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 라이온즈/역대 선수

덤프버전 : (♥ 0)

1. 개요
2. 프랜차이즈 선수 & 타 구단 소속 현역 선수
3. 기타 올드멤버
3.1. 나무위키 내 개별 문서가 없는 올드멤버들
3.2. 역대 외국인 선수
4. 흑역사



1. 개요[편집]


과거 삼성 라이온즈에서 활동했던 선수들의 명단.

프랜차이즈 스타들부터 과거 1년이라도 삼성에서 활동한 선수들 중, 나무위키에 문서가 개설된 선수들이라면 전부 포함되어 있다. 현재 삼성 라이온즈 소속 선수들은 삼성 라이온즈/선수단 문서 참조.


2. 프랜차이즈 선수 & 타 구단 소속 현역 선수[편집]


등번호이름포지션입단년도삼성 소속기간은퇴년도비고
6강기웅내야수1989(삼성)1989~19961996(삼성)
1강동우외야수1998(삼성)1998~20052013(한화)
27권영호투수1982(삼성)1982~19891989(삼성)
45권오준투수1999(삼성)1999~20202020(삼성)삼성 라이온즈 1군 코치
47권혁투수2002(삼성)2002~20142020(두산)
30김상엽투수1989(삼성)1989~19992001(LG)경일대학교 야구부 감독
5김성래내야수1984(삼성)1984~19962000(SK)한양대학교 야구부 인스트럭터
29김시진투수1983(삼성)1983~19881992(롯데)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 전력분석 팀장
7김용국내야수1985(삼성)1985~19931995(태평양)
7
6
김재걸내야수1995(삼성)1995~20092009(삼성)삼성 라이온즈 2군 감독
3김종훈외야수1994(롯데)1997~20072007(삼성)
6김태균내야수1994(삼성)1994~20022007(SK)kt wiz 1군코치
28김태한투수1992(삼성)1992~20012003(SK)kt wiz 1군 코치
5김한수내야수1994(삼성)1994~20072007(삼성)두산 베어스 1군 코치
46김현욱투수1993(삼성)1993~1995
1999~2005
2005(삼성)롯데 자이언츠 1군 코치
33류명선투수1988(삼성)1989~19951996(쌍방울)계명대학교 야구부 감독
1류중일내야수1987(삼성)1987~19991999(삼성)
3박승호내야수1983(삼성)1983~19931993(삼성)부산문화방송 해설위원
23
26
박정환포수1982(삼성)1982~19921992(삼성)저니맨 외인구단 기술자문위원
17박충식투수1993(삼성)1993~19992003(KIA)사이버한국외국어대학교 야구부 감독
33박한이외야수2001(삼성)2001~20192019(삼성)삼성 라이온즈 1군 코치
3배대웅내야수1982(삼성)1982~19861986(삼성)
25배영수투수2000(삼성)2000~20142019(두산)롯데 자이언츠 1군 코치
14성준투수1986(삼성)1986~19981999(롯데)수성대학교 야구부 코치
70신동주외야수1991(삼성)1991~2000
2004~2005
2006(KIA)
28안지만투수2002(삼성)2002~20162016(삼성)
9양일환투수1983(삼성)1983~19891989(삼성)
10양준혁외야수1993(삼성)1993~1998
2002~2010
2010(삼성)MBC SPORTS+ 해설위원
양준혁 야구재단 이사장
대한야구소프트볼협회 이사
16오대석내야수1982(삼성)1982~19881991(롯데)경상중학교 야구부 코치
1윤성환투수2004(삼성)2004~20202020(삼성)
22이만수포수1982(삼성)1982~19971997(삼성)MBC SPORTS+ 객원 해설위원
헐크파운데이션 이사장
J 브라더스 구단주
육군사관학교 총감독
70
34
이상훈투수1990(삼성)1990~19992004(롯데)
36이승엽내야수1995(삼성)1995~2003
2012~2017
2017(삼성)두산 베어스 감독
40이종두외야수1985(삼성)1985~19961997(쌍방울)
12이태일투수1990(삼성)1990~19971997(삼성)
39
37
임창용투수1995(해태)1999~2007
2014~2015
2018(KIA)
13장원삼투수2006(현대)2010~20182020(롯데)
4장태수외야수1982(삼성)1982~19921992(삼성)롯데 자이언츠 잔류군 코치
10장효조외야수1983(삼성)1983~19881992(롯데)
17전병호투수1996(삼성)1996~20082008(삼성)
9정경배내야수1996(삼성)1996~20012009(SK)SSG 랜더스 2군 코치
20정현발외야수1982(삼성)1982~19861988(태평양)
62
19
정현욱투수1996(삼성)1996~20122016(LG)삼성 라이온즈 1군 코치
16
5
조동찬내야수2002(삼성)2002~20182018(삼성)삼성 라이온즈 2군 코치
20진갑용포수1997(OB)1999~20152015(삼성)KIA 타이거즈 1군 코치
13진동한투수1984(삼성)1984~19891992(쌍방울)
64
17
채태인내야수2001(보스턴)2007~20152020(SK)
12함학수내야수1982(삼성)1982~19871987(삼성)
2
8
허규옥외야수1982(삼성)1982~1988
1991~1992
1992(삼성)
38홍승규외야수1983(삼성)1983~19901990(삼성)대구문화방송 해설위원
1황규봉투수1982(삼성)19832~19861986(삼성)

이름포지션입단년도삼성 소속기간현재 소속팀
8
18
박석민내야수2004(삼성)2004~2015NC 다이노스
56이지영포수2008(삼성)2008~2018키움 히어로즈
23차우찬투수2006(삼성)2006~2016롯데 자이언츠
34최형우외야수2002(삼성)2002~2005
2008~2016
KIA 타이거즈
53이학주내야수2009(시카고 컵스)2019~2021롯데 자이언츠
58
13
박해민외야수2012(삼성)2012~2021LG 트윈스
7김상수내야수2009(삼성)2009~2022kt wiz


3. 기타 올드멤버[편집]


나무 위키에 문서가 있는 선수들만 소개(문서가 없는 선수들은 아래 따로 소개.). 때문에 흑역사와 중복되는 선수들도 일부 있다.

