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드우드

최근 편집일시 : (♥ 0)

데드우드의 주요 수상 이력
[ 펼치기 · 접기 ]
||
[ 펼치기 · 접기 ]

※ 2021년 BBC는 43개국의 206명의 TV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21세기 최고의 TV 시리즈 100편을 선정했다.
1위더 와이어
2위매드맨
3위브레이킹 배드
4위플리백
5위왕좌의 게임
6위아이 메이 디스트로이 유
7위레프트오버
8위아메리칸즈
9위오피스(영국)
10위석세션
11위보잭 홀스맨
12위식스 핏 언더
13위트윈 픽스 리턴
14위애틀랜타
15위체르노빌
16위더 크라운
17위30 Rock
18위데드우드
19위LOST
20위더 씩 오브 잇
21위커브 유어 엔수지애즘
22위블랙 미러
23위베터 콜 사울
24위Veep
25위셜록
26위왓치맨
27위라인 오브 듀티
28위프라이데이 나이트 라이츠
29위팍스 앤 레크리에이션
30위걸스
31위트루 디텍티브
32위못말리는 패밀리
33위굿 와이프
34위더 브릿지
35위파고
36위다운튼 애비
밴드 오브 브라더스
38위핸드메이즈 테일
39위오피스(미국)
40위여총리 비르기트
41위시트 크릭 패밀리
42위핍 쇼
43위종이의 집
44위커뮤니티
45위굿 파이트
46위홈랜드
47위그레이 아나토미
48위인사이드 넘버9
49위더 뷰로우
50위홀트 앤 캐치 파이어
51위스몰 액스
52위디스 이즈 잉글랜드
53위연예인 매니저로 살아남기
54위해피 밸리
55위더 실드
56위빅뱅 이론
57위영 포프
58위다크
59위언더그라운드 레일로드
60위하우스 오브 카드
61위아바타 아앙의 전설
62위굿 플레이스
포즈
64위디텍터리스트
65위오렌지 이즈 더 뉴 블랙
66위메어 오브 이스트타운
67위루폴의 드래그 레이스
68위기묘한 이야기
69위24
70위배틀스타 갤럭티카 신 시리즈
71위인라이튼드
72위길모어 걸스
73위살아있는 지구
74위유토피아
75위바빌론 베를린
76위릭 앤 모티
77위아메리칸 크라임 스토리
78위킬링
79위마인드헌터
80위House M.D.
81위O.J.: 메이드 인 아메리카
82위빅 리틀 라이즈
83위인시큐어
84위노멀 피플
나르코스
86위내가 그녀를 만났을 때
87위더 컴백
88위OA
89위덱스터
90위필라델피아는 언제나 맑음
91위웨스트월드
92위쇼 미 어 히어로
93위트레메
94위루이
95위루터
96위카타스트로피
97위한니발
98위크레이지 엑스 걸프렌드
99위스티븐 유니버스
100위퀸스 갬빗
출처
같이 보기: 미국 영화, 21세기 영화, 코미디 영화, 비영어권 영화, 21세기 TV 시리즈




||
[ 펼치기 · 접기 ]

