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인 폰다

덤프버전 :

제인 폰다의 주요 수상 이력
[ 펼치기 · 접기 ]

파일:1200px-Encyclopædia_Britannica.svg.png
브리태니커 대백과사전 선정 세계의 여성들
[ 펼치기 · 접기 ]

※ 2019년 브리태니커 대백과사전은 세계사에 이름을 남긴 여성들을 선정했다.
긍정적 영향을 미친 여성들뿐 아니라 '세계사에 족적을 남긴 여성들'을 뽑았기 때문에 부정적인 인물들 혹은 논란 있는 인물들도 있다.
성인들
성모 마리아예수의 테레사마더 테레사
지도자들
앙겔라 메르켈베나지르 부토예카테리나 2세캐시 프리먼서태후
클레오파트라코라손 아키노크리스티나 페르난데스달리아 그리바우스카이테다이애나 스펜서
지우마 호세프에디트 크레송엘레오노르 다키텐엘리너 루스벨트엘리자베스 1세
엘리자베스 2세엘런 존슨 설리프에바 페론골다 메이어그로 할렘 브룬틀란
한나 수호츠카하트셉수트인디라 간디이사벨 1세제니 시플리
줄리아 길라드칼레다 지아킴 캠벨마거릿 대처마리 앙투아네트
메리 로빈슨메가와티 수카르노푸트리미첼 바첼레트미셸 오바마박근혜
잔 다르크시리마보 반다라나이케쑹메이링탄수 칠레르테오도라
바이라 비케프레이베르가빅토리아 여왕비그디스 핀보가도티르비올레타 차모로측천무후
잉락 친나왓
발견자들
에이다 러브레이스어밀리아 에어하트바버라 매클린톡캐롤라인 허셜도러시 호지킨
엘리자베스 블랙웰플로렌스 나이팅게일히파티아제인 구달캐서린 존슨
리제 마이트너마거릿 미드마리아 미첼마리 퀴리마리암 미르자하니
레이첼 카슨로잘린드 프랭클린사카자위아발렌티나 테레시코바
예술가들
아르테미시아 젠틸레스키코코 샤넬도로시아 랭프리다 칼로카라 워커
메리 카사트쿠사마 야요이자하 하디드
사회운동가들
앨리스 워커앤절라 데이비스앤 로이페아얀 히르시 알리치마만다 응고지 아디치에
엘프리데 옐리네크그레타 툰베리제인 폰다주디 시카고리마 보위
나오미 클라인루스 베이더 긴즈버그수잔 팔루디타우왁쿨 카르만와리스 디리
말랄라 유사프자이마거릿 생어마리아 몬테소리해리엇 터브먼캐롤리 슈니먼
로자 파크스시린 에바디왕가리 마타이에멀린 팽크허스트글로리아 스타이넘
작가들
에밀리 디킨슨제인 오스틴사포버지니아 울프마거릿 애트우드
가브리엘라 미스트랄헬렌 켈러J. K. 롤링메리 울스턴크래프트무라사키 시키부
시몬 드 보부아르안네 프랑크토니 모리슨
운동선수들
베이브 디드릭슨빌리 진 킹파니 블랑커스쿤재키 조이너커시미아 햄
나디아 코마네치세레나 윌리엄스
퍼포머들
비욘세엘라 피츠제럴드캐서린 헵번마돈나메릴 스트립
미리엄 마케바오프라 윈프리사라 베르나르움 쿨숨
정치인들
에이미 클로버샤바바라 조던캐롤 모즐리 브라운엘리자베스 워런프랜시스 퍼킨스
제럴딘 페라로해티 캐러웨이힐러리 클린턴저넷 랭킨매들린 올브라이트
낸시 펠로시넬리 테일로 로스루스 베이더 긴즈버그셜리 치점빅토리아 우드훌
참정권주의자들
앨리스 폴앨리스 스톤 블랙웰캐리 채프먼 카트크리스타벨 팽크허스트도리아 샤픽
엘리자베스 케이디 스탠턴프랜시스 하퍼프랜시스 윌러드해리엇 스탠턴 블래치헤르타 아일톤
후다 샤아라위아이다 벨 웰스제인 애덤스줄리아 워드 하우케이트 셰퍼드
루크레티아 모트루시 번스루시 스톤메리 처치 테렐메리 울스턴크래프트
메이 라이트 슈밀리센트 포셋소저너 트루스수잔 B. 앤서니버지니아 루이자 마이너
출처







