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메트로폴리스(영화)

덤프버전 : (♥ 0)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 펼치기 · 접기 ]
파일: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로고.svg
이름메트로폴리스 – 지헤룽스튀크[1] 1번
2001년 복구 및 복원판 네거티브 필름 (한국어)
Metropolis - Sicherungsstück Nr. 1
Negative of the restored and
reconstructed version 2001 (영어)
METROPOLIS -Sicherungsstück Nr. 1
Négatif de la version 2001
restaurée et reconstituée (프랑스어)
국가·위치독일 비스바덴
소장·관리프레드리히 빌헬름 무르나우 재단
등재유형기록유산
등재연도2001년
제작시기2001년[2]
[1] '안전장치'[2] 원본은 1927년에 제작됐지만, 2001년에 복원되었고, 이 복원판이 세계기록유산에 등재되었다. 95% 복원판은 이보다 늦은 2010년에 나왔는데, 세계기록유산으로 재등재되거나 갱신되지는 못했다.

메트로폴리스의 주요 수상 이력
[ 펼치기 · 접기 ]
||
[ 펼치기 · 접기 ]

1위잔느 딜망
2위현기증
3위시민 케인
4위동경이야기
5위화양연화
6위2001 스페이스 오디세이
7위아름다운 직업
8위멀홀랜드 드라이브
9위카메라를 든 사나이
10위사랑은 비를 타고
11위선라이즈
12위대부
13위게임의 규칙
14위5시부터 7시까지의 클레오
15위수색자
16위오후의 올가미
17위클로즈 업
18위페르소나
19위지옥의 묵시록
20위7인의 사무라이
21위잔 다르크의 수난
만춘
23위플레이타임
24위똑바로 살아라
25위당나귀 발타자르
사냥꾼의 밤
27위쇼아
28위데이지즈
29위택시 드라이버
30위타오르는 여인의 초상
31위8과 1/2
거울
싸이코
34위라탈랑트
35위아푸 제1부 - 길의 노래
36위시티 라이트
M
38위네 멋대로 해라
뜨거운 것이 좋아
이창
41위자전거 도둑
라쇼몽
43위스토커
양 도살자
45위배리 린든
알제리 전투
북북서로 진로를 돌려라
48위오데트
완다
50위400번의 구타
피아노
52위불안은 영혼을 잠식한다
집에서 온 소식
54위경멸
블레이드 러너
전함 포템킨
아파트 열쇠를 빌려드립니다
셜록 주니어
59위태양 없이
60위달콤한 인생
문라이트
먼지의 딸들
63위좋은 친구들
제3의 사나이
카사블랑카
66위투키 부키
67위안드레이 루블료프
방파제
분홍신
이삭 줍는 사람들과 나
메트로폴리스
72위정사
이탈리아 여행
이웃집 토토로
75위슬픔은 그대 가슴에
산쇼다유
센과 치히로의 행방불명
78위선셋 대로
사탄탱고
고령가 소년 살인사건
모던 타임즈
천국으로 가는 계단
셀린느와 줄리 배타러 가다
84위블루 벨벳
벌집의 정령
미치광이 피에로
영화의 역사
88위샤이닝
중경삼림
90위기생충
하나 그리고 둘
우게쓰 이야기
레오파드
마담 드...
95위사형수 탈출하다
옛날 옛적 서부에서
열대병
흑인 소녀
제너럴
겟 아웃
101위리오 브라보
검은 집
방랑자
104위엄마와 창녀
컴 앤 씨
죠스
대부 2
108위안녕, 용문객잔
오즈의 마법사
산딸기
악의 손길
리버티 밸런스를 쏜 사나이
베이비 길들이기
114위사느냐 죽느냐
영향 아래 있는 여자
내쉬빌
쳐다보지 마라
118위아귀레, 신의 분노
순응자
텍사스 전기톱 학살
더 씽
122위데어 윌 비 블러드
매트릭스
석류의 빛깔
쟈니 기타
쉘부르의 우산
천사만이 날개를 가졌다
128위고양
129위화니와 알렉산더
그의 연인 프라이데이
분노의 주먹
펄프 픽션
133위아라비아의 로렌스
오명
멋진 인생
136위
천국의 아이들
와일드 번치
삼비장가
천국의 말썽
제7의 봉인
소매치기
시골에서의 하루
순정에 맺은 사랑
게르트루드
146위워터멜론 우먼
뱀파이어
에이리언
인디아 송
위대한 환상
차이나타운
152위트윈 픽스: 리턴
서인도 제도
천국의 나날들
구름에 가린 별
행복
157위철서구
내 어머니의 모든 것
올란도
비정성시
내 친구의 집은 어디인가
마태복음
원스 어폰 어 타임 인 아메리카
아마코드
자기만의 인생
과거로부터
살다
잊혀진 사람들
169위지난 해 마리앙바드에서
안달루시아의 개
아웃 원
심바이오사이코택시플라즘: 테이크 원
히트
언더 더 스킨
학살의 천사
저개발의 기억
검은 수선화
붉은 사막
석양의 무법자
차룰라타
미지의 여인에게서 온 편지
히로시마 내 사랑
위대한 앰버슨가
185위매그놀리아
베를린 천사의 시
갈증
탐욕
사랑의 행로
꽁치의 맛
로슈포르의 숙녀들
파리, 텍사스
196위파리 이즈 버닝
머리 없는 여인
엉클 분미
트리 오브 라이프
매드 맥스: 분노의 도로
자마
파장
전화의 저편
노스페라투
이중 배상
태양은 외로워
내가 가는 곳은 어디인가
닥터 스트레인지러브
블림프 대령의 삶과 죽음
어떤 방법으로
211위한계
레이더스
핑크 플라밍고
트윈 픽스 극장판
20년 후
멜랑콜리아
그림자 군단
디어 헌터
서스페리아
밀회
이브의 모든 것
식은 죽 먹기
고독한 영혼
저 푸른 바다로
225위군중
반딧불이의 묘
블루
크래시
해피 투게더
해상화
우연히 나는 아름다움의 섬광을 보았다
쁘띠 마망
녹색 광선
나, 너, 그, 그녀
협녀
나폴레옹
유로파 51
불타는 시간의 연대기
인톨러런스
스타워즈
외침과 속삭임
할란 카운티 USA
243위마지막 웃음
햇빛 속의 모과나무
베크마이스터 하모니즈
체리 향기
반다의 방
모번 켈러의 여행
개입자
징후와 세기
빛을 향한 노스탤지어
먼 목소리, 조용한 삶
오, 태양
포제션
비디오드롬
캔터베리 이야기
시계태엽 오렌지
무쉐뜨
황야의 결투
불꽃 속에 태어나서
애니 홀
설리반의 여행
판도라의 상자
대지




