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그 오브 레전드/챔피언

덤프버전 : (♥ 0)


파일:리그 오브 레전드 가로형 로고_화이트.svg
[ 펼치기 · 접기 ]

기본 모드소환사의 협곡 · 무작위 총력전 · 전략적 팀 전투 · 격전 · 랭크 게임 · AI 상대 대전
이벤트 모드U.R.F 모드 · 돌격! 넥서스 · 궁극기 주문서 · 아레나 · 기타
챔피언 관련역할군 · 능력치 · 스킬 · 특수 능력 · 군중제어기(CC) · 소환사 주문 · 스킨
유닛챔피언 · 구조물 · 포탑 · 미니언
정글몬스터 · 협곡 바위 게 · 협곡의 전령 · 내셔 남작(바론) · 식물
드래곤바람 · 대지 · 화염 · 바다 · 마법공학 · 화학공학 · 장로 · 시즌 6 이전
정밀 · 지배 · 마법 · 결의 · 영감 · 시즌 8 이전
아이템시작 · 기본 · 서사 · 전설 · 신화 · 소모품 · 장화 · 특수 · 삭제된 아이템
전략 · 정글 · 미드 · 바텀 · 서포터
세계관챔피언 관계 · 룬테라 · 종족 · 스토리 · 멀티버스 · 유니버스 이전 · 영상 · 음악 · 타임라인 · 지역 · 등장인물 · 세력
월드 챔피언십 · MSI · 시즌 킥오프 · 올스타전 · LCK · LCS · LEC · LPL · 세체 · 역체 논쟁 · 골든로드 · Silver Scrapes · 우리는 틀리지 않았다
문제점비매너 게임 · 밸런스 · 대리 게임/어뷰징 · 버그 · 스토리 · 팬 문화 · 서포터 혐오
사건 사고2011~2015 · 2016~2020 · 2021~2025 · 틀:개별 문서가 있는 논란 및 사건 사고
업데이트
패치 내역 · 시즌 · 프리시즌
1557 · 가붕이 · 럼자오자레 · 야 꿀벌 · 전국 우르곳 협회 · 정글차이
기타시스템 · 서버 · 클라이언트 UI · 인게임 · 도전과제 · 용어 · PBE · 개발자 · 흥행 · 패러디 · 영상 · 감시단의 비상



## 🔶🔶 제목 배경색 틀 🔶🔶
## 🔶🔶 제목 본 내용 틀 🔶🔶
파일:league-of-legends.png
  [  펼치기 · 접기  ]  
## 🔶🔶 문단 시작(1) 🔶🔶
파일:_portrait.png



1. 개요
2. 상세
3. 가격 및 로테이션
3.1. 과거 챔피언 가격 변동 내역
5. 분류 및 기준
5.4. 나무위키 문서 및 틀
7. 챔피언 업데이트 유형
8. 출시 예정인 신규 챔피언
8.1. 드래곤 챔피언
8.2. 여성 바스타야 챔피언
9. 기타
10. 편집 시


1. 개요[편집]


리그 오브 레전드에서 각 플레이어가 조작하는 캐릭터다. 한국 서버 기준 브라이어까지 165명의 챔피언이 존재한다.

2. 상세[편집]


본래 챔피언 명칭에 관련된 설정이 존재했다. 결투재판대전사(Champion)라는 명칭을 차용한 것에서도 볼 수 있듯 어떻게 그들이 계속해서 부활하며, 어째서 생판 모르는 남이나 친구, 가족끼리도 싸우며, 왜 설정보다 훨씬 더 약한 상대에게도 지는지, 소환사(유저)가 챔피언의 힘을 제약해서 조종하고 그 링크가 서서히 맞추어진다는 설정으로 다 설명이 가능했다. 하지만 챔피언의 잇따른 추가로 스토리 진행이 힘들어지자 소환사 관련 설정은 대폭 축소되고 그냥 챔피언이라는 명칭만 남게 되었다.

게임 내적으로 보자면 아펠리오스를 제외한 모든 챔피언은 패시브 스킬에 더해 스킬의 단축키에 따라 Q, W, E, R(궁극기)에 할당된 4개 이상의 스킬을 가지고 있다.[1] 그리고 골드를 벌어 아이템을 통해 성장한다는 개념 자체는 모든 챔피언이 일치한다.[2] 일반 게임에서는 같은 팀 내에서 동일한 챔피언이 나올 수 없고[3], 랭크 게임에서는 더 나아가 상대팀과 같은 챔피언을 선택할 수 없는 고유한 존재이다.[4]

게임 외적으로 보자면, 신규 챔피언 업데이트는 리그 오브 레전드의 주요 컨텐츠다. 초창기부터 2013 시즌 즈음까지는 무려 2주에 신규 챔피언 하나씩을 찍어냈을 정도다. 그러다가 2014년 이후 '신규' 챔피언 발매 수는 매년 대여섯 명 남짓으로 줄어들었고, 2018년에는 3명까지 떨어지기도 했으나[5] 그만큼 기존 챔피언을 리메이크해주기 때문에 체감 발매 주기는 여전히 빠르다고 볼 수 있다. 예전에 비하면 둔화되긴 했지만 타 AOS 게임들과 비교했을 때 여전히 빠른 편으로 새로운 챔피언의 출시나 구 챔피언의 리메이크 등 챔피언 자체에 대해 커뮤니티에서 평가하는 것을 즐기는 유저들이 많다. 또한 몇몇 챔피언의 경우 몰입감이 크고 고유한 캐릭터로서의 즐길 거리가 많아 게임 밖에서도 창작이나 연구가 매우 활발하다.


3. 가격 및 로테이션[편집]


챔피언은 소액 결제 화폐인 RP나 게임 머니인 BE(파랑 정수)로 구매할 수 있다. Xbox Game Pass 가입자나 대한민국PC방에서는 모든 챔피언을 무료로 사용할 수 있다.

RP의 가치는 현금 대비 8배 정도.[6] 즉 최신 챔피언 한 명을 구매하기 위해선 소액 결제시 8000원 대의 적잖은 돈이 나간다. 문제는 챔피언 수가 160명이 훌쩍 넘었기에 챔피언을 전부 현금으로만 소유하려면 현금으로 90만 원 가량이 나간다. 로테이션, 게임 머니로 구매, PC방 이용, Xbox Game Pass 연동 등 여러가지 방법으로 선택의 폭을 넓힐 수는 있으나 자유로운 챔피언 선택은 쉽지 않다. 챔피언 자유 이용권이 없다.[7] 게임을 아주 오래 이용하면서 동시에 돈도 좀 많이 써야 챔피언을 전부 소유할 수 있다. 달리 보면 스킨과 더불어 롤의 주 수입원이다.

13.5 패치부터 도입챔피언 가격 책정 및 인하 정책은 다음과 같다.[8]
  • 챔피언이 처음 출시될 때는 7800 BE(975 RP)로 판매되고, 일주일 후 6300 BE(975 RP)로 인하된다.
  • 출시된 후 세 번째 시즌을 맞는 6300 BE(975 RP) 챔피언[11]은 신규/복귀 플레이어 사용 지표 및 각종 데이터에 따라 아래의 가격 중 하나로 인하된다.
    • 450 BE(260 RP): 신규/복귀 플레이어가 다루기 좋고, 출시된지 여러 시즌이 지난 챔피언
    • 1350 BE(585 RP): 조금은 복잡하지만 진입 장벽이 그다지 높지 않은 챔피언
    • 3150 BE(790 RP): 운용법을 익히기 어렵거나 고도로 전문화된 스킬 구성을 갖춘 챔피언
    • 4800 BE(880 RP): 그 외 대부분의 챔피언
    • 단, ,[9] 벨코즈[10]와 같이 확고한 챔피언 콘셉트가 있는 경우 그에 맞춘 특별한 BE 가격이 적용되고, 신지드, 케일, 라이즈, 트위스티드 페이트 등 오래전에 출시되었지만 초보자에게 적합하지 않은 챔피언의 경우 신규 플레이어가 무심코 구매하지 않도록 BE 가격은 비싸게, RP 가격은 저렴하게 책정된다.
  • VGU, CGU, 중간 규모 업데이트 등 챔피언의 난이도가 바뀔 경우 가격이 변동될 수 있으며,[12] 그 외의 경우에는 절대 가격이 변경되지 않는다.

챔피언들은 일정 주기로 돌아가며 RP 할인이 진행되고 있으며, 이벤트 패스를 통해 얻은 토큰을 챔피언 파편으로 교환해 파랑 정수로 바꾸거나 온전한 챔피언으로 업그레이드 하는 등 정가보다 싸게 챔피언을 구할 방법은 얼마든지 있다. 심지어 아예 과금하지 않더라도 소환사 레벨업을 통해 얻은 캡슐로 챔피언 파편을 수급할 수 있다. 다만 한번에 원하는 챔피언을 다 얻으려면 얄짤없이 많은 과금이 필요하다.

하지만 반드시 챔피언을 구매해야 사용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BE가 부족한 소환사들을 위해 라이엇은 소환사의 레벨이 11레벨 미만일 때는 초보자 추천 챔피언[13]을 제공하며, 그 이상인 경우 로테이션 시스템으로 챔피언을 무료로 사용할 수 있게 해주기 때문. 매주 화요일마다 16명[14]의 챔피언이 무작위로 선정된다. 현재 절대 주류 메타인 EU 스타일의 각 포지션의 챔피언들이 고루 정해지며 최근 출시된 챔피언의 경우 출시 후 약 2~3주가 지나고부터 로테이션 리스트에 올라간다.[15] 예외는 출시 일주일 만에 로테이션 리스트에 이름을 올린 세라핀벡스크산테. 전부 롤드컵 시즌에 출시되는 챔피언들이다.

그 외에도 이벤트성으로 로테이션 챔프를 선정하기도 한다. 2014시즌 슈리마 이벤트에서는 슈리마에 관련된 챔피언까지 로테이션에 더해진 적이 있다. 평소보다 2배는 많은 챔피언을 무료로 쓸 수 있게 되는 것. 심지어 운영진의 장난으로 보라색 챔피언만으로 로테이션이 나오기도 했다.

단, 랭크 게임에서는 로테이션 챔피언을 쓸 수 없다. 일부 이용자들이 하지도 못하면서 재미있어 보인다고 해보지도 않은 챔피언을 픽하거나, 랭크 게임에 참가할 머릿수만 맞추려고 한 행동을 보여 불만이 속출한 적이 있기 때문이다. 때문에 랭크게임에 참여하려면 최소 20명의 챔피언(밴픽 10 + 중복픽 9 + 본인픽 1)을 필요로 하게 되었다.

브라이어까지 출시된 현재, 모든 챔피언을 정가로 사려면 파란정수 약 60만개가 필요하다.

3.1. 과거 챔피언 가격 변동 내역[편집]


쓰레쉬 출시 시점부터 13.4 패치(밀리오 출시 직전)까지는 아래의 규칙에 따라 가격이 변동됐다.
  • 챔피언이 처음 출시될 때는 7800 BE(975 RP)로 판매되고, 일주일 후 6300 BE(975 RP)로 인하된다.
  • 신규 챔피언 출시 시점에 6300 BE(975 RP) 챔피언 중 가장 오래된 챔피언[16]은 4800 BE(880 RP)로 인하된다(정기 가격 인하).
  • 3번째 신규 챔피언이 출시될 때마다 출시일 및 난이도에 의해 결정된[17] 4800 BE(880 RP) 이하 챔피언 중 한 명은 아래 티어로 가격이 인하된다(특별 가격 인하).
  • 한 번 가격이 인하된 챔피언은 챔피언 업데이트를 받더라도 절대 가격이 다시 오르지 않는다.