파일:베니스 국제 영화제 로고.svg

베니스 국제 영화제 명예 황금사자상
[ 펼치기 · 접기 ]

1970년1971년1972년
오슨 웰스잉마르 베리만마르셀 카르네존 포드찰리 채플린
1972년1982년
아나톨리 골로브냐빌리 와일더알레산드로 블라세티루이스 부뉴엘프랭크 카프라
1982년
조지 큐커장뤽 고다르세르게이 유트케비치알렉산더 클루게구로사와 아키라
1982년1983년
마이클 파웰사티야지트 레이킹 비더세자르 자바티니미켈란젤로 안토니오니
1985년1986년1987년
마노엘 드 올리베이라존 휴스턴페데리코 펠리니타비아니 형제루이지 코멘치니
1988년1989년1990년1991년
요리스 이벤스로베르 브레송마르첼로 마스트로야니얀초 미클로시마리오 모니첼리
1991년1992년1993년
지안 마리아 볼론테잔느 모로프랜시스 포드 코폴라파올로 빌라조스티븐 스필버그
1993년1994년
로버트 드 니로로만 폴란스키클라우디아 카르디날레알 파치노수소 체키 다미코
1994년1995년
켄 로치우디 앨런모니카 비티마틴 스코세이지알베르토 소르디
1995년1996년
엔니오 모리코네주세페 드 산티스조프레도 롬바르도알랭 레네로버트 올트먼
1996년1997년
비토리오 가스만더스틴 호프먼미셸 모르강제라르 드파르디유스탠리 큐브릭
1997년1998년1999년
알리다 발리워렌 비티소피아 로렌안제이 바이다제리 루이스
2000년2001년2002년2003년
클린트 이스트우드에릭 로메르디노 리시디노 드 로렌티스오마 샤리프
2004년2005년2006년
스탠리 도넌마노엘 드 올리베이라미야자키 하야오스테파니아 산드렐리데이비드 린치
2007년2008년2009년
팀 버튼베르나르도 베르톨루치에르만노 올미존 라세터브래드 버드
2009년2010년2011년
피트 닥터앤드루 스탠튼리 언크리치오우삼마르코 벨로키오
2012년2013년2014년2015년
프란체스코 로시윌리엄 프리드킨델마 스쿤메이커프레더릭 와이즈먼베르트랑 타베르니에
2016년2017년2018년
장폴 벨몽도예지 스콜리모프스키제인 폰다로버트 레드포드데이비드 크로넨버그
2018년2019년2020년
바네사 레드그레이브줄리 앤드류스페드로 알모도바르허안화틸다 스윈튼
2021년2022년2023년
로베르토 베니니제이미 리 커티스카트린 드뇌브폴 슈레이더양조위
2023년
릴리아나 카바니







파일:goldenglobe_cecildemil.png
골든글로브 세실 B. 드밀상 수상자
[ 펼치기 · 접기 ]

