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향남읍

덤프버전 :

||
[ 펼치기 · 접기 ]

동탄

동탄1동
동탄

석우동
동탄

반송동 ,(일부),

동탄

동탄2동
동탄

반송동 ,(일부),

동탄

동탄3동
동부]
동탄

능동 ,(일부),

동탄

동탄5동
동탄

영천동
동탄

중동

동탄

동탄7동
동탄

산척동
동탄

송동

동탄

동탄9동
동탄

목동
동탄

신동

동부

반월동
동부

반월동

본청

새솔동
본청

새솔동

출장소
동부

진안동
동부

기산동
동부
동탄

능동 ,(일부),
동부

반정동
출장소
동부

진안동

동부

화산동
동부

송산동
동부

안녕동
동부

황계동

본청

화성시청 관할
동부

동부 출장소 관할
동탄

동탄 출장소 관할



화성시
향남읍
鄕南邑 | Hyangnam-eup

광역자치단체경기도
기초자치단체화성시
행정표준코드5530174
관할 법정리21리
하위 행정구역87행정리 469반
면적50.01㎢
인구85,647명[1]
인구밀도1,726.23명/㎢
정치
[ 펼치기 · 접기 ]

국회의원 | 화성시 갑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송옥주 (재선)
경기도의원 | 제1선거구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이홍근 (초선)
화성시의원 | 가 선거구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공영애 (재선)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송선영 (재선)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이계철 (초선)

행정복지센터발안로 89 (행정리 287-1)
향남읍 행정복지센터

파일:향남읍행정복지센터.jpg
향남읍 행정복지센터
1. 개요
2. 역사
3. 주요 시설
3.1. 금융
3.2. 교육
3.2.1. 초등학교
3.2.2. 중학교
3.2.3. 고등학교
3.3. 주거
4. 교통
4.1. 철도교통
4.2. 도로교통
4.3. 시내버스
4.4. 시외버스
5. 관할 리
5.1. 도이리
5.2. 갈천리
5.3. 발안리
5.4. 방축리
5.6. 평리
5.7. 행정리
5.8. 장짐리
5.9. 구문천리
5.10. 상신리
5.11. 하길리
5.12. 화리현리
5.13. 관리
5.14. 길성리
5.15. 동오리
5.16. 백토리
5.17. 상두리
5.18. 송곡리
5.19. 수직리
5.20. 요리
5.21. 증거리
6. 출신 인물
7.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경기도 화성시 남부에 위치한 이다. 동쪽으로는 평택시 서탄면, 동북쪽으로는 정남면, 북쪽으로는 봉담읍, 팔탄면, 남쪽으로는 양감면, 평택시 청북읍 서남쪽으로는 장안면에 접해 있다. 전통적인 중심지인 발안리가 유명해, 향남읍 전체를 '발안'으로 통칭하기도 한다. 다른 곳은 보통 이정표에 읍/면을 표기하고 리 단위는 00리라고 표시하는데, 39번 국도, 42번 국도, 43번 국도, 309번 지방도 등에서 상당수 이정표는 향남이 아닌 발안으로 표기되어 있다.

화성시내에서는 향남신도시 개발의 영향으로 향남(발안)이라는 표현으로 대체되고 있다. 반면, 수원시안산시에 있는 표지판들은 죄다 '발안'으로 표기하고 있다. 비슷한 사례로 우정읍(조암), 송산면(사강)이 있다. 마찬가지로 도로 표지판에서 조암(우정)이나 사강(송산) 등의 표지를 많이 볼 수 있다. 당장 서해안고속도로발안IC라고 돼 있지 향남IC라고 안 돼 있다. 향남IC는 결국 평택파주고속도로에 생기긴 했는데... 향남IC도 향남읍에 없고 정남면에 있는게 함정. 발안IC도 향남읍이 아니라 팔탄면에 소재해 있다.

구시가지인 발안 지역과 신시가지인 향남1~2지구의 도시 경관이 꽤 차이가 크다. 발안리와 주변 지역은 전형적인 수도권 읍내 같은 풍경을 보여주는데, 발안의 전통적 중심지인 발안만세시장을 중심으로 삼천병마로 및 발안천을 따라 사방팔방으로 나 있는 도로 사이에 골목길과 상권, 공장지대가 채워져 있고 주변 언덕에 아파트 단지가 들어서 있는 모습이 나타난다. 사람에 따라서는 난개발이라고 느껴질 수도 있다.