1위소프라노스
2위더 와이어
3위Mad Men
4위The Thick of It
5위브레이킹 배드
6위더 오피스(영국)
7위왕좌의 게임
8위플리백
9위《핍 쇼》
10위《애틀랜타》
11위《해피 밸리》
12위30 Rock
13위라인 오브 듀티
14위커브 유어 엔수지애즘
15위웨스트 윙
16위《나이티 나이트》
17위데드우드
18위걸스
19위《베트남 전쟁》
20위《O.J.: 메이드 인 아메리카》
21위《못말리는 패밀리》
22위트윈 픽스 리턴》
23위블랙 미러
24위더 데일리 쇼 위드 존 스튜어트
25위핸드메이즈 테일
26위《레드 라이딩 트릴로지》
27위《트렌스페어런트》
28위《더 킬링》
29위《스페이스드》
30위킬링 이브
31위아름다운 바다
32위더 오피스(미국)
33위빅 브라더
34위《카타스트로피 》
35위《디스 이스 잉글랜드》
36위《그레이트 브리티시 베이크 오프》
37위《브레스 아이》
38위《디텍토리스트 》
39위굿 와이프
40위《악몽의 힘》
41위프라이데이 나이트 라이츠
42위사우스 파크
43위디 아메리칸즈
44위더 크라운
45위《더 브릿지》
46위닥터후 뉴 시즌》
47위《네이선 발리》
48위베터 콜 사울
49위《인시큐어 》
50위다운튼 애비
51위《패트릭 멜로즈》
52위《굿 파이트》
53위《블랙 북스》
54위팍스 앤 레크리에이션
55위유토피아
56위《더 징크스》
57위섹스 앤 더 시티
58위오렌지 이즈 더 뉴 블랙
59위울프 홀
60위셜록
61위스테이트 오브 플레이
62위《석세션》
63위《쇼 미 어 히어로》
64위《식스 핏 언더》
65위《플라이트 오브 더 콘코즈》
66위《인사이드 넘버 나인》
67위《여총리 비르기트》
68위밴드 오브 브라더스
69위굿 플레이스
70위쉐임리스
71위로스트
72위살아있는 지구
73위《스파이럴》
74위《인비트위너스》
75위필라델피아는 언제나 맑음
76위《베리 잉글리시 스캔들》
77위더 실드
78위《프릭스 앤 긱스》
79위《홀트 앤 캐치 파이어》
80위부통령이 필요해
81위《가빈 & 스테이시》
82위《스트릭틀리 컴 댄싱》
83위버피 더 뱀파이어 슬레이어
84위《루킹》
85위《가글박스》
86위《프레쉬 미트》
87위레프트오버
88위저스티파이드
89위엘 워드
90위24
91위실리콘밸리
92위《가스 메렝기의 다크플레이스》
93위루폴의 드래그 레이스
94위스킨스
95위《더 트립》
96위《브로드 시티》
97위《섀도우 라인》
98위《더 마이티 부시》
99위라이프 온 마스
100위《 아임 어 셀레브리티》
2019년 발표 / 출처




{#white [[파일:타임지 로고 화이트.svg 선정 역대 최고의 TV 쇼}}}
[ 펼치기 · 접기 ]

※ 2007년 미국 주간지 타임이 역대 최고의 TV 쇼(TV 드라마, TV 영화, 방송 프로그램, 코미디 쇼, 만화 등) 100개를 선정했고 하단은 선정된 TV 쇼들이다. 순서는 알파벳 순서이며 순위와는 관계가 없다.
애벗과 코스텔로 쇼ABC 와이드 월드 오브 스포츠앨프리드 히치콕 프리젠츠올 인 더 패밀리미국 가족
아메리칸 아이돌못말리는 패밀리배틀스타 갤럭티카비비스와 버트헤드밥 뉴하트 쇼
브라이즈헤드 리비지티드버팔로 빌버피 더 뱀파이어 슬레이어캐럴 버넷 쇼월터 크롱카이트의 CBS 이브닝 뉴스
찰리 브라운 크리스마스치어스코스비 가족 만세더 데일리 쇼댈러스
그 날 이후데드우드딕 밴다이크 쇼드라그넷에드 설리번 쇼
어니 코박스 쇼펠리시티프릭스 앤 긱스프랑스 셰프프렌즈
제너럴 호스피털조지 번스와 그레이시 앨런 쇼길모어 걸스건스모크힐 스트리트 블루스
살인: 길거리의 일생신혼여행자들클라우디우스 1세왈가닥 루시킹 오브 더 힐
래리 샌더즈 쇼레이트 나잇 위드 데이비드 레터맨비버에게 맡겨 둬로스트못말리는 번디 가족
메리 하트맨 메리 하트맨메리 타일러 무어 쇼M.A.S.H.몽키즈몬티 파이튼의 비행 서커스
블루문 특급MTV 1981-1992마이 소 콜드 라이프미스터리 과학 극장 3000별난 커플
더 오피스(미국)더 오피스(영국)오프라 윈프리 쇼피위의 플레이 하우스플레이하우스 90
그 가격이 맞아요프라임 서스펙트더 프리즈너더 리얼 월드록키와 불윙클 쇼
뿌리로잔느 아줌마샌포드와 아들새터데이 나잇 라이브세컨드 시티 텔레비전
시 잇 나우사인펠드세서미 스트리트섹스 앤 더 시티더 실드
심슨 가족싱잉 디텍티브식스 핏 언더60분소프
소프라노스사우스 파크네모바지 스폰지밥스포츠센터스타트렉 디 오리지널 시리즈
세인트 엘스웨어슈퍼볼과 광고들서바이버택시투나잇 쇼 위드 조니 카슨
24환상특급트윈 픽스웨스트 윙왓 이스 마이 라인?
WKRP 인 신시내티더 와이어와이즈가이엑스파일유어 쇼 오브 쇼스
출처