1952년1953년1954년1955년1956년
세실 B. 드밀월트 디즈니대릴 F. 재넉진 허숄트잭 L. 워너
1957년1958년1959년1960년1961년
머빈 르로이버디 아들러모리스 슈발리에빙 크로스비프레드 아스테어
1962년1963년1964년1965년1966년
주디 갈랜드밥 호프조셉 E. 레빈제임스 스튜어트존 웨인
1967년1968년1969년1970년1971년
찰턴 헤스턴커크 더글러스그레고리 펙조안 크로포드프랭크 시나트라
1972년1973년1974년1975년1977년
앨프리드 히치콕새뮤얼 골드윈베티 데이비스핼 B. 월리스월터 미리쉬
1978년1979년1980년1981년1982년
레드 스켈톤루실 볼헨리 폰다진 켈리시드니 포이티어
1983년1984년1985년1986년1987년
로런스 올리비에폴 뉴먼엘리자베스 테일러바버라 스탠윅안소니 퀸
1988년1989년1990년1991년1992년
클린트 이스트우드도리스 데이오드리 헵번잭 레먼로버트 미첨
1993년1994년1995년1996년1997년
로렌 바콜로버트 레드포드소피아 로렌숀 코너리더스틴 호프먼
1998년1999년2000년2001년2002년
셜리 맥클레인잭 니콜슨바브라 스트라이샌드알 파치노해리슨 포드
2003년2004년2005년2006년2007년
진 해크먼마이클 더글러스로빈 윌리엄스안소니 홉킨스워렌 비티
2009년2010년2011년2012년2013년
스티븐 스필버그마틴 스코세이지로버트 드 니로모건 프리먼조디 포스터
2014년2015년2016년2017년2018년
우디 앨런조지 클루니덴젤 워싱턴메릴 스트립오프라 윈프리
2019년2020년2021년2023년
제프 브리지스톰 행크스제인 폰다에디 머피




역대 아카데미 시상식
파일:oscar_logo.svg
여우주연상
제43회
(1971년)
제44회
(1972년)
제45회
(1973년)
글렌다 잭슨
(사랑하는 여인들)
제인 폰다
(콜걸)
라이자 미넬리
(카바레)
제50회
(1978년)
제51회
(1979년)
제52회
(1980년)
다이앤 키튼
(애니 홀)
제인 폰다
(귀향)
샐리 필드
(노마 레이)

역대 에미상 시상식
파일:emmylogo.png
여우주연상 - 미니시리즈 부문
제35회
(1983년)
제36회
(1984년)
제37회
(1985년)
바버라 스탠윅
(가시나무 새)
제인 폰다
(The Dollmaker)
조앤 우드워드
(두 유 리멤버 러브)

역대 골든 글로브 시상식
파일:goldenglobe.png
여우주연상 - 드라마
제28회
(1971년)
제29회
(1972년)
제30회
(1973년)
알리 맥그로우드
(러브 스토리)
제인 폰다
(콜걸)
리브 올만
(우트반드라나)
제34회
(1977년)
제45회
(1978년)
제36회
(1979년)
페이 더너웨이
(네트워크)
제인 폰다
(줄리아)
제인 폰다
(귀향)
제35회
(1978년)
제36회
(1979년)
제37회
(1980년)
제인 폰다
(줄리아)
제인 폰다
(귀향)
샐리 필드
(노마 레이)

역대 영국 아카데미 시상식
파일:BAFTA 로고.svg
여우주연상
제31회
(1978년)
제32회
(1979년)
제36회
(1983년)
다이앤 키튼
(애니 홀)
제인 폰다
(줄리아)
제인 폰다
(차이나 신드롬)
제32회
(1979년)
제33회
(1980년)
제34회
(1981년)
제인 폰다
(줄리아)
제인 폰다
(차이나 신드롬)
주디 데이비스
(찬란한 나의 인생)


제인 폰다
Jane Fonda
파일:jane fonda.jpg
본명제인 시모어 폰다
Jane Seymour Fonda
출생1937년 12월 21일 (86세)
미국 뉴욕주 뉴욕시 맨해튼
국적
파일:미국 국기.svg

신체170cm[1]
부모아버지 헨리 폰다
어머니 프랜시스 포드 시모어
형제동생 피터 폰다
배우자로제 바딤(1965년~1973년)
톰 헤이든(1973년~1990년)
테드 터너(1991년~2001년)
자녀딸 메리 루아나 윌리엄스(1967년생)[2]
딸 바네사 바딤(1968년생)
아들 트로이 개리티 헤이든(1973년생)
종교무신론기독교
직업배우
활동1960년 ~ 현재
링크파일:IMDb 로고.svg |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1. 개요
2. 생애
2.1. 하노이 폰다
3. 출연작
4. 기타
5.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미국의 배우. 영화 배우 헨리 폰다의 딸로 아카데미상을 두 차례나 수상한 스타다. 적극적인 사회운동으로도 유명하다.