반면 향남1~2지구는 전형적인 계획도시로써 도로가 비교적 네모반듯하고 상권과 아파트 단지의 구분도 명확하다. 형성시기가 다른 두 시가지가 연담화되어 있어서 구분이 명확하지 않으나 보통 발안바이오과학고등학교 쯤에서 서쪽/동쪽으로 발안과 향남1지구를 구분한다. 1지구와 2지구는 향남 시가지를 관통하는 서해선 철도를 기준으로 갈리며, 2지구가 미개발지가 조금 더 많은 걸 빼면 도시경관 면에서 큰 차이는 없다. 공통적으로 시가지에서 조금만 나가면 논밭이 펼쳐져 있다.

이렇게 구시가지와 신시가지의 공존은 근처의 구 태안읍(병점), 봉담읍이나 평택시 안중읍에서도 볼 수 있는 모습이다. 다만 이쪽은 구시가지를 부르는 이름이 다르다는 게 차이점.

'향남'이라는 명칭은 일제부군면 통폐합 당시 만든 지명으로, 기존 공향면, 분향면, 남면을 통합하면서 앞의 두 면의 '향'과 남면의 '남'을 합성해 지었다.

인근 봉담읍(전국 4위)과 더불어 인구 수가 눈여겨볼 만한데 읍 단위 인구수에서 정관읍을 앞지르고 전국 6위를 기록하고 있다.

외국인, 그중에서도 동남아 출신 외국인 노동자들이 상당히 많다. 특히 발안시장 지역은 외국인들이 거주민의 절반을 차지할 정도로 많은 편이며 수원 버스 35수원 버스 32-4처럼 향남에서 수요가 많은 버스 노선을 탈 때 발안시장 방면 정류장에서 외국인들이 많이 타고 내리는 모습을 볼 수 있다.


2. 역사[편집]


본래 수원군 분향면, 남면 및 남양군 공향면이었다가 1914년 부군면 통폐합으로 세 면이 통합되어 수원군 향남면으로 통합되었다.

수원군의 수원읍이 수원시(1949년)로 승격되며 그외 지역이 화성(華城)군으로 분리되었다. 그 후 2001년 화성군이 화성시로 승격되어 화성시 향남면이 되었고, 향남신도시 조성으로 인구가 늘자 2007년 향남읍으로 승격되었다.

발안의 유명세에 비해서는 비교적 늦은 읍 승격이었다. 수원의 배후지역으로 개발된 태안읍(1985년 승격, 2006년 폐지)은 물론, 마찬가지로 수원 가까이 입지한 덕을 톡톡히 본 봉담읍(1998년 승격), '조암'로 유명한 우정읍(2003년)보다 읍 승격이 늦었다.

하지만 향남신도시가 조성되고 인구가 폭증하면서 현재는 우정읍은 커녕 화성시청이 있는 남양읍보다도 인구가 많아졌다.

3. 주요 시설[편집]



3.1. 금융[편집]


향남읍에 위치한 금융기관[괄호]
제1금융권[괄호]
국가기관
화성우체국 (1)
국책은행
중소기업은행 (2)
특수은행
농협은행(중앙회) (3)
시중은행
신한은행 (1)우리은행 (1)
하나은행 (1)국민은행 (2)
지방은행
전북은행 (1)
제2금융권(상호금융)[괄호]
농업협동조합
발안농협 (4)수원축산농협 (1)
새마을금고
화성새마을금고 (3)
신용협동조합
화성우리신용협동조합 (2)화성한마음신용협동조합 (1)

3.2. 교육[편집]



3.2.1. 초등학교[편집]


  • 갈천초등학교
  • 도이초등학교
  • 발안초등학교
  • 한울초등학교
  • 행정초등학교
  • 상신초등학교
  • 제암초등학교
  • 하길초등학교
  • 화원초등학교
  • 향남초등학교
  • 화성월문초등학교

3.2.2. 중학교[편집]




3.2.3. 고등학교[편집]




3.3. 주거[편집]


