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팔항공

덤프버전 : (♥ 0)

아시아의 플래그 캐리어
[ 펼치기 · 접기 ]

대한민국ta-hash-start=w-07cb5b5337dc005c70dc51527a70162a[[파일:북한 국기.svg 북한ta-hash-start=w-eb28374f4802e292833308d4ce74b69f[[파일:일본 국기.svg 일본ta-hash-start=w-23dc0af4dd299ca63fb05702bf686e6b[[파일:몽골 국기.svg 몽골
파일:고려항공 로고.svg
ta-hash-start=w-0d0c7e3f1daea214570df1d681f97b1f[[파일:중국 국기.svg 중국ta-hash-start=w-85c8395916ffc2198dd670da1b20d108[[파일:대만 국기.svg 대만ta-hash-start=w-532fe898679b9ab5685207b54541ef29[[파일:홍콩 특별행정구기.svg 홍콩ta-hash-start=w-af3b0930d888e15a07a36b9987b70858[[파일:마카오 특별행정구기.svg 마카오
파일:캐세이퍼시픽항공 로고_좌우.svg
파일:에어마카오 로고.svg
ta-hash-start=w-3aa4cb2017fe681acd92bbea6b9f6015[[파일:필리핀 국기.svg 필리핀ta-hash-start=w-03a3655fff3e9bdea48de9f49e938e32[[파일:베트남 국기.svg 베트남 싱가포르ta-hash-start=w-7c4adcc64d2bf63bb210855dfa8871a5[[파일:태국 국기.svg 태국
파일:베트남항공 로고.svg
파일:싱가포르항공 로고.svg
파일:타이항공 로고.svg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캄보디아 브루나이
파일:캄보디아 앙코르 항공 로고.svg
파일:로열 브루나이 항공 로고.svg
카자흐스탄ta-hash-start=w-8c04d578efdc12dd6e347154a1e08bce[[파일:인도 국기.svg 인도ta-hash-start=w-9c0ad4710eabe8c66118739944b1cdab[[파일:미얀마 국기.svg 미얀마ta-hash-start=w-6440eb85ea1c557edefbae16f894f471[[파일:네팔 국기.svg 네팔
파일:에어 아스타나 로고.svg
파일:에어 인디아 로고.svg
파일:미얀마 내셔널 항공 로고.svg
파일:네팔항공_2023로고.png
방글라데시ta-hash-start=w-7d0576cbd93947fa6a3ffaae450ff8b7[[파일:부탄 국기.svg 부탄 스리랑카 우즈베키스탄
파일:비만 방글라데시 항공 로고.svg
파일:드루크 항공 로고.svg
파일:스리랑카 항공 로고.svg
파일:우즈베키스탄항공 로고.svg
파키스탄ta-hash-start=w-ef5c7ecb02ee6b0a33dba6c4af9c736f[[파일:레바논 국기.svg 레바논 사우디아라비아ta-hash-start=w-3cbe0de07413a9a7be8de28aa57bf46d[[파일:예멘 국기.svg 예멘
파일:파키스탄 국제항공 로고.svg
파일:중동항공 로고.svg
파일:예메니아 항공 로고 영문.svg
ta-hash-start=w-4e267912b589447b36a98ca93aa2448e[[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아랍에미리트ta-hash-start=w-0fb607d88c5ba479b82f26867038767f[[파일:오만 국기.svg 오만ta-hash-start=w-cad7596d55a115a2fd4a72a8b93fe60c[[파일:요르단 국기.svg 요르단
파일:Etihad Airways 로고.svg
파일:Emirates 로고 가로형.svg
파일:오만 항공 로고.svg
파일:로얄 요르단 항공 로고.svg
ta-hash-start=w-5d92c072dfade57b8a6159a56792646f[[파일:이란 국기.svg 이란 이스라엘ta-hash-start=w-2661d3ecfd1458a72d642c635f4972ce[[파일:카타르 국기.svg 카타르 쿠웨이트
파일:엘알 이스라엘 항공 로고.svg
파일:쿠웨이트 항공 로고.svg
아프가니스탄ta-hash-start=w-a25bdadb91ea1f5222cc274c8416909d[[파일:바레인 국기.svg 바레인 투르크메니스탄ta-hash-start=w-aeaeb80c3d5feeb0e2c2c7b0938045c2[[파일:이라크 국기.svg 이라크
파일:아리아나 아프간 항공 로고.svg
파일:걸프에어 로고.svg
파일:투르크메니스탄 항공 로고.png
파일:이라크 항공 로고.svg
ta-hash-start=w-25b07af81d8c74341f00dc139652fdb0[[파일:시리아 국기.svg 시리아ta-hash-start=w-71d9945703c17fafe19f7dd1c706d448[[파일:몰디브 국기.svg 몰디브
파일:시리아 항공 로고.svg
파일:몰디비안 로고.svg




파일:네팔 국기.svg 네팔 항공사
[ 펼치기 · 접기 ]

일반 항공사
Full Service Carrier (FSC)
파일:네팔항공 로고.svg
네팔항공
저비용 항공사
Low-cost Carrier (LCC)
파일:히말라야 항공 로고.png
파일:Yeti_Airlines_Logo.jpg
파일:타라항공 로고.png
히말라야 항공예티항공타라 에어



네팔항공
नेपाल वायुसेवा | Nepal Airlines
파일:네팔항공_2023로고.png
부호항공사 호출 부호 (ROYAL NEPAL)
IATA (RA) ICAO (RNA) BCC (F8)
항공권 식별번호285
설립년도1958년
허브공항트리부반 국제공항
보유항공기수6
취항지수36
항공동맹미가입
링크네팔항공 홈페이지
1. 개요
2. 역사
3. 취항지
4. 보유기종
5. 사건 및 사고




1. 개요[편집]


네팔 항공(Nepal Airlines)은 네팔의 국영 항공사로, 네팔의 수도인 카트만두를 거점으로 운항하고 있다.