||
[ 펼치기 · 접기 ]

※ 2018년 BBC는 209명의 국제 영화 평론가들을 대상으로 사상 최고의 외국어(비영어권) 영화 100편을 선정했다.
1위7인의 사무라이
2위자전거 도둑
3위동경이야기
4위라쇼몽
5위게임의 규칙
6위페르소나
7위8과 1/2
8위400번의 구타
9위화양연화
10위달콤한 인생
11위네 멋대로 해라
12위패왕별희
13위M
14위잔느 딜망
15위아푸 제1부 - 길의 노래
16위메트로폴리스
17위아귀레, 신의 분노
18위비정성시
19위알제리 전투
20위거울
21위씨민과 나데르의 별거
22위판의 미로
23위잔 다르크의 수난
24위전함 포템킨
25위하나 그리고 둘
26위시네마 천국
27위벌집의 정령
28위화니와 알렉산더
29위올드보이
30위제7의 봉인
31위타인의 삶
32위내 어머니의 모든 것
33위플레이타임
34위베를린 천사의 시
35위표범
36위위대한 환상
37위센과 치히로의 행방불명
38위고령가 소년 살인사건
39위클로즈업
40위안드레이 루블료프
41위인생
42위시티 오브 갓
43위아름다운 직업
44위5시부터 7시까지의 클레오
45위정사
46위천국의 아이들
47위4개월, 3주... 그리고 2일
48위비리디아나
49위스토커
50위라탈랑트
51위쉘부르의 우산
52위당나귀 발타자르
53위만춘
54위음식남녀
55위쥴 앤 짐
56위중경삼림
57위솔라리스
58위마담 D
59위컴 앤 씨
60위경멸
61위산쇼다유
62위투키 부키
63위작은 마을의 봄
64위세 가지 색: 블루
65위오데트
66위불안은 영혼을 잠식한다
67위학살의 천사
68위우게츠 이야기
69위아무르
70위태양은 외로워
71위해피 투게더
72위살다
73위카메라를 든 사나이
74위미치광이 피에로
75위세브린느
76위이 투 마마
77위순응자
78위와호장룡
79위
80위잊혀진 사람들
81위셀린느와 줄리 배타러 가다
82위아멜리에
83위
84위부르주아의 은밀한 매력
85위움베르토 디
86위방파제
87위카비리아의 밤
88위마지막 국화 이야기
89위산딸기
90위히로시마 내 사랑
91위리피피
92위결혼의 풍경
93위홍등
94위내 친구의 집은 어디인가
95위부운
96위쇼아
97위체리 향기
98위햇빛 쏟아지던 날들
99위재와 다이아몬드
100위안개 속의 풍경
같이 보기: 미국 영화, 21세기 영화, 코미디 영화, 비영어권 영화, 21세기 TV 시리즈




