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철완 아톰(1963)

덤프버전 :

일본 미디어 예술 100선(애니메이션)
[ 펼치기 · 접기 ]

같이 보기: 일본 미디어 예술 100선(만화)
종합 순위
1위신세기 에반게리온
2위바람계곡의 나우시카
3위천공의 성 라퓨타
4위기동전사 건담
5위루팡 3세 칼리오스트로의 성
6위충사
7위공각기동대 STAND ALONE COMPLEX
8위이웃집 토토로
9위강철의 연금술사
10위공각기동대
11위드래곤볼 애니메이션 시리즈
12위모노노케 히메
13위AKIRA
14위센과 치히로의 행방불명
15위도라에몽
16위샴발라를 정복하는 자
17위붉은 돼지
18위은하영웅전설
19위어른제국의 역습
20위기동전사 건담: 역습의 샤아
21위카드캡터 사쿠라
22위스즈미야 하루히의 우울
23위카미츄!
24위기동경찰 패트레이버 극장판 2
25위기동전사 Z 건담
26위별의 목소리
27위기동경찰 패트레이버 극장판
28위은하철도 999
29위신비한 바다의 나디아
30위만화 일본 옛날이야기
31위태풍을 부르는 장엄한 전설의 전투
32위반딧불이의 묘
33위미래소년 코난
34위하울의 움직이는 성
35위우주전함 야마토 시리즈
36위왕립우주군 - 오네아미스의 날개
37위슬램덩크
38위미소녀 전사 세일러 문 시리즈
공동 39위기동전사 건담 SEED
개구리 중사 케로로
41위톱을 노려라!
42위도라에몽 극장판
43위용자 시리즈
44위카우보이 비밥
45위사무라이 7
46위기동전함 나데시코
47위알프스의 소녀 하이디
48위시끌별 녀석들
49위철완 아톰
50위루팡 3세
전문가 순위
1위바람계곡의 나우시카
2위철완 아톰
3위AKIRA
4위루팡 3세 칼리오스트로의 성
5위만화 일본 옛날이야기
6위기동전사 건담
7위신세기 에반게리온
공동 8위이웃집 토토로
사자에상
은하철도 999
도라에몽
마운틴 헤드
2006년 발표 / 출처



파일:아사히 신문 로고.svg 선정 일본의 TV 애니메이션 104선
[ 펼치기 · 접기 ]

※ 2012년 아사히 신문이 철완 아톰 이후 50년 동안 가장 인상 깊었던 TV 애니메이션 104개의 작품을 선정했다. 순서는 연도 순서이며 순위와는 관계가 없다.
철완 아톰밀림의 왕자 레오요술공주 샐리마하 GoGoGo게게게의 키타로
거인의 별비밀의 아코짱타이거 마스크사자에상내일의 죠
루팡 3세데빌맨과학닌자대 갓챠맨마징가 Z에이스를 노려라!
알프스 소녀 하이디마법소녀 메구짱우주전함 야마토만화 일본 옛날이야기감바의 모험
타임보칸잇큐씨엄마찾아 삼만리초전자로보 컴배틀러 V캔디캔디
얏타맨미래소년 코난은하철도 999보물섬빨강머리 앤
도라에몽기동전사 건담베르사이유의 장미전설거신 이데온닥터 슬럼프와 아라레짱
꼬마숙녀 치에시끌별 녀석들초시공요새 마크로스미래경찰 우라시맨장갑기병 보톰즈
마법의 천사 크리미마미캡틴 츠바사북두의 권터치드래곤볼
세인트 세이야시티헌터키테레츠 대백과날아라 호빵맨기동경찰 패트레이버
마루코는 아홉살신비한 바다의 나디아신세기 GPX 사이버 포뮬러미소녀 전사 세일러 문짱구는 못말려
유유백서닌자보이 란타로슬램덩크슬레이어즈신세기 에반게리온
명탐정 코난용자왕 가오가이가포켓몬스터소녀혁명 우테나카우보이 비밥
카드캡터 사쿠라오자루마루꼬마마법사 레미∀건담원피스
유희왕 듀얼몬스터즈방가방가 햄토리갤럭시 엔젤테니스의 왕자오버맨 킹게이너
공각기동대 STAND ALONE COMPLEX나루토기동전사 건담 SEED강철의 연금술사플라네테스
빛의 전사 프리큐어블리치AIR허니와 클로버교향시편 유레카 세븐
작안의 샤나스즈미야 하루히의 우울은혼제로의 사역마코드 기어스: 반역의 를르슈
천원돌파 그렌라간전뇌 코일기동전사 건담 00트루 티어즈마크로스 프론티어
스트라이크 위치스이나즈마 일레븐어떤 마술의 금서목록케이온!다다미 넉 장 반 세계일주
마법소녀 마도카☆마기카골판지 전기TIGER & BUNNY그날 본 꽃의 이름을 우리는 아직 모른다
출처




