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언어와의 작별

덤프버전 : (♥ 0)

장뤽 고다르 감독 장편 연출 작품



'언어와의 작별'의 주요 수상 이력
[ 펼치기 · 접기 ]
||
[ 펼치기 · 접기 ]

※ 2016년 BBC는 177명의 국제 영화 평론가들을 대상으로 사상 최고의 21세기 영화 100편을 선정했다.
1위멀홀랜드 드라이브
2위화양연화
3위데어 윌 비 블러드
4위센과 치히로의 행방불명
5위보이후드
6위이터널 선샤인
7위트리 오브 라이프
8위하나 그리고 둘
9위씨민과 나데르의 별거
10위노인을 위한 나라는 없다
11위인사이드 르윈
12위조디악
13위칠드런 오브 맨
14위액트 오브 킬링
15위4개월, 3주... 그리고 2일
16위홀리 모터스
17위판의 미로
18위하얀 리본
19위매드 맥스: 분노의 도로
20위시네도키, 뉴욕
21위그랜드 부다페스트 호텔
22위사랑도 통역이 되나요?
23위히든
24위마스터
25위메멘토
26위25시
27위소셜 네트워크
28위그녀에게
29위월-E
30위올드보이
31위마가렛
32위타인의 삶
33위다크 나이트
34위사울의 아들
35위와호장룡
36위팀북투
37위엉클 분미
38위시티 오브 갓
39위뉴 월드
40위브로크백 마운틴
41위인사이드 아웃
42위아무르
43위멜랑콜리아
44위노예 12년
45위가장 따뜻한 색, 블루
46위사랑을 카피하다
47위리바이어던
48위브루클린
49위언어와의 작별
50위자객 섭은낭
51위인셉션
52위열대병
53위물랑 루즈
54위원스 어폰 어 타임 인 아나톨리아
55위이다
56위베크마이스터 하모니즈
57위제로 다크 서티
58위물라데
59위폭력의 역사
60위징후와 세기
61위언더 더 스킨
62위바스터즈: 거친 녀석들
63위토리노의 말
64위그레이트 뷰티
65위피쉬 탱크
66위봄 여름 가을 겨울 그리고 봄
67위허트 로커
68위로얄 테넌바움
69위캐롤
70위우리가 들려줄 이야기
71위타부
72위오직 사랑하는 이들만이 살아남는다
73위비포 선셋
74위스프링 브레이커스
75위인히어런트 바이스
76위도그빌
77위잠수종과 나비
78위더 울프 오브 월 스트리트
79위올모스트 페이머스
80위리턴
81위셰임
82위시리어스 맨
83위A.I.
84위그녀
85위예언자
86위파 프롬 헤븐
87위아멜리에
88위스포트라이트
89위머리 없는 여인
90위피아니스트
91위엘 시크레토: 비밀의 눈동자
92위비겁한 로버트 포드의 제시 제임스 암살
93위라따뚜이
94위렛미인
95위문라이즈 킹덤
96위니모를 찾아서
97위백인의 것
98위
99위이삭 줍는 사람들과 나
100위카를로스
레퀴엠
토니 에드만
같이 보기: 미국 영화, 21세기 영화, 코미디 영화, 비영어권 영화, 21세기 TV 시리즈




역대 칸 영화제
파일:cannesprixdujury.jpg
심사위원상
제66회
(2013년)
제67회
(2014년)
제68회
(2015년)
그렇게 아버지가 된다마미 / 언어와의 작별더 랍스터

언어와의 작별 (2014)
파일:언어와의 작별 로고.png
파일:2014 언어와의 작별 포스터.jpg
장르
감독 | 각본
제작
브라앵 치우아, 뱅상 마라발, 알랭 사르드
출연
엘로이스 고데, 카멜 압델리, 리차드 슈발리에, 조 브루나우
촬영
파브리스 아라그노
편집
장뤽 고다르, 파브리스 아라그노
제작사
파일:프랑스 국기.svg 와일드 번치, 카날+, CNC
배급사
파일:프랑스 국기.svg 와일드 번치
개봉일
파일:칸 영화제 로고.svg 2014년 5월 21일
파일:프랑스 국기.svg 2014년 5월 28일
파일:부산국제영화제 아이콘.svg 2014년 10월 3일
화면비
1.85 : 1
상영 시간
1시간 10분
제작비
○○
월드 박스오피스
$566,423
북미 박스오피스
$401,889
상영 등급
미정

1. 개요
2. 예고편
3. 등장인물
4. 소개
5. 줄거리
6. 평가
7. 흥행
8. 수상 및 후보 이력
9. 기타
10. 관련 문서
11. 외부 링크



1. 개요[편집]


장뤽 고다르 감독의 2014년작 영화. 제67회 칸 영화제 심사위원상 수상작.

고다르가 만든 최초의 장편 3D 영화로, 롤레의 집 근처에서 파브리스 아라그노 촬영감독과 함께 두대의 3D 카메라[1], 작은 휴대용 카메라, 녹음기만을 사용해 약 4년간 촬영한 작품이다.


