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쇠감투

최근 편집일시 : (♥ 0)









포켓몬 도감 나열 순서
파일:icon1022_f00_s0.png 1022 무쇠암석파일:icon1023_f00_s0.png 1023 무쇠감투파일:icon1024_f00_s0.png 1024 테라파고스
지역 도감 나열 순서
[ 펼치기 · 접기 ]


1. 정보
2. 소개
3. 포획
4. 대전
5. 다른 매체에서의 모습
6. 기타
7. 삽화
8. 국가별 명칭
9. 둘러보기
10. 관련 문서



1. 정보[편집]



파일:1023 무쇠감투.png
무쇠감투

기본 정보
이름도감 번호타입
파일:icon1023_f00_s0.png
무쇠감투
テツノカシラ(테츠노카시라)
Iron Crown
전국: 1023
팔데아: 238블루베리




특성
쿼크차지부스트에너지를 지니고 있거나 일렉트릭필드일 때 가장 높은 능력이 올라간다.

세부 정보
포켓몬분류신장체중포획률
1023 무쇠감투패러독스 포켓몬1.6m156.0kg10

유전 정보
성비알 그룹부화 카운트최대 경험치량
무성미발견-1,250,000

모습
모습파일:1023.png
1023 무쇠감투

방어 상성(특성 미적용)
2배1배0.5배0.25배0배























종족치
포켓몬HP공격방어특수공격특수방어스피드합계
파일:icon1023_f00_s0.png
무쇠감투
907210012210898590

울음소리
파일:icon1023_f00_s0.png
무쇠감투

도감 설명
스크롤 압박이 있습니다. 도감 설명을 넘기고 싶으시면 skip을 눌러주세요.
파일:icon1023_f00_s0.png
1023 무쇠감투
스칼렛코바르온 형태의 최신 병기라며 오컬트 잡지에 소개됐던 정체불명의 물체를 닮았다.
바이올렛빛나는 칼날을 발사하며 주위의 모든 것을 베어 버렸다고 하나 그 밖의 정보는 전무하여 정체불명이다.


2. 소개[편집]


S자 형태로 발광하는 뿔
특징적인 뿔을 통해 빛나는 칼날을 발사하여, 주위의 모든 것을 베어 버린다고 전해 내려오고 있으나,
그 밖의 정보는 밝혀진 것이 없고 정체불명이라 합니다.
무쇠감투가 배우는 기술 「타키온커터」
2회 연속으로 공격하고, 상대에게 반드시 명중하는 강철타입 특수 기술입니다.
뿔을 통해 에너지를 날려서 공격합니다.

포켓몬스터 제로의 비보 공식 사이트의 무쇠감투 소개 페이지에서
포켓몬스터 스칼렛·바이올렛 DLC 제로의 비보에서 처음 등장한 준전설 포켓몬.

다른 시간대에서 현재로 넘어온 포켓몬들인 패러독스 포켓몬의 일원으로, 코바르온과 매우 유사한 모습을 하고 있다.


3. 포획[편집]


바이올렛 버전에서만 등장하며, 테라 레이드배틀로 포획했던 무쇠잎새와는 달리 일반적인 포획으로 얻을 수 있다. 단 포획하기 위해서는 아래의 조건이 선행되어야 한다.

1. 붉은 달 다투곰 포획

2. 블루베리 도감에 200종의 포켓몬을 등록


상기 두 가지 조건을 만족한 뒤 사바나 휴게소에 위치한 세류에게 찾아가면 무쇠암석과 무쇠감투 포획 미션을 주며, 이후 에리어 제로 관측 구역 1의 특정한 위치#에서 심볼 인카운터로 등장한다. 먼저 선공하지 않으며 말을 걸면 배틀이 시작된다.

개체치는 모두 20으로 고정이다.

4. 대전[편집]


타입은 강철/에스퍼로, 황혼의 갈기 네크로즈마 이후 2세대(6년)만에 등장한 조합이다. 강철의 약점 격투를 에스퍼, 에스퍼의 약점 벌레를 강철이 막는다.

