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드루즈키우카

덤프버전 :




[ 펼치기 · 접기 ]

특별시
세바스토폴
자치공화국
문서가 있는
도시
· 노보볼린스크 · 노보흐로디프카 · 니코폴 · · 드니프로 · 드루즈키우카 · 로조바 · · 루츠크 · · 르비우 · 리만 · · 리우네 · · · · · 무카체보 · 미콜라이우 · 바라시 · · · · 발라클리야 · · 베리슬라우 · 보리스필 · 보우찬스크 · 볼흐라드 · 부차 · 부흘레다르 · 비시호로드 · 빈니차 · 빌라체르크바 · 빌호로드드니스트로우스키 · · · · · 쇼스트카 · 수미 · 스니후리우카 · · · · 슬라부티치 · 슬라뱐스크 · 시베르스크 · · 아우디이우카 · · · · 오데사 · 오흐티르카 · · 우만 · 우주호로드 · 이르핀 · 이바노프란키우스크 · 이지움 · 이즈마일 · 자포리자 · · 조우티보디 · · 즈메린카 · 지토미르 · 체르니우치 · 체르니히우 · 체르카시 · 추후이우 · · · 카미야네치포딜스키 · 카미얀스케 · · · 코노토프 · 코벨 · 코스토필 · 코스탼티니우카 · 쿠라호베 · 쿠퍈스크 · 크라마토르스크 · 크레멘추크 · · 크로피우니츠키 · 크리비리흐 · 키이우 · 킬리야 · 테르노필 · 테르니우카 · 토레츠크 · 파울로흐라드 · 페르보마이스크 · · 포크로우스크 · · · 폴타바 · 프리피야트 · 하르키우 · · 헤르손 · · 호스토멜 · 후스트 · 흐멜니츠키
빨강 표기
: 전체 또는 일부 지역은 러시아가 점령 중인 상태.
틀:우크라이나 관련 문서
[ 지도 보기 ]
파일:Ukraine_adm_location_map.svg




||
[ 펼치기 · 접기 ]



2023년 4월 1일 행정구역 개편 기준
시(городской округ)의 경우 그 수가 28개에서 12개로 줄었으며, 사라진 시들은 새로운 행정 단위의 일부가 될 것이라고 한다.
군(муниципальный округ)의 경우 2014년 4월 행정구역 개편 당시의 군(район)과 일치하나, 페르쇼트라브네보가 만구시로 변경되었다.



Druzhkivka
Дружківка | Дружковка
드루즈키우카 | 드루즈콥카
파일:드루주키우카기.png파일:드루주키우카시장.png
시기시장
국가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우크라이나
도네츠크주
면적34km²
인구53,977명[1]
시간대UTC+02:00(서머타임 적용)

1. 개요
2. 역사
3. 인구



1. 개요[편집]


드루즈키우카는 도네츠크주 크라마토르스크군의 도시이다. 도시 동남부에 코스탼티니우카가 위치해 있고, 북쪽에 크라마토르스크가 있다.

2. 역사[편집]


1781년에 설립되었다.

19세기 후반부터 20세기까지, 드루즈키우카는 광산 장비와 기계, 하드웨어, 주방 스토브, 도자기 식기 및 벽돌을 생산하는 여러 대형 공장이 있는 중형 산업 도시로 성장했다.

제2차 세계 대전 동안, 드루즈키우카는 1941년 10월 22일부터 1943년 2월 6일까지 그리고 1943년 2월 9일부터 9월 6일까지 독일군에 의해 점령되었다. 점령 기간 동안, 슈츠슈타펠은 많은 지역 유대인들을 죽였다. 마을의 목격자는 슈츠슈타펠이 철도를 따라 유대인들을 교수형에 처했다고 증언했다.

소련 붕괴로 인해 , 공장이 문을 닫거나 거의 작동하지 않는 상태가 되어 높은 실업률과 인구 이주로 이어졌고 이것은 지역 산업이 급격한 쇠퇴하는 원인이 되었다.

결국 1980년대 중반에 80,000명까지 찍은 인구는 현재 60,000명 아래까지 떨어졌다.

2014년 우크라이나 친러 시위로 2014년 4월 중순에 친러시아 분리주의자들에 의해 점령되었다. 하지만 이 도시는 2014년 7월 7일 바흐무트와 함께 우크라이나군에 의해 탈환되었다.

3. 인구[편집]


우크라이나인 (64.4%)
러시아인 (32.2%)
아르메니아인 (0.8%)
벨라루스인 (0.7%)
타타르 (0.3%)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1 18:20:34에 나무위키 드루즈키우카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2022년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