위 정책에 따라 가격이 변동된 챔피언 목록은 아래와 같다. 발매일은 각 나라에 상관없이 최초로 PBE를 제외한 서버에 플레이어블로 나온 것을 기준으로 기재하였다.
발매일순서출시 챔피언정기 가격 인하 챔피언특별 가격 인하 챔피언
2013년 1월 23일110번째쓰레쉬요릭우디르
2013년 3월 1일111번째레오나-
2013년 3월 29일112번째자크오공-
2013년 4월 30일113번째리산드라스카너워윅
2013년 6월 13일114번째아트록스탈론-
2013년 8월 22일115번째루시안리븐-
2013년 10월 10일116번째징크스제라스미스 포츈
2013년 12월 13일117번째야스오그레이브즈-
2014년 2월 27일118번째벨코즈쉬바나-
2014년 5월 12일119번째브라움피즈신 짜오
2014년 8월 14일120번째나르볼리베어-
2014년 9월 16일121번째아지르아리-
2014년 11월 20일122번째칼리스타빅토르아무무
2014년 12월 11일123번째렉사이세주아니-
2015년 3월 12일124번째바드직스-
2015년 5월 28일125번째에코노틸러스쉬바나
2015년 7월 9일126번째탐 켄치피오라-
2015년 10월 14일127번째킨드레드룰루-
2015년 11월 24일128번째일라오이헤카림람머스
2016년 2월 1일129번째바루스-
2016년 3월 24일130번째아우렐리온 솔다리우스-
2016년 5월 18일131번째탈리야드레이븐신지드
2016년 8월 10일132번째클레드제이스-
2016년 10월 6일133번째아이번자이라-
2016년 12월 7일134번째카밀다이애나갈리오
2017년 4월 19일135번째자야렝가-
136번째라칸신드라-
2017년 7월 12일137번째케인카직스모데카이저
2017년 8월 23일138번째오른엘리스-
2017년 11월 21일139번째조이제드-
2018년 3월 7일140번째카이사나미문도 박사
2018년 5월 31일141번째파이크바이-
2018년 12월 5일142번째니코쓰레쉬-
2019년 1월 25일143번째사일러스블라디미르
2019년 5월 14일144번째유미자크-
2019년 6월 28일145번째키아나리산드라-
2019년 11월 10일146번째세나아트록스트런들
2019년 12월 11일147번째아펠리오스루시안-
2020년 1월 14일148번째세트징크스-
2020년 7월 22일149번째릴리아야스오볼리베어
2020년 8월 6일150번째요네벨코즈-
2020년 9월 21일151번째사미라브라움-
2020년 10월 30일152번째세라핀나르이즈리얼
2020년 12월 10일153번째아지르-
2021년 1월 22일154번째비에고칼리스타-
2021년 4월 16일155번째그웬렉사이아리
2021년 7월 23일156번째아크샨바드-
2021년 9월 24일157번째벡스에코-
2022년 1월 21일158번째제리탐 켄치소나
2022년 2월 18일159번째레나타 글라스크킨드레드-
2022년 6월 8일160번째벨베스일라오이-
2022년 7월 15일161번째닐라레오나
2022년 11월 5일162번째크산테아우렐리온 솔-


4. 출시일[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리그 오브 레전드/챔피언/출시일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5. 분류 및 기준[편집]



5.1. 역할군[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리그 오브 레전드/챔피언/역할군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5.2. 지역 및 국가[편집]


''' ||



데마시아 챔피언(보기/접기)

파일:롤-데마시아-엠블럼.png데마시아의 챔피언
소속 챔피언
파일:garen_portrait.png
가렌
파일:Fighter_icon.png
전사
파일:Tank_icon.png
탱커
대대로 왕족인 라이트실드 가문을 섬기는 크라운가드 혈통. 전설적인 정예 부대인 '불굴의 선봉대'의 대장이다. 마법사를 혐오했었지만 사일러스의 반란 이후 마법사로서의 럭스의 정체성을 인정하며 마법사들을 받아들이게 되었다.
파일:galio_portrait.png
갈리오
파일:Tank_icon.png
탱커
파일:Mage_icon.png
마법사
데마시아를 수호하는 석상. 마법으로 인해 생명을 얻고, 마법사로부터 데마시아를 지켜내는 아이러니한 석상이다.
파일:lux_portrait.png
럭스
파일:Mage_icon.png
마법사
파일:Controller_icon.png
서포터
가렌의 여동생. 데마시아는 마법을 두려워하기 때문에 마법사들을 멸시하고 탄압해왔다. 럭스는 자신이 마법을 다룰 수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지만 주변 사람들에게 그 사실을 숨긴다.
파일:morgana_portrait.png
모르가나
파일:Mage_icon.png
마법사
파일:Controller_icon.png
서포터
케일의 자매. 언니와 함께 어머니의 정의의 성위의 힘을 물려받았으나 이를 혐오하고 스스로의 날개를 묶게 된다. 이후 데마시아에서 가려진 자라고 불리게 된다.
파일:vayne_portrait.png
베인
파일:Marksman_icon.png
원거리
파일:Slayer_icon.png
암살자
자신의 가족을 몰살한 악마 이블린을 죽이기 위해 언데드, 악마 등을 사냥하는 괴물 사냥꾼이 되었다.
파일:poppy_portrait.png
뽀삐
파일:Tank_icon.png
탱커
파일:Fighter_icon.png
전사
데마시아의 건국자 오를론의 제자 겸 친구. 오를론이 사망하면서 진정한 영웅에게 가야 한다며 자신에게 남긴 망치의 주인을 찾아 데마시아 방방곡곡을 누비고 있다. 사실 오를론이 말한 망치의 주인은 바로 뽀삐이지만, 그 사실을 까맣게 모른 채 어딘가에 있을 진정한 영웅을 찾아 다니는 중이다.
파일:sylas_portrait.png
사일러스
파일:Mage_icon.png
마법사
파일:Slayer_icon.png
암살자
마법사를 탄압하는 데마시아의 왕정과 사회 체제를 무너뜨리기 위해 혁명을 일으킨 탈옥수.
파일:sona_portrait.png
소나
파일:Controller_icon.png
서포터
파일:Mage_icon.png
마법사
현악기 에트왈을 연주하는 데마시아의 거장. 아이오니아 출생으로, 어릴 때 불의의 사고로 말을 할 수 없게 됐고 그 이후 데마시아의 한 부부가 소나를 입양하여 에트왈을 연주하는 법을 가르치게 된다.
파일:shyvana_portrait.png
쉬바나
파일:Fighter_icon.png
전사
파일:Tank_icon.png
탱커
용과 인간의 형상을 오갈 수 있는 드래곤. 부상당한 자르반 4세를 구했고, 이후 그를 비롯한 데마시아인들의 도움으로 어머니 이바를 죽인 후 데마시아의 국경을 감시하는 군인이 된다.
파일:xinZhao_portrait.png
신 짜오
파일:Fighter_icon.png
전사
파일:Slayer_icon.png
암살자
아이오니아의 해안가 마을 출신이였지만 녹서스에게 붙잡혀 검투사 생활을 하게 된다. 이후 녹서스가 검투사들을 데마시아와의 전투에 무리하게 내몰은 탓에 포로로 붙잡혔지만, 자르반 3세의 자비와 데마시아의 긍지에 감명받아 그에게 충성을 맹세한다.
파일:jarvanIV_portrait.png
자르반 4세
파일:Tank_icon.png
탱커
파일:Fighter_icon.png
전사
현 데마시아의 국왕. 사일러스를 필두로 한 마법사들의 반란으로 인해 아버지를 잃고 국왕이 되었다.
파일:kayle_portrait.png
케일
파일:Fighter_icon.png
전사
파일:Controller_icon.png
서포터
과거 데마시아의 수호자. 어머니의 뒤를 이어 정의의 성위가 되기 위해 타곤 산을 오르고 있다. 칼과 날개가 상징인 데마시아의 엠블럼도 이 케일에게서 따온 것이다.
파일:quinn_portrait.png
파일:Marksman_icon.png
원거리
파일:Slayer_icon.png
암살자
자신의 동료이자 푸른날개수리인 발러와 함께 데마시아를 수호하는 정예 기동대원.
파일:fiora_portrait.png
피오라
파일:Fighter_icon.png
전사
파일:Slayer_icon.png
암살자
데마시아의 이름난 결투가. 피오라의 아버지가 피오라와 크라운가드 가문의 정혼자 사이의 관계 때문에 벌어진 결투에서 부정행위를 저질러 집안의 명성이 바닥으로 떨어졌다. 그 이후로 데마시아의 챔피언들에게도 좋은 시선은 받지 못하고 있다.
총 14종
관련 챔피언
파일:lucian_portrait.png
루시안
파일:Marksman_icon.png
원거리
데마시아 출신의 빛의 감시자. 아내 세나와 함께 언데드를 사냥하다가 쓰레쉬에게 아내의 영혼을 뺏긴 이후 복수귀가 되었다.
파일:senna_portrait.png
세나
파일:Marksman_icon.png
원거리
파일:Controller_icon.png
서포터
데마시아 출신의 빛의 감시자. 한때 사망하여 쓰레쉬의 랜턴에 갇혔다가 해방된 루시안의 아내.
파일:sion_portrait.png
사이온
파일:Tank_icon.png
탱커
파일:Fighter_icon.png
전사
100년 전 데마시아의 국왕인 자르반 1세와 동귀어진했던 녹서스의 장군. 훗날 부활 의식을 해서 언데드로 탄생하게 되는데, 이때 자르반 4세의 피가 사용되어 본능적으로 자르반 4세의 피를 갈구한다.
파일:taric_portrait.png
타릭
파일:Controller_icon.png
서포터
파일:Fighter_icon.png
전사
데마시아 군 장교였으나 근무태만으로 부하들을 잃었고, 그 죄를 뉘우치기 위해 타곤 산을 올랐다가 수호자의 성위의 화신이 되었다. 현재 타곤 소속.
파일:talon_portrait.png
탈론
파일:Slayer_icon.png
암살자
퀸이 포획 임무를 맡은 데마시아의 수배자.
파일:evelynn_portrait.png
이블린
파일:Slayer_icon.png
암살자
파일:Mage_icon.png
마법사
관능적인 여성의 모습으로 인간을 유혹한 뒤 절정에 이르렀을 때 죽여서 그들이 느끼는 고통을 유희로 즐기는 악마. 베인의 부모를 살해했다.
파일:nocturne_portrait.png
녹턴
파일:Slayer_icon.png
암살자
파일:Fighter_icon.png
전사
포스배로우에 출몰했던 인간에게 악몽을 보여주고 이들이 느끼는 공포를 먹는 악마.
파일:fiddlesticks_portrait.png
피들스틱
파일:Mage_icon.png
마법사
파일:Controller_icon.png
서포터
인간의 공포를 주식으로 삼는 고대의 악마. 아주 오래 전부터 존재했기에 온갖 전설이 덧붙여졌으며, 포스배로우에서 다시 출몰하고 있다.