전용기는 타키온커터라는 강철 타입 기술로, 2회 연속 공격에 필중하는 기술이다. 따라큐날개치는머리 등 강철 약점의 페어리 타입 포켓몬을 카운터치는 기술이지만, 하필 무쇠감투의 타입이 강철/에스퍼이기 때문에 서로 약점을 찌르게 된다. 또한 이 기술은 특수기이기 때문에, 특방이 높은 날개치는머리가 강철을 반감하는 타입으로 테라스탈하여 버티고 고스트 기술로 무쇠감투를 역으로 보낼 수 있는 리스크도 고려해야 한다.

종족값 분배는 내구에 많이 준 특수 어태커. 특공은 122로 준수한 편이며, 스피드는 98로 우라오스보다 1 빠르다. 내구는 90-100-108로 무보정 기준 각각 48175/51386으로 역시 준수한 편이다.

문제는 말 그대로 준수하기 하다는 것. 어느 하나 특출난 점이 없어서 최악의 경우 마이너 신세를 지게 될 가능성이 있다.[1] 무엇보다 스피드가 98이라 부스트에너지로 스피드를 높이려면 특공 대비 스피드 노력치를 필요 이상으로 많이 줘야 하기 때문에 노력치 분배에서 애매하게 작용된다. 물론 9세대 메타에선 신속을 주력기로 사용하는 망나뇽과 130을 넘는 기본 스피드로 부스트에너지까지 착용하면 레지에레키까지 따라잡는 날개치는머리무쇠보따리가 메타의 중심에 서 있어 스피드 노력치를 주는 메리트가 이전에 비해 많이 퇴색된 편이지만, 부스트에너지를 사용해도 최속 드래펄트, 스카프를 채용한 동속 한카리아스와 위유이를 위에서 때릴 수 없다는 점이 많이 아쉽게 느껴진다. 물론 현 메타에서 매우 강력한 모습을 보이는 우라오스를 딱 1 차이로 추월하기 때문에 스카프 우라오스보다 빠르게 움직일 수 있다는 점, 그 외의 스카프 착용자인 랜드로스(91)보다 빠르며 위유이나 한카리아스도 스카프 착용 시 부족한 딜을 위해 준속을 택하는 경우가 많아서 생각보다 무의미한 스피드 수치는 아니다.

물론 현재까지는 강력한 전용기라도 있어서 원본이 받아온 수준의 찬밥신세는 아니라는 평가가 많은 편. 특히 와이드포스카디나르마보다 빨리 쓸 수 있다는 장점, 러스터캐논보다 더 좋은 타키온커터를 보유하고 있다는 점, 페어리를 반감한다는 점 덕분에 더블 배틀에서는 에써르와의 조합으로 은근히 주목받고 있다.

레귤레이션 F 시작 후, 더블 배틀에서는 카디나르마브리무음 등, 기존의 와이드포스 스팸 요원의 자리를 밀어내고 중위권 정도로 안착했다. 테라스탈 타입은 통계상 전기자석파를 무효화하고 불꽃, 강철 타입 포켓몬들의 약점을 찌르기 위한 땅테라가 가장 많으며, 자속기가 어흥염, 위유이 등에게 전부 반감 이하로 막히기 때문에 물 타입 테라스탈이 그 다음으로 많이 쓰이는 편. 사이코필드 전개파티에서 쓸 경우 와이드포스의 딜을 극한으로 끌어올리는 에스퍼테라가 많이 보인다. 싱글 배틀에서도 사용률은 55위로 낮은 편이지만 14 시즌 일부 유저가 수컷 에써르 + 무쇠감투 + 포푸니크를 채용한 와이드포스 전개 파티로 고득점을 달성하는 등 드문드문 활약을 보여줬고, 이것이 반영된 시즌 15에서는 싱글 배틀에서조차 사용률 25위로 급상승하였다. 여러모로 미래 패러독스 포켓몬들 중에서도 하자가 많은 편인 무쇠머리, 무쇠가시, 무쇠바퀴, 무쇠잎새 같은 하위권 포켓몬들보다 훨씬 준수한 성능을 가졌으며, 오히려 미래 패러독스 포켓몬들 중 사용률 4위를 달성해 현재 준수한 성능을 보이고 있다. 테라스탈을 하지 않는 이상 기본적으로 무쇠감투에게 타점이 없는 세벗들은 안 그래도 없던 입지를 더욱 줄여버렸다.