||
[ 펼치기 · 접기 ]

(순위 없음, 알파벳 순)
아귀레, 신의 분노아푸 트릴로지이혼 소동베이비 페이스
국외자들배리 린든베를린 알렉산더 광장블레이드 러너
보니 앤 클라이드브라질프랑켄슈타인의 신부춘희
카사블랑카샤레이드천국의 아이들차이나타운
중경삼림시민 케인시티 라이트시티 오브 갓
가까이서 본 기차랑주씨의 범죄군중아메리카의 밤
십계우회부르주아의 은밀한 매력공작 부인
이중 배상닥터 스트레인지러브취권2E.T.
8과 1/2400번의 구타패왕별희니모를 찾아서
플라이대부 1편, 2편석양의 무법자좋은 친구들
하드 데이즈 나이트그의 연인 프라이데이살다고독한 영혼
신체 강탈자의 침입이것이 선물멋진 인생칸다하르
친절한 마음과 화관킹콩레이디 이브최후의 명령
아라비아의 로렌스레올로반지의 제왕 실사영화 시리즈카메라를 든 사나이
맨츄리안 켄디데이트세인트루이스에서 만나요메트로폴리스밀러스 크로싱
내 미국 삼촌무쉐뜨나야칸니노치카
오명올림피아워터프론트옛날 옛적 서부에서
과거로부터페르소나피노키오싸이코
펄프 픽션카이로의 붉은 장미갈증레이징 불
쉰들러 리스트수색자셜록 주니어모퉁이 가게
사랑은 비를 타고더 싱잉 디텍티브한 여름밤의 미소뜨거운 것이 좋아
스타워즈한 여름밤의 미소선라이즈성공의 달콤한 향기
스윙 타임택시 드라이버동경이야기협녀
우게쓰 이야기그녀에게율리시즈의 시선움베르토 디
용서받지 못한 자화이트 히트베를린 천사의 시요짐보
출처




파일:죽기 전에 꼭 봐야 할 영화 1001.jpg
[[죽기 전에 꼭 봐야 할 영화 1001|'''{{{#000,#fff 죽기 전에 꼭 봐야 할 영화
1001편}}}''']]





메트로폴리스 (1927)
Metropolis
파일:MV5BMTg5YWIyMWUtZDY5My00Zjc1LTljOTctYmI0MWRmY2M2NmRkXkEyXkFqcGdeQXVyMTMxODk2OTU@._V1_FMjpg_UX1000_.jpg
장르SF, 드라마
감독프리츠 랑
각본테아 폰 하르보우
원작테아 폰 하르보우 《메트로폴리스》
제작에리히 포메르
출연알프레트 아벨
브리기트 헬름
구스타프 프롤리히
루돌프 클라인로게
음악고트프리트 후페르츠
촬영카를 프로인
귄터 리타우
촬영 기간1925년 5월 22일 ~ 1926년 10월 30일
제작사파일:독일 국기.svg UFA
배급사파일:독일 국기.svg 파루파멧
파일:미국 국기.svg 파라마운트 픽쳐스
개봉일파일:독일 국기.svg 1927년 1월 20일
파일:미국 국기.svg 1927년 5월 6일
상영시간153분 (오리지널)
148분 (2010년 버전)
제작비5,300,000 라이히스마르크(RM)[1]
전세계 박스오피스75,000 라이히스마르크(RM)
상영 등급파일:영등위_12세이상_2021.svg 12세 이상 관람가