이름포지션입단년도삼성 소속기간은퇴년도비고
19감병훈투수1994(삼성)1994~20002000(삼성)
12강만식투수1982(해태)19891989(삼성)
9강명구내야수2003(삼성)2003~20142014(삼성)삼성 라이온즈 1군 코치
1
24
강봉규외야수2000(두산)2007~20152016[1]삼성 라이온즈 1군 코치
8강영수외야수1989(삼성)1989~19901998(쌍방울)
26강영식투수2000(해태)2001~20062017(롯데)롯데 자이언츠 1군 코치
32강희성투수2006(삼성)2006~20092009(삼성)
6고지행내야수2000(한신)2003~20042005(한화)
105곽경문내야수2017(삼성)2017~20192019(삼성)
62곽동현포수2007(삼성)2007, 20112011(삼성)경운중학교 야구부 감독
37곽동훈투수2005(삼성)2005~20112011(삼성)
31곽채진투수1992(삼성)1992~19982003(두산)언북중학교 야구부 감독
52구자운투수1999(두산)2008~20112011(삼성)
61권영철내야수1996(삼성)1996~20012001(삼성)KBO 심판위원
50권오원투수2002(삼성)2002~20112011(삼성)롯데 자이언츠 2군 코치
103권현규외야수2015(삼성)20152015(삼성)
61길태곤투수2010(삼성)2010~20122016(한화)한국K-POP고등학교 야구부 코치
60김건필투수2008(삼성)2008~20152015(삼성)
49김건한투수2001(SK)2012~20162016(삼성)
14김경모내야수2008(삼성)2008~20152015(삼성)
66김광현포수1994(OB)1998~19992000(SK)
15김근석내야수1983(삼성)1983~19861988(청보)
17김기태투수1971(히로시마)19871987(삼성)
11김기태내야수1991(쌍방울)1999~20012005(SK)kt wiz 2군 감독
30김기태투수2006(삼성)2006~20182018(삼성)동산고등학교 야구부 코치
35김대익외야수1996(롯데)2004~20072007(삼성)홍익대학교 야구부 코치
11김덕윤투수2001(삼성)2001~20062008(두산)원주고등학교 야구부 감독
2김동수포수1990(LG)2001~20012009(히어로즈)SBS Sports 해설위원
111김동영내야수2009(삼성)2009~20132013(삼성)
2김동욱내야수2007(삼성)2007~20132018(kt)
8김동은내야수2010(삼성)2010~20112017(kt)
25김동재내야수1983(삼성)1983~19881993(LG)
41김동호투수2009(한화)2014~20182018(삼성)SSG 랜더스 잔류군 코치
37김문수투수2003(삼성)2003~20082008(삼성)
57김민수투수2002(삼성)2002~20032003(삼성)삼성 라이온즈 스카우트
23김상준외야수2007(삼성)20072007(삼성)
31김상진투수1989(OB)1999~20012003(SK)두산 베어스 2군 코치
8김성갑내야수1985(삼성)19851995(태평양)[한화 이글스]] 잔류군 총괄 코치
17김성길투수1978(한큐)1987~19921993(쌍방울)
123김성한투수2014(고양 원더스)2014~20202020(삼성)
23김성현포수1986(롯데)1989~19961998(쌍방울)
43김성훈투수2006(SK)20112014(한화)
35김승관내야수1995(삼성)1995~20042007(롯데)대구상원고등학교 야구부 감독
9김승권내야수1995(한화)2001~20032006(현대)
8김실외야수1985(닛폰햄)1994~19952000(두산)
120김연준투수2019(삼성)20192019(삼성)
122김영덕외야수2016(삼성)2016~20172017(삼성)
38김영복포수2003(삼성)2003~20072012(NC)
20
12
김영진포수1995(삼성)1995~20012001(한화)
108김영한외야수2015(삼성)2015~20182020(고양 위너스)
107김영훈내야수2012(삼성)2012~20132014(고양 원더스)
24김용철내야수1982(롯데)1989~19921992(삼성)
43김우석내야수2002(LG)20082008(삼성)두산 베어스 2군 코치
67
13
김인철투수
외야수
1990(삼성)1990~20012007(한화)청주고등학교 야구부 감독
28김일융투수1969(요미우리)1984~19861992(야쿠르트)
53김재우투수2010(삼성)2010~20152015(삼성)
-김재현투수1998(한화)20022011(한화)대전유천초등학교 야구부 감독
20김정수외야수1987(삼성)1987~19921992(삼성)
16김정혁내야수2011(삼성)2011~20172017(삼성)삼성 라이온즈 육성군 코치
31김종호외야수2007(삼성)2007~20122017(NC)강릉영동대학교 야구부 코치
91김종화투수2010(삼성)2010~20112011(삼성)
10김주찬외야수2000(삼성)20002020(KIA)두산 베어스 1군 코치
13김주현내야수2008(삼성)2008~20092013(NC)
43김지호포수2009(삼성)2009~20102015(NC)
57김지훈포수1998(삼성)1998~20012004(KIA)두산 베어스 1군 코치
93김지훈투수2010(삼성)2010~20112011(삼성)
104김지훈투수2012(삼성)2012~20152015(삼성)
51김진웅투수1998(삼성)1998~20102010(삼성)
63김창희외야수1997(해태)2006~20092009(삼성)울산공업고등학교 야구부 코치
42김태룡내야수1992(삼성)1992~19962002(KIA)개성고등학교 야구부 코치
4김태완내야수2004(LG))2013~20162016(삼성)
35김한근내야수1982(삼성)1982~19851990(태평양)
42김현수투수
외야수
2002(삼성)2002~20042010(두산)
20김현우투수2010(삼성)2010~20172017(삼성)
117김현중포수
내야수
2005(삼성)2005~2006
2012~2013
2013(삼성)
39김형석외야수1985(OB)19981998(삼성)성남 맥파이스 코치
69김형준투수2010(삼성)2010~20112011(삼성)
46김효남투수2006(삼성)2006~20122014(LG)경주고등학교 야구부 코치
63김희석포수2014(삼성)2014~20172017(삼성)
35나광남외야수1989(삼성)1989~19911991(삼성)KBO 심판위원
27나성용외야수2011(한화)2016~20172017(삼성)광주진흥고등학교 야구부 코치
130남기효투수2016(삼성)2016~20182018(삼성)
61노병오투수2002(삼성)2002~20032011(넥센)키움 히어로즈 1군 코치
18노장진투수1993(빙그레)1999~20042006(롯데)
40노진용투수2008(LG)2013~20162016(삼성)
46
27
동봉철외야수1992(삼성)1992~19961999(쌍방울)KBO 육성위원
113라준성내야수2013(삼성)2013~20172017(삼성)
23라형진투수1999(삼성)1999~20062007(경찰)[2]
49마해영내야수1995(롯데)2001~20032008(롯데)
69명재철투수2011(삼성)2011~20122013(한화)
49
19
모상기내야수2006(삼성)2006~20142016(kt)신성대학교 야구부 코치
39문선엽외야수2010(삼성)2010~20172017(삼성)
61문수호투수2002(KIA)20112015(NC)
50박근영포수1996(삼성)1996~19971997(삼성)KBO 심판위원
62
28
박근홍투수2004(기아)2012~20182019(롯데)
21박동희투수1986(롯데)1997~20012001(삼성)
37박민규투수2009(삼성)2009~20172017(삼성)
118박상원투수2012(삼성)2012~20162016(삼성)
59
39
박석진투수1995(삼성)1995~1997
2004~2006
2008(LG)NC 다이노스 1군 코치
2박선일포수1989(빙그레)1993~19961996(삼성)
54
15
박성훈투수2005(삼성)2005~20092015(넥센)경북고등학교 야구부 코치
33박영진투수1982(삼성)1982~19841984(삼성)
56박정현내야수2006(삼성)20062006(삼성)
8박정환내야수2000(삼성)2000~20072011(SK)kt wiz 1군 코치
67박제윤투수2014(삼성)2014~20162016(삼성)
39박종철투수1990(쌍방울)1992~19961996(삼성)KBO 심판위원
31박종호내야수1992(LG)2004~20082010(LG)백송고등학교 야구부 감독
7박진만내야수1996(현대)2005~20102015(SK)삼성 라이온즈 감독
44박찬외야수1982(삼성)1982~19851986(빙그레)
9박찬도외야수2012(삼성)2012~20202020(삼성)삼성 라이온즈 2군 코치
101박화랑투수2010(삼성)2010~20122012(삼성)대구상원고등학교 야구부 코치
65
25
배영섭외야수2009(삼성)2009~20182019(SK)삼성 라이온즈 1군 코치
119배진선투수2014(삼성)2014~20152020(의정부 피닉스)
114배진호내야수2015(삼성)2015~20162016(삼성)
3백상원내야수2010(삼성)2010~20182018(삼성)경일대학교 야구부 코치
109백종헌포수
투수
2014(삼성)2014~20172017(삼성)
41백준영투수2005(삼성)2005~20082008(삼성)
32서동환투수2005(두산)2014~20162016(삼성)
108서장민투수2019(삼성)2019~20202020(삼성)
6서정환내야수1982(삼성)19821989(해태)KBO 경기감독관
36성낙수투수1982(삼성)1982~19851986(빙그레)구미대학교 야구부 감독
3성의준내야수2012(삼성)2012~20172017(삼성)
37손상대포수1982(삼성)1982~19871987(삼성)
2손상득포수1982(삼성)1982~19881988(삼성)
6손주인내야수2002(삼성)2002~2012
2018~2019
2019(삼성)삼성 라이온즈 1군 코치
3손지환내야수1997(LG)20082010(한화)SSG 랜더스 1군 코치
63손형준외야수2012(삼성)2012~20162016(삼성)
23송일수포수1970(긴테쓰)1984~19861986(삼성)
4송주호외야수2007(삼성)2007~20102018(한화)