[ 펼치기 · 접기 ]
※ 2013년 미국 잡가 조합의 회원들인 미국의 각본가들이 선정한 역대 가장 잘 쓰여진 TV 시리즈 순위다.
1위소프라노스
2위사인펠드
3위환상특급
4위《올 인 더 패밀리》
5위M.A.S.H.
6위《메리 타일러 무어 쇼》
7위Mad Men
8위치어스
9위더 와이어
10위웨스트 윙
11위심슨 가족
12위왈가닥 루시
13위브레이킹 배드
14위《딕 반다이크 쇼》
15위《힐 스트리트 블루스》
16위《못말리는 패밀리》
17위더 데일리 쇼 위드 존 스튜어트
18위《식스 핏 언더》
19위《택시》
20위《래리 샌더즈 쇼》
21위30 Rock
22위프라이데이 나이트 라이츠
23위프레이저
24위프렌즈
25위새터데이 나잇 라이브
26위엑스파일
27위로스트
28위ER
29위《더 코스비 쇼》
30위커브 유어 엔수지애즘
31위《더 허니무너스》
32위데드우드
33위스타 트렉: 디 오리지널 시리즈
34위모던 패밀리
35위트윈 픽스
36위《뉴욕경찰 24시》
37위《캐롤 버넷 쇼》
38위배틀스타 갤럭티카
39위섹스 앤 더 시티
40위왕좌의 게임
공동 41위《밥 뉴하트 쇼》
공동 41위《유어 쇼 오브 쇼스》
공동 43위다운튼 애비
공동 43위《떠스티썸팅》
공동 43위Law&Order
공동 46위《홈사이드》
공동 46위《St. Elsewhere》
48위홈랜드
49위버피 더 뱀파이어 슬레이어
공동 50위콜베어 르포
공동 50위더 오피스(영국)
공동 50위굿 와이프
53위《알래스카의 빛》
54위《케빈은 열두살》
55위《L.A. 로》
56위Sesame Street
57위형사 콜롬보
공동 58위폴티 타워즈
공동 58위《록포드 파일즈》
공동 60위블루문 특급
공동 60위《프릭스 앤 긱스》
62위《뿌리》
공동 63위사우스 파크
공동 63위내 사랑 레이먼드
65위《플레이하우스 90》
공동 66위덱스터
공동 66위더 오피스(미국)
68위《마이 소 콜드 라이프》
69위《더 골든 걸스》
70위《앤디 그리핀 쇼》
공동 71위24
공동 71위더 실드
공동 74위《머피 브라운》
공동 74위House M.D.
공동 76위《클라우디우스 1세》
공동 76위《바니 밀러》
78위《오드 커플》
공동 79위스타 트렉: 더 넥스트 제너레이션
공동 79위앨프리드 히치콕 프리젠츠
공동 79위몬티 파이튼의 비행 서커스
83위겟 스마트
공동 84위《디펜더스》
공동 84위《건스모크》
공동 86위트루 블러드
공동 86위저스티파이드
공동 86위《필 실버스 쇼》
88위밴드 오브 브라더스
89위《로완 & 마틴 쇼》
90위《프리즈너》
공동 91위The Muppet Show
공동 91위《앱솔루틀리 패뷸러스》
93위보드워크 엠파이어
94위윌 앤 그레이스
95위《패밀리 타이즈》
공동 96위《머나먼 대서부》
공동 96위《수프》
공동 98위도망자
공동 98위레이트 나잇 위드/쇼 데이비드 레터맨
공동 98위루이
공동 101위《오즈》
2013년 발표 / 출처



