무원 구성이 6명으로 앞의 캡에 2명과 캡 바로 뒤에 2명,맨 뒤에 2명이 앉아 있는 2×2×2 구조다.

5. 3랭크[편집]



5.1. SU/ISU 계열[편집]



5.1.1. SU-152[편집]


SU-152
[ 펼치기 · 접기 ]
소련 육군 자주포 · 대전차 차량 트리
파일:ussr_su_152.png
이전 차량현재 차량다음 차량
SU-85SU-152ISU-152
(필수 연구 X)
SU-85M
(입력에서 바로 연구 가능)

  • 차량 성능
국가파일:소련 국기.svg 소련차종구축전차랭크IIBR4.3(RB)
승무원 인원5 명
전차장
포수
조종수
탄약수 2 명
중량45.5 톤시인성85 %포탑 회전 속도7.0°/초 (AB)
4.8°/초 (RB)
4.8°/초 (SB)
엔진변속기전진 8 단 | 후진 3 단
엔진 출력852 마력 | 2000 rpm (AB)
531 마력 | 2000 rpm (RB)
531 마력 | 2000 rpm (SB)
최고 속도전진 46 km/h | 후진 17.9 km/h (AB)
전진 43 km/h | 후진 16.4 km/h (RB)
전진 43 km/h | 후진 16.4 km/h (SB)
차체 장갑
(전 / 측 / 후)
75 mm60 mm60 mm남은 무료
수리 횟수
10최대 수리비1,100파일:19px-Sl_icon.png (AB)
1,100파일:19px-Sl_icon.png (RB)
1,710파일:19px-Sl_icon.png (SB)
포탑 장갑
(전 / 측 / 후)
75 mm60 mm60 mm무료 수리 시간18시간 48분 (AB)
1일 12시간 (RB)
1일 13시간 (SB)
최대 장비
연구 효율
II - IV 랭크
필요 RP40,000파일:13px-Rp_icon.png가격150,000파일:19px-Sl_icon.png전환 훈련 비용43,000파일:19px-Sl_icon.png보상 154%파일:13px-Rp_icon.png1.54×(100%)
보상 100%파일:19px-Sl_icon.png (AB)
보상 130%파일:19px-Sl_icon.png (RB)
보상 170%파일:19px-Sl_icon.png (SB)
1.0×(100%) (AB)
1.3×(100%) (RB)
1.7×(100%) (SB)

  • 주무장
명칭재장전 시간발사 속도사용 탄종탄약적재량
152 mm ML-20S 곡사포27.7 초2.17 발/분APHE
APHEBC
HE
20 발
고저각회전각조준 속도수직 조준 속도주포 안정기장전 방식준비탄
-3 / 20°±12°7.0°/초 (AB)
4.8°/초 (RB)
4.8°/초 (SB)
2.7°/초 (AB)
1.1°/초 (RB)
1.1°/초 (SB)
없음수동 장전20 발
탄종명칭가격구경탄체중량포구초속폭약 종류폭약 질량
APHEBR-540무료152 mm48.8 kg600 m/sA-IX-2480 g
HEOF-540무료152 mm43.56 kg655 m/sTNT5.9 kg
APHEBCBR-540B120파일:19px-Sl_icon.png152 mm48.96 kg600 m/sA-IX-2660 g
탄종명칭TNT 당량신관 지연거리신관 민감도유도체계 유형사거리격발 범위
APHEBR-540739.2 g1.2 m19 mm
HEOF-5400.1 m0.5 mm
APHEBCBR-540B1.02 kg1.2 m19 mm
탄종명칭착탄각도별 도탄확률
0%50%100%
APHEBR-54047°60°65°
HEOF-54079°80°81°
APHEBCBR-540B48°63°71°
탄종명칭착탄각 0° 거리별 관통력
10m100m500m1000m1500m2000m
APHEBR-540170mm169mm161mm152mm144mm136mm
HEOF-54049mm49mm49mm49mm49mm49mm
APHEBCBR-540B166mm164mm157mm148mm140mm133mm
탄종명칭착탄각 30° 거리별 관통력
10m100m500m1000m1500m2000m
APHEBR-540146mm145mm138mm131mm124mm117mm
HEOF-54049mm49mm49mm49mm49mm49mm
APHEBCBR-540B147mm146mm139mm132mm125mm118mm
탄종명칭착탄각 60° 거리별 관통력
10m100m500m1000m1500m2000m
APHEBR-54065mm64mm61mm58mm55mm52mm
HEOF-54049mm49mm49mm49mm49mm49mm
APHEBCBR-540B61mm60mm57mm54mm51mm49mm

KV-1S 중전차 차대 기반 자주포로 2차대전 동안 티거, 판터 같은 독일 전차를 단순 무식하고 강력한 152mm 포로 때려잡아서 맹수 사냥꾼(Зверобой; 즈베라포이)이라는 별명을 지니고 있다. 주포 152mm ML-20S 곡사포는 고폭탄만으로도 강력한 대전차전이 가능하며 적 전차 주변에 폭발할 경우 그 엄청난 파편이 포신과 궤도 등등을 파손시켜 일시적인 전투 불능 상태가 될 수 있다. 철갑탄 역시 관통력과 살상력이 강력하기 때문에 독일 중전차를 쉽게 격파할 수 있다. 중형전차보다 중전차 후진이 빠른 소련 특성상 얘도 예외는 아니라서 후진 속도가 17.9km씩이나 돼서 치고 빠지기 편하다.

단점은 선회 포탑이 없는 목고자 자주포라서 포신의 좌우 조준 범위 밖의 표적을 공격하려면 차체를 선회해야 한다는 점, 그리고 대구경인 만큼 장전속도가 느리다.


5.1.2. SU-85[편집]


SU-85
[ 펼치기 · 접기 ]
소련 육군 자주포 · 대전차 차량 트리
파일:ussr_su_85_1943.png
이전 차량현재 차량다음 차량
SU-57BSU-85SU-152

  • 차량 성능
국가파일:소련 국기.svg 소련차종구축전차랭크IIBR4.3
승무원 인원4 명
전차장
포수
조종수
탄약수
중량29.6 톤시인성85 %포탑 회전 속도13.2°/초 (AB)
8.9°/초 (RB)
8.9°/초 (SB)
엔진변속기전진 5 단 | 후진 1 단
엔진 출력710 마력 | 1800 rpm (AB)
442 마력 | 1800 rpm (RB)
442 마력 | 1800 rpm (SB)
최고 속도전진 60 km/h | 후진 9.1 km/h (AB)
전진 55 km/h | 후진 8.4 km/h (RB)
전진 55 km/h | 후진 8.4 km/h (SB)
차체 장갑
(전 / 측 / 후)
45 mm45 mm45 mm남은 무료
수리 횟수
10최대 수리비1,400파일:19px-Sl_icon.png (AB)
1,300파일:19px-Sl_icon.png (RB)
1,720파일:19px-Sl_icon.png (SB)
포탑 장갑
(전 / 측 / 후)
45 mm45 mm45 mm무료 수리 시간10시간 28분 (AB)
18시간 51분 (RB)
19시간 36분 (SB)
최대 장비
연구 효율
II - IV 랭크
필요 RP33,000파일:13px-Rp_icon.png가격130,000파일:19px-Sl_icon.png전환 훈련 비용36,000파일:19px-Sl_icon.png보상 148%파일:13px-Rp_icon.png1.48×(100%)
보상 110%파일:19px-Sl_icon.png (AB)
보상 130%파일:19px-Sl_icon.png (RB)
보상 150%파일:19px-Sl_icon.png (SB)
1.1×(100%) (AB)
1.3×(100%) (RB)
1.5×(100%) (SB)