17송진호투수1982(삼성)1982~19861986(삼성)
21신경식내야수1982(OB)1991~19921995(쌍방울)성남 맥파이스 감독
110신동수내야수2020(삼성)20202020(삼성)
14신명철내야수2001(롯데)2007~20132015(kt)
118신영재포수2011(넥센)20152015(삼성)경성대학교 야구부 코치
110신용승외야수2012(삼성)2012~20132020(kt)
15신용운투수2002(KIA)2012~20172017(삼성)전주시 주니어 베이스볼 클럽 감독
90신희섭투수2011(삼성)20112013(경찰)[3]
59
55
심광호포수1996(한화)2008~20102012(LG)kt wiz 스카우트
12심성보외야수1995(쌍방울)20032003(삼성)
32심정수외야수1994(OB)2005~20082008(삼성)
40안규현투수2014(삼성)2014~20182018(삼성)
42안성무투수2013(경찰)2015~20182018(삼성)
112안창하투수2016(삼성)20162016(삼성)
60안태영내야수2004(삼성)2004~20052015(넥센)
59양영동외야수2006(삼성)2006~20072014(LG)LG 트윈스 2군 코치
25양용모포수1991(빙그레)1996~19982002(SK)
44양지훈투수2009(삼성)2009~20132013(삼성)삼성 라이온즈 2군 매니저
18오봉옥투수1992(삼성)1991~19952006(한화)
34오상민투수1997(쌍방울)2002~20072011(LG)
53오정복외야수2009(삼성)2009~20112018(kt)
58오태선투수2011(삼성)2011~20122012(삼성)
8우동균외야수2008(삼성)2008~20172017(삼성)
50우병걸투수2011(KIA)2012~20162016(삼성)
34
63
우용득[4]포수1982(삼성)1982~19831983(삼성)대학야구연맹 전무이사
102유원선포수2011(삼성)2011~20122014(kt)
27윤석환투수1984(OB)19911991(삼성)
56윤영삼투수2011(삼성)20112020(키움)
127윤영수내야수2015(삼성)2015~20182018(삼성)
9윤용하외야수1991(삼성)1991~19931995(태평양)
16이강철투수1989(해태)2000~20012005(KIA)kt wiz 감독
97이강혁내야수2010(삼성)2010~20112016(NC)
87이경록외야수2011(삼성)20112017(KIA)
68이계성외야수1996(삼성)1996~1998
2000
2005(롯데)KBO 심판위원
11이광길내야수1983(삼미)1991~19921992(삼성)
39이규대투수2010(삼성)2010~20122012(삼성)
52이동걸투수2007(삼성)2007~20132018(한화)한화 이글스 1군 코치
57
3
이동수내야수1992(삼성)1992~19972003(두산)대구고등학교 야구부 코치
00이동현외야수2012(삼성)2012~20162016(삼성)
101이동훈외야수2012(삼성)2012~20162016(삼성)
15이명호내야수
투수
2000(삼성)2000~20022003(롯데)
28이문한투수1984(롯데)1989~19911991(삼성)동원과학기술대학교 야구부 감독
00이병훈외야수1990(LG)19961996(삼성)
51
29
이상목투수1990(삼성)1990~1993
2008
2008(삼성)
6이상훈외야수2010(한화)2013~20172017(kt)한화 이글스 1군 코치
26이선희투수1982(삼성)1982~19841987(MBC)경주고등학교 야구부 감독
8이순철외야수1985(해태)19981998(삼성)SBS Sports 해설위원
54이승우투수2007(LG)2013~20152015(삼성)
70
0
이여상내야수2006(삼성)2006~20082017(롯데)
39이영수내야수2004(KIA)20132013(삼성)두산 베어스 2군 코치
41이영욱투수2003(SK)20142014(삼성)
24이영욱외야수2008(삼성)2008~20172018(KIA)
16이영재포수1991(삼성)1991~19941994(삼성)KBO 심판위원
32이용욱외야수2013(고양 원더스)2014~20152019(질롱 코리아)
20이용철투수1988(MBC)1993~19941994(삼성)
34이용훈투수2000(삼성)2000~20012014(롯데)NC 다이노스 2군 코치
43이우선투수2009(삼성)2009~20142014(삼성)
27이정식포수2004(삼성)2004~20162016(삼성)삼성 라이온즈 2군 코치
11이정호투수2001(삼성)2001~20042010(넥센)KIA 타이거즈 2군 코치
7
0
이정훈외야수1987(빙그레)1995~19961997(OB)두산 베어스 2군 감독
47
9
이중화외야수1987(빙그레)1995~19961996(삼성)
44이케빈투수2016(삼성)2016~20182019(SK)
11이해창외야수1982(MBC)1985~19861989(태평양)
40이희성외야수1989(태평양)1997삼성(1997)
13
11
임동규투수2003(삼성)2003~20102010(삼성)
38임신근[5]투수1982(삼성)19821982(삼성)
3임익준내야수2007(삼성)2007~20112018(한화)]광주제일고등학교 야구부 코치
60임익현투수2009(삼성)2009~20102010(삼성)
2임재철외야수1999(롯데)2002~20032015(롯데)
41
31
임진우투수2010(삼성)2010~20152018(두산)
59장영균외야수1999(삼성)1999~20032003(삼성)
28장태수투수1987(삼성)1987~19881990(롯데)
65
45
전상렬외야수1991(삼성)1991~19962009(두산)한화 이글스 1군 코치
105전승현내야수2015(한화)[6]20162016(삼성)
13전준호투수2005(SK)20102012(NC)
56정경훈내야수1990(삼성)1990~19941999(한화)
19정광운투수2014(한화)2016~20192019(삼성)
104정두산외야수2012(삼성)2012~20182018(삼성)
43정민우포수2010(삼성)2010~2011
2014~2016
2016(삼성)
62정병곤내야수2011(LG)2013~20182019(두산)삼성 라이온즈 육성군 코치
10정성룡외야수1984(삼성)1984~19921995(해태)
65정성훈투수1996(삼성)1996~20022010(LG)홍익대학교 야구부 코치
11정영규외야수1993(삼성)1993~19942000(KIA)
97정우양포수2011(삼성)2011~20162016(삼성)
31정윤수투수1988(삼성)1988~19931993(삼성)
6정진호내야수1983(삼성)1983~19861990(태평양)
51정형식외야수2009(삼성)2009~20142014(삼성)
46
25
정회열포수1990(해태)1998~19991999(삼성)동원대학교 야구부 감독
27조계현투수1989(해태)1998~19992001(두산)
25조범현포수1982(OB)1991~19921992(삼성)수원 파인 이그스 감독
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 기술위원장
35조영훈내야수2005(삼성)2005~20122017(NC)NC 다이노스 전력분석원
39조진호투수1998(보스턴)2008~20092009(삼성)군산상일고등학교 야구부 코치
11조현근투수2005(두산)2006~20162016(삼성)
67
97
지승민투수2001(한화)2003~20092010(두산)
56진종길내야수2004(삼성)20042005(한화)NC 다이노스 2군 코치
14차화준내야수2005(현대)2014~20172017(삼성)
38채상병포수2002(한화)2009~20142014(삼성)삼성 라이온즈 1군 코치
114채상준포수2018(삼성)2018~20202020(삼성)
7천보성내야수1982(삼성)1982~19841984(삼성)
53최경철포수2003(SK)20172017(삼성)롯데 자이언츠 1군 코치
11최동원투수1983(롯데)1989~19901990(삼성)
47최민구외야수2015(삼성)2015~20182018(삼성)
103최승민내야수2016(삼성)2016~20172017(삼성)
24최용호투수1995(OB)2005~20062006(삼성)
66
39
최원제투수
내야수
2008(삼성)2008~20182018(삼성)
33
24
최익성외야수1994(삼성)1994~1998
2004
2005(SK)
27최일언투수1984(OB)1991~19921992(삼성)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 코치
LG 트윈스 인스트럭터
31최재원외야수2013(NC)20162020(LG)
47최재호투수1996(삼성)1996~20012001(삼성)
112최종현내야수2017(삼성)2017~20192019(삼성)
129최주엽투수2016(삼성)2016~20172017(삼성)
68최창양투수1995(필라델피아)1996~20012001(삼성)
29최한경투수
외야수
1993(삼성)1993~19992000(LG)
16최한림투수1990(쌍방울)1995~19971997(삼성)인상고등학교 야구부 감독
2최해명내야수1989(삼성)1989~19921993(쌍방울)
30추승민투수2007(삼성)2007~20112011(삼성)
27한기주투수2006(KIA)2018~20192019(삼성)
21한희민투수1986(빙그레)19931993(삼성)논산시 리틀야구단 감독
66허삼영투수1991(삼성)1991~19951995(삼성)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 전력분석위원
롯데 자이언츠 전력분석 코디네이터
37허승민외야수2009(삼성)2009~20152015(삼성)
27현재윤포수2002(삼성)2002~20122014(LG)SDF 투칸스 U-13팀 감독
121홍유상투수2014(삼성)2014~20152019(한화)
30홍효의투수2010(삼성)2010~20132013(삼성)
52황두성투수1997(삼성)1997~19982011(넥센)
18황병일외야수1983(삼성)1983~19851990(빙그레)LG 트윈스 2군 감독
37황선도외야수2016(삼성)2016~20192019(삼성)
0황성관외야수1997(삼성)1997~20012001(삼성)
38황수범투수2011(삼성)2011~20182018(삼성)

