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라따뚜이(영화)

덤프버전 :






라따뚜이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브래드 버드 감독 장편 연출 작품

[ 펼치기 · 접기 ]



라따뚜이의 주요 수상 이력
[ 펼치기 · 접기 ]
||
[ 펼치기 · 접기 ]

※ 2016년 BBC는 177명의 국제 영화 평론가들을 대상으로 사상 최고의 21세기 영화 100편을 선정했다.
1위멀홀랜드 드라이브
2위화양연화
3위데어 윌 비 블러드
4위센과 치히로의 행방불명
5위보이후드
6위이터널 선샤인
7위트리 오브 라이프
8위하나 그리고 둘
9위씨민과 나데르의 별거
10위노인을 위한 나라는 없다
11위인사이드 르윈
12위조디악
13위칠드런 오브 맨
14위액트 오브 킬링
15위4개월, 3주... 그리고 2일
16위홀리 모터스
17위판의 미로
18위하얀 리본
19위매드 맥스: 분노의 도로
20위시네도키, 뉴욕
21위그랜드 부다페스트 호텔
22위사랑도 통역이 되나요?
23위히든
24위마스터
25위메멘토
26위25시
27위소셜 네트워크
28위그녀에게
29위월-E
30위올드보이
31위마가렛
32위타인의 삶
33위다크 나이트
34위사울의 아들
35위와호장룡
36위팀북투
37위엉클 분미
38위시티 오브 갓
39위뉴 월드
40위브로크백 마운틴
41위인사이드 아웃
42위아무르
43위멜랑콜리아
44위노예 12년
45위가장 따뜻한 색, 블루
46위사랑을 카피하다
47위리바이어던
48위브루클린
49위언어와의 작별
50위자객 섭은낭
51위인셉션
52위열대병
53위물랑 루즈
54위원스 어폰 어 타임 인 아나톨리아
55위이다
56위베크마이스터 하모니즈
57위제로 다크 서티
58위물라데
59위폭력의 역사
60위징후와 세기
61위언더 더 스킨
62위바스터즈: 거친 녀석들
63위토리노의 말
64위그레이트 뷰티
65위피쉬 탱크
66위봄 여름 가을 겨울 그리고 봄
67위허트 로커
68위로얄 테넌바움
69위캐롤
70위우리가 들려줄 이야기
71위타부
72위오직 사랑하는 이들만이 살아남는다
73위비포 선셋
74위스프링 브레이커스
75위인히어런트 바이스
76위도그빌
77위잠수종과 나비
78위더 울프 오브 월 스트리트
79위올모스트 페이머스
80위리턴
81위셰임
82위시리어스 맨
83위A.I.
84위그녀
85위예언자
86위파 프롬 헤븐
87위아멜리에
88위스포트라이트
89위머리 없는 여인
90위피아니스트
91위엘 시크레토: 비밀의 눈동자
92위비겁한 로버트 포드의 제시 제임스 암살
93위라따뚜이
94위렛미인
95위문라이즈 킹덤
96위니모를 찾아서
97위백인의 것
98위
99위이삭 줍는 사람들과 나
100위카를로스
레퀴엠
토니 에드만
같이 보기: 미국 영화, 21세기 영화, 코미디 영화, 비영어권 영화, 21세기 TV 시리즈




역대 아카데미 시상식
파일:oscar_logo.svg
장편 애니메이션상
제79회
(2007년)
제80회
(2008년)
제81회
(2009년)
해피 피트 라따뚜이 월-E

역대 골든 글로브 시상식
파일:goldenglobe.png
애니메이션상
제64회
(2007년)
제65회
(2008년)
제66회
(2009년)
라따뚜이 월-E

역대 새턴상 시상식
파일:saturn-award.png
애니메이션 영화상
제33회
(2006년)
제34회
(2007년)
제35회
(2008년)
라따뚜이월-E


라따뚜이 (2007)
Ratatouille
파일:Ratatouille_KR.jpg
픽사 장편 애니메이션
라따뚜이월-E
장르애니메이션, 드라마, 코미디, 가족
감독브래드 버드
제작브래드 루이스
각본브래드 버드
음악마이클 지아키노
출연파일:미국 국기.svg 패튼 오스왈트, 이안 홈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오인성, 최원형
제작사파일:미국 국기.svg 월트 디즈니 픽처스
파일:미국 국기.svg 픽사 애니메이션 스튜디오
수입사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한국 소니 픽쳐스 릴리징 브에나 비스타 영화
배급사파일:미국 국기.svg 브에나 비스타 픽처스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한국 소니 픽쳐스 릴리징 브에나 비스타 영화[1]
개봉일파일:미국 국기.svg 2007년 6월 29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7년 7월 25일
파일:프랑스 국기.svg 2007년 8월 1일
상영 시간115분
제작비1억 5,000만 달러
북미 박스오피스$206,445,654
월드 박스오피스$623,726,085
대한민국 총 관객수1,054,886명
스트리밍파일:Disney+ 로고.svg[[파일:Disney+ 로고 화이트.svg
국내 등급파일:영등위_전체관람가_2021.svg 전체 관람가
홈페이지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1. 개요
2. 예고편
3. 시놉시스
5. 평가
6. 흥행
7. 사운드트랙
8. 2차 창작
8.1. 게임
8.2. 패러디
9. 기타



1. 개요[편집]


누구나 요리할 수 있다.