  • 주무장
명칭재장전 시간발사 속도사용 탄종탄약적재량
85 mm D-5S 전차포9.6 초6.25 발/분APHE
APHEBC
HE
48 발
고저각회전각조준 속도수직 조준 속도주포 안정기장전 방식준비탄
-5 / 25°±10°13°/초 (AB)
8.9°/초 (RB)
8.9°/초 (SB)
6.8°/초 (AB)
2.8°/초 (RB)
2.8°/초 (SB)
없음수동 장전48 발
탄종명칭가격구경탄체중량포구초속폭약 종류폭약 질량
APHEBR-365K무료85 mm9.2 kg792 m/sA-IX-248 g
APHEBCBR-365A50파일:19px-Sl_icon.png85 mm9.2 kg792 m/sA-IX-2164 g
HEO-365K무료85 mm9.54 kg793 m/sTNT660 g
탄종명칭TNT 당량신관 지연거리신관 민감도유도체계 유형사거리격발 범위
APHEBR-365K73.92 g1.2 m14 mm
APHEBCBR-365A1.2 m14 mm
HEO-365K0.1 m0.3 mm
탄종명칭착탄각도별 도탄확률
0%50%100%
APHEBR-365K47°60°65°
APHEBCBR-365A48°63°71°
HEO-365K79°80°81°
탄종명칭착탄각 0° 거리별 관통력
10m100m500m1000m1500m2000m
APHEBR-365K147mm143mm126mm107mm90mm77mm
APHEBCBR-365A135mm133mm125mm115mm106mm97mm
HEO-365K10mm10mm10mm10mm10mm10mm
탄종명칭착탄각 30° 거리별 관통력
10m100m500m1000m1500m2000m
APHEBR-365K126mm123mm108mm92mm78mm66mm
APHEBCBR-365A120mm118mm111mm102mm94mm86mm
HEO-365K10mm10mm10mm10mm10mm10mm
탄종명칭착탄각 60° 거리별 관통력
10m100m500m1000m1500m2000m
APHEBR-365K56mm55mm48mm41mm34mm29mm
APHEBCBR-365A49mm49mm46mm42mm39mm36mm
HEO-365K10mm10mm10mm10mm10mm10mm

85mm D-5S 전차포를 탑재한 대전차자주포로 저렴하면서도 강력한 위력을 지니고 있다. 85mm 철갑유탄은 145mm 장갑 관통력에 넉넉한 파편량을 지니고 있으며 장전 속도도 빠른 편에 속하여 지속사격 능력이 상당하다 또한 저렴한 수리비와 포탄 가격 역시 장점이며 T-34의 차체를 기반으로 제작되었기에 주행성과 기동성도 안정적이다. 3랭크에 진입한지 얼마 되지 않아 3랭크 전차가 부족한 유저라면 언락할 가치가 충분하며 배틀레이팅이 4.3~4.7로 공격력과 성능 대비 낮은 편이다.

하지만 차체 장갑이 45mm로 3랭크 전차전에서는 방호력이 낮은 편에 속한다. 각도를 주지 않는 이상 M4 셔먼의 75mm 포에게도 뚫리는 수준이며, 독일의 장포신 75mm 이상부터는 방호를 포기하는 게 좋다.


5.1.3. ISU-152[편집]


ISU-152
[ 펼치기 · 접기 ]
소련 육군 자주포 · 대전차 차량 트리
파일:ussr_isu_152.png
이전 차량현재 차량다음 차량
SU-152ISU-152
(필수 연구 X)
SU-85M
(SU-152에서 바로 연구 가능)

필요 RP: 120,000
가격: 360,000

  • 차량 성능
차종구축전차랭크4BR4.7
중량46.0 톤최대속도38 km/h포탑회전 속도초당 6.8°
엔진 출력434 마력, 2,200 RPM등반각40°부앙각-3 / 20°
차체장갑정면 90측면 90후면 60최대 수리 코스트3,560
포탑장갑정면 90측면 75후면 60무료 수리 시간3일 18시간

  • 주무장
명칭장전속도사용 탄종휴행탄수
152mm ML-20S 곡사포×127.7 초APHE, HE, APHEBC, HEAT20 발
탄종명칭가격탄자중량포구초속관통력 (100m)관통력 (500m)관통력 (1000m)
APHEBR-540무료49 Kg600m/초165mm152mm137mm
HEOF-540무료44 Kg655m/초49mm49mm49mm
APHEBCBR-540B24049 Kg600m/초148mm142mm135mm
HEATBP-54032028 Kg680m/초250mm250mm250mm

  • 부무장
명칭장전속도사용 탄종휴행탄수
12.7mm DShK 기관총×1기본250 발
탄종명칭가격탄자중량포구초속관통력 (100m)관통력 (500m)관통력 (1000m)
기본기본무료25mm16mm12mm

IS-2 중전차의 차체를 기반으로 설계된 ISU-152는 152mm ML-20S 곡사포와 12.7mm DShk 중기관총이 주력 무장이다. 152mm 곡사포의 위력은 역시 강력하며 SU-152와는 달리 152mm 대전차고폭탄을 사용할 수 있는데 최대 250mm 장갑 관통력을 지녔으며 A-IX-2 폭약이 2.84kg(TNT 당량 6.53kg) 적재되어 있기 때문에 이 미만 구경의 대전차고폭탄과 차별화 된 살상력을 지니고 있다. 적 전차에 명중 시 관통을 못하더라도 파편이 주변으로 비산하여 주요 부품에 피해를 줄 정도이며 관통 시 메탈 제트와 함께 파편이 주변 승무원이나 부품을 파손한다. 또한 대전차 고폭탄의 탄속도 꽤 빠른 편에 속하는 초속 680M로 장거리 사격 시 탄 낙차가 다른 152mm 포탄과 다르지 않다.

하지만 단점도 있기 마련인데 일단 대구경 곡사포를 탑재하였기에 장전 속도가 느리며 또한 방호력이 향상되었다 하더라도 인상적일 정도는 아니다. 가장 치명적인 문제는 차체 기동성이 좋지 않다는 점인데 긴급한 상황이 닥쳤을때 신속한 기동, 주행을 방해하는 문제점으로 IS-2 중전차의 단점이다.

원래는 ISU-122 뒤에 왔었으나 버프를 먹어 ISU-122와 순서가 바뀌었다. 리얼리스틱 BR은 4.7이다.


5.2. SU-85M/ISU-122 계열[편집]



5.2.1. SU-85M[편집]


SU-85M
[ 펼치기 · 접기 ]
소련 육군 자주포 · 대전차 차량 트리
파일:ussr_su_85m.png
이전 차량현재 차량다음 차량
SU-152
(ISU-152 연구를 생략했을 경우)
SU-85MISU-122
ISU-152
(필수 연구 X)

  • 차량 성능
국가파일:소련 국기.svg 소련차종구축전차랭크IIBR5.3
승무원 인원4 명
전차장
포수
조종수
탄약수
중량31.6 톤시인성85 %포탑 회전 속도7.0°/초 (AB)
4.8°/초 (RB)
4.8°/초 (SB)
엔진변속기전진 5 단 | 후진 1 단
엔진 출력710 마력 | 1800 rpm (AB)
442 마력 | 1800 rpm (RB)
442 마력 | 1800 rpm (SB)
최고 속도전진 60 km/h | 후진 9.1 km/h (AB)
전진 55 km/h | 후진 8.4 km/h (RB)
전진 55 km/h | 후진 8.4 km/h (SB)
차체 장갑
(전 / 측 / 후)
75 mm45 mm45 mm남은 무료
수리 횟수
10최대 수리비1,780파일:19px-Sl_icon.png (AB)
2,080파일:19px-Sl_icon.png (RB)
2,600파일:19px-Sl_icon.png (SB)
포탑 장갑
(전 / 측 / 후)
75 mm45 mm45 mm무료 수리 시간1일 05시간 (AB)
2일 08시간 (RB)
2일 11시간 (SB)
최대 장비
연구 효율
II - IV 랭크
필요 RP46,000파일:13px-Rp_icon.png가격170,000파일:19px-Sl_icon.png전환 훈련 비용49,000파일:19px-Sl_icon.png보상 160%파일:13px-Rp_icon.png1.6×(100%)
보상 100%파일:19px-Sl_icon.png (AB)
보상 140%파일:19px-Sl_icon.png (RB)
보상 170%파일:19px-Sl_icon.png (SB)
1.0×(100%) (AB)
1.4×(100%) (RB)
1.7×(100%) (SB)