이름포지션입단년도삼성 소속기간현재 소속팀
24김기환외야수2015(삼성)2015~2019
30
44
김상수투수2006(삼성)2006~2009롯데 자이언츠
4김성훈내야수2016(삼성)2016~2019
48김영환내야수2013(삼성)2013
111김주온투수2015(삼성)2015~2017SSG 랜더스
54나원탁포수2017(삼성)2017롯데 자이언츠
14박계범내야수2014(삼성)2014~2020두산 베어스
124윤대경투수2013(삼성)2013~2018한화 이글스
55이성곤외야수2014(두산)2018~2021한화 이글스
63이준형투수2012(삼성)2012~2013
48이흥련포수2013(삼성)2013~2016SSG 랜더스
11정인욱투수2009(삼성)2009~2020
50정현내야수2013(삼성)2013~2014
64최정용내야수2015(삼성)2015KIA 타이거즈


3.1. 나무위키 내 개별 문서가 없는 올드멤버들[편집]


등번호 - 이름- 특이사항 순.

19 구윤: 고교 시절 이영민 타격상을 수상할 정도로 뛰어난 기량을 가졌으나 대학 진학 후에는 부진했고 프로 입단 후에도 무릎부상으로 별다른 활약을 못했다. 그나마 커리어 하이는 1989년으로, 나름 괜찮은 2루타 생산능력을 바탕으로 활약했다. 선구안은 썩 좋지 않은 편으로 삼진이 많고 볼넷이 적은 편. 1993년에 태평양 돌핀스로 현금트레이드 되어 삼성을 떠난 뒤, 1994년 시즌 뒤 은퇴. 여담으로 역대 연타석 삼진 기록을 갖고 있다. 태평양에서 8연타석 삼진이라는 대기록을 달성하기도 했다.그리고 약 20여년 뒤 어떤 팀 후배가 이 기록에 찝적거리다가 실패했다.

49 김훈기: 영남대 출신으로 1986년 입단. 양일환-진동한-김훈기로 이루어지는 80년대 중후반 삼성 잠수함 삼각편대의 일원이기도 했다. 80년대 말 약화된 삼성 투수진에서 나름 활약한 선수다. 커리어 하이는 1988년으로 선발과 불펜을 오가며 118이닝, 평균자책점 2.72, 10승 5패를 기록했다. 그러나 1989년부터 급격하게 쇠락, 1990년엔 한 경기도 나오지 못하고 방출되었다. 은퇴 후 영남대 투수코치로 있었다. 재임 당시에는 아마야구 지도자로 프로 선수 출신이 활동할 수 없다는 법이 사라진 초창기라 아마추어 야구계의 질시로 덕아웃에도 못 앉는 등 고생하기도 했다.

18 김휘욱: 창단 원년멤버. 입단 2년만에 은퇴했다.

