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하세 히로시(정치인)

덤프버전 :

||



역임한 직위
[ 펼치기 · 접기 ]

파일:shuugiin_logo.png 일본 중의원 (이시카와 1구)
제41대
오쿠다 겐
제42대
하세 히로시
제43대
오쿠다 겐
제43대
오쿠다 겐
제44대
하세 히로시
제45대
오쿠다 겐
제45대
오쿠다 겐
제46~48대
하세 히로시
제49대
고무리 타쿠오

[ 펼치기 · 접기 ]


||<-5><tablewidth=100%><tablebgcolor=#fff,#1f2023><bgcolor=#54b6cb> 문부과학대신(2001년~현재) ||
||<-5>

||<-2><tablewidth=100%><width=40%><bgcolor=#3CA324> ||<-3><width=60%><bgcolor=#3CA324> ||
||
||<width=20%> 1대
마치무라 노부타카 ||<width=20%> 2대
도야마 아쓰코 ||<-2><width=40%> 3·4대
가와무라 다케오 ||<width=20%> 5·6대
나카야마 나리아키 ||
||<-5><bgcolor=#f0f0f0,#000>
||
||<-5>

||<-2><tablewidth=100%><width=40%><bgcolor=#3CA324> ||<width=20%><bgcolor=#3CA324> ||<width=40%><bgcolor=#3CA324> ||
||
||<width=20%> 5·6대
나카야마 나리아키 ||<width=20%> 7대
고사카 겐지 ||<width=20%> 8대
이부키 분메이 ||<width=20%> 9대
도카이 기사부로 ||<width=20%> 10대
스즈키 무네오 ||
||<-5>

||<tablewidth=100%><width=20%><bgcolor=#3CA324> ||<width=20%><bgcolor=#EC1C24> ||<-2><width=40%><bgcolor=#EC1C24> ||<width=20%><bgcolor=#EC1C24> ||
||
||<width=20%> 11대
시오노야 류 ||<-2><width=40%> 12·13대
가와바타 다쓰오 ||<width=20%> 14대
다카키 요시아키 ||<width=20%> 15대
나카가와 마사하루 ||
||<-5><bgcolor=#f0f0f0,#000>
||
||<-5>

||<-2><tablewidth=100%><width=40%><bgcolor=#EC1C24> ||<-3><width=60%><bgcolor=#3CA324> ||
||
||<width=20%> 16대
히라노 히로후미 ||<width=20%> 17대
다나카 마키코 ||<-2><width=40%> 18·19대
시모무라 하쿠분 ||<width=20%> 20대
하세 히로시 ||
||<-5><bgcolor=#f0f0f0,#000>
||
||<-5>

||<tablewidth=100%><-5><width=100%><bgcolor=#E50038> ||
||
||<width=20%> 21대
마쓰노 히로카즈 ||<-2><width=40%> 22·23대
하야시 요시마사 ||<width=20%> 24대
시바야마 마사히코 ||<width=20%> 25·26대
하기우다 고이치 ||
||<-5>

||<tablewidth=100%><width=20%><bgcolor=#E50038> ||<-4><width=80%><bgcolor=#E50038> ||
||
||<width=20%> 25·26대
하기우다 고이치 ||<-2><width=40%> 27·28대
스에마쓰 신스케 ||<width=20%> 29대
나가오카 게이코 ||<width=20%> 30대
모리야마 마사히토 ||





일본국 제20대 문부과학대신
제20대 이시카와현지사
하세 히로시
(はせ (ひろし | Hase Hiroshi
파일:하세히로시.jpg
<colcolor#fff> 출생1961년 5월 5일 (63세)
도야마현 오야베시
학력센슈대학 문학부 국문학과 (졸업)
가족배우자 타카미 쿄코[1], 딸
정당
무소속

의원 선수7 (중)
1 (참)
지역구이시카와 1구
현직제20대 이시카와현지사
약력세이료 고등학교 국어 교사
프로레슬러
일본 참의원 (이시카와현 선거구)
이시카와현 제1구 중의원
문부과학대신 정무관
문부과학부대신
자민당 국회대책부위원장
자민당 부간사장
자민당 홍보본부장
문부과학대신
도쿄 올림픽패럴림픽 조직위원회 고문
학교법인 일본체육대학 이사
일본레슬링협회 부회장
일본피구협회 회장
일본킨볼스포츠연맹 명예회장

