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노다 다케시

덤프버전 :

[ 펼치기 · 접기 ]

#000,#e5e5e5 ||<-5><tablewidth=100%><tablebgcolor=#fff,#1f2023><bgcolor=#980000> {{{#fff '''국가공안위원장 {{{-3 (1948년~1954년)}}}'''}}} || ||<-5>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f2023><width=20%> {{{-2 초대}}}[br][[쓰지 지로]] ||<width=20%> {{{-2 2대}}}[br][[아오키 긴이치]] ||
|| ||<-5><bgcolor=#f0f0f0,#000>
|| ||<-5><bgcolor=#980000> {{{#fff '''총리부 외국 {{{-3 (1954년~2001년)}}} · 내각부 외국 {{{-3 (2001년~현재)}}}'''}}} || ||<-5>
||<tablewidth=100%><width=40%><-2><bgcolor=#FFFF54>
[[요시다 시게루|{{{#000 {{{-2 요시다 내각}}}}}}]]
||<width=60%><-3><bgcolor=#99B022>
[[하토야마 이치로|{{{#fff {{{-2 하토야마 내각}}}}}}]]
||
|| ||<width=20%> {{{-2 초대}}}[br][[고사카 젠타로 ]] ||<width=20%> {{{-2 2대}}}[br][[오하라 나오시]] ||<width=60%><-3> {{{-2 3-5대}}}[br][[오아사 다다오]] || ||<-5><bgcolor=#f0f0f0,#000>
|| ||<-5>
||<tablewidth=100%><width=20%><bgcolor=#3CA324>
[[이시바시 단잔|{{{#fff {{{-2 이시바시 내각}}}}}}]]
||<width=80%><-4><bgcolor=#3CA324>
[[기시 노부스케|{{{#fff {{{-2 기시 내각}}}}}}]]
||
|| ||<width=40%><-2> {{{-2 6·7대}}}[br][[오쿠보 도메지로]] ||<width=20%> {{{-2 8대}}}[br][[쇼리키 마쓰타로]] ||<width=20%> {{{-2 9대}}}[br][[아오키 마사시]] ||<width=20%> {{{-2 10대}}}[br][[이시하라 간이치로]] || ||<-5><bgcolor=#f0f0f0,#000>
|| ||<-5>
||<tablewidth=100%><width=100%><-5><bgcolor=#3CA324>
[[이케다 하야토|{{{#fff {{{-2 이케다 내각}}}}}}]]
||
|| ||<width=20%> {{{-2 11대}}}[br][[야마자키 이와오]] ||<width=20%> {{{-2 12대}}}[br][[스토 히데오]] ||<width=20%> {{{-2 13대}}}[br][[야스이 겐]] ||<width=20%> {{{-2 14대}}}[br][[시노다 고사쿠]] ||<width=20%> {{{-2 15·16대}}}[br][[하야카와 다카시]] || ||<-5><bgcolor=#f0f0f0,#000>
|| ||<-5>
||<tablewidth=100%><width=60%><-3><bgcolor=#3CA324>
[[이케다 하야토|{{{#fff {{{-2 이케다 내각}}}}}}]]
||<width=40%><-2><bgcolor=#3CA324>
[[사토 에이사쿠|{{{#fff {{{-2 사토 내각}}}}}}]]
||
|| ||<width=20%> {{{-2 15·16대}}}[br][[하야카와 다카시]] ||<width=20%> {{{-2 17대}}}[br][[아카자와 마사미치]] ||<width=40%><-2> {{{-2 18·19대}}}[br][[요시타케 에이치]] ||<width=20%> {{{-2 20대}}}[br][[나가야마 다다노리]] || ||<-5><bgcolor=#f0f0f0,#000>
|| ||<-5>
||<tablewidth=100%><width=100%><-5><bgcolor=#3CA324>
[[사토 에이사쿠|{{{#fff {{{-2 사토 내각}}}}}}]]
||
|| ||<width=20%> {{{-2 21대}}}[br][[시오미 슌지]] ||<width=40%><-2> {{{-2 22·23대}}}[br][[후지에다 센스케]] ||<width=20%> {{{-2 24대}}}[br][[아카자와 마사미치]] ||<width=20%> {{{-2 25·26대}}}[br][[아라키 마스오]] || ||<-5><bgcolor=#f0f0f0,#000>
