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얀마 내셔널 항공

덤프버전 : (♥ 0)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이름이 비슷한 미얀마의 항공사에 대한 내용은 미얀마 국제항공 문서
미얀마 국제항공번 문단을
미얀마 국제항공#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아시아의 플래그 캐리어
[ 펼치기 · 접기 ]

대한민국ta-hash-start=w-33807fbc68d335db8080d3c10cb78822[[파일:북한 국기.svg 북한ta-hash-start=w-c73568630a7d05a2da9940e239c63242[[파일:일본 국기.svg 일본ta-hash-start=w-dc4dd9fce08f6ff13213329f6aa4293e[[파일:몽골 국기.svg 몽골
파일:고려항공 로고.svg
ta-hash-start=w-f6065e827c76fbf636ac45ade12edf7f[[파일:중국 국기.svg 중국ta-hash-start=w-d58213de435538a2e3f461f3f9e44848[[파일:대만 국기.svg 대만ta-hash-start=w-b05851605ad0a7613af514cd321a63e3[[파일:홍콩 특별행정구기.svg 홍콩ta-hash-start=w-0c86d0c9835a08db576da01099a6c708[[파일:마카오 특별행정구기.svg 마카오
파일:캐세이퍼시픽항공 로고_좌우.svg
파일:에어마카오 로고.svg
ta-hash-start=w-225b13b17df5a65427070216ac0a2b10[[파일:필리핀 국기.svg 필리핀ta-hash-start=w-eeaebbffb5d29ff62799637fc51adb7b[[파일:베트남 국기.svg 베트남 싱가포르ta-hash-start=w-596a6f96de16fde7c6ffe2460e66db5a[[파일:태국 국기.svg 태국
파일:베트남항공 로고.svg
파일:싱가포르항공 로고.svg
파일:타이항공 로고.svg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캄보디아 브루나이
파일:캄보디아 앙코르 항공 로고.svg
파일:로열 브루나이 항공 로고.svg
카자흐스탄ta-hash-start=w-3d57962739fd6ce041a88150f92290b8[[파일:인도 국기.svg 인도ta-hash-start=w-4152564eebac20d2c612ad0e5fcd99f1[[파일:미얀마 국기.svg 미얀마ta-hash-start=w-717fb24cc33821afb4bcd529696cdfce[[파일:네팔 국기.svg 네팔
파일:에어 아스타나 로고.svg
파일:에어 인디아 로고.svg
파일:미얀마 내셔널 항공 로고.svg
파일:네팔항공_2023로고.png
방글라데시ta-hash-start=w-0d4efaa2c9d1041eb9b8b5319eec8531[[파일:부탄 국기.svg 부탄 스리랑카 우즈베키스탄
파일:비만 방글라데시 항공 로고.svg
파일:드루크 항공 로고.svg
파일:스리랑카 항공 로고.svg
파일:우즈베키스탄항공 로고.svg
파키스탄ta-hash-start=w-0628d73fb13edb198b3e66f530750b16[[파일:레바논 국기.svg 레바논 사우디아라비아ta-hash-start=w-91e1dd5f3d0336288082f26734c6de08[[파일:예멘 국기.svg 예멘
파일:파키스탄 국제항공 로고.svg
파일:중동항공 로고.svg
파일:예메니아 항공 로고 영문.svg
ta-hash-start=w-c68be333fff4fa046483afc41678962e[[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아랍에미리트ta-hash-start=w-aa0c37a125affcfa31924fc59dfc8fc2[[파일:오만 국기.svg 오만ta-hash-start=w-b939c12448b26427bf0db4aaacd97e4a[[파일:요르단 국기.svg 요르단
파일:Etihad Airways 로고.svg
파일:Emirates 로고 가로형.svg
파일:오만 항공 로고.svg
파일:로얄 요르단 항공 로고.svg
ta-hash-start=w-ef47f964f26ee487d5bdb8ed96d5984f[[파일:이란 국기.svg 이란 이스라엘ta-hash-start=w-f4a6ed9b2695f62c1b2763fa0d56527d[[파일:카타르 국기.svg 카타르 쿠웨이트
파일:엘알 이스라엘 항공 로고.svg
파일:쿠웨이트 항공 로고.svg
아프가니스탄ta-hash-start=w-3b3f5e968aec2e8470ffbcbb61ae3512[[파일:바레인 국기.svg 바레인 투르크메니스탄ta-hash-start=w-f8be31bc77d15cd61c654fc61a9cc402[[파일:이라크 국기.svg 이라크
파일:아리아나 아프간 항공 로고.svg
파일:걸프에어 로고.svg
파일:투르크메니스탄 항공 로고.png
파일:이라크 항공 로고.svg
ta-hash-start=w-5ab17681fcdbd3a59507aa62e5ed5a2d[[파일:시리아 국기.svg 시리아ta-hash-start=w-661b1e76b95cc50a7a11a85619a67d95[[파일:몰디브 국기.svg 몰디브
파일:시리아 항공 로고.svg
파일:몰디비안 로고.svg




미얀마 내셔널 항공
မြန်မာအမျိုးသားလေကြောင်း
Myanmar National Airlines
파일:미얀마 내셔널 항공 로고.svg
부호콜사인 (UNIONAIR)
IATA (UB) ICAO (UBA) BCC (-)
항공권 식별 번호665
설립 연도1948년
허브 공항양곤 국제공항
보유 항공기 수10
취항지 수56[1]
마일리지MNA Club
링크파일:미얀마 내셔널 항공 로고.svg


1. 개요
2. 역사
3. 노선
4. 보유 기종
5. 사건사고
6. 기타


1. 개요[편집]


미얀마플래그 캐리어이며, 미얀마 교통부가 운영하는 국영 기업이다.