1. 개요
2. 예고편
3. 시놉시스
4. 내용
5. 평가
6. 건축적 비전
7. 저작권
8. 기타
9.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프리츠 랑 감독이 독일 영화사 UFA에서 프리츠 랑의 부인 테아 폰 하르보우의 원작소설을 바탕으로 영화화해 1927년에 개봉한 무성영화. 테아 폰 하르보우는 영화 메트로폴리스의 각본도 직접 담당했다.[2]

독일 표현주의 영화의 하나로, SF 영화의 시초 및 SF 디스토피아의 원형 가운데 하나로 꼽히며, 미래 도시와 로봇, 노동과 사회에 대한 비전을 보여준 것으로 유명하다. 제2차 세계 대전 이전 독일 표현주의 영화의 금자탑이라고 할 수 있다. 블레이드 러너, 터미네이터, 공각기동대, 마이너리티 리포트 등 많은 SF 영화가 메트로폴리스에서 영향을 받았다.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에 처음으로 등재된 영상물이기도 하다.


2. 예고편[편집]


예고편


3. 시놉시스[편집]


고도로 산업화된 미래 도시. 높은 건물의 지상에는 부유한 자본가들이 예술과 쾌락을 즐기며, 지하에는 가지지 못한 노동자들이 끊임없이 도시를 유지하기 위한 기계를 조작하며 비참하게 살아가고 있다. 어느 날 이 도시를 통치하고 있는 조 프레더슨의 아들 프레더가 지상층으로 노동자들의 아이들을 데리고 찾아온 마리아와 마주치게 된다. 마리아와 아이들은 곧 경비원들에게 쫓겨나지만 마리아에게 첫눈에 반한 프레더는 그녀를 다시 만나기 위해 지하층으로 찾아가고, 그곳에서 처음으로 노동자들의 끔찍한 생활을 목격하게 된다.



4. 내용[편집]



개봉 후 90년 이상 지난 작품으로, 영상 속 노래 연주[3]를 제외하면 저작권 문제 없이 유튜브에서도 볼 수 있다.

영화는 매우 암울한 미래의 모습을 그려내고 있다. 영화에 등장하는 메트로폴리스라는 세계는 두 가지로 구분되어 있는데, 지상은 부르주아들의 지상낙원이고 지하는 오직 일만 하는 노동자들의 지옥이다. 지상의 부르주아들은 지하에서 나오는 노동의 대가로 천국을 향유하고 있으나 지하의 노동자들은 부르주아들을 위해 하루 10시간씩 혹독한 일을 하는 곳이다.[4]

어느날, 메트로폴리스를 움직이는 대자본가 요 프레데센(Joh Fredesen)의 아들 프레더[5]노동자들의 성녀라고 불리던 마리아라는 여자를 보게 되고 반하게 된다. 프레더는 그녀를 계속 쫓다가 우연히 지하세계로 가게 되고 거기서 노동자들의 비참한 삶을 보고 충격을 받는다. 프레더는 노동자들을 구원하기 위해 아버지에게 필사적으로 대항하나 오히려 아버지 프레데센은 과학자 로트방[6]을 시켜 마리아를 복제한 로봇[7]으로 노동자들을 선동하게 한다.

5. 평가[편집]



















파일:Letterboxd 로고 화이트.svg
(Letterboxd Top 250 162위
20XX-XX-XX 기준
)














































파일:네이버 로고 화이트.svg
[[https://movie.naver.com/movie/bi/mi/basic.nhn?code=12682|
기자·평론가
/ 10
관람객
/ 10
네티즌
/ 10
]]
[[https://search.naver.com/search.naver?where=nexearch&query=영화++평점|

기자·평론가
/ 10
관람객
/ 10
네티즌
/ 10
]]
평점 / 10







파일:다음 로고.svg
평점 9.0 / 10





MRQE
평점 92 / 100






파일:TMDB 로고.svg
점수 82%




파일:무비파일럿 로고.svg
평점 7.4 / 10




파일:로저 이버트 닷컴 로고.svg
별점 4 / 4



메트로폴리스는 지금까지 만들어진 영화들 중 가장 위대하고 가장 영향력 있는 영화 중 하나로 널리 여겨지고 있다. 2012년 '사이트 앤 사운드'의 비평가 투표에서 35위를 차지하기도 했다.