2. 예고편[편집]


▲ 예고편


3. 등장인물[편집]


  • 엘로이스 고데 - 조세트 역
  • 카멜 압델리 - 기드온 역
  • 리차드 슈발리에 - 마르쿠스 역
  • 조 브루나우 - 이비치 역
  • 크리스찬 그레고리 - 다비드슨 역
  • 제시카 에릭슨 - 메리 셸리 역
  • 장뤽 고다르 - 내래이션


4. 소개[편집]


실험적이고 난해한 영화세계로 유명한 장 뤽 고다르가 내놓은 신작 3D의 내용을 설명하기란 참으로 난감하다. 관객들 각자가 퍼즐을 맞춰가듯 봐야 할 이 작품을 파편적으로나마 소개하자면 다음과 같을 것이다. 유부녀와 독신 남자가 만나 사랑하는 동안 개 한 마리가 여기저기 돌아다닌다. 여자의 가정은 풍비박산이 된다. 계절이 바뀐 후 이별했던 남녀는 재회하고 개는 그들과 함께 있다. 또 다른 영화가 시작되고, 이제부턴 인간의 존재보다 메타포들이 스크린을 지배한다. 개는 짖고 아기는 울음을 터뜨린다. 이 영화를 칸에서 3D 용 안경을 쓰고 본 많은 이들이 눈의 고통을 호소한 바 있다. 간혹 초점이 맞지 않는 듯 흔들리는 이미지들이 야기하는 두통을 함께 나누면서 혹시 이런 상황이 감독에 의해 의도된 것이 아닐까, 생각했던 것도 같다. 그러나 누가 이 거장에게 반기를 들 수 있을까? 세계 영화사에 이미 한 획을 그은 고다르는 신작을 내놓았다는 사실만으로도 존경 받을 만하다.

출처 : 2014년 제19회 부산국제영화제 이수원 프로그래머 소개



5. 줄거리[편집]




6. 평가[편집]



















파일:Letterboxd 로고 화이트.svg
( XXX위
20XX-XX-XX 기준
)














































파일:네이버 로고 화이트.svg
[[https://movie.naver.com/movie/bi/mi/basic.nhn?code=108538|
기자·평론가
없음 / 10
관람객
없음 / 10
네티즌
없음 / 10
]]
[[https://search.naver.com/search.naver?where=nexearch&query=영화++평점|

기자·평론가
없음 / 10
관람객
없음 / 10
네티즌
없음 / 10
]]
평점 없음 / 10







파일:다음 로고.svg
평점 6.5 / 10





파일:CGV 로고 화이트.svg
지수 없음%






파일:롯데시네마 로고 영문 백색.svg
평점 없음 / 10




파일:메가박스 로고 화이트.svg
평점 없음 / 10



MRQE
평점 66 / 100










As visually thrilling as it is inscrutable, Goodbye to Language 3D offers a late-period masterpiece from a legendary director still very much in control of his craft.

내용이 불가해한만큼이나 시각적으로도 아주 황홀한, <언어와의 작별 3D>는 여전히 자기 자신의 작품을 아주 잘 장악하고 있는 어느 전설적인 감독의 후기 걸작이다.

- 로튼 토마토 총평


고다르 감독의 21세기 후기작들 중에서도 가장 많이 최고작으로 꼽히는 작품 중 하나로, 영화평론가 데이비드 보드웰, 조너선 로젠봄 등 많은 평자들이 2014년 당해 최고의 영화, 혹은 영화 역사상 최고의 3D영화로 꼽은 작품이다. #

1960년대 미국 아방가르드 영화의 대표작인 스탠 브래키지 감독의 <도그 스타 맨> (1964)과 비교하는 평자들도 있다.


7. 흥행[편집]


출처: 박스오피스 모조
국가개봉일총수입 (단위: 미국 달러)기준일
전 세계(최초개봉일)$(세계누적)(기준일자)
개별 국가 (개봉일 순, 전 세계 영화 시장 1, 2위인 북미, 중국은 볼드체)
북미미정미개봉미정
중국미정미개봉미정


7.1. 북미[편집]




7.2. 중국[편집]




7.3. 일본[편집]




7.4. 영국[편집]




7.5. 기타 국가[편집]




8. 수상 및 후보 이력[편집]




9. 기타[편집]





10. 관련 문서[편집]




11. 외부 링크[편집]




[1] 촬영에 사용된 카메라는 캐논 5D 마크-II 2대와 3D 촬영이 가능한 휴대폰 소니 MHS-FS3. 두 대의 DSLR을 사용했기에 3D로 관람할 시 양쪽 눈의 초점이 달라 눈이 피로한 장면들이 있는데, 파브리스 아라그노 촬영 감독의 인터뷰 #에 따르면 촬영 과정에서 우연히 얻은 의외의 효과들이었는데, 고다르 감독이 이것을 보고 또 영감을 받아 작업을 이어나갔다고 한다.[2] 자비에 돌란의 <마미>와 함께 공동 수상했는데, 이때 고다르는 역대 최고령 심사위원상 수상자였고, 돌란은 역대 최연소 수상자였다. 그리고 암컷 개 Roxy Miéville이 개종려상도 수상했다. 그러나 이때에도 영화제에는 참석하지 않은채 대신 자신이 만든 영상을 보냈다.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