  • 주무장
명칭재장전 시간발사 속도사용 탄종탄약적재량
85 mm D-5S 전차포9.6 초6.25 발/분APHE
APHEBC
APCR
HE
60 발
고저각회전각조준 속도수직 조준 속도주포 안정기장전 방식준비탄
-3 / 20°±8°7.0°/초 (AB)
4.8°/초 (RB)
4.8°/초 (SB)
5.5°/초 (AB)
2.2°/초 (RB)
2.2°/초 (SB)
없음수동 장전60 발
탄종명칭가격구경탄체중량포구초속폭약 종류폭약 질량
APHEBR-365K무료85 mm9.2 kg792 m/sA-IX-248 g
APHEBCBR-365A70파일:19px-Sl_icon.png85 mm9.2 kg792 m/sA-IX-2164 g
APCRBR-365P70파일:19px-Sl_icon.png85 mm4.99 kg1050 m/s
HEO-365K무료85 mm9.54 kg793 m/sTNT660 g
탄종명칭TNT 당량신관 지연거리신관 민감도유도체계 유형사거리격발 범위
APHEBR-365K73.92 g1.2 m14 mm
APHEBCBR-365A1.2 m14 mm
APCRBR-365P
HEO-365K0.1 m0.3 mm
탄종명칭착탄각도별 도탄확률
0%50%100%
APHEBR-365K47°60°65°
APHEBCBR-365A48°63°71°
APCRBR-365P66°70°72°
HEO-365K79°80°81°
탄종명칭착탄각 0° 거리별 관통력
10m100m500m1000m1500m2000m
APHEBR-365K147mm143mm126mm107mm90mm77mm
APHEBCBR-365A135mm133mm125mm115mm106mm97mm
APCRBR-365P193mm187mm154mm120mm94mm74mm
HEO-365K10mm10mm10mm10mm10mm10mm
탄종명칭착탄각 30° 거리별 관통력
10m100m500m1000m1500m2000m
APHEBR-365K126mm123mm108mm92mm78mm66mm
APHEBCBR-365A120mm118mm111mm102mm94mm86mm
APCRBR-365P149mm144mm118mm93mm72mm57mm
HEO-365K10mm10mm10mm10mm10mm10mm
탄종명칭착탄각 60° 거리별 관통력
10m100m500m1000m1500m2000m
APHEBR-365K56mm55mm48mm41mm34mm29mm
APHEBCBR-365A49mm49mm46mm42mm39mm36mm
APCRBR-365P45mm43mm36mm28mm22mm17mm
HEO-365K10mm10mm10mm10mm10mm10mm

SU-85 개량형으로 외형 상 차이점은 일단 T-34-85 처럼 원형 전차장 큐폴라가 설치되어 전차장 시야가 360° 사방위로 넓어졌으며 전면 장갑이 75mm로 증가하면서 31.6톤이 되었다. 시인성도 76%로 낮아져서 SU-85보다 적의 눈에 잘 띄지 않게 되었다. 이외의 스펙은 SU-85와 동일하며 화력 역시 D-5S 포로 동일하나, BP-365P 경심철갑탄믿고 거르는 APCR 쓰지 말자이 추가되었다. 내부 탄 배치도 바뀌면서 60발로 늘어났다. 다만 전면 장갑이 늘어서 공간이 협소해진 탓인지 포 정렬 속도와 회전각이 SU-85보다 안 좋다. 방어력 면에서 장갑이 는 만큼 다른 중장갑 전차와 교전할 때에도 SU-85보다 더 나은 전차전 능력을 보여주지만 BR 5.3이기 때문에 더 강력한 전차와 교전한다.


5.2.2. ISU-122[편집]


ISU-122
[ 펼치기 · 접기 ]
소련 육군 자주포 · 대전차 차량 트리
파일:ussr_isu_122.png
이전 차량현재 차량다음 차량
SU-85MISU-122ISU-122S
(필수 연구 X)
SU-100
(ISU-122에서 바로 연구 가능)

필요 RP: 100,000
가격: 310,000

  • 차량 성능
차종구축전차랭크4BR5.3
중량46.0 톤최대속도38 km/h포탑회전 속도초당 6.0°
엔진 출력434 마력, 2,200 RPM등반각40°부앙각-3 / 22°
차체장갑정면 90측면 90후면 60최대 수리 코스트3,110
포탑장갑정면 90측면 75후면 60무료 수리 시간3일

  • 주무장
명칭장전속도사용 탄종휴행탄수
122mm A-19 야포×126.0 초APHE, APHEBC, HE30 발
탄종명칭가격탄자중량포구초속관통력 (100m)관통력 (500m)관통력 (1000m)
APHEBR-471무료25 Kg795m/초196mm179mm158mm
APHEBCBR-471B23025 Kg800m/초201mm183mm162mm
HEOF-471무료25 Kg800m/초42mm42mm42mm

  • 부무장
명칭장전속도사용 탄종휴행탄수
12.7mm DShK 기관총×1기본250 발
탄종명칭가격탄자중량포구초속관통력 (100m)관통력 (500m)관통력 (1000m)
기본기본무료25mm16mm12mm

ISU-122는 122mm A-19 야포를 탑재한 자주포이다. ISU-152의 152mm ML-20S 곡사포의 생산량이 부족하자 임기응변책으로 122mm A-19 야포를 탑재하였다.

배틀레이팅이 5.3~5.7로 3랭크와 4랭크 초반 전차와 전차와 교전하는데 주력 대전차용 포탄인 철갑유탄의 장갑 관통력이 200mm로 거의 대부분의 중전차를 쉽게 격파할 수 있으며 고폭탄은 경전차와 자주대공포를 상대로 강력한 위력을 자랑한다. 122mm A-19 야포는 배틀레이팅 대비 강력한 무기로 부각받고 있으며 ML-20S 곡사포보다 더 강력한 대전차 능력을 지니고 있다고 평가하는 유저들도 존재한다. 또한 IS 중전차의 차체를 기반으로 제작되었기에 후진 속도도 빠르다 또한 12.7mm DShk 중기관총을 장착하고 있기에 대공 사격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 탄약수가 2명이기에 한명의 탄약수가 사망하여도 장전 속도에 큰 문제가 없다.

하지만 기동성이 좋지 않으며 야포를 그대로 탑재하였기 때문에 장전 속도도 평균 26초로 느리다.