아이오니아 챔피언(보기/접기)

파일:롤-아이오니아-엠블럼.png아이오니아의 챔피언
소속 챔피언
파일:rakan_portrait.png
라칸
파일:Controller_icon.png
서포터
로틀란 부족의 바스타야. 연인 자야와 함께 바스타야의 부흥을 위해 싸우고 있다.
파일:leeSin_portrait.png
리 신
파일:Fighter_icon.png
전사
파일:Slayer_icon.png
암살자
용의 영혼을 품은 탓에 시력을 잃은 수도승. 외부인으로부터 사원을 지키기 위해 싸운다.
파일:lillia_portrait.png
릴리아
파일:Fighter_icon.png
전사
파일:Mage_icon.png
마법사
이뤄지지 못한 인간들의 꿈을 찾고, 그들의 빛을 가리고 있는 공포를 없애서 활짝 피어나기 위해 아이오니아를 배회하는 사슴.
파일:masterYi_portrait.png
마스터 이
파일:Slayer_icon.png
암살자
파일:Fighter_icon.png
전사
오공의 스승이자 우주류 검술의 마지막 전승자.
파일:varus_portrait.png
바루스
파일:Marksman_icon.png
원거리
파일:Mage_icon.png
마법사
다르킨의 활. 카이와 발마를 흡수하여 부활하였다. 카이와 발마의 인격이 바루스의 인격을 저지하려 한다.
파일:sett_portrait.png
세트
파일:Fighter_icon.png
전사
파일:Tank_icon.png
탱커
인간과 바스타야의 혼혈. 아이오니아 범죄 세계의 우두머리이다.
파일:shen_portrait.png
파일:Tank_icon.png
탱커
세계의 균형을 수호하는 비밀 결사단 킨코우의 수장. 황혼의 눈이라 불리운다.
파일:syndra_portrait.png
신드라
파일:Mage_icon.png
마법사
파일:Controller_icon.png
서포터
마력을 빨아들이고 모든 걸 파괴하는 어둠의 마법사. 오랜 기간 동안 봉인되어 있다가 풀려났으며, 자신의 힘을 억제하려는 자는 모조리 파멸시키려 한다.
파일:ahri_portrait.png
아리
파일:Mage_icon.png
마법사
파일:Slayer_icon.png
암살자
자신의 정체를 알기 위해 아이오니아를 방랑하는 베사니 족의 여우 바스타야.
파일:ivern_portrait.png
아이번
파일:Controller_icon.png
서포터
파일:Mage_icon.png
마법사
본래 고대 프렐요드인으로, 매우 잔혹한 인물이었으나 아이오니아의 신의 버드나무를 베어내고 그와 뒤섞여 자연의 목소리를 들을 수 있게 되었다. 이후 참회하여 자연을 지키는 자연의 아버지가 되었다.
파일:akali_portrait.png
아칼리
파일:Slayer_icon.png
암살자
비밀 결사단 킨코우의 일원이었던 암살자. 킨코우와 뜻이 맞지 않아 탈퇴하였다.
파일:yasuo_portrait.png
야스오
파일:Fighter_icon.png
전사
파일:Slayer_icon.png
암살자
스승을 죽인 배신자로 오해를 받고 이를 풀었지만, 스스로를 용서하지 못한 채 아이오니아를 방황하고 있는 검사.
파일:wukong_portrait.png
오공
파일:Fighter_icon.png
전사
파일:Tank_icon.png
탱커
마스터 이의 제자. 우주류 봉술을 사용하는 쉬먼 부족의 바스타야.
파일:yone_portrait.png
요네
파일:Slayer_icon.png
암살자
파일:Fighter_icon.png
전사
야스오에게 죽었지만 아자카나에 의해 부활하게 된 야스오의 이부형. 자신이 어떤 존재로 변했는지 알아내기 위해 아자카나를 사냥하고 있다.
파일:irelia_portrait.png
이렐리아
파일:Fighter_icon.png
전사
파일:Slayer_icon.png
암살자
녹서스군을 몰아내는 데 큰 역할을 한 무희.
파일:xayah_portrait.png
자야
파일:Marksman_icon.png
원거리
로틀란 부족의 바스타야. 연인 라칸과 함께 동족인 바스타야의 영광을 되찾으려 하고 있다.
파일:zed_portrait.png
제드
파일:Slayer_icon.png
암살자
녹서스를 막기 위해 그림자 비급을 탈취한 그림자단의 수장.
파일:jhin_portrait.png
파일:Marksman_icon.png
원거리
파일:Mage_icon.png
마법사
살인을 예술이라 여기는 사이코패스 살인마.
파일:karma_portrait.png
카르마
파일:Mage_icon.png
마법사
파일:Controller_icon.png
서포터
역대 카르마들의 영혼의 목소리를 듣는 승려이자 카르마의 현 환생. 본명은 다르하.
파일:kennen_portrait.png
케넨
파일:Marksman_icon.png
원거리
파일:Mage_icon.png
마법사
세계의 균형을 수호하는 비밀 결사단 킨코우의 일원. 폭풍의 심장이라 불리운다.
파일:kayn_portrait.png
케인
파일:Fighter_icon.png
전사
파일:Slayer_icon.png
암살자
녹서스의 소년병 출신으로, 다르킨의 낫 라아스트를 통제하기 위해 싸우는 제드의 제자.
파일:hwei_portrait.png
흐웨이
파일:Mage_icon.png
마법사
파일:Controller_icon.png
서포터
자신의 상상력에서 비롯된 생생한 환상과 끔찍한 기억에서 오는 예술적 몽상을 붓으로 그려내는 천재 화가.
총 21종
관련 챔피언
파일:riven_portrait.png
리븐
파일:Fighter_icon.png
전사
파일:Slayer_icon.png
암살자
아이오니아를 침략했던 녹서스의 군인. 현재 녹서스를 배신하고 아이오니아에서 속죄하며 살아가고 있다.
파일:sona_portrait.png
소나
파일:Controller_icon.png
서포터
파일:Mage_icon.png
마법사
아이오니아 고아원 출신. 데마시아에 입양되어 현재는 데마시아 소속.
파일:xinZhao_portrait.png
신 짜오
파일:Fighter_icon.png
전사
파일:Slayer_icon.png
암살자
아이오니아의 해안가 마을 출신이였지만 녹서스에게 붙잡혀 검투사 생활을 하게 된다. 이후 녹서스가 검투사들을 데마시아와의 전투에 무리하게 내몰은 탓에 포로로 붙잡혔지만, 자르반 3세의 자비와 데마시아의 긍지에 감명받아 그에게 충성을 맹세한다. 현재 데마시아 소속.
파일:udyr_portrait.png
우디르
파일:Fighter_icon.png
전사
파일:Tank_icon.png
탱커
고대 정령의 힘을 물려받은 정령 주술사. 자신의 힘을 통제하기 위해 아이오니아에서 리 신과 수련을 받았다. 아바로사 부족이 프렐요드의 균형을 무너뜨린다 여겨 막으려 한다.


필트오버 챔피언(보기/접기)

파일:롤-필트오버-엠블럼.png필트오버의 챔피언
소속 챔피언
파일:vi_portrait.png
바이
파일:Fighter_icon.png
전사
파일:Slayer_icon.png
암살자
자운에서 어린시절을 보내며 갱단에서 활동한 범죄자. 모종의 계기로 인하여 갱생 후 케이틀린의 파트너가 됐다.
파일:seraphine_portrait.png
세라핀
파일:Mage_icon.png
마법사
파일:Controller_icon.png
서포터
자운 태생의 필트오버에서 스타로 떠오른 가수. 자운과 필트오버 양쪽 모두에서 유명한 스타가 되었다.
파일:orianna_portrait.png
오리아나
파일:Mage_icon.png
마법사
파일:Controller_icon.png
서포터
한 때는 인간이었으며 자운 사람들을 도와주다가 사고로 병든 부분을 인공 신체로 갈아 끼워가다 결국에는 기계 인형이 되었다. 아직까지도 인간의 감정을 간직하고 있다.
파일:ezreal_portrait.png
이즈리얼
파일:Marksman_icon.png
원거리
파일:Mage_icon.png
마법사
룬테라 전역을 돌아다니며 위험천만한 모험을 즐기는 탐험가.
파일:jayce_portrait.png
제이스
파일:Fighter_icon.png
전사
파일:Marksman_icon.png
원거리
필트오버의 발명가. 필트오버에서 영웅으로 추대받고 있다. 한때 빅토르와 동료였으나 제이스가 빅토르가 만든 위험한 작업복을 학술원에 보고하는 바람에 빅토르가 명예를 잃고 추방된 후 사이가 갈라졌다.
파일:camille_portrait.png
카밀
파일:Fighter_icon.png
전사
파일:Tank_icon.png
탱커
자신의 몸을 마법공학으로 치환한 우아한 엘리트 첩보원.
파일:caitlyn_portrait.png
케이틀린
파일:Marksman_icon.png
원거리
정의감 넘치는 필트오버의 보안관. 바이와 함께 범죄자를 소탕한다.
파일:heimerdinger_portrait.png
하이머딩거
파일:Mage_icon.png
마법사
파일:Controller_icon.png
서포터
필트오버의 교수이자 모두의 존경을 한몸에 받는 발명가. 인간으로 둔갑한 채 살아가고 있다.
총 9종


그림자 군도 챔피언(보기/접기)

파일:롤-그림자군도-엠블럼.png그림자 군도의 챔피언
소속 챔피언 | 총 10종
파일:gwen_portrait.png
그웬
파일:Fighter_icon.png
전사
파일:Mage_icon.png
마법사
비에고의 아내 이졸데가 창조한 인형으로, 대몰락 이후 이졸데의 영혼이 깃들어 살아 움직이게 된 인형.
파일:maokai_portrait.png
마오카이
파일:Tank_icon.png
탱커
파일:Mage_icon.png
마법사
그림자 군도를 대몰락 이전의 축복의 빛 군도로 되돌리려는 나무 정령.
파일:vex_portrait.png
벡스
파일:Mage_icon.png
마법사
고독과 우울을 즐기는 염세적인 요들. 비에고의 검은 안개를 룬테라 전역으로 퍼뜨려 대몰락을 확산시켰다.
파일:viego_portrait.png
비에고
파일:Slayer_icon.png
암살자
파일:Fighter_icon.png
전사
잊힌 제국 카마보르의 왕으로, 축복의 빛 군도를 파멸시키고 대몰락을 일으킨 그림자 군도의 몰락한 왕.
파일:thresh_portrait.png
쓰레쉬
파일:Controller_icon.png
서포터
파일:Fighter_icon.png
전사
축복의 빛 군도를 수호하는 결사단의 일원이었으나, 생전의 가학성으로 인해 타락하고 대몰락을 받아들여 산 자와 죽은 영혼을 고문하는 악령이 된 언데드 간수.
파일:elise_portrait.png
엘리스
파일:Mage_icon.png
마법사
파일:Fighter_icon.png
전사
녹서스의 옛 명문가 출신으로, 사람들을 속여 거미 신의 제물로 바쳐 수백 년 동안 젊음을 유지해 온 마녀. 검은 장미단 소속.
파일:yorick_portrait.png
요릭
파일:Fighter_icon.png
전사
파일:Tank_icon.png
탱커
그림자 군도에 사로잡힌 영혼들에게 안식을 주어 대몰락을 끝내기 위해 검은 안개의 힘을 사용하는 수도승.
파일:karthus_portrait.png
카서스
파일:Mage_icon.png
마법사
죽음을 노래하는 자. 녹서스 빈민가 출신으로, 죽음을 동경하여 그림자 군도로 찾아가 스스로 언데드가 되었다.
파일:kalista_portrait.png
칼리스타
파일:Marksman_icon.png
원거리
잊힌 제국의 장군으로, 영혼을 대가로 복수를 대행하는 언데드 여전사.
파일:hecarim_portrait.png
헤카림
파일:Fighter_icon.png
전사
파일:Tank_icon.png
탱커
잊힌 제국의 기사단장으로, 반인반마의 뒤틀린 모습으로 변한 언데드 선봉장.
관련 챔피언
파일:lucian_portrait.png
루시안
파일:Marksman_icon.png
원거리
아내 세나와 함께 그림자 군도의 악령들과 싸우는 빛의 감시자. 룬테라 소속.
파일:senna_portrait.png
세나
파일:Marksman_icon.png
원거리
파일:Controller_icon.png
서포터
한때 사망하여 쓰레쉬의 랜턴에 갇혔다가 되살아난 루시안의 아내. 비에고를 막기 위해 루시안과 동행 중이다. 룬테라 소속.