엠파이어 매거진 선정 100대 TV쇼
파일:엠파이어 매거진 로고.png
[ 펼치기 · 접기 ]
1위브레이킹 배드
2위왕좌의 게임
3위소프라노스
4위더 와이어
5위프렌즈
6위웨스트윙
7위OA
8위버피 더 뱀파이어 슬레이어
9위LOST
10위닥터후
11위심슨 가족
12위트윈 픽스
13위매드맨
14위배틀스타 갤럭티카
15위데드우드
16위레프트오버
17위스타 트렉: 넥스트 제너레이션
18위밴드 오브 브라더스
19위피키 블라인더스
20위엑스파일
21위사인펠드
22위24
23위팍스 앤 레크리에이션
24위체르노빌
25위셜록
26위30 Rock
27위베터 콜 사울
28위워킹 데드
29위더 실드
30위블랙애더
31위ER
32위M.A.S.H.
33위식스 핏 언더
34위프레이저
35위썬즈 오브 아나키
36위스타 트렉: 디 오리지널 시리즈
37위필라델피아는 언제나 맑음
38위파이어플라이
39위킬링 이브
40위한니발
41위오피스(미국)
42위기묘한 이야기
43위파울티 타워즈
44위플리백
45위아메리칸즈
46위스타 트렉: 딥 스페이스 나인
47위프라이데이 나이트 라이츠
48위못말리는 패밀리
49위스페이스드
50위온리 풀 앤 호스
51위파고
52위오즈
53위프라임 서스펙트
54위웨스트월드
55위라인 오브 듀티
56위House M.D.
57위오피스(영국)
58위환상특급
59위힐 스트리트 블루스
60위트루 디텍티브
61위블랙 미러
62위핸드메이즈 테일
63위마인드헌터
64위파더 테드
65위릭 앤 모티
66위커브 유어 엔수지애즘
67위보드워크 엠파이어
68위노던 익스포저
69위스크럽스
70위사우스 파크
71위프린지
72위엔젤
73위치어스
74위익스팬스
75위보잭 홀스맨
76위덱스터
77위크래커
78위핍 쇼
79위섹스 앤 더 시티
80위레드 드워프
81위더 씩 오브 잇
82위굿 플레이스
83위저스티파이드
84위브루클린 나인-나인
85위내가 그녀를 만났을 때
86위뉴욕경찰 24시
87위나르코스
88위살인 사건: 길거리 생활
89위길모어 걸스
90위굿 와이프
91위몬티 파이튼의 비행 서커스
92위커뮤니티
93위더 브릿지
94위사선을 넘어
95위나는 앨런 파트리지
96위라이프 온 마스
97위브로드처치
98위빅 리틀 라이즈
99위파스케이프
100위로마
2021년 발표 / 출처



롤링 스톤 선정 100대 TV쇼
파일:롤링 스톤 로고.svg
[ 펼치기 · 접기 ]
1위소프라노스
2위더 와이어
3위브레이킹 배드
4위매드맨
5위사인펠드
6위심슨 가족
7위환상특급
8위새터데이 나잇 라이브
9위올 인 더 패밀리
10위더 데일리 쇼
11위프릭스 앤 긱스
12위왕좌의 게임
13위레이트 나잇 위드 데이비드 레터맨
14위래리 샌더즈 쇼
15위웨스트 윙
16위M.A.S.H.
17위트윈 픽스
18위스타트렉: 디 오리지널 시리즈
19위커브 유어 엔수지애즘
20위치어스
21위더 오피스(영국)
22위루이
23위데드우드
24위프라이데이 나이트 라이츠
25위부통령이 필요해
26위프렌즈
27위못말리는 패밀리
28위엑스파일
29위몬티 파이튼의 비행 서커스
30위투나잇 쇼 위드 조니 카슨
31위세서미 스트리트
32위왈가닥 루시
33위사우스 파크
34위30 Rock
35위마이 소 콜드 라이프
36위Law&Order
37위오렌지 이즈 더 뉴 블랙
38위버피 더 뱀파이어 슬레이어
39위로스트
40위더 실드
41위신혼여행자들
42위뉴욕경찰 24시
43위더 아메리칸즈
44위형사 콜롬보
45위배틀스타 갤럭티카
46위메리 타일러 무어 쇼
47위락포드 파일즈
48위더 오피스(미국)
49위택시
50위ER
51위파고
52위콜베어 르포
53위밥 뉴하트 쇼
54위머펫 쇼
55위식스 핏 언더
56위24
57위폴티 타워즈
58위뿌리
59위힐 스티리트 블루스
60위비비스와 버트헤드
61위유어 쇼 오브 쇼스
62위섹스 앤 더 시티
63위케빈은 열두살
64위샤펠 쇼
65위해피 데이스
66위다운튼 애비
67위별난 커플
68위더 스테이트(1993)
69위에드 설리번 쇼
70위로잔느 아줌마
71위미스터 쇼 위드 밥 앤 데이비드
72위걸스
73위트렌스페어런트
74위렌과 스팀피
75위아메리칸 크라임 스토리:사람들 vs OJ 심슨
76위레이트 나이트 위드 코난 오브라이언
77위워킹 데드
78위써티썸씽
79위인 리빙 컬러
80위도망자
81위댈러스
82위더 제퍼슨스
83위하우스 오브 카드
84위리얼 타임 위드 빌 마허
85위더 리얼 월드
86위굿 타임스
87위닥터 후
88위파티 다운
89위홈랜드
90위딕 밴다이크 쇼
91위브로드 시티
92위아메리칸 아이돌
93위미스터리 과학 극장 3000
94위제퍼디!
95위Key & Peele
96위건스모크
97위포틀랜디아
98위더 골든 걸스
99위오즈
100위이스트바운드 앤 다운
2016년 발표 / 출처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Deadwood_Season3.jpg