시공사단지명입주세대수소재지
신양건설신양저층아파트1990년 1월117세대발안리
신양고층아파트1993년 1월70세대
파일:신일건업 로고.svg파일:신동아종합건설_로고.svg발안마을2003년 10월882세대
파일:신성건설 로고.jpg장짐마을 신성 미소지움 1차2005년 10월431세대장짐리
파일:우림건설 CI.jpg발안 우림필유2006년 5월940세대발안리
파일:신성건설 로고.jpg장짐마을 신성 미소지움 2차2007년 5월330세대장짐리
파일:코오롱건설 CI(2011ver).png시범 복사꽃마을 상록하늘채2008년 7월638세대행정리
파일:한국건설 CI.svg시범 복사꽃마을 한국아델리움2008년 9월544세대
파일:우미건설 로고.svg시범 넓은들마을 우미린536세대
파일:신영그룹 CI.svg시범 살구꽃마을 신영지웰 1차365세대
파일:한일건설 CI(1994-2018).svg시범 살구꽃마을 한일베라체478세대
파일:풍림산업 로고.svg시범 살구꽃마을 풍림아이원788세대
파일:(주)제일건설 로고.svg시범 살구꽃마을 제일오투그란데400세대
파일:화성산업 CI.svg시범 살구꽃마을 화성파크드림2008년 10월788세대
파일:신명종합건설 로고.png시범 살구꽃마을 신명스카이뷰536세대
파일:대방건설 CI.svg시범 살구꽃마을 대방노블랜드 1차600세대
파일:아이에스동서 CI.svg시범 넓은들마을 에일린의 뜰506세대
파일:성지건설_로고.png시범 복사꽃마을 휴먼시아7단지2008년 11월941세대
㈜설인종합건설
㈜태찬건설
㈜만호투제이건설
가림아파트2009년 8월76세대장짐리
파일:흥화_로고.png파일:이수건설 CI.svg시범 한우물마을 휴먼시아6단지2009년 12월1,330세대행정리
파일:요진건설산업 로고.svg시범 한우물마을 휴먼시아5단지1,150세대
파일:서희건설 로고.svg서봉마을 1단지2014년 11월544세대하길리
파일:부영주택 로고.svg오색마을 사랑으로 9단지684세대
오색마을 사랑으로 10단지980세대
오색마을 사랑으로 11단지1,124세대
파일:서희건설 로고.svg서봉마을 2단지2014년 12월704세대
파일:부영주택 로고.svg서봉마을 사랑으로 3단지2015년 6월1,122세대
파일:모아주택산업 로고.svg서봉마을 모아엘가 8단지496세대
파일:남광토건 CI.svg서봉마을 5단지2016년 6월1,242세대
파일:부영주택 로고.svg서봉마을 사랑으로 7단지2016년 8월948세대
파일:양우건설 CI.svg언덕마을 18단지2017년 7월1,742세대상신리
파일:부영주택 로고.svg언덕마을 사랑으로 17단지2017년 9월942세대
서봉마을 사랑으로 6단지2018년 7월1,005세대하길리
파일:모아건설 로고.svg서봉마을 모아미래도 에듀파크 4단지2018년 8월894세대
파일:한신공영 로고_좌우.svg서봉마을 20단지2019년 8월99세대
화성발안LH1단지608세대구문천리
파일:코오롱글로벌 로고.svg서봉마을 센텀벨라 19단지2020년 4월357세대하길리
파일:효성중공업 로고.svg언덕마을 15단지2023년 5월922세대상신리
파일:주식회사 한양 로고.svg향남역 한양수자인 디에스티지2024년 2월945세대

4. 교통[편집]




4.1. 철도교통[편집]


서해선 향남역은 2023년 개통 예정이며, 서해선에 직통하는 여의도 방면 전철인 신안산선은 현재 연장(송산~화성시청~향남) 긍정적으로 검토 중에 있다. 화성시에서는 이를 위해 차량 구입비 외에 회차선 설치비로 830억원을 부담하겠다고 한다. 여의도도 환승없이 1시간…신안산선, 향남역 연장 검토 2022년 12월 9일, 신안산선 연장이 확정되었다.