당시로선 보기 어려운 암울한 미래를 담고 새로운 시각적 효과를 많이 사용함으로써 영화를 훨씬 더 강렬하게 만들었다. 이 때문에 제작비는 가히 천문학적 수치인 약 510만 마르크[8]였다. 그러나 흥행은 대실패해 전체 수익은 7만 5천 마르크에 그쳤다.[9]

또한 지상의 부르주아들이 천국을 향유하는 모습과 지하의 노동자들이 일하는 비참한 모습을 크게 대조시켜 암울한 미래를 더욱 부각시켰다. 대표적인 장면으로 작중 프레더가 한 노동자와 옷을 바꿔입어 하룻동안 노동 체험을 하는 장면이 있는데 10시간의 혹독한 노동을 마친 프레더가 아버지에게 이렇게 울부짖는다.

"아버지, 10시간이 이렇게 괴로운 시간인줄 몰랐습니다."


또한 작 초반에 노동자 1명의 과로로 인한 조작 실수로 거대한 기계에 과부하가 걸려 많은 노동자들이 죽는 것을 본 프레더가 'MOLOCH!'이라고 외치며,[10] 그의 환영에는 노동자들을 집어삼키는 몰록의 상이 보인다. 몰록이나 골고타, 여주인공인 마리아성경의 요소들을 많이 사용한 것이 특징. 주인공 프레더의 아버지는 요 프레데센인데, 각주에도 있지만 프레데센은 프레더의 아들이라는 의미이다. 아버지가 아들의 아들이라는 이름을 가지고 있는 것인데, 저 프레데센을 여호와가 모티브인 캐릭터로 보는 평들이 적잖이 있기 때문에, 프레데센과 프레더, 마리아로 이어지는 연결고리를 쉽게 짐작할 수 있을 것이다.


6. 건축적 비전[편집]


프리츠 랑은 1924년니벨룽의 노래를 홍보하러 뉴욕에 갔는데, 여기서 마천루들의 풍경에 큰 감명을 받아 메트로폴리스의 구상에 들어갔다. 그렇기에 메트로폴리스에서 거대한 마천루가 즐비한 풍경이 비중있게 나오는 것은 자연스러운 일이었다.

그러나 이 영화는 뉴욕의 모방을 넘어 미래의 비전도 보여주었다. 프리츠 랑이 방문했던 당대에 뉴욕의 최고층 빌딩은 아직 전근대적인 양식을 못 벗어난, 신 고딕 양식을 차용한 울워스 빌딩이었다. 장식이 많이 달린 높은 중세 성당 같은 이 건물과 달리 영화 속 도시 모습은 장식이 완전히 사라진, 현대적인 느낌의 모더니즘 양식의 고층빌딩들이 즐비하다. 메트로폴리스가 제작되던 시기는 어느정도 궤도에 오른 모더니즘 양식의 건축들의 결과물이 막 탄생하던 시점이었지만, 현대적 느낌의 고층빌딩은 아직 그림이나 계획안으로만 제시가 되던 상황이었다. 그나마 현대적 느낌에 가까운 고층빌딩의 초기 사례라고 볼 수 있는 Daily News Building도 1930년에서야 뉴욕에서 건설되었다는 점을 생각하면 그보다 앞서 현대적 양식이 주류가 된 도시 풍경을 그린 메트로폴리스의 건축적 비전은 예언적이었다고 평가할 수 있다.

이외에도 수 많은 자동차가 고가 도로를 달리는 모습 등도 인상적이다. 물론 이것도 프리츠 랑의 독자적인 발상은 아니었으며, 이미 모더니스트 건축가들은 현대적 도시의 중요 기능으로 효율적인 교통에 많은 관심을 두고 있었다. 그러나 그들의 비전을 메트로폴리스만큼 생생하게 보여준 것은 이 영화 이전에는 없었다.


7. 저작권[편집]


퍼블릭 도메인이 되어야 정상이지만 나온지 1세기는 족히 되어가는 영화임에도 저작권이 있다고 한다.