1. 개요
2. 특징
3. 배경
4. 등장인물
5. 평가



1. 개요[편집]


미국 HBO에서 2004년부터 2006년까지 방영된 서부극 미국 드라마. 1870년대 미국 다코타 준주의 데드우드에서 벌어지는 일들을 그리고 있다.

원래는 다섯 시즌으로 계획된 드라마였다. 시즌 4 각본까지 나왔으나 이야기를 마무리 짓지 못하고 시즌 3을 끝으로 종영되었다. 2008년에 발매된 DVD의 보너스 트랙에서 시즌 4에 나왔을 내용을 소개하고 있다. 2019년에 TV 스폐셜이 제작되었다. TV 스페셜 무비 <데드우드 : 더 무비>는 웨이브에서 시청 가능하다.

잘 나가던 드라마가 시즌 3을 끝으로 캔슬된 이유는 HBO 이사 크리스 올브레크트가 통화 중에 시즌 4의 전체 에피소드 횟수를 12화가 아니라 8화[1]로 제안하자 드라마의 크리에이터 데이비드 밀치가 아예 작품을 접어버리는 선택지를 바로 고려하면서 욕설을 내뱉으며 전화를 끊은 뒤 이 갈등 상황을 배우들에게 알렸고, 이로 인해 외부에 캔슬이 아예 확정된 걸로 널리 알려져버렸기 때문이다. 밀치는 화수가 줄어들면 극의 완성도가 현격히 떨어질 거라 확신해 한 시즌당 12화를 고집하고 있었다. 그런데 밀치가 이렇게 나오자 높은 시청률만큼이나 제작비가 많이 들던 "데드우드"의 캔슬이 HBO 윗선에서 갑자기 고려되기 시작했다. "데드우드"의 단독 촬영장은 당시 미국 드라마 역사상 가장 비싼 세트장 중 하나였다. 이언 맥셰인은 "자존심 대결로 인해 작품이 날아갔다"고 한마디로 정리했다.


2. 특징[편집]



  • 대사에 영국시의 전통인 약강[2] 5보격[3]셰익스피어식 독백 장치가 활용됐다. 전개 과정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며 통상의 서부극에서는 찾기 힘든 깊이감을 더해준다. 아리스토텔레스의 "시학"에 나오는 원리들도 정석대로 적용한 편이다.

  • 엄청난 빈도의 욕설이 등장한다, 총 2,980회, 분당 1.56회의 "fuck"이 등장했으며, "cocksucker"는 300회 가량 나왔다. 영어를 모르는 미스터 우의 경우 거의 모든 대사가 "cocksucker"로만 이루어져 있다.


3. 배경[편집]


데드우드는 이 발견된 이후 사람들이 정부가 수우족과 맺었던 협약을 위반하고 불법 채광소를 세우면서 조성된 마을이다. 자연히 도박사, 매춘부, 말도둑, 노상강도, 선취 특권 횡령범들로 들끓는 무법지대가 되었으며 컬래머티 제인, 와일드 빌 히칵, 세스 불럭 등의 전설적인 주민들과 때로 이곳을 찾던 버펄로 빌, 의사 밸런타인 머길리커디[4] 등의 유명 방문객들로 인해 악명을 떨치게 된다. 캘리포니아 골드 러시(1848-55) 시절을 수놓은 유명 여성 도박사 "매덤 머스태쉬(콧수염 여사)"[5]도 데드우드로 넘어와 매춘업소를 차렸다.