Anyone can cook.

Tout le monde peut cuisiner.

오귀스트 구스토


모두가 위대한 예술가가 되는 건 아니지만, 위대한 예술가는 어디에서든 나올 수 있다.

Not everyone can become a great artist, but a great artist can come from anywhere.

안톤 이고

픽사에서 제작, 월트 디즈니 컴퍼니에서 배급한 영화. 연출은 브래드 버드 감독. 프랑스가 배경으로, 쥐와 요리라는 어울릴 것 같지 않은 소재를 적절하게 섞어 만들었다.

제목의 유래는 라따뚜이라는 프랑스 요리다. 극중 링귀니의 썰렁한 농담처럼 쥐를 연상시키는 요리 이름이기도 하고[2][3], 나중에는 스토리상 중요한 요리가 된다. 또한 애니메이션의 주제인 "맛있는 요리는 누구나 만들 수 있다. 심지어 쥐도..."라는 주제에 걸맞게 무척이나 만들기 간단한 요리로 사람을 감동시킨다는 의미도 담았다.


2. 예고편[편집]


티저 예고편

공식 예고편


3. 시놉시스[편집]


쉿! 요건 비밀인데... 저 요리해요!

절대미각, 빠른 손놀림, 끓어 넘치는 열정의 소유자 ‘레미’. 프랑스 최고의 요리사를 꿈꾸는 그에게 단 한가지 약점이 있었으니, 바로 주방 퇴치대상 1호인 ‘생쥐’라는 것!

그러던 어느 날, 하수구에서 길을 잃은 레미는 운명처럼 파리의 별 다섯개짜리

최고급 레스토랑에 떨어진다. 그러나 생쥐의 신분으로 주방이란 그저 그림의 떡.

보글거리는 수프, 뚝닥뚝닥 도마소리, 향긋한 허브 내음에 식욕이 아닌 ‘요리욕’이 북받친

레미의 작은 심장은 콩닥콩닥 뛰고 마는데!

쥐면 쥐답게 쓰레기나 먹고 살라는 가족들의 핀잔에도 굴하지 않고 끝내 주방으로 들어가는 레미. 깜깜한 어둠 속에서 요리에 열중하다 재능 없는 견습생 ‘링귀니’에게 ‘딱’ 걸리고 만다. 하지만 해고위기에 처해있던 링귀니는 레미의 재능을 한눈에 알아보고 의기투합을 제안하는데. 과연 궁지에 몰린 둘은 환상적인 요리 실력을 발휘할 수 있을 것인가? 레미와 링귀니의 좌충우돌 공생공사 프로젝트가 아름다운 파리를 배경으로 이제 곧 펼쳐진다!



4. 등장인물[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라따뚜이(영화)/등장인물#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 평가[편집]



















파일:Letterboxd 로고 화이트.svg
(레터박스 Top 250 219위
20XX-XX-XX 기준
)






































파일:네이버 로고 화이트.svg
[[https://movie.naver.com/movie/bi/mi/basic.nhn?code=65021|
기자·평론가
6.25 / 10
관람객
없음 / 10
네티즌
9.30 / 10
]]
[[https://search.naver.com/search.naver?where=nexearch&query=영화++평점|

기자·평론가
6.25 / 10
관람객
없음 / 10
네티즌
9.30 / 10
]]
평점 없음 / 10







파일:다음 로고.svg
평점 8.8 / 10





파일:CGV 로고 화이트.svg
지수 없음%





Fast-paced and stunningly animated, Ratatouille adds another delightfully entertaining entry - and a rather unlikely hero - to the Pixar canon.

빠른 템포로 더없이 훌륭하게 애니메이팅된 라따뚜이는, 픽사 공식 시리즈에 밝고 유쾌한 본작과 다소 예상외인 주인공을 새롭게 등재시킨다.