1. 개요
2. 경력
2.1. 프로레슬러
2.2. 정치인
3. 선거 이력
4. 성향 및 정책
5. 여담
6. 둘러보기



1. 개요[편집]


일본의 교사, 프로레슬러 출신 정치인. 당적은 자유민주당으로, 제17대 일본 참의원 의원(이시카와현 선거구), 이시카와현 제1구 중의원, 제20대 문부과학대신 등을 역임했다.

대한민국에 있어서는 흔해빠진 망언제조기인 극우파 정치인 중 한 명에 불과하지만, 프로레슬러로서는 당대를 대표하는 엘리트 테크니션으로 이름을 떨쳤으며 우라나게와 노던 라이트 수플렉스의 창시자로도 유명하다.


2. 경력[편집]



2.1. 프로레슬러[편집]


파일:북두의유성하세히로시.jpg
링네임히로 하세(ヒロ・ハセ)[2]
하세 히로시
신장183cm
체중105kg
출생지일본파일:일본 국기.svg 도야마현파일:도야마현 문장.svg 오야베시파일:오야베시 시장.svg[3]
성장지일본파일:일본 국기.svg 이시카와현 파일:이시카와현 현기표장.svg 가나자와시 파일:가나자와시 시장.svg
유형테크니션
피니쉬 무브_우라나게(裏投(うら なげ)_
_노던 라이츠 수플렉스 홀드_
별명싸우는 국회의원((たたか国会議員(こっかい ぎいん)
북두의 유성(北斗(ほく と流星(りゅうせい)
테마곡Two Hearts - John Parr (1987 - 2006)[4]
데뷔1986년 2월 28일 (24세)
푸에르토리코 카과스 시티 아리나
재팬 프로레슬링 원정 경기
vs 미겔 페레스 주니어
은퇴(공식) 2006년 8월 27일 (45세)
도쿄도 스미다구 료고쿠 국기관[5]
전일본 FINAL NORTHERN LIGHT[6]
vs TARU & 스와마 & "brother"YASSHI
(w/코지마 사토시 & 나카지마 카츠히코)

1961년, 도야마현 오야베시에서 태어났다. 출생 이후 이시카와현 가나자와시에서 자랐다. 가나자와시립 나루와 중학교, 세이료 고등학교를 거쳐 센슈대학 문학부 국문학과를 졸업한 뒤 모교인 세이료 고등학교에서 잠시 국어교사로 근무하다가, 1984 로스엔젤레스 올림픽 레슬링 종목(라이트 헤비급)에 출전하지만 예선 탈락한다.

이후 1985년에는 교사를 퇴직하고 본격적으로 초슈 리키가 운영하던 재팬 프로레슬링에 입단하며 프로레슬러로 활동한다. 1987년 재팬 프로레슬링의 내부 불화로 초슈 리키의 신일본 복귀파와 같이 신일본 프로레슬링에 입단하였다. 1996년 신일본을 탈단하고 전일본 프로레슬링에 입단한다. 2000년 전일본 대규모 탈단사태일때 정치활동으로 공백기를 가지고 있었는데 미사와 미츠하루 세력과 동조하지 않고 카와다 토시아키, 후치 마사노부, 타이요 케아와 전일본에 잔류한다. 2006년 은퇴경기를 치루고 프로레슬러 생활을 마무리한다.

그러나 은퇴한 후에도 가끔씩 가까운 선후배들의 데뷔기념 흥행 혹은 은퇴시합같은 중요시합에 출전하기도 한다. 은퇴 후에도 몸관리는 꾸준히 하는지, 근육과 덩치는 현역때와 큰 차이가 없다.


2.2. 정치인[편집]


1995년 7월 경, 이시카와현이 지역구인 모리 요시로의 영입으로 정계에 입문하여 제17회 일본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에서 무소속으로 이시카와현 선거구에 출마해 당선되어 일본 참의원이 된다. 당선 이후 자민당에 입당해 자민당 소속으로 정치 활동을 한다. 참의원 당선 이후에도 프로레슬러 활동을 이어나갔다. 그러다가 2000년, 참의원 직을 사퇴하고 제42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에서 이시카와현 제1구 중의원으로 출마해 민주당 오쿠다 겐을 누르고 당선된다.