우루과이 라운드 때 미국이 부당한 사유로 저작권을 상실한 해외의 작품을 신청하면 저작권을 살려주기로 했는데 이 작품이 신청을 했고 조건을 충족해서 그렇게 되어버린 것이다. 그래서 중간에 저작권이 없던 기간이 무효화되었다. 미국에서는 2023년 1월 1일부로 퍼블릭 도메인이 되었으며, 독일에서는 2047년이 되어야 퍼블릭 도메인이 된다고 한다. 한국 법 기준으로는 퍼블릭 도메인이다.

정리가 된 이후로도 다소 꼬여있는 상태이긴 한데 2010년 복원판 메트로폴리스는 영어 간자막 달려있는 버젼은 2023년 1월 기준으로도 저작권이 유효하다고 한다. 저작권이 풀린 건 독일어 원본 간자막과 영상 부분.

8. 기타[편집]



[ 보기 ]

"메트로폴리스"와 "몽 파리" 두가지 영화는 고대한지 오래였다. "몽 파리"는 현대인의 히스테리칼한 말초신경을 자극시키려는 일종의 춘화도에 지나지 못하겠으므로 그다지 큰 기대는 갖지 못하나, "메트로폴리스"만은 제작자인 프리츠 랑씨의 역량을 믿고 더구나 귀신이 접한 칼 프런드씨의 촬영을 몹시도 보고 싶었던 것이다. 그 뿐아니다. 독일 우파(UFA) 회사의 전재산을 기울인 작품인만큼, 크나큰 기대를 하여왔던 것이다.

백년 뒤의 세계과학문명의 극치, 땅 위와 땅 밑바닥의 갈등, 사람이 만든 인간의 출현. 그 자체가 얼마나 우리들의 생활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지를 상상할 수가 있는 것이다.

그러나 우리는 그 스토리를 보고 실망하였으니 노동-자본 협조로 끝을 마치는 것이다. 원작이 가지는 힘이 너무나 미약한 것을 거듭 깨닫게 되는 것이나, 그것만을 가지고 이 영화의 치명상이라고는 할 수 없다. 스토리에 불만을 가진 것은 사실이나 그 영화적부분은 진실로 감탄하지 않을 수 없다. 우리로 하여금 덮어 놓고, "엄청나구나!" 하는 소리를 뿜어 내게 한다. 그 중에도 세트다. 전부 세트 만으로 촬영을 하였는데 그 장치가 굉장하고, 보기에 신기하다느니 보다는 우리의 가슴을 누르고 마음을 떨어뜨리는 것은 그러한 괴상스러운 장면보다, 지하실 기관부, 뿜어내는 분무, 핑핑도는 기계, 켜졌다 꺼졌다하는 전등, 그 여러가지의 조화와 활동은 이때까지의 영화에서는 보지 못하던 것이다. 세트는 이미 단순한 세트가 아니요, 영화를 구성하는데 한 가지 요소로 배우와 같이 연극을 하고 움직이며 살아 있다. 우리는 살아 있는 세트를 처음 보는 것이다.

더구나 살아서 활동을 하는 렌즈가 있다. 프리츠 랑은 이 두가지 무기를 가지고서 신접한 수완을 휘둘러 근대적이요 과학적인 아름다움을 표현하여서 우리의 마음을 취하게 한다. 그것은 새로운 아름다움이요, 또한 미래의 아름다움이다. 세기말적 퇴폐를 조금도 포함치 아니한 꿋꿋한 건강미인 것이다. 인조인간이 나타나서 활동을 하는 곳에서 우리는 몸서리가 처질만한 미래에 대한 두려움과 형용키 어려운 느낌으로 머릿속이 터질듯해지는 것이다.

배우들의 그림자는 퍽 희미하다. 감독에게 끌리고 세트에 눌려서 머리를 들지 못하는 것 같다. 그러나 그 중에 특출한 사람은 브리지테 헬름 양이다. 지하의 거리에서 노동자를 선동하는 그 영혼이 떨리는 듯한 부르짖음과 불에 타서 죽게 될 때의 악마적인 교만한 비웃음은 이 영화에서 보는 보옥이다.

옛날부터 내려온 독부나 요부의 판박이 탈을 벗어 버린 채 새로운 뱀파이어의 표본이다. 그 밖에 임시 배우를 사용한데도 그 움직임에 새로운 연기와 표현의 여러가지를 발견할 수 있다.