이 때문에 레귤레이션 F에서는 원종과 패러독스를 포함한 성검사들 중에서 가장 선전하고 있다. 특히 싱글배틀에서는 전개법이 단순하면서도 강력한 구성 덕분에 배틀 초심자들이 쓰기에 적합하다. 전반적으로 출시 전 저평가와 다르게 꽤나 선방하고 있는 편이다.

다만, 초전설룰이 시작되면 무쇠감투보다 기본 체급이 압도적으로 높은 초전설 포켓몬인 흑마 버드렉스와 루나아라 또한 자속으로 와이드포스를 사용할 수 있어 사용률이 많이 밀려날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강철 타입이라 코라이돈의 불꽃 기술에 일방적으로 약점을 찔리기 때문에 준전설 이하의 와이드포스 요원으로는 카디나르마브리무음이 더 쓸만할 것이라는 평가가 많은 상황.

5. 다른 매체에서의 모습[편집]




6. 기타[편집]


  • 무쇠잎새에 이은 두 번째 성검사 패러독스 포켓몬이다.

  • 얼굴의 입 양옆에 나있는 파인 홈이 꼭 간신수염같아 보인다.

  • 무쇠'감투(탕건)'라기에는 감투스러운 점은 보이지는 않는 외모지만, 원본 포켓몬인 코바르온이 성검사의 대장이기 때문에 감투 자체보다는 높은 직책에 오름을 의미하는 관용어 ‘감투를 쓰다’를 기반으로 작명한 듯하다.[2] 일칭은 머리를 뜻하는 カシラ(頭)인데, 頭는 다의어로 대장, 우두머리[3][4]를 뜻하기도 한다. 영문 명칭 역시 높은 지위를 상징하는 crown(왕관)으로 번역되었다.
  • 뿔에 있는 청록색이 보이는 부위는 동시에 같이 나온 날뛰는우레의 보라색 원반 모양 갈기처럼 제 2의 뿔 같은 것으로 3차 예고 영상에서 임팔라처럼 추가로 솟아나는 기능같은 게 있다.
  • 다른 성검사 패러독스 포켓몬들과는 달리 스탠딩 포즈에서 움직임이 전혀 없어서 기계 같은 느낌이 더 강하다.
  • 기절할 때 머리가 360도로 빙글빙글 돌아가며 쓰러진다. 이는 함께 추가된 패러독스 포켓몬인 무쇠암석도 마찬가지. 차이가 있다면 무쇠암석은 종방향으로 돌아가지만, 무쇠감투는 횡방향으로 돌아간다.
  • 각각 비리디온과 테라키온이 변이한 것으로 추측된다는 무쇠잎새와 무쇠암석과는 달리 스칼렛에서의 도감설정 기준으로 코바르온이 변이한게 아니라 모습만 본뜬 것이라는 세계관 내에서의 가설이 있다.

7. 삽화[편집]


포켓몬스터 스칼렛·바이올렛의 도감 이미지
파일:1023 무쇠감투 dex.png
무쇠감투


8. 국가별 명칭[편집]




9. 둘러보기[편집]






10. 관련 문서[편집]





[1] 특히 자속기 기술업 라인이 더 좋은 특수 어태커라는 점을 제외하면 같은 타입인 메타그로스에 비해 사용하기 난감하다는 혹평도 많은 편이다. 이게 단점이 되어 나락으로 떨어진 패러독스 포켓몬이 그 유명한 무쇠머리이다.[2] 사실 원본인 코바르온이 서양 신화 + 가젤을 바탕으로 만들어진데다 만든 곳은 일본이니 한국 관련 요소가 들어갈 리가 없다.[3] 혹은 부두목이라는 뜻의 와카가시라를 줄여서 카시라라고도 부른다. 1인자는 오야지라고 한다.[4] 비슷한 명명법으로는 개굴반장(일본어 명칭 게코가시라)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