|| ||<-5>
||<tablewidth=100%><width=40%><-2><bgcolor=#3CA324>
[[사토 에이사쿠|{{{#fff {{{-2 사토 내각}}}}}}]]
||<width=60%><-3><bgcolor=#3CA324>
[[다나카 카쿠에이|{{{#fff {{{-2 다나카 내각}}}}}}]]
||
|| ||<width=20%> {{{-2 25·26대}}}[br][[아라키 마스오]] ||<width=20%> {{{-2 27대}}}[br][[나카무라 도라타]] ||<width=20%> {{{-2 28대}}}[br][[기무라 다케오]] ||<width=20%> {{{-2 29대}}}[br][[에사키 마스미]] ||<width=20%> {{{-2 30대}}}[br][[마치무라 긴고]] || ||<-5><bgcolor=#f0f0f0,#000>
|| ||<-5>
||<tablewidth=100%><width=20%><bgcolor=#3CA324>
[[다나카 카쿠에이|{{{#fff {{{-2 다나카 내각}}}}}}]]
||<width=40%><-2><bgcolor=#3CA324>
[[미키 다케오|{{{#fff {{{-2 미키 내각}}}}}}]]
||<width=40%><-2><bgcolor=#3CA324>
[[후쿠다 다케오|{{{#fff {{{-2 후쿠다 내각}}}}}}]]
||
|| ||<width=40%><-2> {{{-2 31·32대}}}[br][[후쿠다 하지메]] ||<width=20%> {{{-2 33대}}}[br][[아마노 기미요시]] ||<width=20%> {{{-2 34대}}}[br][[오가와 헤이지]] ||<width=20%> {{{-2 35대}}}[br][[가토 다케노리]] || ||<-5><bgcolor=#f0f0f0,#000>
|| ||<-5>
||<tablewidth=100%><width=40%><-2><bgcolor=#3CA324>
[[오히라 마사요시|{{{#fff {{{-2 오히라 내각}}}}}}]]
||<width=60%><-3><bgcolor=#3CA324>
[[스즈키 젠코|{{{#fff {{{-2 스즈키 내각}}}}}}]]
||
|| ||<width=20%> {{{-2 36대}}}[br][[시부야 나오조]] ||<width=20%> {{{-2 37대}}}[br][[고토다 마사하루]] ||<width=20%> {{{-2 38대}}}[br][[이시바 지로]] ||<width=20%> {{{-2 39대}}}[br][[아비코 도키치]] ||<width=20%> {{{-2 40대}}}[br][[세코 마사타카]] || ||<-5><bgcolor=#f0f0f0,#000>
|| ||<-5>
||<tablewidth=100%><width=100%><-5><bgcolor=#3CA324>
[[나카소네 야스히로|{{{#fff {{{-2 나카소네 내각}}}}}}]]
||
|| ||<width=20%> {{{-2 41대}}}[br][[야마모토 사치오]] ||<width=20%> {{{-2 42대}}}[br][[다가와 세이이치]] ||<width=20%> {{{-2 43대}}}[br][[후루야 도오루]] ||<width=20%> {{{-2 44대}}}[br][[오자와 이치로]] ||<width=20%> {{{-2 45대}}}[br][[하나시 노부유키]] || ||<-5><bgcolor=#f0f0f0,#000>
|| ||<-5>
||<tablewidth=100%><width=40%><-2><bgcolor=#3CA324>
[[다케시타 노보루|{{{#fff {{{-2 다케시타 내각}}}}}}]]
||<width=20%><bgcolor=#3CA324>
[[우노 소스케|{{{#fff {{{-2 우노 내각}}}}}}]]
||<width=40%><-2><bgcolor=#3CA324>
[[가이후 도시키|{{{#fff {{{-2 가이후 내각}}}}}}]]
||
|| ||<width=20%> {{{-2 46대}}}[br][[가지야마 세이로쿠]] ||<width=40%><-2> {{{-2 47·48대}}}[br][[사카노 시게노부]] ||<width=20%> {{{-2 49대}}}[br][[와타나베 고조]] ||<width=20%> {{{-2 50대}}}[br][[오쿠다 게이와]] || ||<-5><bgcolor=#f0f0f0,#000>
