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즈베키스탄항공

덤프버전 : (♥ 0)

아시아의 플래그 캐리어
[ 펼치기 · 접기 ]

대한민국ta-hash-start=w-e86ebab434ff5a7172440f41518a7455[[파일:북한 국기.svg 북한ta-hash-start=w-001c10d28e514c413b461eae83abdb4b[[파일:일본 국기.svg 일본ta-hash-start=w-1bfa89993558c5e961a9884ab779af5b[[파일:몽골 국기.svg 몽골
파일:고려항공 로고.svg
ta-hash-start=w-8513d71f50e57e470cd1b333f514cc3d[[파일:중국 국기.svg 중국ta-hash-start=w-07b71b1f42d94941d25656f9887ec6f1[[파일:대만 국기.svg 대만ta-hash-start=w-7078971350bcefbc6ec2779c9b84a9bd[[파일:홍콩 특별행정구기.svg 홍콩ta-hash-start=w-70dc85deeed7896d1cd2b10ed44cb7c7[[파일:마카오 특별행정구기.svg 마카오
파일:캐세이퍼시픽항공 로고_좌우.svg
파일:에어마카오 로고.svg
ta-hash-start=w-8974d1c2ab745628987814c8ef2b0128[[파일:필리핀 국기.svg 필리핀ta-hash-start=w-c54db6e3a068c60de278f6c4b4c0cfd5[[파일:베트남 국기.svg 베트남 싱가포르ta-hash-start=w-4f315989358cc0f3f7869f569887743d[[파일:태국 국기.svg 태국
파일:베트남항공 로고.svg
파일:싱가포르항공 로고.svg
파일:타이항공 로고.svg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캄보디아 브루나이
파일:캄보디아 앙코르 항공 로고.svg
파일:로열 브루나이 항공 로고.svg
카자흐스탄ta-hash-start=w-bb7ec17dfd5fcce3cd424b09a7ebb688[[파일:인도 국기.svg 인도ta-hash-start=w-bb997d580d9b9d97167966b8591917fb[[파일:미얀마 국기.svg 미얀마ta-hash-start=w-4b8ce9b361ad81dd79d2771a7a22a62a[[파일:네팔 국기.svg 네팔
파일:에어 아스타나 로고.svg
파일:에어 인디아 로고.svg
파일:미얀마 내셔널 항공 로고.svg
방글라데시ta-hash-start=w-981ec2327e01401e552164ed7314d4b0[[파일:부탄 국기.svg 부탄 스리랑카 우즈베키스탄
파일:비만 방글라데시 항공 로고.svg
파일:드루크 항공 로고.svg
파일:스리랑카 항공 로고.svg
파일:우즈베키스탄항공 로고.svg
파키스탄ta-hash-start=w-57649c2c46cc3ba8cd9b55467020acee[[파일:레바논 국기.svg 레바논 사우디아라비아ta-hash-start=w-29c08ec2725d8cc323fdd68147a40703[[파일:예멘 국기.svg 예멘
파일:파키스탄 국제항공 로고.svg
파일:중동항공 로고.svg
파일:예메니아 항공 로고 영문.svg
ta-hash-start=w-802a4e7826fc7c9de160e911165f335e[[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아랍에미리트ta-hash-start=w-3622ae2784f3dbad4404241cf1a42a0a[[파일:오만 국기.svg 오만ta-hash-start=w-5a354ccc53683d0dbbd059863604f47f[[파일:요르단 국기.svg 요르단
파일:Etihad Airways 로고.svg
파일:Emirates 로고 가로형.svg
파일:오만 항공 로고.svg
파일:로얄 요르단 항공 로고.svg
ta-hash-start=w-34db259d64a760d86fb244d33e543b0e[[파일:이란 국기.svg 이란 이스라엘ta-hash-start=w-287915711d06ce6d90e2c18e1d89d3a6[[파일:카타르 국기.svg 카타르 쿠웨이트
파일:엘알 이스라엘 항공 로고.svg
파일:쿠웨이트 항공 로고.svg
아프가니스탄ta-hash-start=w-2548e0a7d08ca169af9729e03206e6a1[[파일:바레인 국기.svg 바레인 투르크메니스탄ta-hash-start=w-849c7b9fe5dfea5e93665c8bbfba04f0[[파일:이라크 국기.svg 이라크
파일:아리아나 아프간 항공 로고.svg
파일:걸프에어 로고.svg
파일:이라크 항공 로고.svg
ta-hash-start=w-fe07f4f76bbf898fde8a195cf7798103[[파일:시리아 국기.svg 시리아ta-hash-start=w-0ac60fb446a982fcac0ae0e3b4d9532c[[파일:몰디브 국기.svg 몰디브
파일:시리아 항공 로고.svg
파일:몰디비안 로고.svg