로튼 토마토 평론가 총평


Literally a Perfect Film

말 그대로 완벽한 영화

바이스 #


픽사의 역대 작품 중 가장 큰 호평을 받은 명작 중 하나로 지금까지도 많은 사랑을 받는다. '세상에서 결코 인정받을 수 없는 천재' 레미와 '자신에게 재능이 없다고 좌절하는' 링귀니를 주인공으로, 세상은 과연 작은 이들의 재능에도 친절할 수 있는가, 결코 포기할 수 없는 꿈이란 무엇인가를 아름답게 그려낸 명작 애니메이션이다. 주방에서 결코 용납되지 않는 쥐가 가장 맛있는 음식을 만든다는 스토리는 "누구나 요리할 수 있다"는 구스토의 모토와 아주 잘 맞게 스토리를 풀어내며 내용을 떠나 많은 의미를 담았다.

어찌 보면 차별을 받지 않고 꿈이 있다면 그 누구나 될 수 있다는 PC주의가 들어간 영화라고도 볼 수 있다. 하지만 우리가 거부감을 느끼지 않는 것은 그 정치적올바름을 너무나 훌륭한 시나리오로 잘 풀어내어 우리가 감상하는 동안 은연히 스며들게 만들었다는 것이 이 작품의 놀라운 점이다. 디즈니의 주토피아와 더불어 사회적 메세지를 담은 훌륭한 애니메이션으로 손에 꼽는다

상영 시간 내내 스토리가 빈틈 없이 전개되고 한층 아름다워진 그래픽은 개봉 이후 10여 년이 지난 지금도 위화감 없이 감상이 가능하다. 프랑스를 배경으로 한 애니메이션, 요리를 주제로 한 애니메이션 중에서는 두말할 것 없이 최고의 애니메이션 중 한 편이다. 프랑스의 식문화에 대한 깊이 있는 스토리로 프랑스에서도 높은 평가를 받았다. 쿵푸팬더가 중국에서 호평을 받은 것과 비슷한 사례다.

픽사의 최전성기를 상징하는 작품들 중 하나로, 픽사는 카 1편에서 잠시 주춤한 이후 라따뚜이-월-E--토이 스토리 3라는 최고의 명작들을 1년 단위로 4년 연속 선보였다.[4] 라따뚜이는 2008년 제80회 아카데미 시상식 장편 애니메이션상, 각본상, 음악상, 음향상, 음향편집상 부문에 노미네이트되어 장편 애니메이션 부문에서 《페르세폴리스》와 《서핑 업》을 제치고 수상했다. 2016년에는 BBC 선정 '21세기 위대한 영화 100편'에도 이름을 올렸다.

실제 요리사들에게 극찬을 받은 영화다. 미국의 스타 셰프이자 방송인 앤서니 보데인(Anthony Bourdain)은 이 영화를 지금까지 만들어진 요리 영화 중 최고라고 평했다. # 개봉 당시 프랑스 최고의 셰프들도 라따뚜이를 호평했다. 또 이 영화가 레스토랑 주방의 환경을 완벽하게 재현했다고 칭찬했다. #

내용과는 별개로 작중 몇 번 등장하는 파리 시내의 전경이 일품이다. 초중반 레미가 파리 시내의 건물에 올라갔을 때 비춰지는 야경, 엔딩 때 다시 나오는 저녁의 파리 모습이 매우 아름답다. 많은 관객들이 이에 대해 상당한 호평을 내렸다.


6. 흥행[편집]


세계적인 호평에 힘입어 흥행에 성공했다. 2000년대 가장 흥행한 픽사 영화 중 하나로, 1억 5천만 달러의 제작비로 전 세계에서 6억 2300만 달러를 벌어들였다. 이전 작품 《[5]》와 《몬스터 주식회사[6]》, 이후 작품 《월-E[7]》보다 더 좋은 흥행 수익을 거두었다.

한국에서는 통합전산망 집계로 100만 명을 넘겼는데, 적다고 느껴질 수도 있겠지만 겨울왕국이 천만 관객을 달성하기 전까지는 한국에서 애니메이션 영화가 100만은커녕 50만 관객도 들기 힘들었던 곳임을 감안하면 상당히 흥행한 셈이다. 명작으로 유명한 토이 스토리 3도 150만명을 채우지 못했다.


7. 사운드트랙[편집]


1Le Festin
2Welcome to Gusteau's
3This Is Me
4Granny Get Your Gun
5100 Rat Dash
6Wall Rat
7Cast of Cooks
8A Real Gourmet Kitchen
9Souped Up
10Is It Soup Yet?
11A New Deal
12Remy Drives a Linguini
13Colette Shows Him Le Ropes
14Special Order
15Kiss & Vinegar
16Losing Control
17Heist To See You
18The Paper Chase
19Remy's Revenge
20Abandoning Ship
21Dinner Rush
22Anyone Can Cook
23End Creditouilles
24Ratatouille Main Theme

OST는 마이클 지아키노가 작곡했다. 앨범은 2007년 6월 26일에 발매했다.