녹서스 챔피언(보기/접기)

파일:롤-녹서스-엠블럼.png녹서스의 챔피언
소속 챔피언
파일:darius_portrait.png
다리우스
파일:Fighter_icon.png
전사
파일:Tank_icon.png
탱커
녹서스의 장군. 드레이븐의 형이며, 트리파릭스 중 무력을 담당하고 있다.
파일:draven_portrait.png
드레이븐
파일:Marksman_icon.png
원거리
녹서스의 인기스타 검투사. 다리우스의 동생으로, 전직 군인 출신이다.
파일:rell_portrait.png
파일:Tank_icon.png
탱커
파일:Controller_icon.png
서포터
검은 장미단의 실험체였던 기사. 녹서스의 사상에 반대하며 약자들을 지키고 있다.
파일:leblanc_portrait.png
르블랑
파일:Slayer_icon.png
암살자
파일:Mage_icon.png
마법사
검은 장미단의 수장. 스웨인을 견제하고 있다.
파일:riven_portrait.png
리븐
파일:Fighter_icon.png
전사
파일:Slayer_icon.png
암살자
녹서스 군인 출신. 아이오니아 침략 도중 전쟁의 참상을 깨닫고 탈영하여 아이오니아에서 속죄하며 살고 있다.
파일:mordekaiser_portrait.png
모데카이저
파일:Fighter_icon.png
전사
고대 북부 발로란의 동쪽을 지배했던 폭군이자 녹서스의 수도 '불멸의 요새'의 원래 주인. 현실을 거부하고 죽음의 세계에 자신만의 제국을 건설하였으며, 물질 세계 역시 정복하려 하고 있다.
파일:briar_portrait.png
브라이어
파일:Fighter_icon.png
전사
파일:Slayer_icon.png
암살자
검은 장미단의 혈마법 실험으로 태어난 살아있는 무기. 배고픔에 대한 욕망을 제어할 수 없어 표적이었던 스웨인에게 붙잡혔지만 탈출해 자유를 찾았다.
파일:vladimir_portrait.png
블라디미르
파일:Mage_icon.png
마법사
다르킨의 힘을 흡수하여 육신을 자유롭게 재구성하는 혈마법을 익힌 존재. 무한한 세월을 살아가며 수많은 역사적 사건들에 관여했다. 현재 검은 장미단 소속.
파일:samira_portrait.png
사미라
파일:Marksman_icon.png
원거리
아름답고 화려하게 전투하는 것을 좋아하는 녹서스 군인. 슈리마 태생으로 고향이 파괴되자 녹서스의 특수 부대에 입대했다.
파일:sion_portrait.png
사이온
파일:Tank_icon.png
탱커
파일:Fighter_icon.png
전사
녹서스의 전쟁 영웅. 자르반 1세와 함께 동귀어진했으나 검은 장미단에 의해 부활했다.
파일:swain_portrait.png
스웨인
파일:Mage_icon.png
마법사
파일:Fighter_icon.png
전사
녹서스의 대장군. 아이오니아 전쟁에서 부상을 입고 실각했으나, 악마의 힘을 얻고 쿠데타를 일으켜 녹서스를 장악했다. 트리파릭스 중 예지력을 담당하고 있다.
파일:cassiopeia_portrait.png
카시오페아
파일:Mage_icon.png
마법사
카타리나의 동생. 슈리마에서 초월체의 힘을 얻기 위해 제라스와 레넥톤의 봉인을 풀었고 하반신이 뱀의 형상으로 변하는 저주를 받았다.
파일:katarina_portrait.png
카타리나
파일:Slayer_icon.png
암살자
파일:Mage_icon.png
마법사
뒤 쿠토 장군의 맏딸. 카시오페아의 언니이며, 뛰어난 암살자다.
파일:kled_portrait.png
클레드
파일:Fighter_icon.png
전사
파일:Tank_icon.png
탱커
민중 영웅. 녹서스의 모든 전쟁에 참여했다.
파일:talon_portrait.png
탈론
파일:Slayer_icon.png
암살자
녹서스 뒷골목 출신의 암살자. 뒤 쿠토 장군에게 패한 이후 그를 따랐고, 현재는 실종된 그의 행방을 쫒고 있다.
총 14종
관련 챔피언
파일:veigar_portrait.png
베이가
파일:Mage_icon.png
마법사
모데카이저에게 납치당해 이용당한 요들. 풀려난 뒤엔 악당을 자칭하고 있다. 밴들시티 소속.
파일:xinZhao_portrait.png
신 짜오
파일:Fighter_icon.png
전사
파일:Slayer_icon.png
암살자
한때 녹서스의 검투사였지만, 데마시아 군에 해방된 이후에는 라이트실드 가문에 충성을 맹세했다. 현재 데마시아 소속.
파일:alistar_portrait.png
알리스타
파일:Tank_icon.png
탱커
파일:Controller_icon.png
서포터
대장벽 미노타우로스 부족 역사상 가장 강인한 전사였다. 케이란 다크윌에게 당해 한때 녹서스의 검투사로 끌려갔었지만, 탈출했다. 현재 무소속.
파일:annie_portrait.png
애니
파일:Mage_icon.png
마법사
녹서스 북부 산악지대 출신. 녹서스의 탄압을 피해 산악지대로 간 부모 밑에서 태어났으나 본인의 마력으로 인해 부모를 모두 잃는 비극을 겪었다. 현재 무소속.
파일:elise_portrait.png
엘리스
파일:Mage_icon.png
마법사
파일:Fighter_icon.png
전사
녹서스 명문가 키테라 가문의 안주인. 젊음을 유지하기 위해 검은 장미단에 그림자 군도의 유물을 주고, 제물이 될 신자들을 제공받는다. 그림자 군도 소속.
파일:urgot_portrait.png
우르곳
파일:Fighter_icon.png
전사
파일:Tank_icon.png
탱커
과거 녹서스의 처형인이었지만 스웨인에게 배신당해 자운에 갇혔다. 현재 자운 소속.
파일:karthus_portrait.png
카서스
파일:Mage_icon.png
마법사
생전에는 녹서스의 빈민가에서 시체 검수원 일을 했다. 죽음을 동경하여 그림자 군도를 직접 찾아가 언데드가 되었다. 현재 그림자 군도 소속.
파일:kayn_portrait.png
케인
파일:Fighter_icon.png
전사
파일:Slayer_icon.png
암살자
아이오니아 침략에 징집된 녹서스 소년병 출신. 현재 아이오니아 소속.


빌지워터 챔피언(보기/접기)

파일:롤-빌지워터-엠블럼.png빌지워터의 챔피언
소속 챔피언
파일:gangplank_portrait.png
갱플랭크
파일:Fighter_icon.png
전사
빌지워터의 전 지배자. 미스 포츈에 의해 몰락한 뒤 오직 복수만을 꿈꾸며 힘을 모으고 있다.
파일:graves_portrait.png
그레이브즈
파일:Marksman_icon.png
원거리
무법자. 트위스티드 페이트와 동업을 했으나 모종의 이유로 사이가 틀어진다. 이후 갱플랭크의 함선에서 탈출할 때 화해한다.
파일:nautilus_portrait.png
노틸러스
파일:Tank_icon.png
탱커
파일:Controller_icon.png
서포터
푸른 불꽃 제도 해안에 공물을 바치지 않은 배를 덮쳐 침몰시키는 전설적 존재.
파일:nilah_portrait.png
닐라
파일:Fighter_icon.png
전사
파일:Slayer_icon.png
암살자
카트칸 출신 여행자. 위협적이고 전설적인 존재들을 찾아 도전하고 정복한다. 기쁨의 악마 아쉴레쉬와 만난 후 강한 힘을 얻었으나 그 대가로 기쁨 외의 감정과 과거의 기록들이 말소되었다.
파일:missFortune_portrait.png
미스 포츈
파일:Marksman_icon.png
원거리
현상금 사냥꾼이자 빌지워터의 현 지배자. 총기 제작자인 부모님을 죽인 갱플랭크를 몰락시켰다.
파일:illaoi_portrait.png
일라오이
파일:Fighter_icon.png
전사
파일:Tank_icon.png
탱커
빌지워터의 토착신인 나가카보로스를 섬기는 여사제.
파일:twistedFate_portrait.png
트위스티드
페이트
파일:Mage_icon.png
마법사
카드의 달인이자 사기꾼. 그레이브즈와는 동업자 사이였으나 모종의 이유로 관계가 틀어졌고, 후에 갱플랭크의 함선에서 탈출할 때 서로를 이해하고 화해했다.
파일:pyke_portrait.png
파이크
파일:Controller_icon.png
서포터
파일:Slayer_icon.png
암살자
작살잡이 일을 하다가 선원들의 배신으로 자울치에게 먹혔지만 언데드가 되어 더욱 강해져서 돌아와 무차별 살인을 벌이고 있는 복수귀.
총 8종
관련 챔피언
파일:tahmKench_portrait.png
탐 켄치
파일:Controller_icon.png
서포터
파일:Tank_icon.png
탱커
사람의 목숨을 담보로 소원을 이루어주는 악마. 자신의 끝없는 식욕을 사람의 고통으로 채운다고 한다. 빌지워터에서 탐 켄치라는 이름의 뜻은 악령을 뜻한다.
파일:fizz_portrait.png
피즈
파일:Slayer_icon.png
암살자
파일:Fighter_icon.png
전사
양서류 요들. 고향을 잃고 난 뒤로는 빌지워터를 배회하고 있다.


자운 챔피언(보기/접기)

파일:롤-자운-엠블럼.png자운의 챔피언
소속 챔피언
파일:renataGlasc_portrait.png
레나타 글라스크
파일:Controller_icon.png
서포터
파일:Mage_icon.png
마법사
필트오버를 지배하려는 글라스크 산업의 화공남작.
파일:drMundo_portrait.png
문도 박사
파일:Fighter_icon.png
전사
파일:Tank_icon.png
탱커
자신을 의사라 진심으로 생각하며 병에 걸린 '환자'들을 '치료'하는 미치광이 살인마.
파일:blitzcrank_portrait.png
블리츠
크랭크
파일:Tank_icon.png
탱커
파일:Fighter_icon.png
전사
빅토르가 창조한 거대 증기 골렘. 사람들을 도와주는 것을 우선시한다.
파일:viktor_portrait.png
빅토르
파일:Mage_icon.png
마법사
영광된 진화만이 인간의 잠재력을 완전히 발현시킬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이라고 믿고, 인류의 밝은 미래를 구현하기 위해 온 힘을 다하는 기계화의 전령관.
파일:singed_portrait.png
신지드
파일:Tank_icon.png
탱커
파일:Fighter_icon.png
전사
광기에 찬 미친 화학자. 녹서스가 아이오니아를 침략할 때 사용한 화학 무기를 만들고 워윅을 개조하였다.
파일:ekko_portrait.png
에코
파일:Slayer_icon.png
암살자
파일:Fighter_icon.png
전사
자신이 직접 발명한 장치 'Z 드라이브'로 시간을 되돌릴 수 있는 천재 소년.
파일:urgot_portrait.png
우르곳
파일:Fighter_icon.png
전사
파일:Tank_icon.png
탱커
과거 녹서스의 처형인이지만, 스웨인에게 배신당해 자운에 갇혔다. 하지만 되려 힘을 키워 자운에서 힘의 논리를 펼치고 있다.
파일:warwick_portrait.png
워윅
파일:Fighter_icon.png
전사
파일:Tank_icon.png
탱커
갱단의 일원이었으나 신지드의 실험 대상이 되어 개조되었고, 지금은 자운의 범죄자들을 처단하는 일을 하고 있다.
파일:zac_portrait.png
자크
파일:Tank_icon.png
탱커
파일:Fighter_icon.png
전사
화학공학 지층을 따라 흐른 독성물질이 자운의 지하동굴 깊은 곳에 위치한 웅덩이에 모여 만들어진 생명체. 선한 감정을 느끼기 위해 사람들을 도와주고 있다.
파일:janna_portrait.png
잔나
파일:Controller_icon.png
서포터
파일:Mage_icon.png
마법사
자운에서 숭배받는 바람의 정령.
파일:zeri_portrait.png
제리
파일:Marksman_icon.png
원거리
감정을 원동력 삼아 전기 능력을 발휘하는 소녀.
파일:ziggs_portrait.png
직스
파일:Mage_icon.png
마법사
하이머딩거의 조수로 일하다가 징크스를 따라 자운으로 간 폭탄 전문 발명가.
파일:jinx_portrait.png
징크스
파일:Marksman_icon.png
원거리
필트오버를 초토화시키는 자운 출신 범죄자.
파일:twitch_portrait.png
트위치
파일:Marksman_icon.png
원거리
파일:Slayer_icon.png
암살자
자운의 하수구에서 태어난 돌연변이 역병 쥐.
총 14종