우즈베키스탄항공
Oʻzbekiston havo yoʻllari
OJSC National Air Company Uzbekistan Airways
Ўзбекистон Ҳаво Йўллари
파일:우즈베키스탄항공 로고.svg
IATA
HY
ICAO
UZB
BCC[1]
3P
항공사 호출부호
UZBEK
항공권 식별번호250
설립년1992년
허브 공항타슈켄트 국제공항
포커스 시티브누코보 국제공항, 이스탄불 공항
보유 항공기 수35
취항지 수58
항공 동맹미가입
마일리지Uz Air Plus
슬로건 Good Luck
링크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파일:텔레그램 아이콘.svg 파일:LinkedIn 아이콘.svg


1. 개요
2. 역사
3. 서비스
4. 보유 기재
5. 취항지
5.1. 대한민국 노선
6. 사건사고
7. 기타



1. 개요[편집]


소련 붕괴 후 설립된 우즈베키스탄의 항공사.

대한항공과 깊은 파트너십(예를 들어 코드셰어 협약)을 맺고 있으며, 대한항공의 후원 아래 스카이팀에 들어가기 위해 협상 중이다.[2]

2. 역사[편집]


소련 붕괴와 함께 이루어진 우즈베키스탄의 독립 후 1992년에 설립했다. 이후 아에로플로트우즈베키스탄 지점을 흡수하였고, 첫 항공편은 타슈켄트 - 런던이었다. 설립 첫 해에는 아에로플로트 우즈베키스탄 지부 소속이었던 An-24, An-26, Il-62, Il-86, Il-76, Tu-154, Yak-40과 같은 소련제 여객기들밖에 없었으나 1993년 첫 서방제 여객기로 A310을 도입해 방콕과 프랑크푸르트에 취항했다.

1994년 도입된 두번째 A310은 아테네와 맨체스터, 서울행 노선에 투입되었으며 1996년에는 장거리 여객기 보잉 767을 인도받았다. 또한 90년대 후반에는 보잉 757, Il-114를 도입했다.

2016년 8월에는 보잉 787-8을 도입했으며, 2017년 3월 이래 인천 - 타슈켄트 노선에도 절찬리에 투입되고 있다. 가장 좌석수가 많은 기체(UK78703)다.

경영이 악화되면서 외국기업에 맡기는 방안을 고려하고 있다.#

3. 서비스[편집]


승무원들이 영어도 곧잘 하는 편이고 소문과는 다르게 기내식이나 승무원들의 서비스도 양호하고 준수하다.한국인 입맛에 안 맞을 뿐이지 거기에 인천-타슈켄트 구간은 국내 FSC급이 아니더라도 굉장히 만족스럽다.

기내 와이파이도 존재하나, A320neo에 한하여 가능하다.

자체 FFP(우즈에어플러스)도 운영하고 있으나, 5000마일 이상 적립해야 포인트카드가 발급된다. 인천- 타슈켄트 노선만 왕복으로 이용해도 받을 수 있는 수준.

4. 보유 기재[편집]


  • 보잉 787-8: 현 우즈베키스탄 항공의 주력 기재. 한국, 일본, 미국 노선에 고정으로 투입되며 이스탄불이나 자카르타, 쿠알라룸푸르, 두바이, 모스크바행에서 높은 확률로 볼 수 있다.
  • 보잉 767-33PER: 러시아, 중동, 서남아행 국제선에 주로 투입되며 간혹 알마티 등 고수요 단거리 노선이나 국내선에도 투입된다.
  • A320-214: 국내선에 주로 투입되며 대부분의 중단거리 국제선과 지방발 국제선에 투입된다.
  • A320-251N: 주로 유럽행 노선에 투입되며 간혹 국내선이나 단거리 국제선에 투입된다.
  • A321-253NX: 주로 유럽행 노선에 투입되며 간혹 국내선, 단거리 국제선, 지방발 국제선, 일부 러시아행 노선에 투입된다.