6. 4랭크[편집]



6.1. ISU-122S/SU-100 계열[편집]



6.1.1. ISU-122S[편집]


ISU-122S
[ 펼치기 · 접기 ]
소련 육군 자주포 · 대전차 차량 트리
파일:ussr_isu_122s.png
이전 차량현재 차량다음 차량
ISU-122ISU-122S
(필수 연구 X)
SU-100
(ISU-100에서 바로 연구 가능)

필요 RP: 63,000
가격: 200,000

  • 차량 성능
차종구축전차랭크4BR5.7
중량46.0 톤최대속도38 km/h포탑회전 속도초당 6.0°
엔진 출력434 마력, 2,200 RPM등반각40°부앙각-3 / 22°
차체장갑정면 90측면 90후면 60최대 수리 코스트3,580
포탑장갑정면 90측면 75후면 60무료 수리 시간3일 09시간

  • 주무장
명칭장전속도사용 탄종휴행탄수
122mm D-25S 전차포×119.7 초APHE, APHEBC, HE30 발
탄종명칭가격탄자중량포구초속관통력 (100m)관통력 (500m)관통력 (1000m)
APHEBR-471무료25 Kg795m/초196mm179mm158mm
APHEBCBR-471B23025 Kg800m/초201mm183mm162mm
HEOF-471무료25 Kg800m/초42mm42mm42mm

  • 부무장
명칭장전속도사용 탄종휴행탄수
12.7mm DShK 기관총×1기본250 발
탄종명칭가격탄자중량포구초속관통력 (100m)관통력 (500m)관통력 (1000m)
기본기본무료25mm16mm12mm

122mm D-25S 전차포는 기존의 A-19 야포를 개량하여 전차 탑재에 용이하도록 개량하였다 또한 머즐브레이크가 장착되었고 포방패의 디자인도 달라졌다. 차체와 포탄의 특징에는 큰 변화가 없지만 장전 속도가 약 19초로 빨라졌다 때문에 초탄과 차탄 사격 속도가 빨라졌다. 하지만 배틀레이팅이 5.7으로 향상되어 더 강력한 전차와 조우한다.

프리미엄 트리의 SU-122P가 BR이 5.7이 되면서 SU-122P의 완전 하위호환 전차가 되어버렸다... 그나마 재장전 속도가 2초가량 더 빠른 건 이쪽의 장점이긴 한데 그 대신 SU-122P는 관통력 높은 D형 포탄, 시속 57km에 달하는 기동력을 가져갔다. 이쪽의 BR을 낮춰주든지 SU-122P의 BR을 6.0 정도로 하든지 조치를 취하는 게 맞겠지만 ISU-122S도 마이너한 전차고 SU-122P도 모는 사람이 많이 없는 마이너한 전차라서 가이진에서는 그냥 유야무야 넘어가고 있다.


6.1.2. SU-100[편집]


SU-100
[ 펼치기 · 접기 ]
소련 육군 자주포 · 대전차 차량 트리
파일:ussr_su_100_1945.png
이전 차량현재 차량다음 차량
ISU-122
(ISU-122S 연구를 생략했을 경우)
SU-100SU-122-54
ISU-122S
(필수 연구 X)
필요 RP: 71,000
가격: 210,000

  • 차량 성능
차종구축전차랭크4BR6.3
중량31.6 톤최대속도57 km/h포탑회전 속도초당 6.0°
엔진 출력417 마력, 2,050 RPM등반각28°부앙각-3 / 20°
차체장갑정면 75측면 45후면 45최대 수리 코스트2,780
포탑장갑정면 75측면 45후면 45무료 수리 시간3일 18시간

  • 주무장
명칭장전속도사용 탄종휴행탄수
100mm D-10S 전차포×113.7 초APHE, APHEBC, APCBC, HE33 발
탄종명칭가격탄자중량포구초속관통력 (100m)관통력 (500m)관통력 (1000m)
APHEBR-412무료16 Kg895m/초208mm188mm164mm
APHEBCBR-412B19016 Kg895m/초212mm191mm167mm
APCBCBR-412D19016 Kg887m/초226mm197mm172mm
HEOF-412무료15 Kg880m/초19mm19mm19mm

기존의 SU-85M 자주포의 화력 향상을 목적으로 제작된 SU-100은 85mm D-5S 전차포 보다는 장전 속도가 다소 느리지만 관통력과 화력이 대폭 향상된 100mm D-10S 전차포를 탑재하였다.

배틀레이팅 수치가 6.3이기에 3~4랭크 전차와 자주 조우한다 사실 이 경우에 소수의 중장갑 전차를 제외하면 85mm 철갑탄만으로도 강력한 공격력을 발휘할 수 있지만 구경이 커진 100mm 철갑탄은 평균적으로 200mm의 장갑을 관통할 수 있으며 포탄의 파편 역시 무시할 수 없다. 특히 BR-412D 포탄은 최대 240mm의 장갑을 관통할 수 있기에 냉전기 주력전차를 상대로도 대전차전이 가능하다.

장전 속도는 D-5S 전차포와 비교하면 다소 느리지만 4랭크의 많은 전차/대전차포와 비교하면 큰 문제는 아니다. 오히려 122mm D-25S, D-25T 전차포보다 100mm D-10S를 원하는 유저들이 많을 정도이며 관통력이나 탄속은 오히려 100mm 포탄이 122mm 포탄을 앞서 나간다.

차체의 특징은 SU-85M과 크게 차이점이 없다 좋은 주행성과 기동성은 물론, 전면 장갑은 75mm 경사 장갑에 측 후면은 45mm 수직 장갑, 승무원의 탑승 인원과 위치 역시 큰 차이가 없다 때문에 랭크 대비 약한 장갑 방호력이 단점으로 지적되며 대부분의 자주포가 그렇듯이 포신의 조준 범위가 무척 제한적이기에 범위 밖 목표를 조준하려면 차체를 기동해야 한다.

효율적이면서 강력한 100mm D-10S 전차포를 탑재하였기 때문에 T-54를 언락하지 못한 유저, T-34-100/T-44-100 전차를 보유하지 못한 유저들은 100mm 전차포가 어떠한지 테스트 하기 위해 운용하기도 한다.

크나큰 종양을 제외하면 빨간맛 야트크판터으로 생각하고 몰아도 될 정도로 유사하다.


6.2. 2S1[편집]




6.3. 2S3M[편집]


2S3M
2S3M Akatsiya
[ 펼치기 · 접기 ]

소련 육군 자주포 · 대전차 차량 트리
파일:WT_2S3M.jpg
이전 차량현재 차량다음 차량
SU-1002S3MSU-122-54


차량 성능
[ 펼치기 · 접기 ]

국가파일:소련 국기.svg
소련
차종구축전차랭크IVBR6.3
(AB)
6.3
(RB)
6.3
(SB)
승무원 인원4명
전차장
포수
조종수
탄약수
중량27.5 톤시인성94 %포탑 회전 속도8.8°/초
(AB)
6.0°/초
(RB)(SB)
엔진변속기전진 기어: 6단 | 후진 기어: 2단
엔진 출력739 마력
(AB)
460 마력
(RB)(SB)
최대속도전진: 66 km/h | 후진: 16 km/h
(AB)
전진: 60 km/h | 후진: 14 km/h
(RB)(SB)
차체 장갑
(전면/측면/후면)
30 mm15 mm15 mm남은 무료 수리 횟수10최대 수리비6,120파일:19px-Sl_icon.png
(AB)
3,950파일:19px-Sl_icon.png
(RB)
3,660파일:19px-Sl_icon.png
(SB)
포탑 장갑
(전면/측면/후면)
30 mm15 mm15 mm무료 수리 시간3일 10시간
(RB)
최대 장비 연구 효율III - V 랭크
필요 RP82,000파일:13px-Rp_icon.png가격240,000파일:19px-Sl_icon.png전환 훈련 비용68,000파일:19px-Sl_icon.png보상 184%파일:13px-Rp_icon.png
(AB)(SB)(RB)
1.84×(100%)
(AB)(SB)(RB)
보상 120%파일:19px-Sl_icon.png
(AB)
보상 180%파일:19px-Sl_icon.png
(RB)
보상 250%파일:19px-Sl_icon.png
(SB)
1.2×(100%)
(AB)
1.8×(100%)
(RB)
2.5×(100%)
(SB)


주무장
[ 펼치기 · 접기 ]