|| ||<-5>
||<tablewidth=100%><width=20%><bgcolor=#3CA324>
[[가이후 도시키|{{{#fff {{{-2 가이후 내각}}}}}}]]
||<width=40%><-2><bgcolor=#3CA324>
[[미야자와 기이치|{{{#fff {{{-2 미야자와 내각}}}}}}]]
||<width=20%><bgcolor=#037766>
[[호소카와 모리히로|{{{#fff {{{-2 호소카와 내각}}}}}}]]
||<width=20%><bgcolor=#007cda>
[[하타 쓰토무|{{{#fff {{{-2 하타 내각}}}}}}]]
||
|| ||<width=20%> {{{-2 51대}}}[br][[후키다 아키라]] ||<width=20%> {{{-2 52대}}}[br][[시오카와 마사주로]] ||<width=20%> {{{-2 53대}}}[br][[무라타 게이지로]] ||<width=20%> {{{-2 54대}}}[br][[사토 간주]] ||<width=20%> {{{-2 55대}}}[br][[이시이 하지메]] || ||<-5><bgcolor=#f0f0f0,#000>
|| ||<-5>
||<tablewidth=100%><width=40%><-2><bgcolor=#173283>
[[무라야마 도미이치|{{{#fff {{{-2 무라야마 내각}}}}}}]]
||<width=60%><-3><bgcolor=#3CA324>
[[하시모토 류타로|{{{#fff {{{-2 하시모토 내각}}}}}}]]
||
|| ||<width=20%> {{{-2 56대}}}[br][[노나카 히로무]] ||<width=20%> {{{-2 57대}}}[br][[후카야 다카시]] ||<width=20%> {{{-2 58대}}}[br][[구라타 히로유키]] ||<width=20%> {{{-2 59대}}}[br][[시라카와 가쓰히코]] ||<width=20%> {{{-2 60대}}}[br][[우에스기 미쓰히로]] || ||<-5><bgcolor=#f0f0f0,#000>
|| ||<-5>
||<tablewidth=100%><width=60%><-3><bgcolor=#3CA324>
[[오부치 게이조|{{{#fff {{{-2 오부치 내각}}}}}}]]
||<width=60%><-2><bgcolor=#3CA324>
[[모리 요시로|{{{#fff {{{-2 모리 내각}}}}}}]]
||
|| ||<width=20%> {{{-2 61·65대}}}[br][[니시다 마모루]] ||<width=20%> {{{-2 62대}}}[br][[노다 다케시]] ||<width=40%><-2> {{{-2 63·64대}}}[br][[호리 고스케]] ||<width=20%> {{{-2 61·65대}}}[br][[니시다 마모루]] || ||<-5><bgcolor=#f0f0f0,#000>
|| ||<-5>
||<tablewidth=100%><width=20%><bgcolor=#3CA324>
[[모리 요시로|{{{#fff {{{-2 모리 내각}}}}}}]]
||<width=80%><bgcolor=#3CA324>
[[고이즈미 준이치로|{{{#fff {{{-2 고이즈미 내각}}}}}}]]
||
|| ||<width=20%> {{{-2 66대}}}[br][[이부키 분메이]] ||<width=20%> {{{-2 67대}}}[br][[무라이 진]] ||<width=20%> {{{-2 68대}}}[br][[다니가키 사다카즈]] ||<width=40%><-2> {{{-2 69·70대}}}[br][[오노 기요코]] || ||<-5><bgcolor=#f0f0f0,#000>
|| ||<-5>
||<tablewidth=100%><width=60%><-3><bgcolor=#3CA324>
[[고이즈미 준이치로|{{{#fff {{{-2 고이즈미 내각}}}}}}]]
||<width=40%><-2><bgcolor=#3CA324>
[[제1차 아베 신조 내각|{{{#fff {{{-2 아베 내각}}}}}}]]
||
|| ||<width=40%><-2> {{{-2 71·72대}}}[br][[무라타 요시다카]] ||<width=20%> {{{-2 73대}}}[br][[구쓰가케 데쓰오]] ||<width=20%> {{{-2 74대}}}[br][[미조테 겐세이]] ||<width=20%> {{{-2 75·76대}}}[br][[이즈미 신야]] || ||<-5><bgcolor=#f0f0f0,#000>