이후 지역구인 이시카와현 제1구에서 지역구 당선과 석패율제 구제 당선을 반복하며 중의원을 역임하고 있으며, 제46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부터는 지역구에서 3연속으로 당선되어 현재까지 중의원 7선을 기록했다.

중의원을 역임하면서 문부과학대신 정무관, 자민당 문부과학부 회장을 맡는 등 자신의 교사 경력 및 프로레슬링 선수 경력과 가장 밀접한 분야인 교육, 문화 분야에서 주로 활동하고 있다. 2015년 10월부터 2016년 8월까지는 문부과학대신을 역임했으며, 대신직 퇴임 이후에도 자민당 교육재생실행본부 본부장을 역임한 것을 보면 확실히 교육, 문화 분야를 전문 분야로 삼는 듯 하다.

2021년 주변 지인들에게 의원직 불출마 의사를 밝혔으며 2022년에 치루어지는 이시카와현지사 선거에 출마를 선언했다. 선거 결과 당선되었다.

올림픽 유치에 관해서 뇌물이 있었다는 발언을 하자 발칵 뒤집혀지면서 주목을 받자 더 이상 올림픽 관한 발언을 하지않겠다고 한다.#

3. 선거 이력[편집]


연도선거 종류지역구소속 정당득표수 (득표율)당선 여부비고
1995제17회 일본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이시카와 선거구
무소속

234,283 (49.35%)당선(1위)초선
2000제42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이시카와 1구

107,179 (48.82%)초선
2003제43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이시카와 1구
호쿠리쿠신에쓰 비례 권역
97,075 (46.78%)낙선(2위)
당선(석폐율제)
재선

4. 성향 및 정책[편집]


  • 프로레슬러 출신 정치인이라는 특징 때문인지는 몰라도, 각종 스포츠 단체의 임원을 맡거나 스포츠 정책에 자문을 하는 등 스포츠 관련 활동을 많이 한다.[7] 현재 맡고 있는 스포츠 단체의 직책으로는 도쿄 올림픽패럴림픽 조직위원회 고문, 학교법인 일본체육대학 이사, 일본레슬링협회 부회장, 일본피구협회 회장, 일본킨볼스포츠연맹 명예회장 등이 있다.

  • 헌법 개정과 집단적 자위권 행사에 찬성하고, 총리의 야스쿠니 신사 참배에 대해 문제가 없다고 주장하는 것으로 보아 정치적으로는 우파 성향으로 추정된다. 또한 ‘다함께 야스쿠니 신사를 참배하는 국회의원 모임’이라는 모임에도 가입되어 있다.


  • 만화, 애니메이션, 게임, 영화 등을 규제하는‘청소년 건전 육성 기본 법안’이라는 법안 제정을 담당했었다.


5. 여담[편집]


  • 프로레슬러 시절에는 특유의 一자 콧수염이 트레이드 마크였으나 정치계 진출 이후 정리했다.

  • 1990년 6월 '미스터 백드롭'이라고 불리우는 백드롭의 달인 고토 타츠토시와의 싱글 매치 도중 고토의 고각도 백드롭을 맞을 때 접수 미스로 옆 관자놀이에 충격이 제대로 가는 바람에 의식이 몽롱한 상태에서 경기는 끝냈으나, 다음 시합에 세컨드로 참여하러 링으로 가다가 심장마비를 일으키며 그대로 쓰러졌다. 링 닥터가 달려갔을 때는 이미 동공마저 열려있던 위험한 상태였으며, 링 닥터와 경찰관의 빠른 인공호흡과 심폐소생술로 1분만에 살아나긴 했으나 끝내주는 편두통을 겪으며 1주간 입원해야 했고 두달간 경기 출전 금지 판정을 받았다. 여담으로 하세는 쓰러져 있을 때 대표적인 임사 체험유체이탈을 겪어 쓰러져 있는 자신의 몸이 보였다고 진술한 바 있으며, 이후 고토의 백드롭에는 '살인 백드롭'이라는 별명이 붙었다(...).