명칭재장전 시간발사 속도사용 탄종탄약적재량
152mm 2A33 곡사포17.3 초3.46 발/분HE, HEAT, APHEBC, HE, HE-VT46 발
고저각수평 회전각장전 방식준비탄 적재소
-4° / +60°±180°수동 장전12 발
탄종명칭가격구경탄체중량포구초속폭약 종류폭약 질량
HEOF-540무료152 mm43.56 kg655 m/sTNT5.9 kg
HEATBP-540160파일:19px-Sl_icon.png152 mm27.67 kg680 m/sA-IX-13.84 kg
APHEBCBR-540B210파일:19px-Sl_icon.png152 mm48.96 kg600 m/sA-IX-2660 g
HE3OF25260파일:19px-Sl_icon.png152 mm43.56 kg655 m/sA-IX-26.57 kg
HE-VT3OF25 (PF)310파일:19px-Sl_icon.png152 mm43.56 kg655 m/sA-IX-26.57 kg
탄종명칭착탄각도별 도탄확률
0%50%100%
HEOF-54079°80°81°
HEATBP-54062°69°73°
APHEBCBR-540B48°63°71°
HE3OF2579°80°81°
HE-VT3OF25 (PF)79°80°81°
탄종명칭착탄각 0° 거리별 관통력
10m100m500m1000m1500m2000m
HEOF-54049mm49mm49mm49mm49mm49mm
HEATBP-540250mm250mm250mm250mm250mm250mm
APHEBCBR-540B166mm164mm157mm148mm140mm133mm
HE3OF2562mm62mm62mm62mm62mm62mm
HE-VT3OF25 (PF)62mm62mm62mm62mm62mm62mm
탄종명칭착탄각 30° 거리별 관통력
10m100m500m1000m1500m2000m
HEOF-54049mm49mm49mm49mm49mm49mm
HEATBP-540217mm217mm217mm217mm217mm217mm
APHEBCBR-540B145mm144mm138mm131mm124mm118mm
HE3OF2562mm62mm62mm62mm62mm62mm
HE-VT3OF25 (PF)62mm62mm62mm62mm62mm62mm
탄종명칭착탄각 60° 거리별 관통력
10m100m500m1000m1500m2000m
HEOF-54049mm49mm49mm49mm49mm49mm
HEATBP-540125mm125mm125mm125mm125mm125mm
APHEBCBR-540B87mm86mm84mm82mm80mm78mm
HE3OF2562mm62mm62mm62mm62mm62mm
HE-VT3OF25 (PF)62mm62mm62mm62mm62mm62mm


2022년 겨울 패치로 추가된 자주포이다.

포탑 회전이 느리다지만 그나마 전방위 회전 포탑이 있어 이전 구축전차의 제약이 덜하고, 기본탄인 OF-540도 49mm 관통력의 파편을 가져 화력이 높다.

APHEBC인 BR-540B는 거의 쓸 일이 없고, 보통 3OF25과 소량의 VT 신관 고폭탄을 사용하게 된다. 최종 고폭탄인 3OF25는 65mm의 파편 관통력에 폭약 질량이 약 10kg 괴랄한 장약을 탑재하기에 적을 확실히 보내버릴 수 있다. 이 덕에 가끔 탑랭크 방에 끌고 오는 유저들도 있다. 또한 VT 신관을 가진 고폭탄도 가지고 있어 제한적인 대공도 가능하다.

30mm라는 적절한 장갑 덕에 50구경 정도는 막을 수 있다.

7. 5랭크[편집]



7.1. SU-122-54[편집]


SU-122-54
[ 펼치기 · 접기 ]
소련 육군 자주포 · 대전차 차량 트리
파일:ussr_su_122_54.png
이전 차량현재 차량다음 차량
SU-100SU-122-54오비옉트 268

  • 필요 RP: 170,000 RP
  • 가격: 440,000 실버 라이온
  • 배치 비용: 130,000 실버 라이온

  • 차량 성능
차종구축전차랭크V(5)BR6.7
중량36.0 톤최고 속도54 km/h포탑 회전 속도6.2°/초
엔진 출력739 마력 | 2,000 rpm시인성70 %고저각-4 / 16°
차체 장갑정면 100측면 80후면 45최대 수리비1,500
포탑 장갑정면 100측면 80후면 30무료 수리 시간4일 04시간

  • 주무장
명칭재장전 시간사용 탄종탄약적재량
122 mm D-49 전차포16.0 초APHE, APHEBC, APCBC, APDS, HEATFS, HE35 발
탄종명칭가격탄체중량포구초속관통력 (100m)관통력 (500m)관통력 (1000m)
APHEBR-471무료25 kg795 m/s201mm183mm162mm
APHEBCBR-471B24025 kg795 m/s203mm191mm178mm
APCBCBR-471D25 kg800 m/s227mm215mm200mm
APDS3BM-71205.4 kg1400 m/s298mm291mm272mm
HEATFS3BK-1024018.4 kg820 m/s400mm400mm400mm
HEOF-471무료25 kg800 m/s37mm37mm37mm

  • 부무장
명칭재장전 시간사용 탄종탄약적재량
14.5 mm KPVT 기관총AP-I(c), API-T, IAI500 발
탄종명칭가격탄체중량포구초속관통력 (100m)관통력 (500m)관통력 (1000m)
API-T, AP-I(c), IAI[A][D]기본무료9mm7mm4mm

차체는 T-54 중형전차를 기초로 설계되었고 주포는 T-10M과 가까운 D-49 강선포를 탑재하였다. T-54의 적절한 주행성과 기동성을 지녔고 후진 속도는 최대 시속 8km이다.

D-49 강선포는 D-25T 강선포의 주력 포탄인 BR-471D 철갑탄을 사용할 수 있으며 날개안정식 대전차고폭탄과 분리철갑탄도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대전기 전차와 냉전기 전차 모두에게 위력적인 포 사격이 가능하다 특히 D-49 강선포의 평균 장전 속도는 발당 16초인데 승무원을 훈련 시키고 스킬을 향상시킨다면 발당 12초의 빠른 구경 대비 연사속도를 자랑하는데 대구경 주포를 채택한 대부분 소련 전차의 단점 중 하나를 해소하였다고 말할 수 있다 실제로 반자동 장전 시스템을 채택하여서 탄약수의 역할을 기계가 분담해서 수행하기 때문에 그만큼 장전 속도가 빠른 것이다.

배틀 레이팅이 7.3이기에 주로 4랭크 6.3~6.7 전차들과 자주 조우하는 편이다. 보조 무장인 14.5mm KPVT 대공/대전차 기관총 2정은 최대 45mm 장갑 관통력을 보여주기 때문에 경전차나 대공전차를 상대로 효과적이며근거리 후방에서 사격하면 레오파르트 전차도 격파할 수 있다.

경사진 차체 정면 장갑과 100mm 두께의 포방패가 있어서 방어력은 적절한 편이고 의외로 적의 포탄을 튕겨내는 빈도가 높은데 특히 철갑탄이 그러한 편이다 하지만 근거리에서는 도탄률이 감소한다.

SU-122-54는 거리 측정기를 장착할 수 있으며 고배율 조준기를 탑재하여서 장거리 전투가 가능하다 특히 차체 전고가 낮아서 안정적인 주행성을 이용하여 적의 측 후면을 공격할 수 있다.

배틀 레이팅이 7.3이지만 같은 배틀 레이팅과 랭크를 지녔고 좋은 방호력과 선회 포탑을 지닌 T-54 1947년형과 IS-3 중전차에 가려져서 운용하는 유저가 많지 않으며 T-10M과 IT-1, T-54 1951년형이 이후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현재는 SU-122-54를 운용하는 유저가 더 많지 않다.