|| ||<-5>
||<tablewidth=100%><width=40%><-2><bgcolor=#3CA324>
[[후쿠다 야스오|{{{#fff {{{-2 후쿠다 내각}}}}}}]]
||<width=40%><-2><bgcolor=#3CA324>
[[아소 내각|{{{#fff {{{-2 아소 내각}}}}}}]]
||<width=20%><bgcolor=#EC1C24>
[[하토야마 유키오 내각|{{{#fff {{{-2 하토야마 내각}}}}}}]]
||
|| ||<width=20%> {{{-2 75·76대}}}[br][[이즈미 신야]] ||<width=20%> {{{-2 77·79대}}}[br][[하야시 모토오]] ||<width=20%> {{{-2 78대}}}[br][[사토 쓰토무]] ||<width=20%> {{{-2 77·79대}}}[br][[하야시 모토오]] ||<width=20%> {{{-2 80·81대}}}[br][[나카이 히로시]] || ||<-5><bgcolor=#f0f0f0,#000>
|| ||<-5>
||<tablewidth=100%><width=60%><-3><bgcolor=#EC1C24>
[[간 나오토|{{{#fff {{{-2 간 내각}}}}}}]]
||<-2><width=40%><bgcolor=#EC1C24>
[[노다 요시히코|{{{#fff {{{-2 노다 내각}}}}}}]]
||
|| ||<width=20%> {{{-2 80·81대}}}[br][[나카이 히로시]] ||<width=20%> {{{-2 82대}}}[br][[오카자키 도미코]] ||<width=20%> {{{-2 83대}}}[br][[나카노 간세이]] ||<width=20%> {{{-2 84대}}}[br][[야마오카 겐지]] ||<width=20%> {{{-2 85대}}}[br][[마쓰바라 진]] || ||<-5><bgcolor=#f0f0f0,#000>
|| ||<-5>
||<tablewidth=100%><width=20%><bgcolor=#EC1C24>
[[노다 요시히코|{{{#fff {{{-2 노다 내각}}}}}}]]
||<-4><width=80%><bgcolor=#3CA324>
[[아베 신조 내각|{{{#fff {{{-2 아베 내각}}}}}}]]
||
|| ||<width=20%> {{{-2 86대}}}[br][[고다이라 타다마사]] ||<width=20%> {{{-2 87대}}}[br][[후루야 게이지]] ||<width=40%><-2> {{{-2 88·89대}}}[br][[야마타니 에리코]] ||<width=20%> {{{-2 90대}}}[br][[고노 다로]] || ||<-5><bgcolor=#f0f0f0,#000>
|| ||<-5>
||<tablewidth=100%><-5><width=100%><bgcolor=#E50038>
[[아베 신조 내각|{{{#fff {{{-2 아베 내각}}}}}}]]
||
|| ||<width=20%> {{{-2 91대}}}[br][[마쓰모토 준]] ||<width=40%><-2> {{{-2 92·93·96대}}}[br][[오코노기 하치로]] ||<width=20%> {{{-2 94대}}}[br][[야마모토 준조]] ||<width=20%> {{{-2 95대}}}[br][[다케다 료타]] || ||<-5><bgcolor=#f0f0f0,#000>
|| ||<-5>
||<tablewidth=100%><-2><width=40%><bgcolor=#E50038>
[[스가 내각|{{{#fff {{{-2 스가 내각}}}}}}]]
||<-3><width=60%><bgcolor=#E50038>
[[기시다 내각|{{{#fff {{{-2 기시다 내각}}}}}}]]
||
|| ||<width=20%> {{{-2 92·93·96대}}}[br][[오코노기 하치로]] ||<width=20%> {{{-2 97대}}}[br][[다나하시 야스후미]] ||<-2><width=40%> {{{-2 98·99대}}}[br][[니노유 사토시]] ||<width=20%> {{{-2 100대}}}[br][[다니 고이치]] || ||<-5><bgcolor=#f0f0f0,#000>
|| ||<-5>
||<width=20%><bgcolor=#E50038>
[[기시다 내각|{{{#fff {{{-2 기시다 내각}}}}}}]]
||<-4> ||
|| ||<width=20%> {{{-2 101대}}}[br][[마쓰무라 요시후미]] ||