4.2. 도로교통[편집]




4.3. 시내버스[편집]


구분노선경유지
봉담, 수원 방면수원 버스 25-5파장동 ~ 남문 ~ 매교역 ~ 정남 ~ 증거리
수원 버스 32-4광교 ~ 2001아울렛 ~ 수원역 ~ 봉담 ~ 향남1지구 ~ 향남2지구(상신리)
수원 버스 35경기대 ~ 남문 ~ 수원역 ~ 봉담 ~ 향남
화성 버스 39수원역 환승센터 ~ 오목천동 ~ 봉담 ~ 팔탄 ~ 발안 ~ 향남터미널
화성 버스 H103수원역 환승센터 ~ 오목천동 ~ 봉담 ~ 팔탄(기천리) ~ 발안 ~ 향남터미널

구분노선경유지
남양읍 방면화성 마을버스 11-1정남농협 ~ 동오리 ~ 홈플러스 ~ 발안 ~ 팔탄 ~ 하저3리 ~ 금광포란재 ~ 화성시청 ~ 남양성지
화성 마을버스 13-2향남1지구 ~ 장짐리 ~ 율암리 ~ 하저3리 ~ 화성시청 ~ 남양성지
화성 버스 H120B화성시청 ~ 현대기아연구소 ~ 석포리 ~ 서근리 ~ 발안 ~ 향남터미널 ~ 향남부영10.11단지

구분노선경유지
양감, 오산 방면화성 버스 3-2화성고 ~ 발안 ~ 홈플러스 ~ 향남초(백토리) ~ 관리(마을회관) ~ 동오리(마을회관) ~ 갈천리 ~ 정남 ~ 오산대 ~ 오산역
오산 버스 21화성고 ~ 발안 ~ 홈플러스 ~ 향남2지구 ~ 대양리 ~ 양감 ~ 사창초교 ~ 까치고개 ~ 제기리 ~ 누읍지구 ~ 오산역
오산 버스 22화성고 ~ 발안 ~ 홈플러스 ~ 향남2지구 ~ 상두리 ~ 양감 ~ 사창초교 ~ 정문리 ~ 제기리 ~ 누읍지구 ~ 오산역
오산 버스 111화성고 ~ 발안 ~ 홈플러스 ~ 관리 ~ 동오리 ~ 송곡리 ~ 제기리 ~ 누읍지구 ~ 오산역
화성 버스 H104향남터미널 ~ 발안 ~ 향남2지구 ~ 제약공단(구문천리)[2] ~ 양감면행정복지센터 ~ 용소리 ~ 송탄역
화성 버스 H121화성고 ~ 발안 ~ 홈플러스 ~ 향남2지구 ~ 대양리 ~ 양감면행정복지센터 ~ 사창리 ~ 부처내
화성 버스 H122화성고 ~ 발안 ~ 홈플러스 ~ 향남2지구 ~ 상두리 ~ 양감면행정복지센터 ~ 정문리 ~ 부처내
화성 버스 H123향남터미널 ~ 향남2지구 ~ 제약공단 ~ 양감면행정복지센터 ~ 한산리 ~ 고덕신도시 ~ 평택지제역

구분노선경유지
정남, 병점, 방면화성 버스 80화성고 ~ 발안 ~ 하길리 ~ 홈플러스 ~ 동오리 ~ 정남 ~ 안녕동 ~ 병점역
화성 버스 81화성고 ~ 발안 ~ 하길리 ~ 홈플러스 ~ 동오리 ~ 정남 ~ 안녕동 ~ 병점역 ~ 동탄1지구 ~ 동탄역 ~ 청계지구
화성 버스 H105기아드림파크(매향리) ~ 조암터미널 ~ 수촌리 ~ 향남홈플러스 ~ 정남 ~ 병점역 ~ 병점주공아파트

구분노선경유지
안산시, 군포시 방면화성 버스 H340향남 ~ 팔탄 ~ 비봉 ~ 매송 ~ 반월역
화성 버스 340-1향남 ~ 발안 ~ 팔탄 ~ 대야미역 ~ 군포역 ~ 금정역
화성 버스 340-2향남 ~ 발안 ~ 팔탄 ~ 대야미역 ~ 군포역 ~ 금정역

구분노선경유지
서울 방면화성 버스 8155조암 ~ 향남 ~ 봉담 ~ 사당역
화성 버스 8156향남2지구 ~ 향남1지구 ~ 봉담 ~ 사당역
화성 버스 G8157향남2지구 ~ 향남1지구 ~ 봉담 ~ 양재시민의숲

구분노선경유지
우정읍 방면화성 버스 33-1조암 ~ 우리꽃식물원 ~ 발안 ~ 향남 ~ 제약공단


4.4. 시외버스[편집]


2015년 개관한 향남환승터미널에서 이용할 수 있다.