2. 생애[편집]


1937년 12월 21일, 배우로서 명성을 널리 펼치던 헨리 폰다와, 당시 사교사회에서 동경의 대상으로 각광 받던 사교계 명사 프랜시스 포드 시모어 사이에서 태어났다. 제인 폰다가 12살이던 해, 어머니가 우울증을 앓기 시작하여 정신 치료를 받던 중 아버지의 불륜과 이혼 신청으로 충격을 받아 자살했다.

이후 제인은 모델로 데뷔하여 보그 표지를 두 번이나 장식하였고, 아버지의 영향을 받아 배우가 되기로 결심하여 메소드 연기의 창시자 리 스트라스버그가 운영하는 수 많은 명배우들을 산출한 액터스 스튜디오에 들어갔다고 한다. 리 스트라스버그가 재능이 있다며 호평을 내리자 배우로서의 확고한 꿈을 가지게 된다.

1960년 정식으로 배우로 데뷔하여 1970년대까지 최정상 스타 배우 반열에 올랐으나, 1990년대부터 유명 기업인 테드 터너와 결혼을 하면서 돌연 은퇴를 선언한다. 2005년 다시 복귀하여 현재는 넷플릭스 시트콤 <그레이스 앤 프랭키>의 주연과 프로듀서를 겸하고 있다.


2.1. 하노이 폰다[편집]


제인 폰다는 아버지 헨리 폰다[3]의 영향을 받아 진보적 정치관을 가지게 되었으나, 이로 인하여 반전주의 운동을 하던 중 도를 넘는 행동을 하여 논란을 샀다.

베트남 전쟁 당시 베트남전 반대 시위를 하였다. 폰다는 북베트남을 방문하여 각종 마을, 학교 등을 다니며 미군의 정책을 비판하였다. 심지어 전쟁통에 북베트남군들과 함께 장난을 치는 장면이 포착되어 많은 비판을 받았다. 사진 사진2 단, 이는 폰다 혼자 간 것이 아닌, 약 500명 가량의 반전주의자들이 하노이에 방문하였다.[4] 특히 당대 최고의 스타가 반전 운동을 노골적으로 하는 데에 많은 사람들의 격분을 샀다.

그러나 이에 대해 폰다는 자신의 블로그 글에 위 사진은 자신의 의지가 아닌 주위 사람들의 호응에 휩쓸리다 북베트남군에 의해 찍혔으며, 자신이 어디에 앉아 있는지조차 몰랐다고 한다. 그제야 모든 것이 그들의 의도된 악성 선전 계획이었다는 것을 깨달았다고 했으며, 이에 자신이 비난을 받는 것은 마땅하며 상처받았을 군인들과 국민에게 사과를 하기도 했다.

비밀 작전 수행 중 포로가 된 미합중국 육군 특수작전부대나 SOG같은 특수전 부대원들의 신원을 확인해서 북베트남 정부에 통보했다는 소문도 돌았다. 그 점으로 인해 당시 포로가 됐던 참전용사들은 더욱 악랄한 고문을 당했다고 치를 떨며 분노했고 제인 폰다라는 이름만 들어도 이를 갈며 분노한다고 한다.[5]

그러나 신원을 통보하였다는 사실은 조작 의혹 논란이 있으며, 제인 폰다는 "난 그들을 만난 적도, 이름조차 모르는데 어떻게 신원을 통보하냐" 라고 주장하였다. 사실 제인 폰다의 말대로 루머일 확률이 매우 높은 것이, 미합중국 육군 특수작전부대MACV-SOG 같은 특수전 부대 소속 군인들의 신상명세를 아무리 반전 운동에 열심인 활동가라고 해도 일개 할리우드 배우가 제대로 알 수 있을 리 만무하다. 제인 폰다가 군복무를 한 것도 아니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런 악성 루머까지 돌았을 정도로 당시 제인 폰다의 처신은 매우 부적절했으며 그녀의 이미지가 바닥에 떨어진 것은 사실이 맞다.