역임한 직위
[ 펼치기 · 접기 ]

파일:shuugiin_logo.png 일본 중의원 (구마모토 2구)
선거제도 개편제41~42대
노다 다케시
제43대
하야시다 다케시
제43대
하야시다 다케시
제44대
노다 다케시
제45대
후쿠야마 겐이치로
제45대
후쿠야마 겐이치로
제46~48대
노다 다케시
제49대
니시노 다이스케

파일:보수당 로고1.png 보수당(일본) 대표
[ 펼치기 · 접기 ]


||<tablewidth=100%><table bgcolor=#fff,#191919><width=25%> 초대
오기 치카게 ||<width=25%> 2대
노다 다케시 ||
||<-4><bgcolor=#ffffff,#191919> ||





일본국 제62대 국가공안위원장
노다 다케시
野田毅 | Noda Takeshi
파일:노다다케시.png
출생1941년 10월 3일 (82세)
도쿄부 도쿄시 스기나미구
(現 도쿄도 스기나미구)
현직일중협회 회장[1]
재임기간제53대 건설대신
1989년 6월 3일 ~ 1989년 8월 10일
제45대 경제기획청장관
1991년 11월 5일 ~ 1992년 12월 12일
제52대 자치대신
제62대 국가공안위원장
1999년 1월 14일 ~ 1999년 10월 5일
SNS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 파일:라인 아이콘.svg
[ 펼치기 · 접기 ]

학력오사카부립 네야가와 고등학교 (졸업)
도쿄대학 법학부 (법학 / 학사)
가족장인 노다 다케오[1]
부인 노다 미도리
소속 정당

소속 파벌근미래정치연구회
지역구구마모토 2구
의원 선수16 (중)
의원 대수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약력대장성 관료
舊 구마모토현 제1구 중의원
경제기획 정무차관
통상산업 정무차관
중의원 상공위원장
건설대신
경제기획청 장관
구마모토현 제2구 중의원
자치대신 겸 국가공안위원장
보수당 간사장
보수당 당수
자유민주당 중의원 의원회장
자유민주당 세제조사회장

[1] 중의원 8선의원. 전 총리부총무장관, 자치대신.

1. 개요
2. 생애 및 정치 활동
3. 성향
4. 소속 정당
5. 선거 이력
6. 둘러보기



1. 개요[편집]


일본의 정치인. 2021년까지 자유민주당 소속 중의원 의원들 중 최다선 의원이었고, 1972년부터 현재까지 50년간 16선을 지냈다. 참고로 전체 중의원 중 현직 최다선은 17선인 오자와 이치로이다. 2021년 총선거에서 오자와가 비례부활로 18선에 성공한 반면 노다는 비례 중복입후보를 못 해[2] 낙선 후 은퇴했다.


2. 생애 및 정치 활동[편집]


도쿄부 도쿄시 스기나미구 출신으로, 니혼대학 교수를 지낸 고다치 미노루(小立稔)의 차남으로 태어났다. 아버지와는 전쟁 때 오사카의 피난소에서 사별하였다.

1960년 오사카부립 네야가와 고등학교, 1964년 도쿄대학 법학부를 졸업하고 대장성에 입성한다. 주세국 총무과에 배속된 이래, 호도가야세무서장, 이재국 과장보좌 등으로 근무하였다.

1968년 자치대신을 지내던 노다 다케오(野田武夫) 의원의 딸 미도리와 결혼하며 성을 노다(野田)로 바꾸며 데릴사위이자 정치적 후계자가 된다. 1972년 노다 다케오의 급서로, 그해 말 치러진 제33회 중의원 의원 총선거에 그의 지반을 이어 출마하여 당선된다. 지역구는 소선거제 이후 구마모토현 제2구로 바뀌는 舊 구마모토현 제1구.

1978년 경제기획 정무차관, 1980년 통상산업 정무차관, 1986년 중의원 상공위원장 등을 지낸다. 1989년 6월 우노 내각에서 건설대신에 임명되어 첫 입각. 1991년 11월, 미야자와 내각에서 경제기획청 장관으로 2번째 입각.

1994년 자민당 · 일본사회당 · 신당 사키가케 3당이 연립정권 수립에 합의하고 수반 지명 선거에 일본사회당 중앙집행위원장 무라야마 도미이치를 옹립하기로 결정한다. 그러나 노다의 정치적 스승인 나카소네 야스히로 전 총리와 와타나베 미치오[3]등이 무라야마 수반에 반발하고 노다는 수반 지명 선거에 패한 당시 본인 파벌의 대표 가이후 도시키 전 총리 등과 함께 탈당, 가이후를 당수로 한 자유개혁연합을 결성하지만 곧 신진당에 합류한다.

1996년 소선거구제 도입 후 최초로 치러진 제41회 중의원 의원 총선거에서는 구마모토 2구에서 출마한 자민당 공인의 하야시다 다케시를 물리치고 이후의 신진당 분당에서 오자와 이치로와 행동을 같이하여 자유당을 결성한다.