1. 개요
2. 의의
3. 제작기
4. 주제가
5. 결말
6. 한국 방영
7. 미국 방영
8. 기타


1. 개요[편집]


전설의 1화. 스폰서는 메이지제과였다. 작화는 미국의 1930년대 애니 수준.
鉄腕アトム

일본의 만화 철완 아톰을 원작으로 하는 TV 애니메이션으로 첫번째 시리즈작이었다.[1] 무시 프로덕션이 제작을 맡아 1963년 1월 1일부터 1966년 12월 31일까지 후지 테레비에서 방영했다. 총 193화. 총감독은 원작자 데즈카 오사무, 문예 겸 감독은 반 키이치로(당시 이시츠 아라시), 음악은 타카이 타츠오였다.


2. 의의[편집]


일본에 초당 2~3 프레임 밖에 안 쓰는 리미티드 애니메이션의 붐을 일으킨 작품이다.[2] 이렇게 만들면 매우 싸고 빠르게 만들 수가 있었다. 이렇게 TV에서 매주 틀어 광고 및 굿즈 판매로 돈을 번다는 기획이었고 성공을 거뒀다. 이후로 후지TV는 물론이고 타 민영방송에서도[3] TV 애니가 편성되었지만, 대개 움직임이 부자연스러워서 당시 애니메이션은 애니메이션, 만화영화로도 불리지 못하고 TV 만화[4]라고 불렸다. 나중에 타이거 마스크내일의 죠가 나오면서 비로소 TV 애니메이션도 애니메이션이라 불리기 시작했다고 한다.


3. 제작기[편집]


당초엔 애니메이션 제작의 꿈이 크던 데즈카 오사무가 직접 콘티를 짜고 연출했으나 움직임이 뻣뻣하고 부자연스러우며 화면 전환은 전부 생략해 장면과 장면이 이어지지 않는 영 이상한 애니메이션이 나왔고 데즈카 오사무는 자신이 애니메이션엔 재능이 없다는 걸 깨닫고 포기한다.[5] 그리고 연출 직원을 더 뽑기로 한다. 스기이 기사부로를 중심으로 타사에서 스카웃한 린 타로, 신인 직원 중 실력이 뛰어났던 토미노 요시유키 이 3인의 로테이션 감독 체제를 만들어 흑백에 리미티드임에도 연출은 볼만한 애니메이션을 완성했다.


4. 주제가[편집]


2020년 일본 애니송 총선거
[ 펼치기 · 접기 ]

2020년 9월 6일 테레비 아사히가 발표한 특집 '일본 국민 13만명이 진심 투표! 애니송 총선거'의 결과다.
1위타카하시 요코残酷な天使のテーゼ(신세기 에반게리온)
2위LiSA紅蓮華(귀멸의 칼날)
3위사사키 이사오宇宙戦艦ヤマト(우주전함 야마토)
4위와다 코지Butter-Fly(디지몬 어드벤처)
5위이와사키 요시미タッチ(터치)
6위fripSideonly my railgun(어떤 과학의 초전자포)
7위링크드 호라이즌紅蓮の弓矢(진격의 거인)
8위TM NETWORKGet Wild(시티 헌터)
9위히라노 아야God knows...(스즈미야 하루히의 우울)
10위Mrs. GREEN APPLEインフェルノ(불꽃소방대)
11위우노 요코 《サザエさん》 (사자에상)
12위DALI 《ムーンライト伝説(미소녀 전사 세일러문)
13위ST☆RISHマジLOVE1000%(노래의☆왕자님♪ 진짜 LOVE 1000%)
14위WANDS世界が終るまでは…(슬램덩크)
15위supercell君の知らない物語(바케모노가타리)
16위고다이고銀河鉄道999(은하철도 999)
17위카게야마 히로노부CHA-LA HEAD-CHA-LA(드래곤볼 Z)
18위μ'sSnow halation(러브 라이브!)
19위카미타카다 소년합창단 《鉄腕アトム(철완 아톰)
20위DOES曇天(은혼)
21위UNISON SQUARE GARDENオリオンをなぞる(TIGER & BUNNY)
22위B.B.퀸즈 《おどるポンポコリン》 (마루코는 아홉살)
23위ClariSコネクト(마법소녀 마도카☆마기카)
24위모리구치 히로코水の星へ愛をこめて(기동전사 Z 건담)
25위피트맥 주니어 《ルパン三世のテーマ (보컬판)(루팡 3세)
26위미즈키 이치로マジンガーZ(마징가 Z)
27위나카가와 쇼코RAY OF LIGHT(강철의 연금술사 BROTHERHOOD)
28위LiSA 《Catch the Moment》 (극장판 소드 아트 온라인 -오디널 스케일-)
29위Snow Man 《Stories》 (블랙 클로버)
30위히라노 아야 & 치하라 미노리 & 고토 유코ハレ晴レユカイ(스즈미야 하루히의 우울)
같이 보기: 만화 총선거, 애니송 총선거
2020년 발표, 31위부터는 출처 참조