공허 챔피언(보기/접기)

파일:롤-공허-엠블럼.png공허의 챔피언
소속 챔피언
파일:reksai_portrait.png
렉사이
파일:Fighter_icon.png
전사
땅굴을 파고 들어가 있다가 방심한 먹잇감을 덮쳐 게걸스럽게 집어삼키는 제르사이 종족의 여왕. 현재 슈리마에 서식하고 있다.
파일:malzahar_portrait.png
말자하
파일:Mage_icon.png
마법사
파일:Slayer_icon.png
암살자
슈리마 출신의 예언자였으나 공허의 힘을 받아들여 공허의 예언자가 되었다.
파일:velkoz_portrait.png
벨코즈
파일:Mage_icon.png
마법사
대상을 광선으로 분해하여 그 대상에 담긴 지식을 흡수하고, 균열을 열어 그 지식을 주시자들에게 전송하는 가장 오래된 공허태생.
파일:belveth_portrait.png
벨베스
파일:Fighter_icon.png
전사
룬테라의 모든 지적생명체를 흡수하여 자신만의 세계를 구축하려는 공허태생. 주시자들이 자신의 계획에 방해가 되자 그들을 제거할 계략을 꾸미고 있다.
파일:chogath_portrait.png
초가스
파일:Tank_icon.png
탱커
파일:Mage_icon.png
마법사
먹잇감을 게걸스럽게 먹어치워 자신의 덩치를 키우는 공허태생.
파일:kassadin_portrait.png
카사딘
파일:Slayer_icon.png
암살자
파일:Mage_icon.png
마법사
슈리마 출신의 유목민. 딸인 카이사가 말자하에 의해 공허 속으로 사라지자, 신비로운 유물과 금지된 기술을 조합하여 말자하에게 복수하려 한다.
파일:kaisa_portrait.png
카이사
파일:Marksman_icon.png
원거리
카사딘의 딸. 말자하에 의해 공허 속으로 끌려들어갔지만 공허의 힘으로 더욱 강해져서 돌아왔다.
파일:khazix_portrait.png
카직스
파일:Slayer_icon.png
암살자
자신보다 강한 사냥감을 사냥하고 먹어치운 뒤 진화하는 공허 생명체. 현재 렝가를 사냥하기 위해 호시탐탐 기회를 노리고 있다.
파일:kogmaw_portrait.png
코그모
파일:Marksman_icon.png
원거리
파일:Mage_icon.png
마법사
무엇이든지 닥치는 대로 물어뜯고 부식성 분비물을 흘리는 호기심 많은 공허 태생 생명체.
총 10종
관련 챔피언
파일:jax_portrait.png
잭스
파일:Fighter_icon.png
전사
파일:Slayer_icon.png
암살자
공허에 의해 멸망한 이케시아 왕국 출신. 자신과 함께 종말에 맞서 싸울 강한 전사들을 찾아 룬테라를 방랑하고 있다.
파일:zilean_portrait.png
질리언
파일:Controller_icon.png
서포터
파일:Mage_icon.png
마법사
공허에 의해 멸망한 이케시아 왕국 출신. 시간 마법을 이용해 이케시아를 멸망 전으로 되돌리려 한다.
파일:lissandra_portrait.png
리산드라
파일:Mage_icon.png
마법사
프렐요드 서리방패 부족의 지도자. 먼 옛날 공허의 냉기 주시자들과 거래해 냉기의 화신이 되었지만, 이후 자매들을 희생시켜 그들을 봉인했다.


이쉬탈 챔피언(보기/접기)

파일:롤-이쉬탈-엠블럼.png이쉬탈의 챔피언
소속 챔피언
파일:nidalee_portrait.png
니달리
파일:Slayer_icon.png
암살자
파일:Mage_icon.png
마법사
이쉬탈의 쿠거 무리를 이끄는 사냥꾼. 자신의 형태를 흉포한 쿠거로 자유자재로 변화시킬 수 있는 피가 옅은 바스타야.
파일:neeko_portrait.png
니코
파일:Mage_icon.png
마법사
파일:Controller_icon.png
서포터
다른 존재와 똑같은 모습으로 변신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는 우비캣 부족의 마지막 생존자.
파일:rengar_portrait.png
렝가
파일:Slayer_icon.png
암살자
파일:Fighter_icon.png
전사
킬라쉬 부족의 바스타야. 사냥꾼으로서 카직스를 사냥하려고 혈안이 되어 있다.
파일:malphite_portrait.png
말파이트
파일:Tank_icon.png
탱커
파일:Fighter_icon.png
전사
네죽의 바위로 만든 공중요새의 조각이 생명을 얻어 탄생한 거석 생명체.
파일:milio_portrait.png
밀리오
파일:Controller_icon.png
서포터
치유의 불꽃을 다루는 소년. 윤 탈에 들어가기 위해 여행을 떠나고 있다.
파일:zyra_portrait.png
자이라
파일:Mage_icon.png
마법사
파일:Controller_icon.png
서포터
고대 마법대재앙으로부터 태어난 식물과 인간의 매력적인 혼종. 룬테라 생물들을 사냥감으로만 보는 정글의 최상위 포식자인 고대 식육식물 일족이다. 인간들이 자신들이 밟고있는 땅을 소중히 여기지 않고 파괴하는 모습을 보고 인간을 경멸한다.
파일:qiyana_portrait.png
키아나
파일:Slayer_icon.png
암살자
파일:Fighter_icon.png
전사
원소 마법에 뛰어난 재능을 타고나 아홉 언니들을 제치고 여왕이 되어 룬테라 전역을 이샤오칸으로 만들겠다는 야망을 가진 이샤오칸의 공주. 이쉬탈을 무단으로 개간하고 침범하는 외부 세력을 적대시한다.
총 7종


슈리마 챔피언(보기/접기)

파일:롤-슈리마-엠블럼.png슈리마의 챔피언
소속 챔피언
파일:nasus_portrait.png
나서스
파일:Fighter_icon.png
전사
파일:Tank_icon.png
탱커
동생인 레넥톤과 제라스를 봉인한 슈리마의 전사. 현재는 사막을 떠돌며 동생의 광기를 억누를 방법을 찿고있다.
파일:naafiri_portrait.png
나피리
파일:Slayer_icon.png
암살자
다르킨의 단검. 슈리마 모래 언덕 사냥개 무리를 숙주 삼아 부활하여, 들개 무리의 집단 지성을 깨닫고 이를 다른 다르킨에게 전파하려 한다.
파일:rammus_portrait.png
람머스
파일:Tank_icon.png
탱커
파일:Fighter_icon.png
전사
정체를 알 수 없는 신비의 존재. 사막을 배회하고 있다.
파일:renekton_portrait.png
레넥톤
파일:Fighter_icon.png
전사
파일:Tank_icon.png
탱커
자신을 희생하여 제라스를 봉인한 슈리마의 전사. 훗날 카시오페아에 의해 봉인이 풀리고 난 후 광기에 휩싸여 자신을 봉인한 형인 나서스에게 복수하려 한다.
파일:skarner_portrait.png
스카너
파일:Fighter_icon.png
전사
파일:Tank_icon.png
탱커
슈리마의 깊은 계곡에 서식하는 수정 전갈. 동면 이후 홀로 깨어나 동면중인 동족을 적들로부터 지키고 있다.
파일:sivir_portrait.png
시비르
파일:Marksman_icon.png
원거리
슈리마 사막에서 활동하는 부유한 용병. 카시오페아에 의해 제라스와 레넥톤의 봉인이 풀릴때 배신당해 죽을 뻔하나 함께 부활한 아지르에 의해 살아난다. 아지르의 마지막 후손.
파일:amumu_portrait.png
아무무
파일:Tank_icon.png
탱커
파일:Mage_icon.png
마법사
평생을 함께하며 마음을 나눌 수 있는 단 한 명의 친구를 찾아 헤메는 저주받은 미라.
파일:azir_portrait.png
아지르
파일:Mage_icon.png
마법사
파일:Marksman_icon.png
원거리
슈리마가 몰락한 지 수천 년이 지난 후 초월체로 부활한 고대 슈리마의 마지막 황제. 제국의 옛 영광을 되살리려 한다.
파일:akshan_portrait.png
아크샨
파일:Marksman_icon.png
원거리
파일:Slayer_icon.png
암살자
샤디아라는 스승에게 구원받고 빛의 감시단으로써 성장하였다. 스승을 살해한 군벌에게 복수하기 위해 금지된 무기를 들고 슈리마의 음지를 활보하고 있다.
파일:xerath_portrait.png
제라스
파일:Mage_icon.png
마법사
고대 슈리마를 몰락시킨 노예 출신 마법사. 아지르를 배신하고 초월체가 되었다. 그후 레넥톤과 나서스에 의해 봉인되었지만 수천 년 후 카시오페아에 의해 봉인에서 풀려났다.
파일:ksante_portrait.png
크산테
파일:Tank_icon.png
탱커
파일:Fighter_icon.png
전사
무자비한 초월체의 위협으로부터 자신의 고향 나주마를 지키는 야수 사냥꾼.
파일:taliyah_portrait.png
탈리야
파일:Mage_icon.png
마법사
파일:Controller_icon.png
서포터
자신의 부족을 지키기 위해 발로란 전역을 누비고 돌아온 떠돌이 바위술사.
총 11종
관련 챔피언
파일:ryze_portrait.png
라이즈
파일:Mage_icon.png
마법사
파일:Fighter_icon.png
전사
슈리마를 통해 세계 룬을 찾아다니는 고대 대마법사.
파일:reksai_portrait.png
렉사이
파일:Fighter_icon.png
전사
슈리마 사막을 중심으로 서식하는 공허태생, 제르사이 종족의 여왕개체.
파일:rengar_portrait.png
렝가
파일:Slayer_icon.png
암살자
파일:Fighter_icon.png
전사
슈리마의 킬라쉬 부족의 바스타야. 사냥꾼으로서 카직스를 사냥하려고 혈안이 되어 있다.
파일:malzahar_portrait.png
말자하
파일:Mage_icon.png
마법사
파일:Slayer_icon.png
암살자
슈리마 출신의 예언자. 공허의 힘을 받아들여 룬테라를 공허로 뒤덮으려 한다.
파일:varus_portrait.png
바루스
파일:Marksman_icon.png
원거리
파일:Mage_icon.png
마법사
다르킨의 활. 과거 슈리마 제국의 뛰어난 궁수였으나, 다르킨으로 타락했다. 바스타야의 달 추적자들과 발로란의 황금빛 갑옷을 입은 전사 여왕을 따르는 인간 마법사들에 의해 아이오니아의 팔라스 구덩이에 봉인되었다. 오랜 세월 후 아이오니아 동성 연인인 카이와 발마를 흡수하여 부활하였다.
파일:samira_portrait.png
사미라
파일:Marksman_icon.png
원거리
슈리마 태생으로 고향이 파괴되자 녹서스의 특수 부대에 입대한다.
파일:aatrox_portrait.png
아트록스
파일:Fighter_icon.png
전사
파일:Tank_icon.png
탱커
다르킨의 검. 과거의 초월체 중 타락한 다르킨 종족 중에서도 가장 오랫동안 풀려나 있었던 존재.
파일:ezreal_portrait.png
이즈리얼
파일:Marksman_icon.png
원거리
파일:Mage_icon.png
마법사
필트오버 출신의 탐험가. 고대 슈리마 제국의 폐허에서 현재 자신의 무기인 마법의 장갑 한 쪽을 얻었다.
파일:janna_portrait.png
잔나
파일:Controller_icon.png
서포터
파일:Mage_icon.png
마법사
슈리마에서 믿던 바람의 정령.
파일:jax_portrait.png
잭스
파일:Fighter_icon.png
전사
파일:Slayer_icon.png
암살자
멸망한 이케시아 왕국 출신. 이케시아가 멸망하기 전에 고대 슈리마와 싸웠다.
파일:zilean_portrait.png
질리언
파일:Controller_icon.png
서포터
파일:Mage_icon.png
마법사
멸망한 이케시아 왕국 출신. 이케시아가 멸망하기 전에 고대 슈리마와 싸웠다.
파일:kassadin_portrait.png
카사딘
파일:Slayer_icon.png
암살자
파일:Mage_icon.png
마법사
슈리마 출신의 유목민으로, 아내와 딸인 카이사와 함께 살았었다. 말자하로 부터 공허를 막기 위해 분투하고 있다.
파일:cassiopeia_portrait.png
카시오페아
파일:Mage_icon.png
마법사
녹서스의 뒤 쿠토 가문. 초월체의 힘을 얻기 위해 제라스와 레넥톤의 봉인을 풀었고 반신이 뱀의 형상을 하게 되는 저주를 받았다.
파일:kaisa_portrait.png
카이사
파일:Marksman_icon.png
원거리
카사딘의 딸. 공허 속으로 빨려들어갔으나 그곳에 적응해 살아돌아왔다.
파일:kayn_portrait.png
케인
파일:Fighter_icon.png
전사
파일:Slayer_icon.png
암살자
녹서스의 소년병 출신으로, 다르킨의 낫 라아스트를 통제하기 위해 싸우는 제드의 제자. 라아스트는 그의 몸을 통해 부활을 꾀하고 있다.


