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양시 시내버스/폐선

덤프버전 : (♥ 0)

||


1. 개요
2. 시내일반버스
2.3. 광양 버스 10
2.4. 광양 버스 11
2.6. 광양 버스 13
2.10. 광양 버스 22
2.11. 광양 버스 25
2.12. 광양 버스 25-1
2.13. 광양 버스 27, 27-1
2.14. 광양 버스 31
2.15. 광양 버스 34
2.16. 광양 버스 50
2.19. 광양 버스 87 (1기 노선)
2.20. 광양 버스 99, 99-1
3. 시내좌석버스
3.1. 광양 버스 100
3.2. 광양 버스 101, 103
3.3. 광양 버스 102
3.4. 광양 버스 105
3.5. 광양 버스 107
3.6. 광양 버스 108



1. 개요[편집]


광양시 시내버스 중 폐선된 버스 목록이다.

2. 시내일반버스[편집]



2.1. 광양 버스 1[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광양 버스 1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2.2. 광양 버스 5[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광양 버스 5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2.3. 광양 버스 10[편집]


광양시 시내버스 10번
기점전라남도 광양시 광양읍 구산리(광양교통)종점전라남도 광양시 금호동(백운쇼핑)
종점행첫차08:00기점행첫차08:40
막차21:00막차20:40
평일배차30~90분 (1일 12회)주말배차30~120분 (1일 11회)
운수사명광양교통인가대수2대
노선광양교통 - 칠성아파트 - 신가스튜디오 - 광양농협 - 광양5일시장 - 원예농협 - 창덕1·2차아파트 - 석정마을 - 사곡 - 중양(동광양IC) - 성황 - 광양시청 - 중마터미널 - 우림필유아파트 - 금호대교 - 백운아트홀 - 송죽아파트 - 제철남초교 - 백운쇼핑

광양시 시내버스 10번(막차)
기점전라남도 광양시 금호동(백운쇼핑)종점전라남도 광양시 광양읍 구산리(광양교통)
종점행첫차21:40기점행첫차-
막차21:40막차-
배차간격1일 1회
운수사명광양교통인가대수-
노선백운쇼핑 → 제철남초교 → 송죽아파트 → 백운아트홀 → 금호대교 → 우림필유아파트 → 중마터미널 → 중마주공아파트 → 중마고등학교 → 백운고 → 시영아파트 → 성황 → 중양(동광양IC) → 사곡 → 석정마을 → 창덕1·2차아파트 → 원예농협 → 광양5일시장 → 광양농협 → 중부농협 → 칠성아파트 → 광양교통

2016년 5월 2일에 10번과 11번이 11-1번으로 통합되면서 폐선되었다.


2.4. 광양 버스 11[편집]


광양시 시내버스 11번(첫차)
기점전라남도 광양시 광양읍 구산리(광양교통)종점전라남도 광양시 태인동(용지)
종점행첫차06:00기점행첫차06:50
막차06:00막차06:50
배차간격1일 1회
운수사명광양교통인가대수-
노선광양교통 - 칠성아파트 - 신가스튜디오 - 광양농협 - 광양5일시장 - 석정마을 - 사곡 - 중양(동광양IC) - 성황 - 광양시청 - 중마터미널 - 우림필유아파트 - 금호대교 - 백운아트홀 - (→ 협력회관 → 제철1문 → / ← 송죽아파트 ← 제철남초교 ← 동백아파트 ←) - 제철2문 - (← 태인도촌 ← 선미아파트 ←) - 용지정류소

광양시 시내버스 11번(2회차)
기점전라남도 광양시 광양읍 구산리(광양교통)종점전라남도 광양시 태인동(용지)
종점행첫차21:20기점행첫차22:30
막차21:20막차22:30
배차간격1일 1회
운수사명광양교통인가대수-
노선광양교통 - 칠성아파트 - 신가스튜디오 - 광양농협 - 광양5일시장 - (→ 광양경찰서 → 초남 → 황곡 → 망개 → 골약동주민센터 → 컨테이너부두사거리 → 백운고 → 중마고.노르웨이숲아파트 → 중마주공아파트 → 동광양농협 → 와우 / ← 원예농협 ← 창덕아파트 ← 송보7차아파트 ← 석정마을 ← 사곡 ← 중양(동광양IC) ← 성황 ← 광양시청 ← 중마터미널 ← 우림필유아파트 ← 금호대교 ←) - 백운아트홀 - 송죽아파트 - 제철남초교 - 동백아파트 - 제철2문 - 태인도촌 - 선미아파트 - 용지정류소

광양시 시내버스 11번(막차)
기점[출발] 전라남도 광양시 봉강면 석사리(실내체육관.광양고)
[도착] 전라남도 광양시 광양읍 구산리(광양교통)
종점전라남도 광양시 태인동(용지)
종점행첫차22:05기점행첫차22:50
막차22:05막차22:50
배차간격1일 1회
운수사명광양교통인가대수-
노선(실내체육관.광양고 → / 광양교통 ←) - 매화아파트 - 신가스튜디오 - 광양농협 - 광양5일시장 - (→ 원예농협 → 창덕1·2차아파트 → 송보7차아파트 →) - 석정마을 - 사곡 - 중양(동광양IC) - 성황 - 광양시청 - 중마터미널 - 우림필유아파트 - 금호대교 - 백운아트홀 - (→ 송죽아파트 → 제철남초교 → 동백아파트 → / ← 백운쇼핑 ← 목련연립 ←) - 제철2문 - (→ 태인도촌 → 선미아파트 →) - 용지정류소

2016년 5월 2일에 10번과 11번이 11-1번으로 통합되면서 폐선되었다.