선광(選鑛) 냄비로 사금을 가려내던 방식에서 심부 채광[6]으로 산업 양식이 변화하자 무법자들이 떠나면서 데드우드 협곡[7]을 중심으로 철도가 지나가는 중산층 중심의 동네로 변모했다. 1877년 10월 인근 리드[8]에 홈스테이크 광산 회사[9]가 세워졌는데, 2002년까지 명맥을 이어나가 가장 오랫동안 끊김 없이 채굴이 이뤄진 탄광으로 등극했다. 1879년 9월 26일엔 데드우드에 대화재가 일어나 300여채의 건물을 태웠다. 같은 해 토마스 에디슨이 뉴저지에서 백열전구를 시연했고, 1883년 9월 17일, 판사 스콰이어 P. 로먼즈[10]가 데드우드 플리처 전등 회사[11]를 세운 뒤 에디슨 수동식 정류자 발전기, 전선, 백열등 구체 15개를 주문했다. 1888년, J.K.P. 밀러[12]협궤 철로회사인 데드우드 센트럴 철도회사[13]를 세웠다가 1893년 시카고, 벌링턴, 퀸시 철도회사[14]에 팔았다. 1902년엔 데드우드와 리드를 잇는 일부 구간이 도시간 교통 체계에 편입되면서 전철화되었고 1924년까지 운행되었다. 1930년 표준 궤간으로 교체된 커크-팬테일 교차점[15] 구간을 제외하곤 철로 전체가 버려졌고, 1984년엔 벌링턴 북부 철도회사[16]에서 이마저도 버려버렸다.

데드우드엔 흑인보다 중국인이 많았는데, 중국인 이민자 250여명이 거주하며 사업을 했다. 당시 다코타 준주엔 외국인의 부동산 권리를 제한하는 법이 없었기 때문에 중심가에 모여 살았다. 차이나 타운엔 흑인들, 유럽 이민자들도 함께 섞여있었다. 1876년에 데드우드로 이주해왔으며 1921년 사망할 때까지 지역의 유력 상인으로 지낸 웡 피 리[17]가 유명하다.


4. 등장인물[편집]


이 문서에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 문서가 설명하는 작품이나 인물 등에 대한 줄거리, 결말, 반전 요소 등을 직·간접적으로 포함하고 있습니다.


동명의 실존인물을 바탕으로 했다. 친구인 솔 스타와 함께 철물점을 열고 마을에 정착했다.
드라마에선 17살 때 에토우비코우(Etobicoke)에서 몬타나로 왔다고 소개하지만, 실제로는 앰허스트버그(Amherstburg)에서 태어나 샌드위치(Sandwich)에서 자랐다.

마을의 실세이자 젬 살롱의 주인. 세스 불럭과 앙숙이자 동맹 관계.
실존인물 앨 스웨어엔전(Ellis Alfred "Al" Swearengen, 1845 - 1904)을 바탕으로 했다. 1877년 개장한 유명 매음굴 젬 시어터(Gem Theater)를 22년 동안 운영했던 포주다. 1879년 300채 이상의 건물을 불태운 데드우드 대화재에 휘말려 잿더미가 되자 이를 다시 세웠는데, 1899년에 또 불에 타자 그대로 데드우드를 떴다. 데드우드의 아편 유통도 관리했다.
드라마 속 앨(Al)은 앨프러드(Alfred)가 아니라 앨버트(Albert)의 약칭으로 설정돼있으며 영국 출신("limey")임이 강조되나 실제로는 아이오와 출신이다.

  • 앨머 개럿 (Alma Garret / 말리 파커 분)
선취 특권 신청자[18]였던 브롬 개럿(Brom Garrett)의 미망인.

  • 위트니 엘즈워스 (Whitney Ellsworth / 짐 비버 분)
금광 감정사.

마을의 유일한 의사.
실존했던 여러 명의 데드우드 의사들을 조합했다.

  • 댄 도리티 (Dan Dority / W. 얼 브라운 분)
앨 스웨어엔전의 심복. 킬러 역할.

세스 불럭의 친구. 철물점 주인. 유대인.
동명의 실존인물을 바탕으로 했다.
오하이오 칠리코시[19]에서 자라 몬타나 헬러너[20]에서 토지 감사관[21]과 개인 비서일을 했다. 이후 세스 불락과 데드우드로 와서 함께 철물점을 운영했다. 작중에선 오스트리아 출신이라 나오지만 실제론 바이에른 왕국에서 태어났다.[22]

  • 트릭시 (Trixie / 폴러 맬컴슨 분)
젬 살롱의 창녀.