여객기 관리 부실, 조종사 경험 미숙 등을 이유로 유럽연합이 지정한 블랙리스트에 올라, 유럽연합 회원국 영공 진입이 금지된 항공사이다.[1] 이 조치는 네팔항공을 비롯한 모든 네팔 항공사들을 대상으로 한다.

2. 역사[편집]


1958년 로얄 네팔 항공으로 설립되었다. 당시 1기의 DC-3로 인접국 인도로의 운항을 시작했다. 1972년 보잉 727이 첫 제트기로 도입되었다. 1987년 인도된 두 대의 보잉 757은 보잉 727을 대체해나가기 시작했다. 전성기였던 80년대 후반에는 5,430만 달러의 외화를 벌어들이며 네팔 최대의 외화 수입원이 되기도 했다.

하지만 90년대, 네팔의 민주화로 왕정제가 입헌군주제로 바뀌며 네팔 최대의 외화 수입원이었던 네팔항공을 향한 정치적 개입이 커지기 시작했다. 90년대 후반 다수의 사기 및 정치적 스캔으로 네팔항공은 큰 적자를 보았고 2000년 라우다 항공에서 보잉 767을 리스하며 벌어진 대규모 정치 스캔으로 문화관광민간항공부 장관이 사퇴하기까지 이르렀다.

2009년 노후화된 보잉 757을 대체해기 위해 두바이 에어쇼에서 A320A330을 도입해 유럽, 호주, 일본, 한국에 취항할 계획을 수립했다. 2014년 네팔항공의 경영진들은 10개년 계획을 발표하며 기단의 최신화와 노선 확대를 위해 시안 MA60과 Y-12를 도입했으며 2009년 주문한 A320과 A330을 인도받았다. 하지만 이미 네팔항공은 2013년부터 EU 취항 금지를 당해 유럽행 비행이 불가했다. 그러나 관련된 정치인들 그 누구도 이를 신경쓰지 않았고 갈곳을 잃은 A330들은 애물단지가 되어 네팔항공의 적자의 원인이 되고있다. 2020년 코로나 19 이후 MA60과 Y-12가 전량 퇴역했다.

3. 취항지[편집]


네팔, 인도, 홍콩, 태국, 말레이시아, 카타르, UAE, 일본, 중국 총 9개국 36개 도시에 취항중이다. (국내선 포함)

취항지 목록

4. 보유기종[편집]


꽤나 역사 깊은 항공사이기 때문에 DC-3도 운항한적이 있다. A310, 보잉 757, 보잉 767도 리스나 직도입해 운항한적도 있다. B757-200의 경우 비교적 최근인 2017년도에 퇴역하였다. 현재는 아래와 같은 기종을 보유하고 있다.

5. 사건 및 사고[편집]


역시 역사가 꽤 길다는걸 증명하듯 사망사고만 10건이다. 그 중 손실한 DHC-6만 무려 11대에 달한다.

  • 네팔항공 555편
2013년 5월 13일 DHC-6 (기체 등록번호 9N-ABO) 1979년 등록된 기체이다. 기령은 사고당시 무려 33년! 네팔 포카라 공항을 출발해 네팔 좀손 공항으로 향하고 있었으며 승무원 3명과 네팔인 10명, 일본인 8명이 탑승하고 있었다. 비행기가 좀손 공항에 착륙을 하였으나 강한 바람으로 인해 오버런해 활주로 앞의 절벽에 추락했다. 이 일로 네팔인 5명과 일본인 2명이 부상을 당했다. 이후에 남아있는 DHC-6을 대대적으로 보수하려고 했으나 그 기간동안 국내선의 점유율 문제로 하지 않았다. 보통 항공 사고가 나면 그 항공편은 결번되는것이 마땅한데 네팔항공 555편은 아직 그대로 똑같은 루트를 운행중이다.
  • 네팔항공 183편
2014년 2월 13일 역시나 이번에도 DHC-6이며(기체등록번호 9N-ABB) 기령은 위의 555편보다 더한 44년이다. 사고기는 도입 2년 후인 1973년도에 한번 하이재킹을 당한 비행기이다. 승무원 3명에 승객은 네팔인 14명, 덴마크인 1명이다. 포카라 공항에서 출발해 줌라 공항으로 가던 중 기상악화로 인해 183편은 근처의 다른 공항으로 회항을 결정한다. 그러나 승무원들의 대처 능력이 부족했고 결국 정글에 추락했다. 사고 지점은 해발 고도가 무려 2100m에 이르는 지역이었으며 이 사고로 인해 탑승객 전원이 사망했다.

로얄 네팔 항공 시절의 사고목록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19 19:07:41에 나무위키 네팔항공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반대로 유럽연합 회원국 소속 항공사들은 네팔 공항들의 특징인 변덕스런 날씨와 부족한 기상 관측 인프라, 험준한 산악 지형, 짧은 가시거리 등 각종 위험 요소를 이유로 네팔 노선을 운항하지 않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