포탑이 없다는 단점이 있지만 소련 구축전차의 여러 문제를 어느정도 해소하였으며 투박한 소련 구축전차와는 다르게 세련된 외형이 특징이다.

BR이 6.7로 상향되었다.


7.2. 오비옉트 268[편집]


Object 268
[ 펼치기 · 접기 ]
소련 육군 자주포 · 대전차 차량 트리
파일:ussr_object_268.png
이전 차량현재 차량다음 차량
SU-122-54오비옉트 268IT-1

  • 필요 RP: 130,000 RP
  • 가격: 370,000 실버 라이온
  • 배치 비용: 130,000 실버 라이온

  • 차량 성능
차종구축전차랭크V(5)BR7.3(AB), 6.7(RB/SB)
중량50.0 톤최고 속도55 km/h포탑 회전 속도7.0°/초
엔진 출력1,431 마력(AB), 750 마력(RB, SB) | 2,100 rpm시인성92 %고저각-5 / 15°
차체 장갑정면 120측면 80후면 60최대 수리비5,270
포탑 장갑정면 187측면 100후면 50무료 수리 시간6일 6시간(AB), 10일(RB, SB)

  • 주무장
명칭재장전 시간사용 탄종탄약적재량
152 mm M-64 cannon22.3 초APHEBC, HEAT, HE35 발
탄종명칭가격탄체중량포구초속관통력 (100m)관통력 (500m)관통력 (1000m)
HEOF-530무료40 kg770 m/s48mm
APHEBCBR-540B48.96 kg750 m/s230mm220mm208mm
HEATBP-54037027.67 kg770 m/s250mm

  • 부무장
명칭재장전 시간사용 탄종탄약적재량
14.5 mm KPVT 기관총AP-I(c), API-T, IAI500 발
탄종명칭가격탄체중량포구초속관통력 (100m)관통력 (500m)관통력 (1000m)
API-T, AP-I(c), IAI[A][D]기본무료42mm29mm21mm

1956년 키로프 공장에서 T-10 차체를 기반으로 개발했던 프로토타입 대전차 자주포로 T-55A와 함께 1.69 패치 때 추가됐다. 정식 추가 이전만 하더라도 유저들의 기대를 모았으나, 정작 출시 직후엔 8.0이라는 높은 BR에 도저히 좋다고 볼 수도 없는 포탄 화력에 힘입어 옆동네랑 똑같이 고륙팔 소리를 들으며 빠르게 관짝으로 들어갔었다. 거듭된 패치로 6.7까지 내려온 받은 현재는 예전에 비하면 어느정도 탈만하다. 하지만 인식은 여전해서 별명도 그대로다

엔진출력이 750마력으로 꽤 고출력이지만 50톤에 달하는 무거운 중량과 제자리 선회가 불가능한 특징들 덕분에 기동은 대체로 둔중한 편이다.

그 반대급부로 냉전기에 개발된, 소련의 마지막 중장갑 자주포답게 대전기 전차를 많이 만나는 6.7BR 기준으로는 상당히 튼실한 장갑을 자랑한다. 차체는 T-10M 차체를 사용해서 전측후 모두 상당히 튼실하며, 전투실 전면은 포방패 주변에 약점부위가 분포해 있지만 근거리가 아니면 맞을 일이 잘 없다. 대신 슬슬 날아다니기 시작하는 고관통 날대탄 상대론 이러한 중장갑도 다 빛이 바래니 장갑을 너무 믿지는 말자.

기본 포탄인 BR-540B는 수직 관통력도 그럭저럭 나오지만, 152mm라는 대구경 보정에 APBC라 경사장갑을 굉장히 잘 뚫는다. 대전차고폭탄은 관통력 자체는 수직 250mm로 별 특별할 것 없는 수준이지만, TNT당량이 5.91kg으로 고폭탄보다 더 높다. 장갑 관통에 상판 폭압까지 동시에 노릴 수 있는 수준이라 해제하는 순간 일반 고폭탄은 쓸 일이 없어진다.
대공기관총으론 KPVT가 1정 달려있는데 장갑이 약한 경전차나 장갑차들 상대로 매우 잘 먹힌다.

포탄의 발당 위력은 세 종류 모두 상당히 좋은 편이나 구린 탄속과 느린 재장전 시간이 발목을 잡는다. 장전속도는 기본 22.23초로 152mm라는 대구경포 치곤 그럭저럭 빠른 편이지만 동일 BR의 다른 소~중구경 포랑 비교하면 느리다. 대구경 야포의 숙명인 크게 처지는 탄도도 정확한 사격이 어렵게 만든다. 그래도 영상합치식 거리측정기가 있으니 원거리 사격시 거리 정보를 비교적 정확하게 얻을 수 있다.

하지만 문제는 이거 하나 타자고 6.7을 맞출 이유가 없다. BR 5.7과 6.3에 라인업이 몰빵된 소련 4랭크 중에서 6.7은 매우 극소수인데다 그걸 감수하고 덱을 짤만한 성능이 나오는 차량도 없다.[8] 그나마 장점이라면 5랭크 차량이라 낮은 BR에서 놀면서 6랭크까지 연구경험치를 패널티 없이 벌 수가 있다지만, 5랭크만 올라가도 268보단 훨씬 BR값 하는 차량이 넘치니 굳이 그럴 필요가 없다. 덕분에 이도저도 아니고 애매해서 보통은 예능용으로 타거나 아니면 버려지는 비운의 차량이다.


8. 6랭크[편집]



8.1. IT-1[편집]


IT-1
[ 펼치기 · 접기 ]
소련 육군 자주포 · 대전차 차량 트리
파일:ussr_it_1.png
이전 차량현재 차량다음 차량
오비옉트 268IT-1시투름-S

  • 필요 RP: 390,000 RP
  • 가격: 1,020,000 실버 라이온
  • 배치 비용: 290,000 실버 라이온

  • 차량 성능
차종대전차미사일차량[9]랭크VI(6)BR8.3
중량34.5 톤최고 속도56 km/h포탑 회전 속도23.8°/초
엔진 출력899 마력 | 2,000 rpm시인성75 %고저각-9 / 17°
차체 장갑정면 100측면 80후면 45최대 수리비3,700
포탑 장갑정면 200측면 160후면 65무료 수리 시간5일 15시간

  • 주무장
명칭재장전 시간사용 탄종탄약적재량
180 mm 3M7 대전차유도미사일 ×1510.0 초ATGM15 발
탄종명칭가격탄체중량포구초속관통력 (100m)관통력 (500m)관통력 (1000m)
ATGM3M7무료54 kg224 m/s500mm

  • 부무장
명칭재장전 시간사용 탄종탄약적재량
7.62 mm SGMT 기관총AP-I. API-T2,000 발
탄종명칭가격탄체중량포구초속관통력 (100m)관통력 (500m)관통력 (1000m)
AP-I, API-T[A][B]기본무료9mm7mm4mm

1968년부터 70년까지 아주 짧은 기간 동안 소련군에 운용되었던 미사일 전차로 1.59 패치 때 추가됐다. 원래 오비옉트 150 자체는 1957년부터 T-54오비옉트 140 차체를 기반으로 개발되었으나 오비옉트 150의 승무원 배치 구조가 오비옉트 165(T-62A)에 반영된다. 여기다가 115mm 2A20 활강포를 채용한 오비옉트 166이 T-62로 1961년 채택되고, 오비옉트 150 역시 T-62 차체에 맞게 재설계되어 1968년 채택된다.

기본적으로 T-62 차체기 때문에 차체가 튼실했었으며, 정말로 납작하고 작은 회전 포탑 상부에 125mm 대전차 미사일 발사대가 달렸다. 마우스 유도식인 ATGM 위력 자체는 상당하기 때문에 500mm의 관통력으로 모든 전차를 한방에 잡을 수 있었다.