  • 찰리 어터 (Charlie Utter / 데이턴 캘리 분)
와일드 빌 히칵의 동료.
동명의 실존인물 바탕.

  • E. B. 파넘 (E. B. Farnum / 윌리엄 샌더슨 분)
그랜드 센트럴 호텔의 주인.
동명의 실존인물 바탕.

  • 캐너리 제인 (Cannary Jane / 라빈 와이거트 분)
와일드 빌 히칵의 동료. 대사의 대부분이 욕인 여장부.
동명의 실존인물 컬래머티 제인 바탕.

  • 자니 번즈 (Johnny Burns / 숀 브리저스 분)
앨 스웨어엔전의 심복.

  • 탐 너털 (Tom Nuttall / 리안 리피 분)
마을 술집의 주인.
실존인물 빌리 너털(Billy Nuttall)을 바탕으로 하고 있다.

신문사 블랙 힐즈 파이어니어(The Black Hills Pioneer)를 홀로 운영하는 기자.
동명의 실존 인물 앨버트 월터 메릭(Albert Walter Merrick, 1840 - 1902)에 바탕을 두었다. 실제 신문 이름은 주간신문인 블랙 힐즈 위클리 파이어니어(Black Hills Weekly Pioneer)였으며, 오늘날 일간신문 블랙 힐즈 파이어니어(Black Hills Pioneer)로 명맥을 이어가고 있다. 1880년에도 데드우드에 거주했다.

  • 조우니 스터브즈 (Joanie Stubbs / 킴 디컨즈 분)
젬 살롱의 경쟁 살롱인 더 벨러 유니언(The Bella Union)의 마담.
실존인물 도러 듀프런(Dora DuFran)을 바탕으로 했다.

젬 살롱의 경쟁 살롱인 더 벨러 유니언의 주인.
실존인물 탐 밀러(Tom Miller)를 바탕으로 했다.

  • 사일러스 애덤즈 (Silas Adams / 타이터스 웰러버 분)
양크톤의 연락책이었다가 앨 스웨어엔전의 심복이 된다.

  • 마서 불럭 (Martha Bullock / 애너 건[23] 분)
세스 불럭의 형수.
동명의 실존인물을 바탕으로 했다. 데드우드에서 지도자 역할을 한 주민들 중 하나였다. 실제로는 세스 불럭의 아내였고, 세스 불럭과 어려서부터 연인 사이였으며, 세스 불럭의 형제와 관계한 적이 전혀 없다.

  • 리안 (Leon / 래리 시더 분)
사이 톨리버의 심복. 약쟁이.

  • 주얼 콜필드 (Jewel Caulfield / 제리 줄[24] 분)
젬 살롱의 일꾼. 한쪽 다리를 절뚝임.

그랜드 센트럴 호텔의 일꾼.

  • 미스터 우 (Mr. Wu / 키오니 영 분)
차이나 타운의 실세. 뒷수습 전문가. 거의 모든 대사가 한 단어 "cocksucker"로 끝난다.

동명의 실존인물을 바탕으로 했다.
당시 서부에서 모르는 사람이 없던 유명한 명사수.

  • 조지 허스트 (George Hearst / 제럴드 머크레이니 분)
동명의 실존인물 바탕.

  • 새뮤얼 필즈 (Samuel Fields / 프랭클린 어자이어 분)
동명의 실존인물을 바탕으로 했다. 1876년경 일확천금을 꿈꾸며 이주했다. 남북전쟁 때 북군으로 싸웠는데, 장군이었다고 거짓말을 하고 다녀서 "필즈 장군(General Fields)" 등의 별명이 있었다. 흑인 정치 모임에 참여했고 연설을 잘해 "검둥이 셰익스피어(Shakespearian Darkey)"라는 별명도 붙었다.
1878년 인근에 본인의 이름을 딴 게이빌(Gayville)까지 있을 정도로 명망이 있던 지역 인사 빌 게이(Bill Gay)의 아내가 불륜을 저질렀다. 이때 필즈는 빌 게이의 아내와 불륜 상대 사이에서 오가는 편지를 전달하는 일을 했다. 어느 날 빌 게이가 불륜 현장에 들이닥쳐 아내의 불륜 상대를 총으로 죽이는 바람에 필즈가 공범으로 몰렸다. 필즈는 풀려났으나 게이는 2급 살인을 선고 받았다. 필즈는 데드우드의 첫 공립학교 교사 살인범으로 의심 받은 적도 있다. 계속된 살인 혐의로 민심이 험악해졌음에도 불구하고 1879년 데드우드 판사 자리에 지원했는데, 연설 중 군중들에게 계란 세례를 받았고, 선거에서 졌다. 1883년 검시관으로 일했다.