1999년, 오부치 제1차 개조내각에선 자유당이 연립 여당이 되어 자치대신 겸 국가공안위원회 위원장에 취임해 3번째로 입각한다.

2000년 자유당이 분열했을 때는 오자와와 갈라서고 가이후, 가토 무쓰키[4], 니카이 도시히로 들과 보수당을 새롭게 결성, 여당 잔류의 길을 선택했다. 창당 보수당의 간사장으로 취임한다.

2001년 , 오기 치카게의 후임 보수당 당수로 취임한다. 이후 보수당은 구마가이 히로시등이 합류, 보수신당으로 당명을 수정하지만 노다는 보수신당에 참여하지 않고 고이케 유리코 등과 정치 단체 "보수 클럽"을 결성 한 후, 자민당에 복당했다. 자민당에서는 나카소네 파에서 갈라진 야마자키파에 가입. 자민당 복당 후에는 코스타리카 방식[5]에 따라 노다와 하야시다 다케시가 교대로 구마모토 2구 · 비례 규슈 블록에서 출마했다.

2009년 , 제45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에서 노다는 비례 단독으로 당선된 한편, 하야시다는 민주당의 후쿠시마 겐이치로에게 패해 낙선.[6]

2013년 , 유용미생물활용추진의원연맹(EM련)의 회장으로 취임.

2014년 제47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에서는 구마모토 2구에서 출마해 15선, 2017년의 제48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에서는 구마모토 2구에서 출마해 16선을 달성한다.

2017년 '재정·금융·사회보장제도에 관한 스터디 그룹' 대표 발기인으로서 "재정 재건을 위해서는 소비 증세가 불가피하다"고 호소했다.

2018년 3월 5일 자민당 담배의원연맹 임시총회에서 "내가 싫으니 남에게도 금지를 강요하자는 발상이 어떠냐"고 주장했다.

2018년 정치자금수지 보고서에 따르면 노다가 대표로 있는 자민당 지부가 국가 보조금을 받은 기업으로부터 위법이 의심되는 헌금을 받았다.

2019년 노다 사무소의 비서 사카나시 쓰요아키가 현의회 의원에 당선되었다.

2021년 제49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에서 비례 중복을 받지 못해 17선을 앞두고 낙선하게 되었다. 혁신계 후보가 아닌 보수계 무소속인 젊은 전직 재무관료 니시노 다이스케에게 패배했다. 지역구에서 패배했지만 썩어도 준치라고 90% 석패율을 기록하며 비례부활 당선을 따낸 오자와 이치로와는 달리 신인에게 더블스코어로 지며 순살당했다. 세대교체의 열망에 부응하지 못하는 구태라서 패배한 것으로 볼 수 있다. 니시노는 1978년생으로 노다와는 거의 40년의 세대차이가 난다.

낙선 이후 인터뷰에서 정계 은퇴는 하지 않지만, 차기 총선에는 불출마하겠다고 밝혔다.

흡연자다. 자민당 담배의원연맹의 회장을 맡았다.


3. 성향[편집]


  • 사단법인 일중협회 회장을 오랜 기간 맡는 등 친중파의 입장을 분명히 하고 있으며, 주변국과의 외교적 분쟁을 싫어하는 선린외교파이다. 그로 인해 고이즈미 준이치로 총리의 야스쿠니 신사 참배 문제로 참배 찬성 강경파인 아베 신조와 대립하여, 반대 모임을 주도한 적도 있다.[7]
  • 한편 하얼빈을 방문한 자리에서는 안중근을 용서할 수 없는 암살자로 부르며 하얼빈의 안중근 기념관 설립에 대해 항의했다. 참조 사실 본인 국가의 수반이 암살당했는데 이는 일본인 입장에서 봤을때 나올 수 있는 당연한 반응 중 하나다.
  • 원로 의원이다보니 자민당 총재선거관리위원회 위원장을 자주 맡는다. 2021년 자유민주당 총재 선거에서도 선관위원장을 맡아 선거 개요 발표를 맡았다.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 대장성 관료 출신으로 오랜 기간 당 세제조사회의 간부와 회장(2009~2015)을 맡아온 자민당의 세금 정책 전문가이다. 현재도 세제조사회 및 사회보장제도조사회 최고고문을 맡고 있다. 세금 정책 관련 책까지 썼을 정도.[8]