5. 관할 리[편집]



5.1. 도이리[편집]


화성종합경기타운이 있으며 화성차량등록사업소도 위치하고 있다.


5.2. 갈천리[편집]


정남면 귀래리와 접해있으며 갈천초등학교가 위치하여 있다.


5.3. 발안리[편집]


향남읍의 구도심으로 전통적 중심지이다. 향남신도시가 건설되기 전까지는 장짐리, 평리와 더불어 가장 사람이 많이 몰려있는 지역이었다.[3] 매년 4월 발안천 벚꽃축제가 열리고 있으나 아직 많이 미흡하고 지자체 지원이 없는듯 하다.

교육기관제암초등학교가 있고, 의료기관에는 화성시보건소가 있다.

공원은 발안천생태공원, 도와지들어린이공원, 배틀어린이공원, 무궁화어린이공원, 옴뿌리산근린공원이 있다.

발안2리 마을회관, 화성시 노인회관, 농어촌공사 발안 출장소도 있다.

수원시, 안산시, 의왕시, 평택시 주요 표지판에는 '리' 단위 지명인 발안이 의외로 꽤 네임드하게 나온다. 화성(향남)이 아닌 '발안' 자체로 수원시, 안산시, 의왕시, 평택시 도로 표지판에 표시될 정도. 이곳은 원래 갯벌이었다.


5.4. 방축리[편집]


향남 1지구와 2지구의 경계면에 있는 리다. 2016년 6월 기준으로 1지구 6단지 아파트의 맞은편에 맥도날드가 있다. 2020년 현재 서해선 전철이 방축리를 관통하여 공사중이다.


5.5. 제암리[편집]


제암리 학살사건이 일어났던 곳이다. 이곳에는 희생자들을 기리는 제암리3.1운동 순국유적지가 있다.

또한, 발안 프리미엄 아울렛과 향남읍 최초의 영화관인 CGV 향남점이 오픈 예정이었지만 취소되었다. 그리고 하길리인 향남2지구에 2016년 9월에 향남 최초의 극장인 롯데시네마[4]가 오픈되었다.

본래 평리에 있던 발안삼성디지털프라자와 서비스센터가 제암리로 옮겨왔다.


5.6. 평리[편집]


발안파출소와 발안만세시장, 발안농협, 발안신협, 롯데리아 발안점, KT 화성지사, 기아 발안지점 등이 있다.

관내 교육기관으로는 발안중학교와 발안바이오고등학교가 위치해있으며, 평리의 남쪽 지역에 서해선 향남역이 2023년 10월에 개통될 예정이다.

버거킹이 2021년 12월 31일 오픈했다.


5.7. 행정리[편집]


기존에도 행정리 북부지역은 발안리, 평리와 더불어 시가지를 형성하고 있었던 곳으로, 향남신도시 1지구로 지정되면서 수많은 아파트 단지가 세워졌다. 30~40대 젊은 사람들이 많이 거주하고 있다.

발안의 바다마트와 더불어 향남 교통의 중심지로 경기도립 발안도서관, 향남읍사무소, 홈플러스 화성향남점, 향남환승터미널, 화성소방서, 화성향남우체국, 둥지나래어린이도서관, 화성시향토박물관 등이 위치해 있다.

관내 교육기관으로는 도이초등학교, 발안초등학교, 한울초등학교, 행정초등학교, 발안중학교(일부)[5], 향남중학교, 향남고등학교, 향일고등학교가 위치한다.

이름이 행정리지만 실제로는 법정리에 해당한다.[6]


5.8. 장짐리[편집]


발안리와 더불어 시가지를 형성하고 있는 곳으로, 발안 미소지움 아파트와 발안성당이 위치해있다.

놀랍게도 예전에는 팔탄면 지역이였다.

관내 교육기관으로는 화성중학교, 화성고등학교가 위치한다.


5.9. 구문천리[편집]


국내에서 가장 큰 제약단지가 위치해 있으며, 일반 산업단지도 위치해 있다. 서해안고속도로가 지나가며 고속도로 목포 방향에 향남 졸음쉼터가 위치한다. 그리고 장안면과 접해있다.