32 박봉수: 오사카 태생의 재일교포. 일본명 아라이 타카히데(新井 峰秀). 1군 출장 경기가 고작 8경기(2002년 삼성) 뿐인 무명선수나, 이 선수는 역대 최초로 한일 양국의 신인드래프트에 지명된 선수다. 한국에서 휘문고 재학 시절 1996 신인지명 때 쌍방울 레이더스에 2차 10라운드 지명을 받지만 고려대로 진학했다. 그러나 곧 대학을 중퇴하고 일본으로 건너가 1998 드래프트 때 주니치 드래곤즈 7순위 지명, 입단했다. 2년만에 퇴단, 다시 한국으로 건너와 2002년 삼성에 신고선수로 입단했으나 1년만에 방출, 은퇴했다. 은퇴 후 군복무를 마치고[7] 한국에 있는 일본계 회사에 취직해서 회사원으로 일하다가 우동에 꽂혀 일본에서 수타우동을 배우고 한국에 우동집을 차렸다. 공교롭게도 박봉수의 아버지도 한국에 온 후 우동집을 했다고 한다. 먼 길을 돌아 가업을 잇게 된 셈.2017년 기사

21 송광훈: 도쿄 태생의 재일 조선인. 일본명 타케다 미츠쿠니(竹田 光訓). 대학 시절에는 호시노 2세라 불릴 정도로 뛰어난 선수였으며 미일 대학야구 대회에 2년 연속 MVP를 수상하고 LA 올림픽 일본 대표팀에도 선발되었다. 1984년 드래프트 때 요코하마 다이요 훼일스), 요미우리 자이언츠, 주니치 드래곤즈 등 3팀이 1순위로 그를 지명, 추첨결과 다이요에 1순위로 입단했다. 그러나 입단 후 폭행사건으로 팀에서 찍혔다. 장명부의 추천으로 1989년 삼성에 입단했으나 그다지 좋은 활약은 하지 못했다. 1991년 일본으로 귀국해 다이요에 복귀했으나 그 해 은퇴했다. 은퇴 후 다이요의 배팅볼 투수로 있다가 1993년 타구에 머리를 맞는 사고를 겪으며, 다이요의 후신 요코하마 베이스타즈 구단직원이 되어 최근까지 근무 중이다.

4 송재익: 주로 백업내야수로 활동했다. 2000년 신생팀 SK로 현금 10억에 트레이드신생팀 지원선수로 이적했다. SK에서 더 많은 기회를 받았다. 2004년 병역비리 파동의 여파로 현역병으로 입대했다가 제대 후 복귀하지 못하고 그대로 방출되었다.

52 이준민: 주로 백업포수로 활동했으며, 현재는 삼성의 전력분석원.

50 이준호: 사이드암 투수. 1999년 1차 지명자로 꼽혔지만 실제로는 2차 12라운드로 지명됐을 정도로 당시 대구·경북 대학선수[8]들의 실력이 떨어졌음을 보여줬다. 입단 첫 해인 1999년에는 26경기에 등판했으나 이후 팔꿈치 부상을 당하며 2002년을 끝으로 방출됐고, 이후 중국에서 선수 생활을 했다. 귀국 후 2008년부터 2012년까지 대구중학교, 2013년부터 2017년까지 경북고 투수코치로 활동하다가 2018년 초 박상길 감독이 비리 문제로 해임되자 감독으로 승격했다. 투수 최충연의 은사이기도 하다.

39 이현택: 아마시절 투타 모두 뛰어난 선수였고, 입단은 투수였지만 곧 타자로 전향했다. 한 때 주전 1루수로 기용되기도 했으나 성적은 좋지 않았다. 최해명과 함께 쌍방울로 트레이드되었고, 1992년 쌍방울에서 은퇴했다. kt 투수 김주원의 이모부.

8 정구왕: 창단 원년멤버. 1983년 삼미로 트레이드되어 1986년 은퇴했다.

13 정용생: 오이타 현 태생의 재일교포. 일본명 오타 타츠오(太田 龍生). 1982년 드래프트 5순위로 히로시마 도요 카프에 입단했다. 그러나 1군에서 기회를 못 잡았고, 장명부의 추천으로 1988년 시즌 중 삼성으로 이적했다. 한국에서 별다른 활약 없이 1990년 일본으로 귀국해 후쿠오카 다이에 호크스로 복귀했으나 그 해 은퇴했다. 은퇴 후 2002년까지 히로시마에서 배팅볼 투수를 맡았다.

67 하춘동:얼굴로 보면 꽤 미남인 듯. 하지만 프로에서는 그리 빛을 보지 못했다. 2019년 현재 경북고 코치로 있다.


3.2. 역대 외국인 선수[편집]


삼성 라이온즈 역대 외국인 선수
연도투수타자
국적선수명성적비고국적선수명성적비고
1998파일:미국 국기.svg스캇 베이커26경기, 15승 7패, 4.13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호세 파라60경기, 7승 8패 19세이브, 3.67
1999파일:미국 국기.svg찰스 스미스123경기, 0.287, 40홈런, 98타점
파일:미국 국기.svg빌리 홀116경기, 0.244, 4홈런, 23타점
2000파일:미국 국기.svg마이클 가르시아13경기, 2승 5패 1홀드, 2.917월 입단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훌리오 프랑코132경기, 0.327, 22홈런, 110타점
파일:미국 국기.svg찰스 스미스118경기, 0.288 35홈런 100타점[9]7월 방출
2001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살로몬 토레스2경기, 0승 2패, 20.255월 방출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매니 마르티네스128경기, 0.278, 25홈런, 96타점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벤 리베라36경기, 6승 3패 21세이브, 2.627월 방출파일:푸에르토리코 기.svg카를로스 바에르가39경기, 0.275, 4홈런, 17타점7월 입단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발비노 갈베스15경기, 10승 4패, 2.475월 입단
2002파일:미국 국기.svg브론스웰 패트릭21경기, 5승 7패, 5.96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틸슨 브리또128경기, 0.283, 25홈런, 90타점
파일:멕시코 국기.svg나르시소 엘비라22경기, 13승 6패, 2.505월 입단파일:미국 국기.svg매트 루크정규시즌 미출장5월 방출