미얀마 내셔널 항공(Myanmar National Airlines)과 미얀마 국제항공(Myanmar Airways International)은 사명이 비슷하나 다른 항공사이다.


2. 역사[편집]


1948년도에 버마 연방 항공으로 정부에 의해 설립되었다. 1950년부터 6대의 드 해빌랜드 도브로 캘커타, 방콕, 치타공에 취항했으며 이후 카트만두, 홍콩, 페낭, 싱가포르에 취행했으며 1969년 첫 제트기로 보잉 727을 도입했다. 1989년 버마가 미얀마로 국명을 바꾸며 미얀마 항공으로 사명을 변경했다. 1993년, 경쟁사 미얀마 국제항공의 성장으로 모든 국제선을 철수했다. 2015년에야 보잉 737-800을 도입하며 싱가포르로 가는 노선을 시작으로 국제선 운항을 재개했으며 현재는 인도, 태국, 싱가포르, 중국, 한국 등에 취항하고있다.


3. 노선[편집]


국제선
국가취항지
캄보디아프놈펜
중국베이징(서우두) · 청두
홍콩홍콩
인도델리[2]
인도네시아자카르타
일본도쿄(나리타)
말레이시아쿠알라룸푸르
싱가포르싱가포르(창이)
대한민국서울(인천) · 부산[3]
대만타이베이(타오위안)
태국방콕(수완나품) · 치앙마이 · 푸켓
국내선
앤 · 바간 · 바모 · 복평 · 다웨이 · 헤호 · 호마린 · 칼라이 · 카우통 · 켕퉁 · 캄티 · 캬욱퓨 · 라시오 · 로이코 · 마궤 · 마나웅 · 만달레이 · 모울메인 · 밍삿 · 모웅유아 · 메르귀 · 미치나 · 네피도 · 푸타오 · 시트웨 · 타칠릭 · 탄드웨 · 양곤[4]

미얀마 온 동네를 다 돌고다닌다고 생각해도 될 정도이다. 국내선의 경우 무려 42개 공항에 취항중이다. 그러나 국제선의 경우 태국, 중국, 인도, 싱가포르, 홍콩등 총 14개밖에 되지 않는다.

최근에는 아시아 국제선 노선 개척에 힘쓰고 있다. 2019년 12월 4일부터 인천과 양곤 주 4회 왕복 노선을 운영 중이다.

2021년 미얀마 민주화 운동으로 인해 2020년 3월 말부터 국제선 운항 중지를 당했으며 2022년 4월 초, 다시 운항을 재개할 예정이다.##


4. 보유 기종[편집]


기종수량주문
ATR 72-60080
보잉 737-80020


5. 사건사고[편집]


사고일자등록기호기종사망자/탑승자
55.09.02.XY-ACQC-479/9
56.08.08.XY-ADCC-4711/22
63.06.10.XY-ACSC-4720/20
69.05.23.XY-ACRC-476/6
72.08.16.XY-ACMC-4728/31
77.09.08.XY-AEHDHC-625/25
78.03.25.XY-ADKF-2748/48
78.08.26.XY-AEIDHC-614/14
78.10.03.XY-ADYF-272/44
82.08.12.XY-AEBDHC-68/8
83.10.08.XY-AEEDHC-69/14
85.10.12.XY-ADSF-274/4
87.06.21.XY-ADPF-2745/45
87.10.11.XY-AELF-2749/49
88.06.16.XY-ADQF-274/4
89.02.03.XY-AEKF-2726/29
96.07.24.XY-AETF-278/49
98.01.27.XY-AESF-2716/45
98.08.24.XY-AENF-2736/36
99.07.02.XY-AEOF-278/8
19.05.12.XY-AGQE1900/89

6. 기타[편집]


이 항공사의 이름은 여러번 바뀌었는데 변천사를 보자면

  • 1948년 버마 연방 항공(Union of Burma Airways)
  • 1972년 버마 항공(Burma Airways)
  • 1989년 미얀마 에어웨이즈(Myanma Airways)
  • 2003년 에어 미얀마로 변경하려 했으나 투자자의 투자철회로 불발
  • 2014년 미얀마 내셔널 항공 (Myanmar National Airlines)

이처럼 항공사의 이름이 약 15년마다 바뀌었다.

주의할 점으로는 북한이탈주민은 무슨 일이 있어도 절대로 이 회사를 이용하면 안 된다. 자세한 사유에 대해서는 해당 문서의 이 문단을 필독할 것.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9 02:34:18에 나무위키 미얀마 내셔널 항공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이 중에서 국제선은 14개이다.[2] 계절편[3] 홈페이지엔 나와있다.[4] 허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