5. 취항지[편집]


유럽 곳곳의 대도시들에 취항중이며 유럽 외로는 중앙아시아, 동아시아, 미국과 중동에 취항중이다.
취항지 목록

5.1. 대한민국 노선[편집]


1993년 10월 30일 일류신 Il-62 기종의 전세기(HY3551)로 김포공항처음으로 운항하면서, 1994년부터 전세기를 운행하기 시작했다.

한국 노선은 주 7회 거의 데일리로 운항중이다. 우즈베키스탄 노동자들이 한국을 많이 찾기 때문이다. 매주 목요일에는 운행되지 않으며, 수요일에 2편이 운행된다.

자사기재 직항
타슈켄트(TAS)서울(ICN)/T1타슈켄트(TAS)서울(ICN)/T1(HY511)서울(ICN)/T1타슈켄트(TAS)(HY512)기종
22:15(UZT) 출발/08:25(KST) 도착
매주 월,목,일
10:10(KST) 출발/13:10(UZT) 도착
매주 화,수,금
B787-8
타슈켄트(TAS)서울(ICN)/T1(HY511)서울(ICN)/T1타슈켄트(TAS)(HY512)기종
19:40(UZT) 출발/06:45(KST) 도착
매주 화
09:50(KST) 출발/13:00(UZT) 도착
매주 월
B787-8
타슈켄트(TAS)서울(ICN)/T1(HY513)서울(ICN)/T1타슈켄트(TAS)(HY514)기종
09:30(UZT) 출발/19:40(KST) 도착
매주 수
22:50(KST) 출발/02:00(UZT) 도착
매주 수
B787-8
타슈켄트(TAS)서울(ICN)/T1(HY513)서울(ICN)/T1타슈켄트(TAS)(HY514)기종
10:40(UZT) 출발/20:50(KST) 도착
매주 토,일
23:15(KST) 출발/02:25(UZT) 도착
매주 토,일
B787-8
대한항공 코드셰어 운항
타슈켄트(TAS)서울(ICN)/T2타슈켄트(TAS)서울(ICN)/T2(KE942[실제운항편명] /HY7513)서울(ICN)/T2타슈켄트(TAS)(KE941[실제운항편명] /HY7514)기종
21:20(UZT) 출발/07:40(KST) 도착
매주 일,화,금
15:30(KST) 출발/19:20(UZT) 도착
매주 일,화,금
A330-223

적고 나니 매우 복잡하다 심지어 동일 편명인데 대한민국내 항공사와 달리 출발, 도착시간이 각기 다르다!

인천 - 타슈켄트 항공편을 운항 중이다. 타슈켄트 국제공항을 허브로 인천 - 타슈켄트 - 유럽 간 환승 장사를 하고 있다. 대부분 유럽 노선이 인천 노선과 연동되어 있으며 사실상 인천을 Focus City로 삼고 있다. 참고로 우즈베키스탄항공의 서울 - 타슈켄트 노선은 창립 이듬해인 1993년 10월 9일에 김포국제공항 시절에 첫 취항하였으며, 2001년 3월 인천국제공항 개항 하루 전에 김포국제공항 국제선 노선의 마지막 출발 편이 바로 이 항공사의 항공편이었다.

한국행 노선은 대략 타슈켄트발 주 7회 운항. 러시아[3]- 튀르키예 노선[4] 다음으로 많이 운항되는 편이다. 전량 B787-8 투입.

다만 주의할 점으로는 북한이탈주민은 무슨 일이 있어도 절대로 이 회사를 이용하면 안 된다. 자세한 사유에 대해서는 해당 문서의 이 문단을 필독할 것.