  • 잭 머콜 (Jack McCall / 개릿 딜라헌트 분)
동명의 실존인물 바탕.

  • 스미스 목사 (Reverend Smith)
실존인물 헨리 웨스턴 스미스(Henry Weston Smith, 1827 - 1876)를 바탕으로 했다. 데드우드에 최초로 나타난 목사다. 다른 사람들과 마찬가지로 돈을 노리고 이주했을 것이며 술집 단골이었다는 거짓된 인신공격을 오래 당했지만, 실제로는 술집에서 단 한 번도 목격된 적이 없고, 돈에 관심이 없었으며, 성실하게 설교를 했기 때문에 상당한 존경을 받았다고 한다.
23살에 설교 자격을 땄고[25] 이후 감리교 목사가 되었다. 남북전쟁에선 매사추세츠 제52보병사단에서 복무했다. 1867년 의사가 되었다. 1876년 교회에서 파견 요청을 받지도 않았는데, 자진해서 골드 러시가 시작된 데드우드를 향해 도보로 이동했다. 1876년 5월 도착하자마자 길거리에서 설교를 시작했다. 주중엔 막노동, 시굴(試掘), 채굴 등을 했다.

  • 앤디 크레임드 (Andy Cramed / 잭 그레니에이[26] 분)
데드우드에 천연두를 퍼트리게 된다.
동명의 실존인물 바탕.

  • 매디 (Maddie / 앨리스 크리거 분)
쉐이 에이미스(Chez Amis)의 마담.

  • 미스 이즈링호우전 (Miss Isringhausen / 새러 폴슨 분)
소피어[27]의 가정교사/핑커튼 전미탐정사무소 요원.

동명의 실존인물 바탕. 공연 기획자.

동명의 실존인물 바탕.

동명의 실존인물 바탕.


5. 평가[편집]


세 시즌 동안 꽤 좋은 평가를 받았다.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27f8d03d313a6837fc088b3c8a3c8ba.png
시즌123
점수809385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2 23:12:08에 나무위키 데드우드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혹은 6화나 10화라는 얘기도 있다. 올브레크트는 자신이 이런 제안을 하긴 했으나 밀치가 원하면 화수를 다시 원래대로 늘려줄 생각이었다고 말했다.[2] iambic. 강세가 없거나 짧은 음절 하나 뒤에 강세가 있거나 긴 음절이 이어지는 형태.[3] pentameter. 시 한 행 안에 강세가 들어간 음절이 다섯 개 들어가 규칙적인 운율이 발생한다.[4] Dr. Valentine McGillycuddy.[5] Eleanor Alphonsine "Madame Mustache" Dumont. 1829 - 1879. 윗입술 위의 털이 짙어 남자들의 콧수염(mustache)처럼 보여 붙여진 별명이다.[6] deep mining.[7] Deadwood Gulch.[8] Lead.[9] The Homestake Mine.[10] Squire P. Romans. 1833 - 1899.[11] Pilcher Electric Light Company of Deadwood.[12] J.K.P. Miller.[13] Deadwood Central Railroad.[14] Chicago, Burlington and Quincy Railroad.[15] Fantail Junction.[16] Burlington Northern Railroad.[17] Wong Fee Lee.[18] claim seeker.[19] Chillicothe.[20] Helena.[21] territorial auditor.[22] 둘 다 당시 독일 연방 소속이었다.[23] 미국 드라마 브레이킹 배드에서 스카일러 화이트 역을 연기했다.[24] Geraldine Ann "Geri" Jewell. 1956-. TV 시리즈에서 반복출연하는 역할을 맡은 최초의 뇌성마비환자 연기자다.[25] lay preacher/exhorter. 평신도 신분이지만 예배 시간 외에 길거리 등지에서 설교 및 전도를 해도 된다는 허가를 받은 것이다.[26] Zach Grenier.[27] 노르웨이 이민자 가족 중 유일한 생존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