2003틸슨 브리또
(Tilson Brito)
DOM내야수
나르시소 엘비라
(Narciso Elvira)
MEX투수시즌 중 방출
라이언 글린
(Ryan Glynn)
USA투수↖ 대체 영입
2004케빈 호지스
(Kevin Hodges)
USA투수
트로이 오리어리
(Troy O'Leary)
USA외야수시즌 중 방출
멘디 로페즈
(Mendy Lopez)
DOM내야수↖ 대체 영입
2005마틴 바르가스
(Martin Vargas)
DOM투수
루서 해크먼
(Luther Hackman)
USA투수시즌 중 방출
팀 하리칼라
(Tim Harikkala)
USA투수↖ 대체 영입
2006팀 하리칼라
(Tim Harikkala)
USA투수
제이미 브라운
(Jamie Brown)
USA투수
2007제이미 브라운
(Jamie Brown)
USA투수
크리스 윌슨
(Kris Wilson)
USA투수시즌 중 방출
브라이언 매존
(Brian Mazone)
USA투수↖ 대체 영입
2008제이콥 크루즈
(Jacob Cruz)
USA외야수시즌 중 방출
톰 션
(Tom Shearn)
USA투수↖ 대체 영입, 시즌 중 방출
웨스 오버뮬러
(Wes Obermueller)
USA투수시즌 중 방출
존 에니스
(John Ennis)
USA투수↖대체 영입
2009프란시스코 크루세타
(Francisco Cruceta)
DOM투수
루넬비스 에르난데스
(Runelvys Hernandez)
DOM투수시즌 중 방출
브랜든 나이트
(Brandon Knight)
USA투수↖대체 영입
2010프란시스코 크루세타
(Francisco Cruceta)
DOM투수
브랜든 나이트
(Brandon Knight)
USA투수시즌 중 방출
팀 레딩
(Tim Redding)
USA투수↖대체 영입
2011라이언 가코
(Ryan Garko)
USA내야수시즌 중 방출
덕 매티스
(Doug Mathis)
USA투수↖대체 영입
카도쿠라 켄
(門倉 健)
JPN투수시즌 중 방출
저스틴 저마노
(Justin Germano)
USA투수↖대체 영입
2012미치 탈보트
(Mitch Talbot)
USA투수
브라이언 고든
(Brian Gordon)
USA투수
2013아네우리 로드리게스
(Aneury Rodriguez)
DOM투수시즌 중 방출
에스마일린 카리대
(Esmailin Caridad)
DOM투수↖대체 영입
릭 밴덴헐크
(Rick van den Hurk)
NLD투수
2014J.D. 마틴
(John Dale "J.D." Martin)
USA투수
릭 밴덴헐크
(Rick van den Hurk)
NLD투수
야마이코 나바로
(Yamaico Navarro)
DOM내야수
2015알프레도 피가로
(Alfredo Fígaro)
DOM투수
타일러 클로이드
(Tyler Cloyd)
USA투수
야마이코 나바로
(Yamaico Navarro)
DOM내야수
2016앨런 웹스터
(Allen Webster)
USA투수시즌 중 방출
요한 플란데
(Yohan Flande)
DOM투수↖대체 영입
콜린 벨레스터
(Collin Balester)
USA투수시즌 중 방출
아놀드 레온
(Arnold Leon)
MEX투수↖대체 영입
아롬 발디리스
(Aarom Baldiris)
VEN내야수
2017앤서니 레나도
(Anthony Ranaudo)
USA투수
재크 페트릭
(Zach Petrick)
USA투수
다린 러프
(Darin Ruf)
USA내야수
2018팀 아델만
(Tim Adleman)
USA투수
리살베르토 보니야
(Lisalverto Bonilla)
DOM투수
다린 러프
(Darin Ruf)
USA내야수
2019저스틴 헤일리
(Justin Haley)
USA투수시즌 중 방출
맥 윌리엄슨
(Mack Williamson)
USA외야수↖대체 영입
덱 맥과이어
(Deck McGuire)
USA투수시즌 중 방출
벤 라이블리
(Ben Lively)
USA투수↖대체 영입
다린 러프
(Darin Ruf)
USA내야수구단 역사상 최장수
2020데이비드 뷰캐넌
(David Buchanan)
USA투수
벤 라이블리
(Ben Lively)
USA투수
타일러 살라디노
(Tyler Saladino)
USA내야수(유틸리티)시즌 중 방출
다니엘 팔카
(Danial Falka)
USA외야수↖대체 영입
2021데이비드 뷰캐넌
(David Buchanan)
USA투수
벤 라이블리
(Ben Lively)
USA투수시즌 중 방출
호세 피렐라
(José Pirela)
VEN외야수
마이크 몽고메리
(Mike Montgomery)
USA↖대체 영입
2022데이비드 뷰캐넌
(David Buchanan)
USA투수
호세 피렐라
(José Pirela)
VEN외야수
알버트 수아레즈
(Albert Suárez)
VEN투수

4. 흑역사[편집]


  • 김동수: 2000년 FA로 삼성에 왔으나, SK로 트레이드되기 전인 2년간 성적은 안 좋았다. 성적으로만 봐서는 이강철이나 홍현우(LG)와 비교했을때에는 나쁘지 않은 성적이으나 현대에서 팀 우승하고 골든글러브도 땄기 때문에 삼성 입장에서는 먹튀다.

  • 김승관: 1995년 입단. 고교 시절 '좌승엽 우승관'으로 불리며 이승엽과 어깨를 나란히 하던 라이벌이었다. 그런데 이승엽이 타자로 전향하면서…. 거기다 이승엽의 타자 전향을 고려하던 코칭스태프에게 이 선수가 '승엽이는 방망이도 잘 쳐요'라고 한 게 이승엽이 타자 전향을 한 이유 중 하나.[10] 삼성에 오래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2군에만 머무르는 바람에 이 선수에게 따라다니던 딱지는 2군 홈런왕. 그야말로 자기 무덤을 자기가 판 비운의 천재.[11] 결국 롯데로 트레이드되었고 거기서 또 2군 홈런왕 타이틀만 먹고 2007년 은퇴했다.

  • 김영진: 1995년 입단. 암흑기 시절 주전 포수였으며, 주전 포수임에도 타율이 2할도 못 칠 정도로 삼팬들의 골치를 썩였다. 무엇보다 그가 야구팬들의 기억에 남은 건 1997년 스트라이크아웃 낫아웃 규정이 어떻게 적용되는가와 야구퀴즈에 흔히 나오던 선수가 플레이 중이던 볼을 관중석으로 던지면 어떻게 되는지 야구팬들의 이해 증진을 위하여 몸소 시범을 보인 선수였기 때문. 결국 삼성에서는 여러팀에서 방출된 포수나 유망주 포수를 사오고 마침내 FA로 포수를 지른 결과 김영진은 주전 자리를 뺏기고 2001년 한화로 트레이드된 후 그해 은퇴. 하필이면 낫아웃 사건 당시 상대팀 감독이 김성근이였던 게 이 선수의 불행이었다. 뭐...타격도 답이 없었으니 언젠가는 빠졌어야 했다.

  • 김주찬: 2000년 입단. 입단 당시만 해도 당해 최고의 고졸 유격수로 평가받으며 주목을 이끌었다. 그러나 입단 1년만에 마해영과 트레이드되어 롯데로 이적. 현재 삼성 선수로서의 이미지는 전혀 남아있지 않다. 또한 삼성에 있을 적에 수비를 하다가 송구가 1루측 담장을 넘겨버리는 일이 있었는데, 이 사건은 김주찬 본인에게도 큰 트라우마로 남아 이후 외야수로 전향하게 되었다

  • 김준희: 2011년 신인으로, 시즌 전 음주 운전 사건으로 인해 데뷔하지도 못하고 방출됐다.

  • 김현수: 2002년 입단. 장타력을 가진 거포가 될 타자로 기대를 모았으나, 프로 입단 후에는 강견인 장점을 살려 투수로 전향했다. 투수로도 기대주였으나, 병역비리에 연루되어 이후 방출되었다. 이후 2010년에 두산 신고선수로 입단하지만 1년만에 방출되었다. 여담으로 현재 엘지 트윈스 소속 김현수와 동명이인으로, 둘다 신일고 출신.

  • 김현중: 2005년 입단. 고교 시절 공격형 포수로 유명했으며 삼성에 2차 2라운드에 지명되었을 정도. 하지만 입단 후에 "내 실력이 2군 백업포수보다 못하다."며 갑작스레 투수 전향을 해, 팀 선수 둘 다 망했다. 그러나 2012년 신고선수로 재입단했다. 하지만 별다른 활약 없이 2013년 방출되면서 흑역사에서 탈출하는데 실패했다.