  • 문부과학대신 취임 직후 기자회견에서 교사 시절 학생들을 죽도로 체벌을 한 적이 있다고 밝혔다. 이 사실을 스스로 밝히면서 당시 체벌을 받은 고교생들에게 사죄하고 싶다고 말했으며, 체벌을 해서는 안된다고 주장했다. 평소라면 정치 인생이 바로 끝났겠지만 폭로의 형태가 아닌 자신의 입으로 고백을 하며 바로 사과를 했고, 대신으로 재임하면서 체벌 근절에 노력을 했기에 큰 문제는 안됐다. 물론 체벌이 정당화될수는 없지만 당시 시대를 생각하면 체벌이 암묵적으로 용인됐던 시절이었긴 하다.

  • 문부과학대신 재임 시절인 2016년, 기후 대학 졸업식에서 기미가요가 제창되지 않은 것에 대해 부끄럽다고 발언한 적이 있는데, 해당 발언에 대해 헌법학자들로부터 비판을 받았었다.




  • 2020년 4월 30일 아베 도시코, 스즈키 하야토, 이데 요세이, 아사히 겐타로 등 동료 의원 4명과 보좌진들을 이끌고 일본의 성폭력학대 피해 소녀를 지원하는 시설에 몰려가 허가 없이 사진을 촬영하거나, 소녀들이 하는 텐트 설치를 하세가 "여자니까"라며 텐트 등 약간 무게가 있는 짐을 소녀들에게 넘겨주지 않고 젊은 의원이나 비서들이 나르도록 했고 이런 태도에서 "여성에 대한 멸시를 느낀 소녀들이 큰 상처를 입었다"고 밝혔다. 게다가 하세 의원은 이날 텐트 안에 라이트를 설치하는 작업을 하던 한 소녀에게 "좀 비켜달라"고 말하며 뒤로 지나가며 양손으로 소녀의 허리를 만지는 등 부적절한 행위를 한 것으로 밝혀져 비판받고 있다. 관련 기사 신체 접촉이 있었다는 지적에 대해 "허리에 손을 댔는지 어떤지는 전혀 의식에 남아 있지 않다. 하지만 그것이 사실이라면 매우 죄송하며 진심으로 사죄한다"고 덧붙였다.

  • 프로레슬러에서 은퇴 했지만 거의 일년에 한번씩 꼬박꼬박 경기를 치룬다.


6. 둘러보기[편집]


||




파일:일본유신회 로고만.svg

||
[ 펼치기 · 접기 ]

최고결정기구
당기위원장요코쿠라 야스유키총무회장야나가세 히로후미
중앙당 지도부
공동대표바바 노부유키 | 요시무라 히로후미
당무집행기구
간사장후지타 후미타케간사장 대행가와사키 다이키
정무조사회
정무조사회장오토키타 슌정무조사회장 대행후지타 아키라
파일:일본국 내각총리대신 심볼.svg 국회조직
국회대책위원장엔도 다카시
고문단
고문하세 히로시
파일:일본유신회 로고만.svg
역대 대표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

자유민주당
제48대 중의원 의원
||
[ 펼치기 · 접기 ]