요컨대 이 영화의 특징은 장래의 영화의 대한 새로운 지시가 되는 점에 있다.

원작의 정신에 대해서 불평은 가지는 사람을 볼수가 있는 영화로는 "메트로폴리스"를 빼 놓고는 보고 생각할 만한 사건이 없으리라고 나는 단언한다. 스토리를 계속해서 보지를 말고 그 장면장면을 따로따로 하여, 그 주의나 관념을 가지고 뜻을 붙여서 맛을 보면 의미 깊고 힘있는 그 표현을 볼 수가 있을 것이다.

무엇보다도 굳세고 힘찬 그 표현에 있다. 노동-자본 협조 주의로 끝을 맺지 않았다면 "메트로폴리스"만한 영화는 새빨간 러시아에서도 제작할 사람이, 그네들의 손으로는 그만큼 엄청난 표현은 하지 못하였을 것이다.


















9. 관련 문서[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8 02:38:47에 나무위키 메트로폴리스(영화)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2017년 물가 적용시 3,800만 유로[2] 폰 하르보우는 나중에 나치에 우호적인 반응을 보이며 나치를 싫어하던 프리츠 랑과 이혼하게 되었다.[3] 노래의 악보퍼블릭 도메인이 되었지만, 영상 속 관현악은 95% 복원 때 녹음된 것으로, 소리를 없애거나 그마저도 아니꼬우면직접 녹음하면 저작권 문제가 없다.[4] 이러한 극중 모습은 자본주의 고도성장사회 이후로 지속되는 양극화 및 계급화를 경계하고 있는 모습이기에 현대 자본주의 사회로 보이는 것은 나름은 의도된 것이라고 볼 수 있다.[5] 아버지의 이름이 '프레더의 아들'이라는 뜻의 프레데센인 것을 생각하면 좀 묘하다.[6] 한국어로 옮기면 '붉은 뺨' 정도 되는 이름인데, 흑백영화 특성상 알아보기는 힘든 편.[7] 이 로봇은 사실 로트방이 사랑했던 여인이자, (로트방의 표현을 빌리자면)프레데센에게 빼앗기고 겁탈당해 그의 아들 프레더를 낳다 죽은 '헬'(Hel)이라는 미인을 본떠 만들어 함께 살기 위해 만든 기계인간이었다. 그런데 프레데센에게 설득당하는 척하며 이 로봇을 마리아를 복제하는 데 쓰고, 로트방 자신은 프레더와 싸우다 최후를 맞이하는데, 이 과정이 그다지 개연성이 있는 전개는 아니다.[8] 2018년 환율로 약 33억원이며, 1920년대 화폐가치를 감안하면 현재물가로는 50배 이상이 된다. 당시 영화시장 규모를 생각하면 블록버스터였던 셈 [9] 전작 니벨룽의 노래가 많은 돈을 가져다 주어 제작사 UFA가 메트로폴리스에 거액을 투자하였었다. 그러나 흥행 실패로 인해 UFA는 거의 파산 지경에 까지 이르렀다. 결국은 셰를 그룹(Scherl-Gruppe)의 알프레드 후겐베르크(Alfred Hugenberg)가 영화사를 인수. 나치 세상이 되었을 때는 괴벨스가 장악했으나 세계 2차 대전이 일어나서는 소련군에게 넘어가고 촬영 스튜디오는 전쟁통에 날아갔다. 유튜브에 파괴된 UFA의 촬영 스튜디오 건물 영상이 있다.[10] 이때 자막이 화면을 가득 메우며 강조한다.[11] 화질이 너무 나빠 6분 가량의 두 장면은 끝내 복구되지 못했다.[12] 로봇과 선/악 마리아 모두 브리지트 헬름이 맡았는데 로봇 안에 들어갔을 때 상처가 났음에도 연기를 계속했다고.[13] 실제로 히틀러는 이 영화를 좋아했다고 한다.[14] 다소 꼬여있는게 랑 자신이 유대계 오스트리아인이다. 다만 본인은 유대 혈통에 대해 그다지 크게 염두에 두지 않았던 편.[15] 보니 타일러, 빌리 스콰이어, 존 앤더슨 등.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