  • 라이언 가코: 2011년 영입한 외국인선수. 제이콥 크루즈 이후 3년만에 영입한 외국인 타자인데다 스프링캠프 때 류중일 감독의 "나는 믿을거야. 가코 믿을거야.", 이른바 나믿가믿 발언으로 유명해졌다.[12] 하지만 58경기 동안 홈런 1개[13]만을 기록하고 아름다운 2군행. 결국 2군에서 훈련 중 손가락 부상을 당하며 결국 퇴출되었다.

  • 루넬비스 에르난데스: 2009년 선발로 영입한 외국인선수로, 실력은 그다지였으나 친화력과 특유의 개그로 주목받았다. 발목 부상으로 퇴출 된 후 약물 복용이 밝혀져 논란이 되었었다.

  • 문남열: 1997년 입단. 연습생 출신으로 별다른 활약이 없었는데, 2002년 등번호를 14번으로 바꾸었다. 문남열은 우완투수였지만 정작 1군 성적은 밋밋했고[14] 그가 바꾼 번호인 14번이 한때 성준이 달았다는 이유 때문에 성준과 비교되면서 악평만 받았다.[15] 더 큰 문제는 선수본인 존재자체도 이미 묻혀버렸다(!)... 또한 이 선수는 등번호 건을 제외하고는 존재감이 거의 없었던데다가 현대 유니콘스에서 2군 생활 끝에 방출되었다. 등번호 잘못 달아 까이게 된 불운한 케이스다.

  • 발비노 갈베스: 2001년에 15경기에 등판해 10승 4패 2.51이라는 호성적을 거두었다. 그러나 시즌 중에 모친의 병간호를 해야한다며 도미니카 공화국으로 출국해버렸는데 7번씩이나 입국거부를 하며 물의를 빚었다. 게다가 부상까지 찾아와서 2001년 한국시리즈에서 신나게 불을 질렀다. 결국은 나이도 있고 큰 경기에서 삽질을 한 덕분에 재계약 실패.

  • 백상원: 나바로가 지바 롯데 마린스로 이적하고 조동찬, 김태완 등의 2루수 자원들이 부상을 입은 2016년부터 자주 2루수로 선발 충장했으나, 기회가 올 때마다 공격, 수비에서 실망스러운 모습만 보였고, 팬서비스와 인성에서도 좋지 못한 모습을 보여줬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FA 우규민의 보상선수로 유망주 최재원이 뺏기는 와중에도 꿋꿋이 살아남아 오히려 빈축만 샀지만, 결국 강한울과 김성훈에게 밀려 점차 1군 출전 시간이 줄어들었고, 2018년 시즌 종료 후 방출되었다.

  • 신동수: 2020년에 입단했지만 시즌 내내 2할의 타율도 넘지 못하면서 2군에서 머물고 있었으나, 이후 생긴 논란으로 인해 1년도 안되서 방출되었다.

  • 아놀드 레온: 카리대를 잇는 의료관광객. 그래도 카리대는 몸값이라도 쌌다.[16]

  • 아롬 발디리스: 아놀드 레온 때문에 묻혔지만 이쪽도 만만찮은 유리몸. 그나마 인성이 좋다는 이유로 비난받지는 않았지만, 시즌 후 한국행을 후회한다며 삼성을 디스하는 인터뷰를 했다.

  • 안성필: 2010년에 입단한 외야수. 시즌 중 술집에서 만난 여자의 지갑을 훔치려다 불구속 입건됐다. 사실이 확인된 다음날 바로 방출. 다만 2014 시즌에 재영입한 것이 확인되었으나 2군 경기에 1경기도 출장하지 못하고 다시 방출됐다.

  • 안지만: 리그 최강의 셋업맨이었고, 통산 홀드 1위(171개) , 그러나 인성은 실력에 비례하지 못했던 투수. 2015년 도박 사건에 연루되었고 이후 스포츠 도박토사장짓까지 한 게 알려져 결국 계약 해지 처리로 반강제로 은퇴. 도박꾼, 먹튀XX로 까인다.

  • 앤서니 레나도: 카리대-레온을 잇는 의료관광객. 심지어 카리대, 레온보다 몸값도 더 비쌌다.

  • 에스마일린 카리대: 2013년에 영입했던 KBO 사상 최악의 외국인 선수였던 인물이자 외국인 사기꾼. 톰 션의 실력과 발비노 갈베스의 인성을 동시에 갖춘 선수. 일부러 부상을 숨기고 스스로 한국에 찾아와서 계약을 하고 바로 오자마자 드러누워 삼성의 우월한 재활 시스템을 누리는 악질 중의 초 악질이었다. 이러한 행태에 그때까지 크게 화내는 모습을 보여 주지 않았던 류중일 감독이 3년 만에 대노하였다는 기사를 싣게 만든 원흉.

  • 오봉옥: 1995년에 커리어하이를 찍었으나 시즌 끝나고 음주운전을 했고 사상사고를 내는 바람에 성적이 좋았어도 방출되었다. 결과만 보면 술만 아니었어도 삼성에서 에이스가 되었을지도 모르는 일이었다.

  • 이강철: 김동수와 마찬가지로 FA로 영입, 김동수는 포수 부재로 인한 영입이었지만 이강철은 박충식의 빈자리를 받쳐주지 못했다. 게다가 선수로서는 끝났다고 판단, 고향팀에 보내줬으나 부활해 몇 년 더 선수생활을 이어가는 바람에 삼성으로서는 FA 먹튀다.

  • 이명호: 2000년 입단. 한때 제2의 이승엽으로 기대를 모았으나 김태균과 함께 롯데로 트레이드되었는데 백인천의 갑작스러운 좌완 사이드 희귀로 인한 점을 감안! 투수 전향으로 말미암아 희생양이 되어 버린 선수. 다만 이 선수가 불성실했다는 카더라도 있지만 어쨌든 백골퍼가 삽질한 것은 맞다.

  • 이승우: FA 정현욱의 보상선수로 지명했으나, 어깨 부상으로 인한 재활로 3년 동안 실전 경기에 전혀 등판하지 못한 채 2015년 방출됐다.

  • 이정호: 2001년 1차지명자. 삼성 구단 역사상 최고액 신인 계약금인 5억을 받고 입단, 당시에도 프로야구 사상 최고액 신인 계약금이었다.[17] 그러나 이런저런 부상으로 기대에 미치지 못하며 프로 10년차를 맞는 2010 시즌까지 통산 1승. 결국 2005년 심정수, 박진만을 FA로 데려올 때 보상선수로 현대 유니콘스로 넘어갔다. 생각해보면 더 불쌍한 선수. 결국 2010 시즌을 끝으로 넥센에서 임의탈퇴로 공시. 해외 진출을 모색한다고 했다가 무산되었는지, 모교 상원고에서 코치를 하고 있었고 고양 원더스에서 프런트로 근무하다가 김성근 감독을 따라서 한화 이글스에 육성,재활군 투수코치로 부임했다.