북베트남 방문과 그에 따른 루머로 인해 어느 미국 군사 학교는 'Good night Jane Fonda, Good night Bitch!'를 야간 구호로 채택했으나 머지않아 그 구호는 규정 위반으로 금지되었다. 이러한 폰다의 활동에 대해 북베트남 육군총장인 Bui Tin은 미국은 민주주의 때문에 패전했다며 폰다를 위시한 자국민들의 프로파간다에 미군이 전투의지를 상실했다고 평했다.

당시 제인 폰다는 장뤽 고다르랑 협업 (이브 몽땅과 함께 만사형통을 찍기도 했다. 이렇게 비난받는 상황을 본 고다르가 "제인에게 보내는 편지" 라는 영화를 찍기도 했다.

물론 폰다는 재산을 히피들과 반베트남전 시위대에게 기부하기도 했고 린든 존슨 대통령을 몹시 싫어했으며[6] 극우 배우인 존 웨인을 매우 싫어했다. 그러나 정작 제인 폰다 자신은 후에 CNN 설립자인 미디어 재벌 테드 터너와 결혼하는 등, 전형적인 부유층의 삶을 살았기에 여피라는 비판을 피해갈 수 없었다.

2005년, 미해군 노병 마이클 A. 스미스가 폰다의 자서전 사인회에서 그녀의 얼굴에 침을 뱉고 도망친 사건도 있었다. 결국 체포되었으나 제인 폰다가 "큰 일을 원치 않는다" 라고 주장하여 그는 곧 풀려났다.

그녀가 당시에 저지른 이적 행위에 대한 비판이 적지 않아서, 홈쇼핑 채널에서 방송 예정이던 저서 'Prime Time'의 홍보방송이 수많은 시청자들의 항의로 인해 취소되기도 했다.

현재는 환경 운동과[7] 관련된 사회적 행보에 집중하고 있다. 과거보다는 비판이 많이 사그라들어 원로 배우로서의 존경을 받고 있다. 아이러니하게도 존 보이트[8]와 함께 출연했던 1978년 영화 <귀향>은 베트남전 참전 군인의 PTSD와 그에 대한 극복을 다루고 있으며 이 영화로 아카데미 시상식 여우주연상을 타기도 했다.


3. 출연작[편집]




4. 기타[편집]


  • 핵의 위험성을 알리기 위한 다큐멘터리 영화를 촬영하던 도중에 넘어져 발목을 부상당했다. 이 때문에 체중 관리 목적으로 해오던 발레를 못하게 되자 그 대신에 음악에 맞춰서 하는 운동법을 개발하게 된다. 이를 녹화한 비디오가 나중에 VCR 시장이 발달하면서 역대 가장 많이 팔린 VHS 비디오가 되는 등 공전의 히트를 쳤는데 이것이 소위 비디오 운동의 시초이다. # 이 비디오 시리즈로 얻은 수익은 전액 사회운동에 쓰였다.