5.10. 상신리[편집]


상신리의 좌측 북부지역은 향남2지구에 속한 지역으로 한창 개발이 진행중이며 관내 교육기관으로는 상신초등학교가 위치해있다.

우측 북부지역은 발안천을 경계로 팔탄면과 마주하고 있으며, 전형적인 농촌 풍경을 보여준다.

남쪽에는 향남제약일반산업단지가 위치해 있다.

놀랍게도 과거에는 바닷가였던 곳이다.


5.11. 하길리[편집]


부영사랑으로를 중심으로 한 향남2지구가 들어서 있으며, 향남 2지구 중심지로 롯데시네마가 2016년 9월 26일 오픈하였고 상업시설 등이 들어서 있다. 또한 스타벅스도 이 곳에 들어왔다.

하길리 남쪽으로는 발안일반산업단지가 위치하고 있고 화리현리 방향으로 누에박물관이 위치해 있다.

관내 교육기관으로 하길초등학교, 화원초등학교, 하길중학교, 하길고등학교가 있다.

밤거리는 유흥가에 가까운 수준이다. 건물마다 단란주점과 도우미를 부르는 노래방이 4~5개는 즐비할 정도. 밤에 가보면 정말 화려하다. 우스갯소리로 이쪽 상권을 향남의 라스베가스라고 부르기도 한다. [7]


5.12. 화리현리[편집]


남쪽으로 양감면과 마주한 지역으로, 전형적인 농촌지역이다.


5.13. 관리[편집]


향남의 중심지인 행정리, 발안리와는 천석산으로 구분된다. 화성의 전형인 공장과 농촌이 뒤섞인 공장난개발을 보여주는 지역으로 전형적인 농촌지역이다.


5.14. 길성리[편집]




5.15. 동오리[편집]


정남면 문학리와 접해있으며, 동오첨단산업단지가 위치하고 있다.


5.16. 백토리[편집]


백토리 산업단지가 위치하고 있으며, 화성상공회의소가 있다. 관내 교육기관으로 향남초등학교가 있다. 전형적인 농촌지역이다.


5.17. 상두리[편집]


양감면과 접해있는 곳으로, 독립유공자 김용창[8] 동상이 있다. 또, 관리천이 발원하는 곳이기도 하다.


5.18. 송곡리[편집]


화성시 맑은물사업소가 위치하고 있다.


5.19. 수직리[편집]


북부로는 정남면 귀래리와, 서쪽으로는 황구지천을 경계로 평택시 서탄면과 마주하고 있는 곳이다.

관내 교통시설로 향남IC(향남톨게이트)가 위치하고 있다.


5.20. 요리[편집]


동측으로 양감면과 마주한 지역이다.


5.21. 증거리[편집]


정남면과 마주한 곳으로, 증거리 첨단산업단지가 위치하고 있다.


6. 출신 인물[편집]





7. 관련 문서[편집]




[1] 2023년 10월 주민등록인구[괄호] A B C 안의 숫자는 지점수를 뜻함.[2] 송탄역 방면만 경유[3] 현재의 지도에서 향남신도시가 없었다고 생각하면 편하다.[4] 향남 최초의 영화관이자 화성 남부 지역 최초의 영화관이다. 화성 남부 지역에서 이 영화관이 오픈하기 전까지는 영화 한편 보려면 오산시병점, 수원역까지 가야 했었다.[5] 교사는 분명 평리에 위치하는데 운동장(...)만 행정리이다. 골프장이랑 강당 반쪽은 도이리다...http://map.daum.net/?map_type=TYPE_SKYVIEW&map_hybrid=true&map_usedistrict=bboundary&urlX=482089&urlY=1009410&urlLevel=1[6] 비슷한 사례로 당진시에는 행정동(杏亭洞)이라는 이름의 법정동이 존재한다.[7] 현재 코로나로 인해 이런 풍경은 많이 사라졌다(..)[8] 경성으로 상경해 주경야독을 하던 당시 고등학생으로, 항일운동을 고취시키기 위해 경성 시내 곳곳에 낙서를 하다 1년 6월형을 선고받고 19살이라는 어린나이에 감옥에서 순국한 인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