2.5. 광양 버스 11-1[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광양 버스 11-1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2.6. 광양 버스 13[편집]


광양시 시내버스 13번(첫차)
기점전라남도 광양시 광양읍(광양교통)종점전라남도 광양시 태인동(용지)
종점행첫차06:10기점행첫차-
막차06:10막차-
배차간격1일 1회
운수사명광양교통인가대수-[1]
노선광양교통 → 칠성아파트 → 신가스튜디오 → 목성우체국 → 석정마을 → 사곡 → 중양(동광양IC) → 성황 → 광양시청 → 중마버스터미널 → 우림필유아파트 → 백운아트홀 → 제철1문 → 제철2문 → 태인도촌 → 선미아파트 → 용지

광양시 시내버스 13번
기점전라남도 광양시 광양읍(광양교통)종점전라남도 광양시 태인동(용지)
종점행첫차06:50기점행첫차07:00
막차19:20막차20:30
배차간격1일 9.5회
운수사명광양교통인가대수?대
노선광양교통 - 칠성아파트 - 신가스튜디오 - 목성우체국 - 원예농협 - 창덕1차아파트 - 송보7차아파트 - 석정마을 - 사곡 - 용곡 - 구.옥곡역 - 옥곡 - (강변로 직통) - 광영부영1단지 - 스포렉스 - 광영주공1단지 - 현대고층아파트 - 광영부영1단지 - 백운아트홀 - (제철구간 미상.) - 제철2문 - 태인도촌 - 선미아파트 - 용지

시간표


2.7. 광양 버스 17[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광양 버스 17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2.8. 광양 버스 21-1[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광양 버스 21-1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2.9. 광양 버스 21-2[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광양 버스 21-2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2.10. 광양 버스 22[편집]


광양시 시내버스 22번
기점전라남도 광양시 광양읍(광양교통)종점전라남도 광양시 금호동(백운쇼핑)
종점행첫차?기점행첫차?
막차?막차?
배차간격1일 ?회
운수사명광양교통인가대수?대
노선광양교통 - 칠성아파트 - 신가스튜디오 - 광양농협 - 광양5일시장 - 원예농협 - 창덕1·2차아파트 - 석정마을 - 사곡 - 중양(동광양IC) - 성황 - 광양시청 - 중마터미널 - 우림필유아파트 - 백운아트홀 - 송죽아파트 - 제철남초교 - 동백아파트 - 백운쇼핑


2.11. 광양 버스 25[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광양 버스 52, 53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2.12. 광양 버스 25-1[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광양 버스 52, 53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2.13. 광양 버스 27, 27-1[편집]


광양시 시내버스 27번, 27-1번
기점전라남도 광양시 광양읍(광양교통)종점전라남도 광양시 옥곡면(옥곡정류장)
종점행첫차?기점행첫차?
막차?막차?
배차간격1일 ?회
운수사명광양교통인가대수?대
노선광양교통 - 칠성아파트 - 신가스튜디오 - 광양농협 - 광양5일시장 - 원예농협 - 창덕1·2차아파트 - 석정마을 - 사곡 - 용곡 - 구.옥곡역 - 옥곡정류장


2.14. 광양 버스 31[편집]


광양시 시내버스 31번
기점전라남도 광양시 광양읍(광양교통)종점전라남도 광양시 진상면(진상정류장)
종점행첫차06:20기점행첫차07:00
막차17:50막차19:10
배차간격1일 12(왕복기준)회
운수사명광양교통인가대수약2대
노선광양교통 - 칠성아파트 - 신가스튜디오 - 광양농협 - 석정마을 - 사곡 - 중양(동광양IC) - 성황 - 광양시청 - 사랑병원 - 성호아파트 - 금광아파트 - 남양파크아파트 - 송보아파트 - (← 송보6차아파트 ←) - 중마고 - 외환은행 - 와우 - 광영부영1단지 - 스포렉스 - 광영주공1단지 - 현대고층아파트 - 광영부영1단지 - 의암공단 - 원앙골 - 장동 - 옥곡정류장 - 상금 - 진상정류장