  • "병적으로 차가운" 성미의 아버지 헨리 폰다가 어려서부터 자녀인 제인 폰다, 피터 폰다 남매를 정서적으로 학대해 두 남매는 아버지 헨리 폰다와 늘 사이가 좋지 않았다. 피터 폰다는 자서전 "Don't tell dad"에서 어린 시절부터 아버지를 두려움의 존재로 여겼다고 밝혔다. 제인 폰다는 헨리 폰다의 눈밖에 나지 않기 위해 헨리 폰다가 강요하는대로 늘 최고의 성적과 몸매를 필사적으로 유지해야했다. 어린 제인 폰다가 밖으로 감정을 드러내기라도 하면 헨리 폰다는 이를 혐오스럽게 여기며 딸을 경멸했다. 피터 폰다는 자신은 사탕을 먹었다고 엉덩이를 때릴 정도의 엄격한 아버지[9]를 두려워해 피했다면 누나는 오히려 달려들었다고 회고하기도 했다.
부녀 사이가 결정적으로 악화된 계기는 제인 폰다가 12살 때 헨리 폰다가 우울증을 앓던 42살의 아내 프랜시스 포드 시모어를 두고 수전 블랜처드와 바람피다가 아내의 호소에도 불구하고 이혼 신청을 해 아내가 그 충격으로 자살했기 때문이다. 그것도 면도기로 목을 그어서.
피터 폰다는 자신과 누나 제인 폰다는 어머니의 장례식장에 가지도 못했고, 그 뒤로 아버지는 어머니가 심장마비로 죽은 것으로 자기들 남매를 속였다고 밝혔다. 아버지가 신문이나 잡지 일체를 못 보게 치워버리고 모두가 어머니에 대해 함구해서 두 남매는 진실을 모르는 채로 지냈다.
헨리 폰다는 아내가 사망하고 얼마 안 가 바로 수전 블랜처드와 재혼했다.
어머니가 사망하고 1년 뒤, 제인 폰다는 우연히 미술 수업에서 영화 잡지를 넘기던 중 기사를 읽고 진실을 알게 되었고 이를 동생 피터 폰다와 공유했다고 한다. 제인 폰다는 아버지가 어머니를 죽인 거나 다름 없다고 여겼다. 이 사건의 여파로 제인 폰다는 자기혐오에 빠져 자기 학대의 일환으로 극심한 섭식장애에 시달렸으며 식욕억제제인 덱서드린[10] 중독에 빠져 매우 불우한 10대를 보냈다. 폰다는 40대에 들어서까지도 덱서드린을 끊지 못했다.
남매는 성인이 된 후엔 아버지와 교류를 거의 끊고 살아 셋이 모인 인터뷰에서는 서로 어색한 모습을 보이기도 했다.
그래도 헨리 폰다의 말년에 딸과 화해 기미가 보이기 시작해 헨리 폰다가 AFI 공로상을 받았을 때 마지막 연설에서 자신의 딸을 욕하는 사람들을 향해 "닥쳐, 제인은 완벽하니까."라고 한방 날려주기도 했다. 아버지의 말에 감동한 제인의 눈가엔 눈물이 맺혔다.
<황금 연못>에 함께 출연하며 부녀 관계가 개선됐다. 정확히는 남편과 아버지로서는 크게 잘못해온 헨리 폰다를 제인 폰다가 일방적으로 용서한 것. 이 사연은 2020년 9월 06일, MBC 신비한 TV 서프라이즈에서 다뤘다.
영상 11분 55초부터.

  • 할리우드에서 보통 자식들이 책을 내면 스타 부모에 대한 폭로전인 것에 반해, 제인 폰다가 1982년부터 입양 절차 없이 키워온 딸은 제인 폰다가 얼마나 위대한 어머니인지를 간증하기 위해 2013년 책 "The Lost Daughter: A Memoir"를 냈다.