4. 소속 정당[편집]


소속기간비고


1972 - 1994정계 입문

자유개혁연합

1994창당


1994 - 1997합당

무소속

1997 - 1998정당 해산


1998 - 2000창당

무소속

2000당내 노선 차이로 인한 탈당


2000 - 2002창당

무소속

2002당내 노선 차이로 인한 탈당


2002 -복당


5. 선거 이력[편집]


연도선거 종류지역구소속 정당득표수 (득표율)당선 여부비고
1972제33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구) 구마모토 1구

64,942 (13.4%)당선 (5위)초선
1976제34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88,784 (16.5%)당선 (3위)재선
1979제35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79,691 (14.8%)3선
1980제36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100,145 (17.8%)당선 (1위)4선
1983제37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87,804 (15.9%)당선 (2위)5선
1986제38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90,029 (15.4%)당선 (1위)6선
1990제39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86,931 (13.5%)당선 (3위)7선
1993제40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93,824 (14.7%)당선 (2위)8선[9]
1996제41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구마모토 2구

97,242 (50.16%)당선 (1위)9선
2000제42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106,129 (60.39%)10선
2003제43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규슈 비례

2,535,278 (36.52%)당선 (1번)[10]11선
2005제44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구마모토 2구112,549 (55.78%)당선 (1위)12선
2009제45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규슈 비례2,352,372 (29.17%)당선 (2번)[11]13선
2012제46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구마모토 2구88,744 (53.53%)당선 (1위)14선
2014제47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92,873 (71.64%)15선
2017제48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86,027 (47.48%)16선
2021제49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60,091 (33.03%)낙선 (2위)

6. 둘러보기[편집]



{#ffffff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 자유민주당의 파벌 분류
[ 펼치기 · 접기 ]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

자유민주당
제48대 중의원 의원
||
[ 펼치기 · 접기 ]