타곤 챔피언(보기/접기)

파일:롤-타곤-엠블럼.png타곤의 챔피언
소속 챔피언
파일:diana_portrait.png
다이애나
파일:Fighter_icon.png
전사
파일:Mage_icon.png
마법사
달의 성위. 본래 솔라리의 일원이었으나, 달을 숭배하는 루나리의 지식을 접하고 루나리가 되었다.
파일:leona_portrait.png
레오나
파일:Tank_icon.png
탱커
파일:Controller_icon.png
서포터
태양의 성위. 태양을 숭배하는 종교 단체인 솔라리의 일원이자, 솔라리의 무력단체인 라호락의 지휘관.
파일:soraka_portrait.png
소라카
파일:Controller_icon.png
서포터
파일:Mage_icon.png
마법사
천상계의 방랑자. 필멸자들을 보호하기 위해 스스로 자신의 영생을 포기했다.
파일:aphelios_portrait.png
아펠리오스
파일:Marksman_icon.png
원거리
달의 힘이 깃든 5가지 무기를 사용하는 루나리 신도. 달의 힘을 담는 그릇이 되기 위해 어둠꽃의 정수를 마셨고, 그 부작용으로 말을 할 수 없게 되었다. 쌍둥이 누이인 알룬은 아펠리오스에게 어둠꽃을 통해 힘을 주며, 그를 인도한다.
파일:zoe_portrait.png
조이
파일:Mage_icon.png
마법사
파일:Controller_icon.png
서포터
루나리 출신의 여명의 성위. 타곤 제국의 전령으로, 거대하고 중요한 사건을 알린다.
파일:taric_portrait.png
타릭
파일:Controller_icon.png
서포터
파일:Fighter_icon.png
전사
수호자의 성위.본래 데마시아군의 장교였으나 자신의 실수로 데마시아에서 추방된 후 타곤 산에 올라 성위로 거듭났다.
파일:pantheon_portrait.png
판테온
파일:Fighter_icon.png
전사
파일:Slayer_icon.png
암살자
전쟁의 성위. 라코어 부족의 전사 아트레우스의 몸에 깃들어 있었지만 아트록스와의 전투로 전대 판테온은 소멸하고 아트레우스가 그 의지를 이어 후대 판테온이 되었다.
총 7종
관련 챔피언
파일:nami_portrait.png
나미
파일:Controller_icon.png
서포터
파일:Mage_icon.png
마법사
타곤 산 서쪽 바닷가에서 사는 마라이 부족의 바스타야. 마라이들을 보호하는 월석을 만들 수 있는 달의 성위를 찾고 있다.
파일:aurelionSol_portrait.png
아우렐리온 솔
파일:Mage_icon.png
마법사
별을 창조하던 우주 용. 타곤 제국의 마법에 속박되어 전쟁 무기로 사용되었지만, 서서히 속박이 약해지고 있다.
파일:kayle_portrait.png
케일
파일:Fighter_icon.png
전사
파일:Controller_icon.png
서포터
과거 데마시아의 수호자. 어머니 미히라의 뒤를 이어 정의의 성위가 되기 위해 타곤 산을 오르고 있다.
파일:malphite_portrait.png
말파이트
파일:Tank_icon.png
탱커
파일:Fighter_icon.png
전사
타곤 산에 거주중인 거석. 이쉬탈 소속.


프렐요드 챔피언(보기/접기)

파일:롤-프렐요드-엠블럼.png프렐요드의 챔피언
아바로사 진영 챔피언
파일:ashe_portrait.png
애쉬
파일:Marksman_icon.png
원거리
파일:Controller_icon.png
서포터
아바로사 부족의 지도자. 평화적인 방법으로 모든 부족을 하나로 통일시켜 강력한 국가를 세우려 한다.
파일:gragas_portrait.png
그라가스
파일:Fighter_icon.png
전사
파일:Mage_icon.png
마법사
싸움꾼이자 양조사. 최고의 술을 만들기 위해 프렐요드를 떠돌아 다니다 얼떨결에 애쉬를 도와준 대가로 아바로사 부족으로부터 양조 사업에 쓰일 영원히 녹지 않는 얼음 정수를 받았다.
파일:braum_portrait.png
브라움
파일:Controller_icon.png
서포터
파일:Tank_icon.png
탱커
프렐요드에서 전설로 여겨지는 영웅이자 마음씨 좋은 아저씨. 마법이 깃든 금고 문짝을 방패삼아 들고 다닌다.
파일:anivia_portrait.png
애니비아
파일:Mage_icon.png
마법사
파일:Controller_icon.png
서포터
프렐요드를 지키는 얼음 불사조이자 반신. 프렐요드의 평화를 위해 애쉬와 협력 중이다. 오른의 여동생이다.
파일:tryndamere_portrait.png
트린다미어
파일:Fighter_icon.png
전사
파일:Slayer_icon.png
암살자
야만전사 왕. 아트록스에 의해 자신의 부족이 몰살당하자 분노의 힘을 사용할 수 있게 되었고, 지금은 아바로사 부족에 협력하고 있다.
겨울 발톱 진영 챔피언
파일:sejuani_portrait.png
세주아니
파일:Tank_icon.png
탱커
파일:Fighter_icon.png
전사
겨울 발톱 부족의 지도자. 무력으로 프렐요드를 통일하려 한다.
파일:volibear_portrait.png
볼리베어
파일:Fighter_icon.png
전사
파일:Tank_icon.png
탱커
반신이자 오른의 남동생. 옛 전통을 버린 인간들에게 분노하여 전통을 되살리기 위해 분투한다. 추종자로 어사인족을 거느리고 있다. 오른과 크게 싸워서 오른의 추종자들을 몰살해버렸다.
파일:olaf_portrait.png
올라프
파일:Fighter_icon.png
전사
파일:Tank_icon.png
탱커
영광스러운 죽음을 원하는 록파 반도 출신 광전사. 세주아니의 인정을 받고 겨울 발톱 부족의 일원이 된다.
파일:udyr_portrait.png
우디르
파일:Fighter_icon.png
전사
파일:Tank_icon.png
탱커
고대 정령의 힘을 물려받은 정령 주술사. 자신의 힘을 통제하기 위해 아이오니아에서 리 신과 수련을 받았다. 아바로사 부족이 프렐요드의 균형을 무너뜨린다 여겨 막으려 한다.
서리방패 진영 챔피언
파일:lissandra_portrait.png
리산드라
파일:Mage_icon.png
마법사
서리방패 부족의 지도자. 얼음 마녀이자 냉기의 화신이다. 냉기 주시자들을 이 세계에 불러들인 장본인이며, 자매들을 희생시켜 그들을 얼음 아래에 봉인했다.
파일:nunuWillump_portrait.png
누누와 윌럼프
파일:Tank_icon.png
탱커
파일:Fighter_icon.png
전사
행방불명된 엄마를 찾으러 설인 윌럼프와 함께 모험을 하는 소년.
파일:trundle_portrait.png
트런들
파일:Fighter_icon.png
전사
파일:Tank_icon.png
탱커
트롤 왕이자 냉기의 화신. 리산드라의 제안으로 얼음 몽둥이 뼈분쇄자를 얻고, 자신의 지혜를 이용하여 부족을 통치하게 되었다.
무소속
파일:ornn_portrait.png
오른
파일:Tank_icon.png
탱커
파일:Fighter_icon.png
전사
프렐요드의 반신. 화산 아래에 있는 용암 동굴 속에 거대한 불꽃 대장간을 짓고 홀로 작업에 몰두한다. 볼리베어, 애니비아와 남매 관계지만 저 둘이 필멸자들의 일에 관여하는 것을 막으려 한다.
파일:gnar_portrait.png
나르
파일:Fighter_icon.png
전사
파일:Tank_icon.png
탱커
고대 요들. 냉기의 화신에게 공격당해 얼어있다가 깨어났다.
총 14종
관련 챔피언
파일:brand_portrait.png
브랜드
파일:Mage_icon.png
마법사
프렐요드인이었던 케간 로디가 세계 룬에 삼켜져 탄생한 존재. 룬을 차지하기 위해 라이즈와 경쟁하고 있다.
파일:ivern_portrait.png
아이번
파일:Controller_icon.png
서포터
파일:Mage_icon.png
마법사
본래는 프렐요드의 무자비한 정복자였으나, 아이오니아의 신의 버드나무를 베어내고 그와 뒤섞여 자연의 목소리를 들을 수 있게 되었다. 이후로는 자신의 행적을 반성하고 자연을 지키는 존재가 되었다.
파일:sylas_portrait.png
사일러스
파일:Mage_icon.png
마법사
파일:Slayer_icon.png
암살자
데마시아의 탈옥수이자 반역자. 데마시아를 공격하기 위해 겨울 발톱 부족과 동맹을 맺은 상태다.