※ 소속 정당과 국회 내 소속 회파(会派)는 다를 수 있음
가네다 가쓰토시가네코 마스오가네코 슌페이가네코 야스시가도 히로후미
가도야마 히로아키가메오카 요시타미가모시타 이치로가미야마 사이치가미카와 요코
가미타니 노보루가쓰마타 다카아키가와무라 다케오가와사키 지로가지야마 히로시
가토 가쓰노부가토 간지간다 겐지간다 유타카간케 이치로
고가 아쓰시고노 다로고무라 마사히로고바야시 다카유키고바야시 후미아키
고이즈미 류지고이즈미 신지로고지마 도시후미고쿠바 고노스케고테라 히로오
고토 시게유키고토다 마사즈미구니미쓰 아야노구도 쇼조구마다 히로미치
기무라 데쓰야기무라 야요이기무라 지로기시 노부오기시다 후미오
기우치 미노루기카와다 히토시기타무라 세이고기하라 미노루기하라 세이지
나카사카 야스마사나가시마 아키히사나가오 다카시나가오카 게이코나카네 가즈유키
나카무라 히로유키나카소네 야스타카나카야마 노리히로나카야마 야스히데나카타니 겐
나카타니 신이치네모토 다쿠미네모토 유키노리노나카 아쓰시노다 다케시
노다 세이코누카가 후쿠시로니시다 쇼지니시메 고사부로니시무라 아키히로
니시무라 야스토시니와 히데키니카이 도시히로다나카 가즈노리다나카 류세이
다나카 히데유키다나하시 야스후미다니 고이치다니가와 도무다니가와 야이치
다도코로 요시노리다무라 노리히사다바타 히로아키다이라 마사아키다치바나 게이치로
다카기 게이다카기 쓰요시다카이치 사나에다카토리 슈이치다카하시 히나코
다케다 료타다케모토 나오카즈다케무라 노부히데다케베 아라타다케시타 와타루
다케이 슌스케데바타 미노루도가시 히로유키도미오카 쓰토무도이 도루
도카사키 나오미도카이 키사부로마쓰노 히로카즈마쓰모토 다케아키마쓰모토 요헤이
마쓰모토 후미아키마쓰시마 미도리마키시마 카렌마키하라 히데키모리 에이스케
모리야마 마사히토모리야마 히로시모테기 도시미쓰무네키요 고이치무라이 히데키
무라카미 세이이치로무타이 슌스케무토 요지미노리카와 노부히데미쓰바야시 히로미
미쓰야 노리오미야시타 이치로미야우치 히데키미야자와 히로유키미야자키 마사히사
미야지 다쿠마미야코시 미쓰히로미타니 히데히로미하라 아키히코사사가와 히로요시
사사키 하지메사이토 겐사이토 히로아키사카모토 데쓰시사카이 마나부
사쿠라다 요시타카사토 쓰토무사토 아키라사토 아키오사토 유카리
세키 요시히로소노우라 겐타로소바야시 다카유키스가 요시히데스기타 미오
스즈키 게이스케스즈키 노리카즈스즈키 다카코스즈키 슌이치스즈키 준지
스즈키 하야토시게모토 모토루시모무라 하쿠분시바야마 마사히코시오노야 류
시오자키 야스히사신도 요시타카신타니 마사요시쓰시마 준쓰지 기요토
쓰치야 시나코아나미 요이치아마리 아키라아베 도시코아베 신조
아소 다로아오야마 슈헤이아이사와 이치로아제모토 쇼고아카마 지로
아카자와 료세이아키모토 마사토시아키바 겐야안도 다카오안도 히로시
야기 데쓰야야나 가즈오야마구치 다이메이야마구치 쓰요시야마기와 다이시로
야마다 겐지야마다 미키야마모토 고이치야마모토 고조야마모토 다쿠
야마모토 도모히로야마모토 유지야마시타 다카시야마구치 슌이치에사키 데쓰마
에토 다쿠에토 세이시로에토 아키노리엔도 도시아키오구라 마사노부
오구시 마사키오노 겐타로오노데라 이쓰노리오니시 히데오오니시 히로유키
오니키 마코토오다와라 기요시오미 아사코오부치 유코오시마 다다모리
오시카와 다케루오쓰카 다쿠오오카 도시타카오자토 야스히로오치 다카오
오카시타 쇼헤이오코노기 하치로오쿠노 신스케오쿠마 가즈히데와다 요시아키
와시오 에이이치로와카미야 겐지와타나베 고이치와타나베 히로미치요시노 마사요시
요시이에 히로유키우에노 겐이치로우에노 히로시우에스기 겐타로이나다 도모미
이노 도시로이노우에 다카히로이노우에 신지이데 요세이이마무라 마사히로
이마에다 소이치로이바야시 다쓰노리이부키 분메이이시다 마사토시이시바 시게루
이시카와 아키마사이시하라 노부테루이시하라 히로타카이와야 다케시이와타 가즈치카
이즈미다 히로히코이케다 미치타카이케다 요시타카이토 다다히코이토 다쓰야
이토 신타로이토 요시타카가토 아유코테라다 미노루하기우다 고이치
하나시 야스히로하라다 겐지하라다 요시아키하마다 야스카즈하세 히로시
하시모토 가쿠하야시 모토오하토야마 지로햐쿠타케 기미치카호리이 마나부
호리우치 노리코호소카 야스시호소노 고시호소다 겐이치호소다 히로유키
호시노 쓰요시혼다 다로후나다 하지메후나하시 도시미쓰후루야 게이지
후루카와 야스시후루카와 요시히사후루타 게이지후지마루 사토시후지와라 다카시
후지이 히사유키후쿠다 다쓰오후쿠야마 마모루후쿠이 데루후쿠자와 요이치
히라구치 히로시히라사와 가쓰에이히라이 다쿠야