출시 당시와 한동안은 굉장히 강한 차량이었다. 하지만 패치를 거듭한 지금은 공방에서 자주 볼 수 없는 차량이 됐다. 미사일이 제대로 유도되지 않는 버그가 존재함과 동시에 미사일 관통 후 피해가 너프되었으며, 패치로 지속적으로 추가중인 미사일조차 막을 수 있는 차량과 더불어 빠른 탄속의 APFSDS의 등장으로 어떻게 유도를 잘해본다 하더라도 명중에 시간이 걸리는 특성상 APFSDS에 꼬치구이가 된다. 자랑하던 미사일 속도 또한 이미 추월당한지 오래지만 여전히 BR 8.0 공방에서 밥값은 한다.

소소한 장점으로, 외부 노출된 미사일이 탄약이 아닌 발사대판정이라 직격당해도 유폭이 나지 않는다. 타 대전차미사일은 전부 탄약판정이나 이놈만 발사대판정이기에 버그로 추정된다.

8.2. 시투름-S[편집]


Shturm-S
9P149 Shturm-S
9M149 시투름-S[10]
[ 펼치기 · 접기 ]
소련 육군 자주포 · 대전차 차량 트리
파일:ussr_9p149.png
이전 차량현재 차량다음 차량
IT-1시투름-S흐리잔테마-S

  • 필요 RP: 250,000 RP
  • 가격: 690,000 실버 라이온
  • 배치 비용: 200,000 실버 라이온

  • 차량 성능
차종대전차미사일차량랭크VI(6)BR8.3
중량11.8 톤최고 속도68 km/h포탑 회전 속도23.8°/초
엔진 출력372 마력 | 2,100 rpm시인성65 %고저각-5 / 15°
차체 장갑정면 13측면 13후면 6최대 수리비1,460
포탑 장갑정면 0측면 0후면 0무료 수리 시간5일 07시간

  • 주무장
명칭재장전 시간사용 탄종탄약적재량
130 mm 9M11 대전차유도미사일13.0 초ATGM, ATGM (탠덤), ATGM-HE, ATGM-VT13 발
탄종명칭가격탄체중량포구초속관통력 (100m)관통력 (500m)관통력 (1000m)
ATGM9M114무료31.4 kg400 m/s560mm
ATGM (탠덤)9M12064049.5 kg550 m/s800mm
ATGM-HE9M120F-155mm
ATGM-VT9M120O51mm

1.89 패치로 추가된 대전차미사일차량(Anti-tank missile carrier)이다. 쉬투름-S(GRAU 코드명: 9P149)는 MT-LB수륙양용장갑차 기반의 9P149 전투 차량에 9K114 쉬투름-S 대전차유도미사일 발사기를 장착한 것으로 1979년 채택되었다. 워썬더 최초로 다탄종 ATGM을 사용한다. 업글탄인 9M120의 경우 서독의 라케텐야크트판처 2 HOT 미사일형(핫케텐)의 HOT 미사일과 동급인 800mm 관통력을 낸다.[11]

휴행탄수가 12발로 적은 편이고, 차량도 장갑차 기반이라 매우 약한 편이다. VT 신관이 달린 9M220O 미사일을 대공용으로 쓸 수도 있기는 하지만 대공 무장도 따로 없고 장갑이 거의 없는 거나 다름 없는데다 휴행탄도 12발에 불과한데 선뜻 VT탄을 들기는 어렵다.

연막탄 발사기 없이 엔진 연막 분사(ESS) 기능만 존재하기 때문에 후방만 치장이 가능하며 치장 속도 또한 발사기 형식에 비해 더디고 열상에 투시되어 보여서 실용성은 없다.

미사일 포대를 여닫는 속도가 빨라서 단발식이지만 재장전 속도도 봐줄만한 수준이다. 전탄 VT를 사용한다면 8점대 유일한 미사일 대공전차가 되는데, G.91과 A-4E 스카이호크가 굉장히 많이 보이는 BR 특성 상 대전차를 하는 것보다 전탄 VT로 대공을 하는게 더 재미를 볼 수도 있다.


8.3. 오비옉트 775[편집]


오비옉트 775 소개 페이지
2023년 10월 31일 "Kings of Battle" 업데이트로 등장한 구축전차. 특유의 납작한 형상으로 유명한 미사일 전차이다.

9. 7랭크[편집]



9.1. 흐리잔테마-S[편집]


Khrizantema-S
9P157-2 Khrizantema-S
9P157-2 흐리잔테마-S
[ 펼치기 · 접기 ]

소련 육군 자주포 · 대전차 차량 트리
파일:ussr_9p157.png
이전 차량현재 차량다음 차량
시투름-S흐리잔테마-S(추가 예정)


차량 성능
[ 펼치기 · 접기 ]

국가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차종대전차미사일차량랭크VIIBR9.3
(AB)
9.3
(RB)
9.3
(SB)
승무원 인원2명
전차장
조종수
중량18.0 톤시인성75 %포탑 회전 속도22.0°/초
(AB)
14.9°/초
(RB)(SB)
엔진변속기전진 기어: 4단 | 후진 기어: 2단
엔진 출력710 마력 | 2900 rpm
(AB)
442 마력 | 2900 rpm
(RB)(SB)
최대속도전진: 76 km/h | 후진: 22.0 km/h
(AB)
전진: 70 km/h | 후진: 20.3 km/h
(RB)(SB)
차체 장갑
(전면/측면/후면)
13 mm13 mm6 mm남은 무료 수리 횟수10최대 수리비2,470파일:19px-Sl_icon.png
(AB)
3,300파일:19px-Sl_icon.png
(RB)
6,200파일:19px-Sl_icon.png
(SB)
포탑 장갑
(전면/측면/후면)
0 mm0 mm0 mm무료 수리 시간5일 21시간
(AB)
12일
(RB)
13일
(SB)
최대 장비 연구 효율VI - VII 랭크
필요 RP390,000파일:13px-Rp_icon.png가격1,020,000파일:19px-Sl_icon.png전환 훈련 비용290,000파일:19px-Sl_icon.png보상 232%파일:13px-Rp_icon.png
(AB)(SB)(RB)
2.32×(100%)
(AB)(SB)(RB)
보상 100%파일:19px-Sl_icon.png
(AB)
보상 150%파일:19px-Sl_icon.png
(RB)
보상 170%파일:19px-Sl_icon.png
(SB)
1.0×(100%)
(AB)
1.5×(100%)
(RB)
1.7×(100%)
(SB)


광학 / 야시장비 성능
[ 펼치기 · 접기 ]

광학장비야간장비
확대4.0x-12.0xNVD 종류포수열영상
전차장열영상
조종수야시경
거리 측정기 종류레이저 거리 측정기 (LR)적외선 탐조등 종류-
시야 FOV18-6NVD 성능포수2세대, 800x600 해상도
전차장2세대, 800x600 해상도
조종수야시경


주무장
[ 펼치기 · 접기 ]