1963년 일본 내수판 오프닝. 참고로 1화부터 30화까지는 보컬이 없었다. [6]

작사: 타니가와 슌타로(谷川俊太郎)
작곡: 타카이 타츠오(高井達雄)
노래: 카미타카다 소년합창단(上高田少年合唱団)
1. 空を越えて ラララ星のかなた
소라오 코에테 라라라 호시노 카나타
하늘을 날아서 랄랄라 별의 그너머로
行くぞアトム ジェットのかぎり
유쿠조 아토무 젯토노 카기리
나가자 아톰 제트 연료가 있을때까지
心やさし ラララ科学の子
코코로 야사시 라라라 가가쿠노코
마음이 다정한 랄랄라 과학의 아이
十万馬力だ 鉄腕アトム
쥬만바리키다 테츠완 아토무
10만 마력의 힘이다 철완 아톰
2. 耳をすませ ラララ目をみはれ
미미오 스마세 라라라 메오 미하레
귀를 기울여 랄랄라 눈을 크게 떠
そうだアトム 油断をするな
소다 아토무 유단오 스루나
그래, 아톰 방심하지마
心正し ラララ科学の子
코코로 타다시 라라라 가가쿠노코
마음이 올바른 랄랄라 과학의 아이
七つの威力さ 鉄腕アトム
나나츠노 이료쿠사 테츠완 아토무
일곱가지 위력이다 철완 아톰
3. 街角に ラララ海の底に
길거리에서 랄랄라 바닷속에서
今日もアトム 人間守って
오늘도 아톰은 인간을 지키네
心はずむ ラララ科学の子
신나는 마음의 랄랄라 과학의 아이
みんなの友達 鉄腕アトム
모두의 친구 철완 아톰


  • 한국어 번안 주제가 가사는 다음과 같다.
푸른 하늘 저 멀리
날아라 힘차게 날으는
우주소년 아톰
용감히 싸워라
착하고 올바르게
랄랄라 착하고 올바르게
과학의 힘 정의의 승리
우주소년 아톰
(1970년 동양방송 방영 판) 동영상 자료 등은 남아있지 않은 듯 보인다. 다만 해당 가사로 네이버 라이브러리에서 검색을 해보면, 위 가사를 인용한 과거 언론 기사 등을 찾을 수 있기는 하다.
푸른 하늘 저 멀리(빰빰빰)
밝은 태양 안고서(빰빰빰)
돌아온 아톰
돌아온 아톰(아톰)
착하고 슬기롭게
착하고 씩씩하게
정의의 사자 아톰
평화의 사자 아톰
우리의 친구 아아아톰(아톰)
(1984년 KBS판)
푸른 하늘 저멀리
랄랄라
힘차게 날으는
우주소년 아톰
용감히 싸워라
언제나 즐거웁게
랄랄라
힘차게 날으는
우주소년 아톰
우주소년 아톰
(1980년대 비디오판)
1.땅을 차고 하늘을
가르며 힘차게 날아라
우주소년 아톰
아톰이 돌아왔다
지구의 평화 위해
언제나 용감히 싸워라
우주의 저편으로 아톰이 나가신다
2.천하무적 우주소년
정의와 평화의 용사
우주소년 아톰
아톰이 돌아왔다
악의 무리 물리쳐라
우리의 초능력 로봇
우주의 저편으로 아톰이 나가신다
(1995년 SBS판)


5. 결말[편집]


엔딩은 만화보다 일찍 나왔는데, 다른 어떤 매체(만화판, 후속 애니메이션 등)에서도 찾아볼 수 없는 원조 아톰 애니메이션만의 독특한 결말로 일종의 열린 결말이었다. 지구 온난화를 되돌리기 위해 아톰이 핵폭탄을 가득 실은 캡슐태양으로 몰고 가는 것으로 끝나며, 아톰이 파괴되는 모습은 그려지지 않지만 오차노미즈 박사가 “지구평화를 되찾았지만 아톰은 돌아오지 않았다. 허나 아톰은 언젠가는 돌아올 것이다. 만약 돌아오지 않더라도 아톰이 태어났던 이 작업대 위에서 제2, 제3의 아톰이 태어날 수 있겠지…”라 말하는 것이 결말이다.