파일:프로레슬링 옵저버 로고.png
2006년 레슬링 옵저버 명예의 전당 헌액자

파일:프로레슬링 옵저버 로고.png 레슬링 옵저버 선정 최고의 테크니션
수신 선더 라이거
(1989 ~ 1992)
하세 히로시
(1993)
크리스 벤와
(1994, 1995)

파일:프로레슬링 옵저버 로고.png레슬링 옵저버 선정 올해의 경기 [★]
1991년
3월 21일
WCW
WCW/신일본 수퍼쇼 1
WCW 월드 태그팀 챔피언십 & IWGP 헤비웨이트 태그팀 챔피언십[8]
_더 스타이너 브라더스(스캇 스타이너(O) & 릭 스타이너)_(C)
vs
사사키 켄스케(X) & 하세 히로시(C)
****½

도쿄 스포츠 프로레슬링 대상 신인상
존 텐타
(1987)
하세 히로시
(1988)
코바시 켄타
(1989)

도쿄 스포츠 프로레슬링 대상 기능상
텐류 겐이치로
(1990)
하세 히로시
(1991)
울티모 드래곤
(1992)

파일:신일본 프로레슬링 로고.svg 역대 월드 태그 리그 우승자
19921993,19941995
하시모토 신야 & 초슈 리키하세 히로시 & 무토 케이지쵸텐
쵸노 마사히로 & 텐잔 히로요시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5 04:26:44에 나무위키 하세 히로시(정치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1959년생 탤런트로, 두번째 부인이다.[2] 데뷔 맨 처음에 썼던 링네임. 스페인어가 주언어인 푸에르토리코에서 데뷔하였기 때문에 H가 묵음 처리되어서 실제 발음은 '이로 아세'에 가까웠다고 한다.[3] 출생 당시에는 니시토나미군(西礪波郡) 토츄마치(砺中町)였으나 태어난 다음 해인 1962년 8월에 오야베시로 옆의 이스루기마치와 함께 신설합병되었다.[4] 존 파의 Two Hearts의 인스트루멘탈 버전. 신일본 시절부터 쓰기 시작하여 전일본 이적후 은퇴할 때까지 계속 썼다.[5] 2017년 7월 26일에 무토 케이지가 프로듀스한 프로레슬링 마스터즈 메인 이벤트 스페셜 6인 태그매치에 은퇴 11년만에 출전, 후지나미 타츠미 & 초슈 리키와 함께 그레이트 무타 & 그레이트 카부키 & TNT를 상대하여 TNT에게 노던 라이츠 수플렉스 홀드로 승리를 거둔 적이 있고, 프로레슬링 NOAH의 2021년 1월 4일 신년 흥행에서 경기를 가진 적도 있다.[6] 하세 히로시 은퇴기념흥행[7] 사실 프로레슬링 이전에 아마추어 레슬러 출신이기도 하다.[★] 밑줄이 승리자. 다자간 매치의 경우 이름 옆 (O)가 핀폴자, (X)가 피핀폴자.[8] WCW 월드 태그팀 챔피언인 스타이너 브라더스와 신일본의 IWGP 태그팀 챔피언인 하세 히로시 & 사사키 켄스케가 서로의 벨트를 걸고 대결했으며, 사사키 켄스케가 스캇 스타이너의 프랑켄슈타이너를 맞고 무너지면서 스타이너 브라더스가 승리하여 WCW 월드 태그팀 챔피언 겸 IWGP 태그 팀 챔피언이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