밴들 시티 챔피언(보기/접기)

파일:롤-밴들시티-엠블럼.png밴들 시티의 챔피언
소속 챔피언
파일:rumble_portrait.png
럼블
파일:Fighter_icon.png
전사
파일:Mage_icon.png
마법사
거대 기계 로봇 트리스티를 제작한 성질 급한 젊은 발명가.
파일:lulu_portrait.png
룰루
파일:Controller_icon.png
서포터
파일:Mage_icon.png
마법사
요정 픽스와 함께 룬테라를 돌아다니며, 꿈결같은 환상과 공상에서나 나올 법한 생명체를 만들어내는 요들 마법사.
파일:veigar_portrait.png
베이가
파일:Mage_icon.png
마법사
흑마법의 대가. 모데카이저에 의해 타락하여 악행을 즐기게 되었다.
파일:yuumi_portrait.png
유미
파일:Controller_icon.png
서포터
파일:Mage_icon.png
마법사
요들 마법사 노라의 반려 마법 고양이. 실종된 주인 노라를 찾기 위해 관문의 서와 함께 룬테라와 영혼 세계를 넘나든다.
파일:corki_portrait.png
코르키
파일:Marksman_icon.png
원거리
베테랑 공군 정예 부대를 이끄는 요들 비행기 조종사.
파일:tristana_portrait.png
트리스타나
파일:Marksman_icon.png
원거리
파일:Slayer_icon.png
암살자
항상 대포를 들고 다니는 전쟁 베테랑.
파일:teemo_portrait.png
티모
파일:Marksman_icon.png
원거리
파일:Slayer_icon.png
암살자
언제나 긍정적인 요들 정찰병.
총 7종
관련 챔피언
파일:gnar_portrait.png
나르
파일:Fighter_icon.png
전사
파일:Tank_icon.png
탱커
냉기 수호자들과 싸우다가 얼어붙은 고대 요들. 그렇게 오랜 세월이 지나 얼음에서 풀려난 뒤로는 룬테라를 방황하고 있다.
파일:amumu_portrait.png
아무무
파일:Tank_icon.png
탱커
파일:Mage_icon.png
마법사
슈리마 소속. 평생을 함께하며 마음을 나눌 수 있는 단 한 명의 친구를 찾아 헤메는 저주받은 미라이자 여러가지 추측이 떠도는 수수께끼의 존재.
파일:vex_portrait.png
벡스
파일:Mage_icon.png
마법사
고독과 우울을 즐기는 염세적인 요들. 현재는 밴들 시티에서 나와 그림자 군도를 배회하고 있다.
파일:poppy_portrait.png
뽀삐
파일:Tank_icon.png
탱커
파일:Fighter_icon.png
전사
데마시아의 건국자 오를론의 오랜 친구. 오를론은 뽀삐를 진정한 영웅으로 인정하고 자신의 망치를 맡겼지만, 뽀삐는 이것을 망치의 진정한 주인이 될 영웅을 찾아달라는 것으로 해석하고 망치의 주인을 찾아다니고 있다.
파일:ziggs_portrait.png
직스
파일:Mage_icon.png
마법사
하이머딩거의 조수로 일하다가 징크스를 따라 자운으로 간 폭탄 전문 발명가.
파일:kennen_portrait.png
케넨
파일:Mage_icon.png
마법사
파일:Marksman_icon.png
원거리
세계의 균형을 수호하는 비밀 결사단 킨코우의 일원. 폭풍의 심장이라 불리운다.
파일:kled_portrait.png
클레드
파일:Fighter_icon.png
전사
파일:Tank_icon.png
탱커
녹서스 소속의 민중 영웅. 녹서스의 모든 전쟁에 참여했다.
파일:fizz_portrait.png
피즈
파일:Slayer_icon.png
암살자
파일:Fighter_icon.png
전사
바다에서 주로 활동하는 양서류 요들. 고향을 잃고 난 뒤로는 빌지워터를 배회하고 있다.
파일:heimerdinger_portrait.png
하이머딩거
파일:Mage_icon.png
마법사
파일:Controller_icon.png
서포터
필트오버의 교수이자 모두의 존경을 한몸에 받는 발명가.


룬테라 챔피언(보기/접기)

파일:롤-룬테라-아이콘.png무소속 챔피언
파일:nami_portrait.png
나미
파일:Controller_icon.png
서포터
파일:Mage_icon.png
마법사
타곤 산 서쪽 바닷가에서 사는 마라이 부족의 바스타야. 동족을 보호하는 월석을 만들 수 있는 달의 성위를 찾고있다.
파일:nocturne_portrait.png
녹턴
파일:Slayer_icon.png
암살자
파일:Fighter_icon.png
전사
포스배로우에 출몰했던 인간에게 악몽을 보여주고 이들이 느끼는 공포를 먹는 악마.
파일:ryze_portrait.png
라이즈
파일:Mage_icon.png
마법사
파일:Fighter_icon.png
전사
세상을 구하기 위해 룬을 수집하고 다니는 고대의 대마법사.
파일:lucian_portrait.png
루시안
파일:Marksman_icon.png
원거리
데마시아 출신의 빛의 감시자. 아내 세나와 함께 언데드를 사냥하다가 쓰레쉬에게 아내의 영혼을 뺏긴 이후 복수귀가 되었다.
파일:bard_portrait.png
바드
파일:Controller_icon.png
서포터
파일:Mage_icon.png
마법사
혼돈의 무관심과 생명의 균형을 유지하기 위해 싸우는 별 너머에서 온 영겁의 수호자.
파일:brand_portrait.png
브랜드
파일:Mage_icon.png
마법사
라이즈의 제자 케간 로디가 룬에 잠식되어 탄생한 존재. 세상을 불태워 복수하려 한다.
파일:shaco_portrait.png
샤코
파일:Slayer_icon.png
암살자
오래 전에 외로운 왕자를 위해 만들어진 장난감 인형이었으나, 흑마법이 깃들어 살육을 즐기는 마법 인형이 되어버렸다.
파일:senna_portrait.png
세나
파일:Controller_icon.png
서포터
파일:Marksman_icon.png
원거리
데마시아 출신의 빛의 감시자. 한때 사망하여 쓰레쉬의 랜턴에 갇혔다가 되살아난 루시안의 아내.
파일:aurelionSol_portrait.png
아우렐리온 솔
파일:Mage_icon.png
마법사
파일:Fighter_icon.png
전사
별의 창조자. 오래 전 타곤인들에게 속아 타곤 제국의 마법에 속박되어 전쟁 무기로 사용되었지만, 서서히 속박이 약해지고 있는 것을 눈치챈 뒤 자유를 얻을 수 있을 거란 희망을 가지고 그 날을 손꼽아 기다리고 있다.
파일:aatrox_portrait.png
아트록스
파일:Fighter_icon.png
전사
파일:Tank_icon.png
탱커
다르킨의 검. 필멸자들과 성위에 의하여 자신의 검 속에 봉인되어 버렸으나, 숙주를 잠식하고 몸을 얻어 부활하였다.
파일:alistar_portrait.png
알리스타
파일:Tank_icon.png
탱커
파일:Controller_icon.png
서포터
무시무시한 명성을 자랑하는 막강한 전사. 신 짜오와 함께 녹서스의 검투사였으나 해방되었다.
파일:annie_portrait.png
애니
파일:Mage_icon.png
마법사
자신을 이해해 줄 자를 찾는 무서운 힘을 가진 녹서스 북부 산속에 사는 고아.
파일:evelynn_portrait.png
이블린
파일:Slayer_icon.png
암살자
파일:Mage_icon.png
마법사
룬테라에서 관능적인 여성의 모습으로 희생자들을 낚은 후 죽여, 그들이 느끼는 고통을 유희로 즐기는 악마 베인의 부모를 살해했다.
파일:jax_portrait.png
잭스
파일:Fighter_icon.png
전사
파일:Slayer_icon.png
암살자
멸망한 이케시아 왕국 출신. 자신과 함께 종말에 맞서 싸울 강한 전사들을 찾아 룬테라를 방랑하고 있다.
파일:zilean_portrait.png
질리언
파일:Controller_icon.png
서포터
파일:Mage_icon.png
마법사
멸망한 이케시아 왕국 출신. 시간 마법을 이용해 이케시아를 멸망 전으로 되돌리려 한다.
파일:kindred_portrait.png
킨드레드
파일:Marksman_icon.png
원거리
죽음의 양면을 지닌 존재. 운명을 받아들인 자에게는 양의 화살로 빠른 죽음을 선사하고, 운명을 거부하고 도망치는 자에게는 늑대가 달려들어 잔혹한 최후를 안겨준다고 한다.
파일:tahmKench_portrait.png
탐 켄치
파일:Controller_icon.png
서포터
파일:Tank_icon.png
탱커
사람의 목숨을 담보로 소원을 이루어주는 악마. 자신의 끝없는 식욕을 사람의 고통으로 채운다고 한다.
파일:fiddlesticks_portrait.png
피들스틱
파일:Mage_icon.png
마법사
파일:Controller_icon.png
서포터
인간의 공포를 주식으로 삼는 정체불명의 고대의 악마. 오래 전부터 존재했기에 온갖 전설이 덧붙여졌다. 최근 포스배로우에서 다시 출몰하고 있다.
파일:fizz_portrait.png
피즈
파일:Slayer_icon.png
암살자
파일:Fighter_icon.png
전사
바다에서 주로 활동하는 양서류 요들. 고향을 잃고 빌지워터를 배회하고 있다.
총 19종




5.3. 소환사의 협곡 포지션[편집]








5.4. 나무위키 문서 및 틀[편집]




6. 챔피언 관계도[편집]


챔피언간의 우호, 적대적인 관계를 다룬다. 설정이 바뀌기 전의 내용 또한 다룬다.

7. 챔피언 업데이트 유형[편집]


챔피언 출시 및 업데이트 예정 순서[18]
흐웨이스카너[VGU]티모, 리 신[ASU]

  • 비주얼 및 게임플레이 업데이트(VGU[* Visual and Gameplay Update]): 기존 챔피언의 모든 면을 새롭게 탈바꿈 하는 대규모 업데이트. 전반적인 게임플레이 방식과 모델, 애니메이션 등을 포함한 비주얼까지 업데이트가 이루어진다. 테마나 서사 등도 최소 약간씩 변경될 가능성이 있다.
  • 종합 게임플레이 업데이트(CGU[* Comprehensive Gameplay Update]): 모델과 테마, 서사는 그대로 유지하고 스킬 구성 등 게임플레이를 처음부터 다시 기획하는 업데이트다.
  • 아트 및 지속 가능성 업데이트(ASU[* Art and Sustainability Update]): 오래된 챔피언의 특정 비주얼 부분을 업데이트하며 그 중 목과 손목같은 어색한 신체부위, 낙후된 애니메이션 동작, 시대에 뒤떨어진 의상과 음성 대사 등을 수정한다. 챔피언 팀이 아닌 개인화(스킨) 팀에서 작업한다.
  • 중간 규모 업데이트[20]: 시대에 뒤떨어지는 챔피언을 전반적으로 개선하는 업데이트. 주기적으로 하는 단순 버프 및 조정이 아니며, 그렇다고 챔피언의 기본적인 게임플레이 방식이 크게 변화하는 업데이트도 아니다. 말 그대로 '중간 규모' 업데이트. 챔피언 팀이 아니라 협곡 팀에서 작업한다.
    • 라이즈[19], 트위치, 소라카(4.17), 잭스(13.1), 유미(13.5), 니코(13.9), (13.11)

보통 한국 커뮤니티에서는 상단에 서술된 챔피언 업데이트 유형 명칭들을 포괄하여 리메이크, 혹은 리워크로 칭한다. 일반적으로 대규모 업데이트인 VGU와 CGU는 리메이크로, 비교적 간단한 수준인 중간 규모 업데이트는 리워크로 통칭되며[21], ASU는 비주얼 업데이트라고 주로 부른다.

8. 출시 예정인 신규 챔피언[편집]


대략 2019년을 기점으로 라이엇에서는 개발 중이거나 출시 및 리메이크 예정인 챔피언들을 공식 영상, 개발자 블로그 등에서 직간접적으로 자주 언급하고 있는 상황이다. 예를 들어, 사일러스가 새롭게 출시 되기 전에는 패트리사이트 사슬을, 유미는 노라의 책을 이미지로 연상시키던 식.

아래는 라이엇이 직접 언급한 출시 예정 챔피언들 관련 떡밥이다.

이전까지는 챔피언별 출시 주기가 불규칙했으나[22] 개발자 블로그에 의하면 2020년을 기점으로 가장 인기가 많으며 주로 기용되는 챔피언간의 플레이스타일이 판이하게 다른 미드 포지션를 제외하고 매년 포지션마다 새로운 챔피언을 1명씩, 미드 포지션은 2명씩 출시하겠다고 밝혔다.

다만 2022 시즌 챔피언 영상에서는 두 챔피언의 출시 연기에 따라 2022년의 신규 챔피언 출시 일정을 계획할 때 각 챔피언에게 충분한 시간을 쏟으려면 이전부터 계획했던 일정[23]대로 챔피언을 제작할 수 없다는 것을 뚜렷하게 인지했으며, 가능한 많은 챔피언을 소개하고 싶지만 완벽하게 준비되지 않은 상태로 출시하는 것을 지양한다는 점을 명목삼아, 2022년에는 출시 속도를 늦춘다고 발표했다. 고로 여러 해에 걸쳐서 모든 공격로에 챔피언을 출시할 계획이며 매년 모든 포지션의 챔피언을 출시하지 못할 수 있다고 한다. 다만 그럼에도 마법사와 암살자 챔피언을 균등하게 출시할 수 있도록 인기가 많은 중단 공격로의 챔피언과 관련한 언급에서는 조금 더 자주 출시할 예정이라는 것을 밝혔다.