역시나 이후 아톰을 더 연재해달라는 요청이 들어와서 만화판은 연장이 되었고 애니판 결말에 추가로 아톰을 살리는 전개가 들어갔다. 진짜 아톰의 완결편은 1970년에 나왔다.


6. 한국 방영[편집]


한국에선 <아톰>이란 제목으로 TBC-TV를 통해 1970년 9월 19일부터 1972년 10월 1일까지 매주 일요일 오후 6시대에 편성했다. 해당 작품의 인기 때문에 롯데공업 라면스낵 '라면땅' 포장에도 실렸다.


7. 미국 방영[편집]


미국에선 <Astro Boy>라는 제목으로 NBC를 통해 방송되었다. 처음에는 인기가 좋았으나 결국 104화가 더빙되는 것으로 그쳤다. DVD도 발매되었으며, 모든 화가 수록되어 있다.


8. 기타[편집]


이 애니메이션 때문에 데즈카 오사무는 애니메이터의 저임금의 원인을 제공했다는 말도 안 되는 루머가 돌기도 했다. 이것은 전혀 사실이 아니며 여러 업계인들이 부정하고 있다. 데즈카 오사무 항목 참조. 오히려 데즈카는 이 작품을 만들 때 연출가와 애니메이터를 모집하면서 토에이 애니메이션보다 돈을 2배 더 주겠다. 라는 조건으로 사람을 모았다고 한다. #

125, 127, 139편은 유실되어 현재 환상의 에피소드이다.

1964년 1월 25일에 방영된 56화 '지구 방위대(地球防衛隊)'는 시범적으로 일본 애니메이션 역사상 최초로 1회 분량을 컬러로 제작하였고, 일본 애니메이션 역대 최고 시청률인 40.3%시청률을 기록했다. 다만 송출은 흑백으로 했기에 당시 일본에서 이 에피소드를 컬러로 본 사람은 없었다.[7]

1978년 5월 11일 중국 CCTV[8]에서 첫 방영되었는데, 이는 중국에서 방영된 최초의 해외 TV 애니메이션이었다.

타카하시 료스케는 아톰 애니가 여러 번 나왔고 이 애니는 움직이지도 않지만 스토리와 연출은 이게 최고라고 한다.

[1] 일본 최초의 TV 애니메이션이라는 말이 있지만, 당대의 방송기록들과 추가적인 자료확인에 따른 결과에 의하면 일본 최초 TV 애니메이션은 아니라고 한다. 물론 생방송 방송 및 테이프 돌려쓰기가 일상적인지라 자료 확인이 어렵다는 점을 감안해야되기는 할것이다.[2] 그래도 중요한 장면에선 8프레임 이상 쓰기도 한다.[3] NHK는 1970년대 후반이 되어서야 자체제작 애니메이션(미래소년 코난)을 편성하기 시작한다.[4] 실제로 한국뿐만 아니라 일본에서도 테레비 망가(テレビマンガ)라는 명칭이 사용되었다.[5] 오죽하면 토미노 요시유키는 "데즈카 씨는 만화가라서 애니는 하나도 모른다."라고 했으며 스기이 기사부로도 "그 사람을 존경하지만 애니엔 재능이 없다."라고 깠다. 린 타로는 데즈카가 화면 전환을 하나도 고려하지 않아 자신이 직접 영화의 편집 기법을 애니메이션에 도입했다고 한다.[6] 이 오프닝은 1965년 140화부터 사용된 후기판 오프닝이다.[7] 다만 이는 당시 일본의 컬러 TV 보급 실태를 감안해야 한다. 실제로 일본은 세계적으로도 굉장히 이른 편인 1960년 9월 10일에 정규 컬러 방송을 시작했음에도 이 에피소드가 방영된 지 2년 후인 1966년 기준으로도 절대다수의 TV가 흑백 TV였던 것은 물론 컬러 TV 보급률이 0%대였을 정도로 컬러 TV가 없다시피했고, 이 때문에 컬러로 만든 애니메이션을 컬러로 송출해도 시청자들 입장에서는 메리트가 전혀 없었으니 흑백으로 송출한 것이다.[8] 그로부터 고작 10일 전(1978년 5월 1일) 사명을 '베이징 텔레비전'에서 '중국 중앙 텔레비전'으로 변경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8 17:53:17에 나무위키 철완 아톰(1963)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