※ 소속 정당과 국회 내 소속 회파(会派)는 다를 수 있음
가네다 가쓰토시가네코 마스오가네코 슌페이가네코 야스시가도 히로후미
가도야마 히로아키가메오카 요시타미가모시타 이치로가미야마 사이치가미카와 요코
가미타니 노보루가쓰마타 다카아키가와무라 다케오가와사키 지로가지야마 히로시
가토 가쓰노부가토 간지간다 겐지간다 유타카간케 이치로
고가 아쓰시고노 다로고무라 마사히로고바야시 다카유키고바야시 후미아키
고이즈미 류지고이즈미 신지로고지마 도시후미고쿠바 고노스케고테라 히로오
고토 시게유키고토다 마사즈미구니미쓰 아야노구도 쇼조구마다 히로미치
기무라 데쓰야기무라 야요이기무라 지로기시 노부오기시다 후미오
기우치 미노루기카와다 히토시기타무라 세이고기하라 미노루기하라 세이지
나카사카 야스마사나가시마 아키히사나가오 다카시나가오카 게이코나카네 가즈유키
나카무라 히로유키나카소네 야스타카나카야마 노리히로나카야마 야스히데나카타니 겐
나카타니 신이치네모토 다쿠미네모토 유키노리노나카 아쓰시노다 다케시
노다 세이코누카가 후쿠시로니시다 쇼지니시메 고사부로니시무라 아키히로
니시무라 야스토시니와 히데키니카이 도시히로다나카 가즈노리다나카 류세이
다나카 히데유키다나하시 야스후미다니 고이치다니가와 도무다니가와 야이치
다도코로 요시노리다무라 노리히사다바타 히로아키다이라 마사아키다치바나 게이치로
다카기 게이다카기 쓰요시다카이치 사나에다카토리 슈이치다카하시 히나코
다케다 료타다케모토 나오카즈다케무라 노부히데다케베 아라타다케시타 와타루
다케이 슌스케데바타 미노루도가시 히로유키도미오카 쓰토무도이 도루
도카사키 나오미도카이 키사부로마쓰노 히로카즈마쓰모토 다케아키마쓰모토 요헤이
마쓰모토 후미아키마쓰시마 미도리마키시마 카렌마키하라 히데키모리 에이스케
모리야마 마사히토모리야마 히로시모테기 도시미쓰무네키요 고이치무라이 히데키
무라카미 세이이치로무타이 슌스케무토 요지미노리카와 노부히데미쓰바야시 히로미
미쓰야 노리오미야시타 이치로미야우치 히데키미야자와 히로유키미야자키 마사히사
미야지 다쿠마미야코시 미쓰히로미타니 히데히로미하라 아키히코사사가와 히로요시
사사키 하지메사이토 겐사이토 히로아키사카모토 데쓰시사카이 마나부
사쿠라다 요시타카사토 쓰토무사토 아키라사토 아키오사토 유카리
세키 요시히로소노우라 겐타로소바야시 다카유키스가 요시히데스기타 미오
스즈키 게이스케스즈키 노리카즈스즈키 다카코스즈키 슌이치스즈키 준지
스즈키 하야토시게모토 모토루시모무라 하쿠분시바야마 마사히코시오노야 류
시오자키 야스히사신도 요시타카신타니 마사요시쓰시마 준쓰지 기요토
쓰치야 시나코아나미 요이치아마리 아키라아베 도시코아베 신조
아소 다로아오야마 슈헤이아이사와 이치로아제모토 쇼고아카마 지로
아카자와 료세이아키모토 마사토시아키바 겐야안도 다카오안도 히로시
야기 데쓰야야나 가즈오야마구치 다이메이야마구치 쓰요시야마기와 다이시로
야마다 겐지야마다 미키야마모토 고이치야마모토 고조야마모토 다쿠
야마모토 도모히로야마모토 유지야마시타 다카시야마구치 슌이치에사키 데쓰마
에토 다쿠에토 세이시로에토 아키노리엔도 도시아키오구라 마사노부
오구시 마사키오노 겐타로오노데라 이쓰노리오니시 히데오오니시 히로유키
오니키 마코토오다와라 기요시오미 아사코오부치 유코오시마 다다모리
오시카와 다케루오쓰카 다쿠오오카 도시타카오자토 야스히로오치 다카오
오카시타 쇼헤이오코노기 하치로오쿠노 신스케오쿠마 가즈히데와다 요시아키
와시오 에이이치로와카미야 겐지와타나베 고이치와타나베 히로미치요시노 마사요시
요시이에 히로유키우에노 겐이치로우에노 히로시우에스기 겐타로이나다 도모미
이노 도시로이노우에 다카히로이노우에 신지이데 요세이이마무라 마사히로
이마에다 소이치로이바야시 다쓰노리이부키 분메이이시다 마사토시이시바 시게루
이시카와 아키마사이시하라 노부테루이시하라 히로타카이와야 다케시이와타 가즈치카
이즈미다 히로히코이케다 미치타카이케다 요시타카이토 다다히코이토 다쓰야
이토 신타로이토 요시타카가토 아유코테라다 미노루하기우다 고이치
하나시 야스히로하라다 겐지하라다 요시아키하마다 야스카즈하세 히로시
하시모토 가쿠하야시 모토오하토야마 지로햐쿠타케 기미치카호리이 마나부
호리우치 노리코호소카 야스시호소노 고시호소다 겐이치호소다 히로유키
호시노 쓰요시혼다 다로후나다 하지메후나하시 도시미쓰후루야 게이지
후루카와 야스시후루카와 요시히사후루타 게이지후지마루 사토시후지와라 다카시
후지이 히사유키후쿠다 다쓰오후쿠야마 마모루후쿠이 데루후쿠자와 요이치
히라구치 히로시히라사와 가쓰에이히라이 다쿠야




[1] 장인 대부터 일-중의 협력관계에 매진해 왔다고 한다.[2] 자민당 당헌당규에는 73세 이후의 총선 지역구 출마자 중 비례대표 중복입후보를 할 수 없게 규정되어 있다.[3] 와타나베 요시미의 아버지.[4] 가토 가쓰노부 현 내각관방장관의 장인.[5] 두 명의 의원을 한 지역구에서 교대로 출마시키고 나머지 한 명은 지역 비례대표로 보내는 방식.[6] 45회 선거와 같이 민주당세가 아주 강했던 선거에서 코스타리카 방식 덕에 이득을 본 사람이 더 있다. 가와이 가쓰유키라던가.[7] 당시 함께한 멤버가 고무라 마사히코, 가토 고이치 전 간사장 등이다.[8] 제목은 소비세가 일본을 구한다ー연금, 경제, 재정문제 이것으로 단번에 해결.참조[9]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의 마지막 중선거구제.[10] 자민당 명부 1순위.[11] 자민당 명부 1순위.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19 15:30:23에 나무위키 노다 다케시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