결국 이에 대해 어느 정도는 한계가 있었는지, 2024년부터는 신챔 발매 주기는 줄이고, 기존 챔피언의 내실을 다지겠다는 안내를 했다.



8.1. 드래곤 챔피언[편집]


성장 중인 꼬마 용 모습의 원거리 딜러 챔피언. 나피리에 이은 크리처 형태의 챔피언이다.

8.2. 여성 바스타야 챔피언[편집]


프렐요드 고산지대의 숲 출신으로 포지션은 단독 라인. 프렐요드 곳곳을 여행 중이며 눈에 안보이는 것을 보는 능력을 가지고 있다.

개발자 블로그에서 제작진은 "Running around before breakfast is tough"[24]라는 표현을 사용했는데, 이것이 Rabbit, 즉 토끼역두문자어가 아니냐는 추측이 나오고 있다. 따라서 토끼 바스타야가 나올 것이라는 주장이 심심치 않게 보이고 있다.

9. 기타[편집]


초창기 챔피언들은 한국어 더빙을 제대로 하지 않아서 대사만 더빙하고 웃음소리, 스킬 기합 보이스, 사망 시 나오는 비명 등은 북미 음성을 그대로 가져와 썼다. 덕분에 갭이 커서 이상하게 들리는 경우가 많은데 특히 정혜원이 담당한 르블랑이나 미스 포츈 같은 캐릭터들은 평소 목소리와 전혀 다른 굵직한 웃음소리가 압권이다.

2020 시즌 스킨 & 이벤트 영상에서 라이엇이 언급한 가장 인기 많은 챔피언들은 럭스, 이즈리얼, 아리, 카이사라고 한다. 또한 유저수가 많고 스킨이 잘 팔리는 챔피언은 배경으로 지나간 것으로 보아 아칼리, 야스오, 인 것으로 보인다. 실제로 언급한 챔피언 모두 스킨 출시텀이 짧은 편이다.

리그 오브 레전드가 한국 게임계에서 워낙 독보적인 입지에 오르다 보니 타 게임에서도 캐릭터를 챔피언이라 일컫는 경우가 있다.

이전에는 미형이 아니더라도 다양하고 개성적인 챔피언이 자주 출시되었으나, 2017년의 자야&라칸의 출시를 기점으로 오른을 제외하면 계속해서 미형의 인간형 챔피언만 주기적으로 출시되고 있다. 개발자 블로그에 의하면 사람들에게서 많은 공감과 관심을 받는 캐릭터들이 대부분 인간형이었으며, 세계의 더 다양한 인종과 외형의 챔피언을 디자인하기 위해 2018년을 기점으로 범용 챔피언(미형의 폭넓은 유저층의 지지를 받을 수 있는) 비율을 70%, 틈새 챔피언(소수의 매니아층에게 어필할 수 있는) 비율을 30%로 확립했다고 한다.[25] 이 이후 출시된 챔피언들 중 객관적으로 미형과 거리가 먼 챔피언들은 섬뜩한 비주얼을 가진 파이크나 헤어스타일이 많이 난해한 , 공허 괴수인 벨베스 정도뿐이다.

특히 남성 챔피언들은 남성미를 강조하기 위해 상반신을 노출한 상의탈의 디자인이 많아졌다. 사실 많아진 정도가 아니라, 라칸 이후 출시된 인간형 남성 챔피언들 중 제대로 의복을 차려입은 게 아펠리오스크산테, 밀리오뿐이다![26] 물론 다들 이유없이 벗어던진 건 아니고 챔피언 설정상 납득이 가는 디자인이지만[27] 노출이 심해진 것은 사실이다. 라이엇도 이를 인지하고 있는지 공식 스토리나 챔피언 설정 등에서 자학 개그 소재로 사용하고 있다.[28] 여성 챔피언들도 남성 챔피언 만큼은 아니더라도 자야, 카이사, 사미라처럼 섹시함을 강조하거나 릴리아, 세라핀, 그웬처럼 귀여움을 강조하는 등 미형 챔피언이 나오는 비율이 대폭 늘었다. 칼리스타, 일라오이, 렉사이 등 개성적인 여성 챔피언이 많이 나오던 시절과는 대조적. 그리고 2022년에는 비인간형의 괴물 챔피언을 출시하겠다고 했으나 Reav3가 레딧에 올린 코멘트에 따르면 비인간형 괴물 챔피언은 2023년 초에나 공개될 것 같다고 언급하였다. 더불어 벨베스는 비인간형 괴물 챔피언이 아니라 괴물형 인간을 목표로 개발하였으나 개발하면서 훨씬 더 괴물 형태에 가까워졌다고 한다. 바로 윗문단에서 언급한 개발자 블로그에서도 맨 마지막에 '괴물 같은 챔피언을 좋아하신다면 2022년에는 인간형 범주에 속하지만 마음에 드실 만한 챔피언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라고 했었는데, 이것이 바로 벨베스이다.

라이엇 측에서 챔피언들의 신장, 체중, 쓰리사이즈 등과 같은 신체 프로필을 공식적으로 수치화해서 공개한 적은 없다. 인터넷상에서 떠도는 챔피언들의 신체 프로필 자료들은 유저들이 배경, 일러스트, 시네마틱 영상 등을 토대로 추정한 수치일 뿐 공식 설정은 아니다. 다만 예외적으로 아케인의 등장인물들은 공식 신장이 맞다.#

9.1. 챔피언의 능력치[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리그 오브 레전드/챔피언/능력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9.2. 챔피언의 특수 능력[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리그 오브 레전드/챔피언/특수 능력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10. 편집 시[편집]


각각의 챔피언 문서 생성 및 편집은 템플릿:리그 오브 레전드의 챔피언을 참고하세요.

새로운 챔피언이 추가되면 해당 역할군/지역에 가나다 순으로 추가해주세요.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6 07:49:26에 나무위키 리그 오브 레전드/챔피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패시브에 사실상의 액티브 효과를 갖고 있는 경우, 일부 스킬에 스킬 포인트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 형태에 따라 4개 이상의 액티브 스킬을 교대로 사용할 수 있는 경우 등 다양한 케이스가 있지만, 4개의 키에 스킬이 할당되지 않은 챔피언은 아펠리오스뿐이다. 아펠리오스는 Q와 R을 공격 스킬로, W를 무기 교체 키로 사용하지만, E키는 아예 사용하지 않으며 스킬 포인트를 스킬 대신 패시브의 추가 능력치에 투자한다.[2] 아이템의 효과를 온전히 누리지 못하는 경우는 있어도 아이템을 산다고 오히려 약해지는 경우는 없다.[3] 비공개 선택 게임의 경우 적팀에서도 같은 챔피언이 선택 가능한데 같은 포지션까지 갈 경우 미러전이라고 해서 각 플레이어의 실력이 여실히 드러나는 싸움이 되기도 한다.[4] 밴픽 대사의 예를 들어, 챔피언을 금지당해서 사용하지 못하게 되면 해당 챔피언이 "밴 대사"를 말하는데, 상대가 챔피언을 가져가서 사용하지 못히게 되는 경우는 밴 대사가 출력되지 않고 밴 효과음만 나온다. 이미 챔피언이 자신을 선택해준 상대 팀에게 가버려서라고 생각할 수 있다.[5] 2018년에는 신규 챔피언 출시보다는 기존 챔피언 리메이크에 집중했기 때문이다. 실제로 그 해 평소보다 많은 5명의 챔피언이 리메이크되었다.[6] 달러 환율 상승으로 인해 RP 가격이 오를 수 있다.[7] Game Pass 구독 및 연동을 하면 모든 챔피언을 플레이할 수 있지만, 어디까지나 '플레이 가능한 상태'가 될 뿐 실제 '구매'한 챔피언처럼 스킨을 구매할 수는 없다.# 내부적으로는 로테이션/PC방 혜택과 동일한 판정으로 작동한다.[8] 해당 정책 적용과 함께 많은 챔피언의 가격이 재조정되었으며, 절반 정도의 챔피언 가격이 인하되었다.#[9] 숫자 4 콘셉트를 따라 4444 BE(880 RP)로 책정.[10] 원주율 콘셉트를 따라 3141 BE(790 RP)로 책정.[11] 즉, 2023 시즌에 출시된 챔피언은 2025 시즌 개시 시점에 가격이 인하된다.[12] 불가피한 가격 인상이 발생할 경우 사전에 가격 인상이 예고된다.[13] 2021 시즌 기준 다이애나, 리븐, 모르가나, 모데카이저, 베이가, 소나, 워윅, 이즈리얼, 케인, 트리스타나. 초보자 추천 치고는 최고난이도 챔프언중 하나가 섞여있다.[14] 전체 챔피언 수의 10%. 최초에는 10명이었고, 2017년 8월 1주차부터 2019년 9월 1주차까지는 14명이었다.[15] 북미 서버에서는 트리스타나가 라이엇걸 스킨과 함께 거의 뿌리다시피 주는 챔피언이라 로테에 잘 올라가지 않는다.[16] 인하 간격은 32명.[17] 출시 순서를 정확히 반영하지는 않는다.[18] 상황에 따라서 변경될 가능성이 있다.[VGU] [ASU] [19] 이 부문의 왕도. 소규모 및 중간 규모 업데이트를 모두 포함해 총 다섯 번의 업데이트를 받았다.[20] Midscope Update[21] 사실 리메이크든 리워크든 사전적인 의미 차이는 크지 않지만 국내 커뮤니티에서 관습적으로 굳어진 용법이다[22] 예를 들어, 소환사의 협곡 내 포지션과 역할군, 혹은 챔피언별 출생과 거주 도시, 남/녀 인원수와는 관계없이 챔피언을 출시하거나 챔피언 리메이크와의 병행하거나 한 해에 신규 챔피언이 많으면 5명 적으면 단 3명(2018년) 출시되는 등과 같은 일이 적지 않았다.[23] 매년 포지션마다 신규 챔피언을 1명씩 미드 포지션은 2명씩 출시[24] 아침밥 전에 뛰어다니기란 힘듭니다.[25] 웃긴 건 2020년에는 세트-릴리아-요네로 아이오니아 챔피언이 3연속으로 등장했고 2021년에는 비에고, 그웬, 벡스로 그림자 군도 챔피언만 3명이 나오는 등 오히려 지역 획일화가 심해졌다. 다만 이는 2020년 영혼의 꽃 이벤트를 기점으로 해당 지역의 핵심적인 스토리를 진행하면서 이중에서 핵심적인 인물을 추리면서 생긴 현상이다.[26] 인간형이 아닌 챔피언까지 포함하면 오른도 의복을 제대로 차려입었다.[27] 라칸은 직업이 춤꾼이고, 케인은 다르킨 무기 라아스트의 영향 때문에, 사일러스는 에초에 쫓기는 신세인 탈옥수라 옷이 중요한게 아닐 뿐더러 양팔을 구속한 페트리사이트 사슬로 인해 상의를 입고 싶어도 입을 수가 없고 세트는 직업이 격투 선수 겸 투기장 관리인이라 근육을 드러낸 것으로 보이며 아크샨은 활동지역이 더운 슈리마이다. 그리고 파이크, 요네, 비에고는 옷을 제대로 입었냐를 논하기 전에 셋 다 정상적인 상태가 아니므로...[28] 예시로 케인은 공식 코믹스에서 아칼리에게 노출증 환자 소리를 들었고, 2021 시네마틱 "면죄"에서는 감시자 스킨을 입은 그레이브즈"왜 다들 웃통은 벗고 난리야?!"라는 대사를 치며, 아크샨은 공식 배경 도입부부터 "상반신을 드러낸 아크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