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버스 1142

최근 편집일시 : (♥ 0)

||



1. 노선 정보
2. 개요
3. 역사
4. 특징
4.1. 일평균 승차인원
4.2. 노선
5. 연계 철도역
6. 둘러보기


1. 노선 정보[편집]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 서울특별시 지선버스 1142번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서울 1142 노선도.svg
기점서울특별시 노원구 중계동(중계본동종점)종점서울특별시 도봉구 창동(창동역동측(노원방면))
종점
첫차05:00기점
첫차05:15
막차00:00막차00:25
평일배차5~10분주말배차토요일 5~10분 / 공휴일 6~10분
운수사명흥안운수인가대수12대[1]
노선중계본동종점 - 중계주공6단지 - 은행사거리 - 중계주공4단지 - 상계역 - 노원역 - 노원구청 - 창동역


2. 개요[편집]


흥안운수에서 운행하는 지선버스 노선으로, 왕복 운행거리는 10.1km다.전체 정류장 목록


3. 역사[편집]


  • 구 483번 지역순환버스(중계본동 - 창동역) 노선이 전신이다.

  • 2004년 7월 1일 버스 체계 개편 때 번호만 1142번으로 변경되었다.

  • 2005년 5월 10일부로 1134번이 폐선되면서 잉여차량 3대가 증차되었다.

  • 2017년 11월 20일을 기해 단축운행차량의 대당 일 운행횟수가 감축되면서 평일의 1일 총 운행횟수가 4회 감회되었다. 다만 이번 운행계통에 의한 평일 배차간격 변동 수준은 미미할 것으로 예상된다.관련 공문

  • 2018년 5월 28일을 기해 대당 1일 운행횟수가 감축되면서 평일/토요일/공휴일의 1일 총 운행횟수도 각각 10회/12회/11회씩 감회되었다. 이번 운행계통 변경에 따라 평일/토요일/공휴일 최대 배차간격이 기존 7~8분에서 10분으로 늘었다.관련 공문


4. 특징[편집]


  • 현금 승차가 불가능하다.

  • 지하철이 다니지 않는 중계동 중/동부 지역에서 1, 4, 7호선 전철역들과 연계해주는 역할을 하고 있다. 또한 도봉구에서 은행사거리로 바로 갈 수 있는 몇 없는 노선이라 수많은 도봉구 학생들이 이용한다. 따라서 엄청난 빗자루질를 자랑하는데도 학원 등하원 집중 시간대에는 그마저도 감당하지 못해 미어터진다.

  • 146번, 1224번과 더불어 흥안운수의 밥줄노선이다. 다만 146번, 1224번과 달리 중계본동 차고지 진입로의 경사로 인해 저상버스 없이 모두 일반형 차량만 운행한다.


  • 노선 길이가 차등지선 기준인 10km보다 고작 100m 더 긴데 일반요금을 받는다. 다만 서울시내버스 개편 당시 차등지선 요금이 도입된 취지와, 서울시 측에서도 확대보다는 유지하거나 단계적으로 축소/폐지하는 방향에 무게룰 두고 운용 중인 정황을 감안하면 특이한 행태는 아니라고 볼 수 있다.

  • 은행사거리 - 상계역 구간은 버스가 온다면 1140번을 타는게 낫다. 이미 노원역부터 가축수송이 시작되며, 상계역에선 승객들을 다 태우지도 못하여 일부는 강제로 다른 버스를 기다리게 된다.[2]

  • 본래 지역순환버스 출신인 만큼 대개편 이전부터 중형차량이 주력이었으나, 과도한 수요 때문에 승객이 못 타는 사태까지 일어나자 2005년부터 대형차량을 투입했고[3], 이후 2008년 1월부터는 지금과 같이 완전히 대형화가 바뀌었다.[4]

  • 중계본동영업소 소속의 차고지 진입로가 급경사가 심해 저상버스 의무화 대상 노선에서 예외로 인정받았다.


4.1. 일평균 승차인원[편집]


서울특별시 지선버스 1142번
연도일평균 승차량전년대비 변동폭
2013년13,114명-
2014년13,101명▽ 13
2015년13,024명▽ 77
2016년12,603명▽ 421
2017년11,936명▽ 667
2018년11,438명▽ 498
2019년11,012명▽ 426
2020년8,037명▽ 2,975
2021년7,923명▽ 114
2022년8,553명△ 630
2023년9,019명△ 466
하차 인원 미포함

  • 2018년 1167번 버스의 신설로 인해 수요가 감소되고 있다.


4.2. 노선[편집]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 서울특별시 지선버스 1142번
[ 정류장 목록 펼치기 · 접기 ]

창동역동측(노원방면)
10266
창동농협물류센터
10145
창동농협물류센터
10144
노원구청
11252
노원구청
11251
노원역1번출구
11211
노원역9번출구
11210
상계2동주민센터
11242
상계2동주민센터
11262
상계중앙시장입구
11222
상계중앙시장입구
11223
상계역
11392
상계역
11393
중계주공3단지
11394
중계주공2단지
11395
중계주공4단지
11396
중계주공4단지
11397
중계1동주민센터
11348
중계1동주민센터
11398
은행사거리
11349
은행사거리
11414
대림벽산아파트
11412
중계주공6단지
11413
중계주공7단지
11410
중계주공6단지상가
11411
-중계본동주민센터
11406
노원우체국
11407
노원우체국
11408
중계본동종점
11487 · 11409



5. 연계 철도역[편집]




6. 둘러보기[편집]



파일:노란바탕휠체어빗금.svg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 서울특별시 저상버스 예외 (가)승인 노선
[ 펼치기 · 접기 ]

103104172774
0017101410171114
1119112211261129
1130113111331136
1137114111421143
1162116412211226
2113211421154318
4433551956216617
6624664966547024
77268003
{{{-2 비고 * 2023년도 기준 38개 노선 * 시설개량 및 의견수렴 후 2024년도 재검토 예정
* 4318번은 풍납동 소속 차량만 해당}}}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3 04:29:08에 나무위키 서울 버스 1142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공휴일 10대 운행[2] 그래도 1224번은 근처에 종점이 있어 운 좋으면 앉아갈 수도 있다.[3] 2006년에 대형차량을 중형으로 교체하면서 다시 중형노선이 되었지만 이후 2007년 여름에 상계4동 노선 중 수요가 가장 저조한 1138번과 차량을 교환하며 다시 대형차와 중형차의 혼합으로 바뀌었다. 동시에 1138번은 중형화되었다.[4] 남은 중형차를 전부 1141번으로 이동시켰다. 1141번도 비슷한 시기에 대형차량 신차를 투입했지만 태릉사거리에서 대형차가 우회전하기 어렵기 때문에 이 문제 해결을 위해서 차량을 트레이드 한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