6. 사건사고[편집]


  • 1993년 1월 9일, 840편 Tu-154가 뉴델리에 착륙도중 활주로를 벗어나며 공항 설비와 충돌해 공중으로 떠올랐고 곧이어 뒤집힌채 추락했다. 탑승했던 152명 전원이 생존했으나 비행기는 화재가 발생해 전소했다.
  • 1995년 6월 17일, An-2가 추락했다.
  • 1999년 8월 26일, Yak-40이 복행도중 전선과 닿아 추락했다. 탑승했던 33명 중 2명이 사망했다.
  • 2003년 4월 9일, Yak-40이 이륙도중 1번엔진이 정지하자 이륙을 중단했다. 하지만 비행기는 활주로 내에서 멈추지 못했고 결국 활주로를 이탈해 랜딩기어가 부러졌다.
  • 2004년 1월 13일, Yak-40 1154편이 활주로에 너무 늦게 접지하는 바람에 복행을 시도했으나 공항 설비와 부딪치는 바람에 우측 날개가 부러져 뒤집혔다. 탑승했던 37명 전원이 사망했다.
  • 2006년 10월 19일, 군사 훈련중이던 An-2가 악천후 속에서 추락해 탑승했던 15명 전원이 사망했다.
  • 2009년 8월, 이륙중이던 An-24가 랜딩기어를 너무 일찍 접는 바람에 동체 하부가 파손되었다.

7. 기타[편집]


현재는 운용되지 않으나, 예비로 프로펠러 동력을 사용하는 비행기도 있었다. 아무래도 구 소련의 기체를 편입하다 보니 이러한 사태가 발생하는 듯. 실제로 타슈켄트 공항 말고 페르가나 혹은 나망간 공항에 가보면 1960년대를 방불케 하는 소련의 비행기와 운 좋으면 하인드 헬기가 사열된 모습을 볼 수 있다. 국내선을 타면 간단한 빵과 음료를 제공하며 국내선 수하물은 20Kg이 규정이지만, 나라가 나라다 보니 지켜지는 경우는 거의 없다.

우즈베키스탄항공도 과거엔 아에로플로트처럼 자국 형식의 등록번호를[5] 쓰지 않고 VP, VQ로 시작하는 등록번호를 썼는데, 이는 현재까지도 아에로플로트는 물론 에어 아스타나, 타지키스탄 항공 등이 계속 유지하는 것을 고려하면 구 소련 국가들의 하나의 전통(...)인듯하다. 현재는 대부분 퇴역 및 자국 번호로 교체되었다.

코로나 이전까지는 인천-타슈켄트-유럽 방면 항공권을 굉장히 싸게 팔았다. 심지어는 비즈니스석을 160만원대에 팔기도... [6] 다만 인지도가 매우 낮은데다가 당시에는 B787이 아닌 구형 항공기로 운행했었기에 많이 이용을 하지는 않았다. 그나마 항공기 교체 이후에는 나쁘지 않는 퀄리티를 자랑했던듯...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인하 한러 직항이 완전히 끊긴 상태에서 그나마 러시아 서부 지역으로 이동하기 편한 루트중 하나가 이 항공사의 ICN출발 - TAS경유 - 러시아 주요도시행 루트이다. 러시아 서부의 경우 이 외에도 중동 3사 혹은 터키항공 옵션이 있지만, 가격이 매우 사악하다.. 러시아 동부는 하얼빈 타이핑 국제공항, 베이징 다싱 국제공항 경유 루트가 러시아행 항공편 연계성이 좋은 편이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1 04:27:18에 나무위키 우즈베키스탄항공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Boeing Customer Code, 보잉사 고객코드[2] 대한항공은 사마르칸트 북서쪽에 있는 나보이의 나보이 국제공항에 투자해서 화물 허브로 사용 중이다.[실제운항편명] A B [3] 우즈베키스탄 모든 지방공항에서 직항편이 있다[4] 타슈켄트나 사마르칸트 출발. 이스탄불에서 상당수의 미주노선을 코드쉐어로 때우기도 한다[5] UK-XXXXX[6] 생각해보면 타슈켄트는 위도상으로 꽤나 북쪽에 있어서 단순 경로상으로는 두바이아부다비, 도하 등지를 거치는 남회노선보다 더 효율적이다. 결론만 말하자면 최대한 많은 환승경로를 비교해보고 싼 노선으로 타는게 가장 좋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