명칭재장전 시간발사 속도사용 탄종탄약적재량
9M123 ATGM15.0 초
(자동 장전)
60 발/분
(자동 장전)
ATGM (탠덤) (대전차미사일 (탠덤 탄두))
ATGM-HE (대전차미사일 (HE))
16 발
고저각수평 회전각조준 속도수직 조준 속도주포 안정기장전 방식준비탄 적재소
-5° / +15°±85°22°/초
(AB)
15°/초
(RB)(SB)
34°/초
(AB)
14°/초
(RB)(SB)
-자동 장전16 발
탄종명칭가격구경탄체중량포구초속폭약 종류폭약 질량
ATGM (탠덤)9M123무료155 mm46 kg550 m/sA-IX-24 kg
ATGM-HE9M123F600파일:19px-Sl_icon.png155 mm46 kg550 m/sA-IX-26 kg
탄종명칭TNT 당량신관 지연거리신관 민감도유도체계 유형사거리최소 발사 거리
격발 범위
ATGM (탠덤)9M1236.16 kg0.2 m0.01 mm반자동6.00 km-
ATGM-HE9M123F9.24 kg0.2 m0.01 mm반자동6.00 km-
탄종명칭착탄각도별 도탄확률
0%50%100%
ATGM (탠덤)3M12380°82°90°
ATGM-HE9M123F79°80°81°
탄종명칭착탄각 0° 거리별 관통력
10m100m500m1000m1500m2000m
ATGM (탠덤)9M1231200mm1200mm1200mm1200mm1200mm1200mm
ATGM-HE9M123F61mm61mm61mm61mm61mm61mm
탄종명칭착탄각 30° 거리별 관통력
10m100m500m1000m1500m2000m
ATGM (탠덤)9M1231039mm1039mm1039mm1039mm1039mm1039mm
ATGM-HE9M123F61mm61mm61mm61mm61mm61mm
탄종명칭착탄각 60° 거리별 관통력
10m100m500m1000m1500m2000m
ATGM (탠덤)9M123600mm600mm600mm600mm600mm600mm
ATGM-HE9M123F61mm61mm61mm61mm61mm61mm


연막 차장
[ 펼치기 · 접기 ]

명칭재장전 시간차장 범위차장 시간차장 지속시간
-----
엔진 연막발생 시스템 (ESS)사용 가능


흐리잔테마-S 소개 페이지, 한글 번역

"Starfighters" 업데이트 (20년 5월 26일)로 추가되었다. 하위 차량인 슈투름-S와 비슷한 외형[12]이지만 미사일이 관통력 1200mm짜리 흐리잔테마 대전차 미사일[13]로 교체되어 화력이 훨씬 강해졌고, 발사관도 2연장으로 바뀌었기 때문에 운용이 훨씬 편리하다.

이전 차량인 시투름은 일정 속도 이상에서 발사관이 접혀들어갔기 때문에 발사를 위해선 이동을 멈추고 약 8초간 발사관을 꺼낼 때까지 기다려야 했지만, 크리잔테마는 항시 발사관을 꺼내고 다니기 때문에 기동을 멈추면 바로 발사할수가 있다. 심지어 워썬더 지상 차량 중 최초로 대지상 레이더를 탑재하고 있다. 근처에 장애물이 많거나 엄폐물을 끼고 있다면 적 전차를 찾지 못하며, 죽은 전차 잔해도 탐지하는 등 만능은 아니지만 특정 상황에서 연막에 숨은 적도 레이더 락을 걸고 추적해서 공격할 수 있다는 큰 메리트가 있다. 탐지거리는 기본 2km이지만 필요하다면 레이더 탐지 범위 변경 기능으로 최대 8km까지 탐지가 가능하다. 그리고 공중 표적도 락온이 되기 때문에 가까이 접근한 헬기를 격추하는 용도로도 쓸 수 있는건 덤이다.

2세대 포수 열상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색적이 편리하며, 미사일은 탄속도 500m/s로 굉장히 빨라서 먼 거리의 적도 맞추기 쉽고, 작약도 6kg이 넘게 들어가서 적 MBT의 상부구조물을 쏴서 폭압으로 쉽게 처치할 수 있다. 다만 발사관은 위로 높게 뻗어있지만 포수 조준경은 차체에 달려있기 때문에 조준하려면 차체 상부도 조금 노출해야 하는게 단점이고, 승무원이 2명 뿐이기 때문에 하나라도 죽었다간 바로 격파당한다.

인게임의 미사일 캐리어 차량 중에선 가장 최신형이자 뛰어난 성능의 차량이다. 무난하게 쾌적한 기동성, 높은 관통력과 빠른 탄속의 미사일, 대지상 레이더, 공중 표적 락온 가능, 2연장 발사관 덕분에 운용이 아주 편리하다. 발사관의 부피도 작아서 고폭탄 저격을 당할 일이 적은 것도 장점. 탑랭크 덱에도 취향에 따라 넣을만한 뛰어난 성능의 차량이지만, 이런 미사일 캐리어류 차량이 다 그렇듯 맵과 지형을 좀 가린다는 것이 단점이다.

2020년 9월 2일 Raning Fire 업데이트로 장비명이 크리잔테마에서 흐리잔테마로 변경되었다. 어법상 둘다 맞다고 하지만 하리코프를 카리코프라 하지 않듯이 러시아어의 х가 주로 'ㅎ' 발음으로 번역된다는 점을 고려한 듯 하다.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61 (이전 역사)
문서의 r1679 (이전 역사)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1 07:39:00에 나무위키 워 썬더/지상 병기/소련 트리/자주포 · 대전차 차량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포탄 내부에 충전되어, 신관 작동시에 터질 용도의 폭약.[2] 철갑탄만 해당. 고폭탄은 모든 일반 고폭탄(HE)이 즉발신관 사용[3] 모두 강력한 화력을 가진 대신 취약한 방호력을 가진 전차들이다. 원 샷 원 킬을 지향하고, 치고 빠지는 플레이를 통해 나는 상대를 때리지만, 상대는 나를 때리지 못하는 상황을 만들어야 하는 숙련자용 골탱.[4] 엄밀히 따지자면 영국 3랭크 중형전차들처럼 성능이 절대적으로 구려서 승률이 낮다기보단, 잘 쓰는 사람은 상당히 잘 쓰지만, 못 쓰는 사람은 진짜 못 써서 평균 승률이 떨어지는 것.[A] A B C D [B] A B AP-I/API-T (으)로 채워진 7.62 mm 기관총 탄띠/탄알집[5] 2021년 현재는 BR 2.3[6] 예를 들어 거리를 측정했더니 500m가 나왔다면 500m에서 포탄이 터진다. 사실상 쓸모없는 기능.[7] 8,8cm FlaKbus에도 같은 기능이 있는데, 둘다 사실 대공포이기 때문이다. 폭격기 같은 중-고고도의 목표물에 사격할때 VT신관이 개발되기 전에 대략 거리를 측정한후 포탄이 날아갈 시간을 계산해서 타겟 근처에서 폭발하도록 하는것. 인게임에서는 폭격기라 해봤자 지상리얼에서 소구경 기관포가 안닿는 고도까지 올라갈 이유가 없고 상당수가 전폭기나 공격기로 CAS를 하기 때문에 필요없는 기능이 되었다.[D] A B [8] 리얼 기준 소련 지상에서 BR 6.7은 T-44, SU-122-54, 오비옉트 268, 62식 전차 딱 4대 뿐인데 T-44는 BR 너프를 받으면서 주포와 장갑이 모두 애매해졌고, 62식 전차는 이벤트 장비인데다 마트에 올라온 재고도 없어 현재는 획득 불가능. 그나마 122-54의 성능이 나쁜 것은 아니나 목고자+애매한 BR 때문에 저평가를 받는지라 이 둘만 보고 6.7덱을 돌리기엔 다른 국가 6.7에 비해 이렇다할 메리트가 없다.[9] 원래는 중형전차였으나 패치로 변경[10] 한글번역만 9M149라고 번역해놨는데 다른 언어판은 전부 9P149다. 애초에 9M149 따위 GRAU 코드명은 없기 때문에 번역 오류다.[11] 지금은 서독의 라케텐야크트판처 2 HOT 미사일형(핫케텐)이 너프당해 700mm의 관통력이라 같지않다.[12] MT-LB의 차대를 이용한 쉬투름-S와 달리 BMP-3의 차대를 사용했다.[13] BMP-2M의 코넷이랑 헷갈리는 사람이 있는데 서로 다른 물건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