  • 임창용: 선수로서는 역대 최고의 사이드암 투수라는 말로 수식이 가능하나, 2003 시즌 전의 간통논란과 2015년 도박사건 연루 등 사생활 문제는 최악인 선수였다. 어찌보면 투수버전 김동주라고도 볼 수 있는 인물이다.[18] 그밖에 2001 시즌 전 연봉 협상 잡음에 이은 조기 귀국,[19] 2004년 말 FA 자격을 얻은 뒤 삼성과의 협상을 거부하고 해외 진출에 도전하겠다고 선언했으나 실패하고 국내에 돌아와 어찌어찌 연봉 재계약을 맺었으나 계악을 맺은 뒤 하루만에 부모님까지 대동하여마마보이 계약을 파기해주거나 트레이드를 요구하여 임의탈퇴 직전까지 가는 등 당시 프런트와의 갈등도 심했었다. 이후 일본 진출 후에도 삼성을 디스하며 "은퇴는 KIA에서 하고 싶다"고 했고,하지만 선동열이 KIA 감독으로 가자 삼성에 가도 상관없다고 한건 덤 그냥 선동열이 싫었던 듯 2014년 해외 생활을 끝내고 삼성에 복귀하며 앙금이 풀어진듯 싶었으나 이번에는 도박 사건을 일으켜참 가지가지 한다 방출되었고, 2016년 KIA에 입단하면서 삼성 팬들에게 대한 사과는 커녕 삼성에 있을 때에도 KIA에 갈 생각을 했었다는 인터뷰를 하면서 삼성 팬들의 뒤통수를 친 건 덤.[20]



  • 정형식: 배영섭에게 밀려 주로 백업 외야수로 활약했지만, 어느정도 포텐이 있었고, 배영섭의 군입대 후 자연스럽게 주전 중견수 자리를 차지했으나, 주전 중견수로 자리잡은 첫 시즌 첫 경기부터 에러와 빈타로 엄청난 임팩트를 남기더니 결국 음주운전으로 임의탈퇴당하고 말았다. 그가 임의탈퇴당하고 비게 된 주전 중견수 자리는 박해민이 말끔히 메꾸었다.

  • 최경철: 백업 포수감으로 영입했으나 시즌 초반에 도핑 적발됐다. 그럼에도 출장정지가 풀릴 때까지 기다려줬을 뿐더러, 시즌 후반 복귀했을 때 이지영이 석연찮은 이유로 2군으로 강등되면서 양아들 논란까지 나왔다.

  • 최동원: 선수협 파동으로 인해 역시 선수협 파동에 연루된 김시진이 포함된 5대6 트레이드로 삼성에 왔지만 삼성에서 2년간 7승 7패의 성적을 남겼다. 자세한 건 해당 항목 참조

  • 최창양: 1996년 입단. 중앙대를 중퇴하고 필라델피아 필리스에 입단했다가 이적료를 지불하고 트레이드해오는 방식으로 1년만에 국내에 복귀해 삼성에 입단했다.[21] 이 선수의 경우 백인천 감독으로부터 훈련에 불성실한 태도로 인해 저주(?)받은 케이스. 백인천 감독이 그의 행동거지를 보고 1년에 6승 이상 못한다고 해서 했는데. 정말로 1년에 6승 이상을 못했다. 이후 부상과 불성실한 모습 등으로 인해 제 모습을 보이지 못하고 2001년 시즌 종료 후 방출.

  • 톰 션: 2008년에 영입했던, 카리대 영입 이전까지 KBO 사상 최악의 외국인 선수.[22]

  • 트로이 오리어리: 2004년 영입했던 외국인선수. 메이저리그에서 3할을 치고 30홈런 언저리를 치는둥 해서 상당한 주목을 받았는데 시즌 초부터 적응 실패 등으로 인해 돌연 귀국을 선언하고 미국으로 가버리는 등 말썽을 일으켰고, 이후 어찌어찌 돌아왔으나 2할 초반대의 타율과 10개 정도의 홈런을 치는 등 공갈포의 모습만 보여주다가 시즌 중 웨이버 공시되었다.


[1] 독일 세미프로 팀 부흐빈더 레지언나레에서 뛰었다.[2] 경찰 복무 중 방출[3] 삼성에서 방출 후 경찰 야구단 입대.[4] 문서를 보면 알겠지만 플레잉코치로 선수명단에 이름만 올렸었다. 그래도 경기출장 기록은 있다.[5] 전 한일은행 감독, 플레잉코치로서 이름을 올렸었다. 그래도 경기 출장 기록은 있다.[6] 2015년에 한화에 육성선수로 입단했으나 실제 KBO에는 육성선수로 등록되지 않았다.[7] 당시 일본 국적을 유지하고 있었던 한국 영주권자였기에 입영 대상자가 아니었지만 아버지의 권유로 입대했다고 한다.[8] 1999년까지는 고졸우선지명이 있었기 때문에 굳이 1차 지명에서 고졸 선수들을 지명할 필요가 없었다.[9] LG 시절 포함[10] 이 말 이후 두 선수의 행보는 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11] 다만 어떤 코치에 의하면 김승관은 특유의 뻗어나오는 거친 스윙으로 인해 프로에서 성공하지 못할 건이라는 평가를 받기도 했다.[12] 다만 영입은 선동열 전 감독때 이루어진 것이다.[13] 뿐만 아니라 김상수보다도 장타율이 낮았다.(...)[14] 문남열은 그 이전에는 1999시즌에는 고작 3승만 거두기도 했다.[15] 1999년에 우완 노장진도 14번을 달았었지만 이쪽은 10승을 거두긴 했다.[16] 카리대는 계약금 없이 연봉 12만 달러였고, 이쪽은 계약금 5만 달러와 연봉 45만 달러로 총액 50만 달러. 이와는 별개로 원 소속팀에 이적료까지 지급했다.[17] 그 후 이 타이틀은 차례차례로 김진우(1983), 한기주가 가져간다.[18] 둘 다 프랜차이즈 스타이면서 동시에 흑역사이며 둘 다 간통을 했었다.[19] 이 당시 연봉 대우를 같은 팀의 이승엽급으로 해달라고 했다가 오히려 삼성 구단에서 삭감을 하겠다고 했다고 한다. 이후 이것과 시드니올림픽 당시 도박설 등으로 인해 이승엽과 임창용의 사이가 좋지 않다는 소문이 퍼졌다.[20] 사실 일본 진출 이전부터 FA가 되면 고향팀 타이거즈로 가고 싶다, 일본에서 뛰던 시절에도 무조건 은퇴는 KIA에서 할 거라고 여러 차례 강조한 바 있다.그리고 방출[21] 여담으로 애초에 최창양이 미국에 진출할 정도의 선수가 아니었는데다 1년만에 국내로 돌아와, 삼성에서 미국 진출부터 국내 복귀까지 관여한 것이 아니냐하는 의심을 샀고, 결국 해외진출선수가 국내에 복귀할 경우 지명을 받아야한다고 규정이 바뀌었다.[22] 하지만 이 타이틀은 이제 한화의 브라이언 배스가 가져갈 듯 싶다. 하지만 배스는 톰 션의 커리어(...)를 결국 넘지 못했다. 보여주기도 전에 방출돼버렸으니까. 그러나 이 타이틀은 같은 팀의 에스마일린 카리대가 가져가게 되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2 20:24:38에 나무위키 삼성 라이온즈/역대 선수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