광양시 시내버스 31번
기점전라남도 광양시 골약동(월드마린센터)종점전라남도 광양시 진상면(진상정류장)
종점행첫차?기점행첫차?
막차?막차?
배차간격1일 ?회
운수사명광양교통인가대수?대
노선월드마린센터 - 컨부두로 - 홈플러스 - 강남병원 - 사랑병원 - 성호아파트 - 금광아파트 - 남양파크아파트 - 송보아파트 - (← 송보6차아파트 ←) - 중마고 - 외환은행 - 와우 - 광영부영1단지 - 스포렉스 - 광영주공1단지 - 현대고층아파트 - 광영부영1단지 - 의암공단 - 원앙골 - 장동 - 옥곡정류장 - 상금 - 진상정류장


2.15. 광양 버스 34[편집]


광양시 시내버스 34번
기점전라남도 광양시 옥곡면 신금리(옥곡정류장)종점전라남도 광양시 진월면 신구리(구동마을)
종점
첫차10:00기점
첫차10:30
막차16:30막차17:00
배차간격1일 2회
노선옥곡정류장 - 상금 - 진상농협 - 항만물류고 - 진상정류장 - 지랑 - 차사 - 이정마을 - 구덕 - 신덕 - 신기 - 추동 - 구동마을

2016년 5월 2일에 신설되었다. 위에 서술된 17번과 비슷한 노선이나, 바로 진월면으로 가지 않고 돌아서 간다.

2020년 1월 1일 개편으로 '구동마을 - 망덕포구' 구간이 단축되었다. 또한 휴일에도 운행하게 되며 운행횟수가 1회 감회되어 1일 2회 운행하게 된다.

2020년 3월 2일부로 폐선되었다. 광양시 보도자료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광양 버스 30번대 문서의 r56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광양 버스 30번대 문서의 r56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2.16. 광양 버스 50[편집]


광양시 시내버스 50번
기점전라남도 광양시 중마동(우림필유아파트)종점전라남도 광양시 중마동(우림필유아파트)
종점행첫차08:10기점행첫차09:11
막차19:39막차20:40
배차간격1일 6회
운수사명광양교통인가대수1대
노선우림필유아파트 - 중마터미널 - 강남병원 - 홈플러스 - 금광아파트 - 사랑병원 - 외환은행 - 중마주공아파트 - 커뮤니티센터 - 중마고.노르웨이숲아파트 - 송보파인빌 - 서울병원 - 써니밸리아파트 - 시영아파트 - 광양시청 - 사랑병원 - 금광아파트 - 홈플러스 - 강남병원 - 중마터미널 - 우림필유아파트

광양시 시내버스 50번(첫차)
기점전라남도 광양시 중마동(우림필유아파트)종점전라남도 광양시 광영동(광영고등학교)
종점행첫차07:14기점행첫차-
막차07:14막차-
배차간격1일 1회
운수사명광양교통인가대수-
노선우림필유아파트 → 중마버스터미널 → 강남병원 → 홈플러스 → 금광아파트 → 사랑병원 → 외환은행 → 중마주공아파트 → 근로자종합복지관 → 백운고 → 중마고.노르웨이숲아파트 → 광영고.브라운스톤아파트

광양시 시내버스 50번(막차)
기점전라남도 광양시 중마동(우림필유아파트)종점전라남도 광양시 중마동(우림필유아파트)
종점행첫차21:44기점행첫차-
막차21:44막차-
배차간격1일 1회
운수사명광양교통인가대수-
노선우림필유아파트 → 중마터미널 → 중마고.노르웨이숲아파트 → 송보파인빌 → 백운고 → 컨부두사거리 → 금광아파트 → 성호아파트 → 사랑병원 → 중마터미널 → 우림필유아파트

중마동 순환 노선이었다.


2.17. 광양 버스 52, 53[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광양 버스 52, 53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2.18. 광양 버스 86[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광양 버스 86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2.19. 광양 버스 87 (1기 노선)[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광양 버스 87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2.20. 광양 버스 99, 99-1[편집]


파일:gy99.jpg
파일:gy99_1_1.jpg
99번.99-1번.

광양 버스 990, 991 문서 참조.

3. 시내좌석버스[편집]


시내좌석버스 노선들은 폐선 이후 대부분 0을 제거한 후 시내일반버스로 형간전환되었다.


3.1. 광양 버스 100[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광양 버스 15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3.2. 광양 버스 101, 103[편집]


11번 시내일반버스로 형간전환된 이후 현재는 다음과 같은 노선으로 분리되었다.
  • 광양 버스 10(폐선): 상단 내용 참조.
  • 광양 버스 11(폐선): 상단 내용 참조.
  • 광양 버스 11-1(폐선): 해당 문서 참조.
  • 광양 버스 11-2: 해당 문서 참조.


3.3. 광양 버스 102[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광양 버스 12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3.4. 광양 버스 105[편집]




3.5. 광양 버스 107[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광양 버스 17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3.6. 광양 버스 108[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광양 버스 18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13 23:18:52에 나무위키 광양시 시내버스/폐선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11번 차량으로 운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