타이틀곡인 샹송Le Festin〉은 프랑스의 가수 카미유 달메가 보컬을 맡았다.


8. 2차 창작[편집]



8.1. 게임[편집]


미니 게임풍으로 제작했으며 켠김에 왕까지 35화에서 플레이하였다.

PC, PSP, NDS로도 나왔는데, 켠김에 왕까지에 나온 내용과 PS2, PC판의 게임 내용이 다르다. PC, PS2, Wii가 같은 판으로, 켠김에 왕까지에 나온 게임은 PS3판이라고 한다. PSP판은 리부트 내지 속편이라 할 정도로 스토리가 다르다.

참고로 원작과 차이가 있으며 좀 내용이 아스트랄한데 스키너가 레미를 잡으려고 쫓아다니다가 레스토랑을 완전히 개박살낸다.(...) 주방도 부수고 손님들이 식사하는 홀도 부수고...

8.2. 패러디[편집]


애니메이션계의 어사일럼으로 취급받는 브라질의 비디오 브린쿠에도가 라따뚜이 개봉 전에 재빨리 아류작을 만들어 개봉했다. 제목도 라따또잉으로 누가 봐도 의도적인 카피작임을 알 수 있다. 그런데 CG 수준이 그야말로 가관이다. 영화 블로그 페니웨이의 괴작열전에 올라온 리뷰에 있는 장면 하나만 봐도 알 것이다.

파일:external/oi44.tinypic.com/29f2gxh.jpg
마지와 바트, 리사의 미식가 에피소드에서 마약 음식점의 요리사가 마지 심슨이 던진 애플파이를 먹고 과거를 회상하는데 안톤 이고의 회상을 패러디했다.

주인공 에블린이 자신의 남편과 딸에게 작중에서 일어나는 온갖 평행세계의 사람에게 빙의하거나 능력을 빌려올 수 있다는 걸 설명하기 위해 해당 작품을 직접 언급한다. 다만 본인이 영화를 잘 기억 못해 사람 머리를 라쿤이 조종해 샥샥샥 슉슉슉해서 요리한다는 식으로 설명한데다 제목도 '라카쿠니'[8]로 잘못 말해 딸이 '라따뚜이' 말하는거냐고 폭소한다. 에블린은 진짜로 쥐가 아니라 라쿤이 주인공으로 나온걸로 믿은 모양이다. 그런데 수많은 멀티버스 속의 에블린의 세계 중 테판야키[9] 요리사 에블린이 근무하는 식당에 진짜 라따뚜이처럼 라쿤이 남자 청년의 모자에 숨어서 남자를 조종해 요리를 한다.



이치가 스크래치의 요리사 모자 안에서 조종하는데 스크래치의 내장과 눈알을 식재료로 이용하여(심지어 다른 고양이들도 함께) 요리해 고양이 손님들에게 주는데 나중에 고양이 손님들이 음식을 먹는 도중 이치가 진실을 말하자 먹던 고양이 손님들이 구토를 한다.

시즌 2 전설의 이발병에서 패러디했다. 시즌 3 비트코인에서도 라따뚜이 매매법이라는 게 나왔으며 Le Festin을 패러디한 노래도 나온다.


9. 기타[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4-04-20 10:56:38에 나무위키 라따뚜이(영화)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소니 픽쳐스 코리아와 브에나비스타인터내셔널코리아가 합쳐진 회사.[2] 쥐+엉덩이라고 표현했다. 더빙판은 '라면에 들어가는 두부'.[3] 재미있는 점은 라따뚜이에는 영미권 속어로 '휘젓고 다니는 쥐'라는 뜻도 있다.[4] 그러나 카 2가 또 안 좋은 소리를 들은 이후 인사이드 아웃이 나오기 전까지 픽사는 암흑기를 맞이하게 된다.[5] 1억 2천만 달러의 제작비로 전 세계에서 4억 6천만 달러를 벌어들였다.[6] 1억 1천만 달러의 제작비로 5억 7천만 달러를 벌어들였다.[7] 1억 8천만 달러의 제작비로 5억 3천만 달러를 벌어들였다.[8] Raccacconie. 국내에는 라따구리로 번역했다.[9] 다양한 쇼맨십을 펼치는 철판요리.[10] 무엇보다 2006년은 개봉 딱 1년 전으로, 작품이 한창 제작되던 시기였다. 깊이 생각할 것 없이 제작되던 시점의 연대를 집어넣은 것.[11] 더빙판에서는 레지스탕스에게 총을 팔았다는 설정으로 바뀌었다.[12] 전자레인지용 냉동식품이 대중화된 것 역시 1980년대이다.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