  • 90년대 초중반까지 유명했던 도시전설인 '갈비뼈 뽑는 성형수술'의 대표주자로 잘못 알려져 곤욕을 치르기도 했다. 허리 사이즈를 신체 한계보다 더 줄이기 위해 맨 아래쪽 갈비뼈 두 개를 뽑아냈다는 것이 핵심 내용인데, 워낙에 널리 알려져서 대한민국에까지도 소문이 퍼지기도 했다. 당연히 말도 안 되는 거짓말이었지만, 사람들이 하도 물어보는 통에 결국 X레이 사진을 찍어 자신의 결백함을 증명해야만 했다.[11]

  • 아버지가 헨리 폰다라는 것부터 알 수 있듯 젊었을 적에 엄청난 미녀였다.[12] 1960년대를 상징하는 섹스심볼 스타였으나(당시의 모습은 영화 바바렐라에 잘 나타나 있다), 70년대에 들어 반전 운동을 시작하면서 숏컷으로 바꾸고 섹시한 이미지를 탈피하여 연기파 배우로 나아갔다. 현재도 한국나이로 84살이라는 나이가 무색하게 엄청난 동안력을 자랑한다. 지금도 매일 다섯 가지 색의 과일과 야채를 반드시 챙겨먹고 운동을 하며 관리를 한다고 한다. 심지어 환경운동을 하다가 감옥에 갇혔을 때도 감방에서 운동을 했다.
파일:Walk On The Wild Side, Jane Fonda, 1962 by Everett.jpg
파일:2f59daec5fb4575ffcfd595c1ac2f63b.jpg

파일:BONG JOON HO X JANE FONDA.jpg

  • 미국 현지에서는 운동 비디오로 유명하다. Baby Got Back에서도 언급될 정도.[13] 그리고 거기서 엉덩이가 크지 않아 매력이 없다고 디스당한다.

  • 바브렐라 출연 당시 나이는 31세로, 무려 임신 상태에서 촬영했다고 한다.



  • 좋아하는 성관계 체위를 밝힌 적이 있다. 무릎을 꿇는 건 좋아하지만 무릎이 예전 같지 않다는 등 솔직하게 털어놨다. 국내 기사

5. 관련 문서[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6 21:28:26에 나무위키 제인 폰다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출처[2] 입양[3] 여담으로 헨리 폰다는 제인 폰다가 N-word를 사용하자 제인 폰다의 뺨을 때릴 정도로 인종 문제에 깨어있는 인물이었다. 물론 제인이 인종 차별적 발언을 했던 것은 1950년대였으며 당시 인종주의가 만연한 사회로부터 영향을 받았음을 알아야 한다. 오히려 당시엔 헨리의 행동이 더 드물고 진보적인 행위였던 것이다.[4] 베트남 전쟁 시기 북베트남을 방문한 반전운동가들은 많았었다. 작가인 수잔 손택이나 미국의 역사학자 하워드 진 등 많았지만, 제인 폰다 만큼 미국 사회에 임팩트를 주지는 못했다.[5] 피터 폰다가 덴버 공항에 붙어있던 "고래의 먹이로 제인 폰다를 줘라."라는 선전물을 훼손하다 결국 체포된 적이 있었다.[6] 그러나 정작 LBJ는 민주당 출신 대통령이다.[7] Fire drill fridays라는 환경운동 행사로 샘 워터스톤, 나탈리 포트만, 호아킨 피닉스, 루니 마라도 자주 참석하여 연설을 한다.[8] 심지어 존 보이트는 할리우드 내 대표적 공화당원이다. 그런데 더 대단한 것은 존 보이트의 딸인 안젤리나 졸리는 민주당 소속으로 대통령 출마도 고려해볼 정도로 독실한 민주당원이라는 점이다.[9] 먹지 말라고 경고하는 아버지에게 대들다가 맞았다고 한다.[10] Dexedrine.[11] 캠퍼스 러브 스토리 제작 과정에서도 이런 헛소문이 적용된 흔적이 남아 있다. 캠퍼스 러브 스토리/더미 데이터/강미령 문서 참고.[12] 사실 폰다 가족 3인방 모두 장신+쾌남, 미녀 속성을 가지고 있었다. 헨리 폰다와 피터 폰다는 190cm 정도의 장신이었고 제인 폰다는 170 후반까지는 아니지만 173cm로 당대 여배우들 중에서도 매우 장신인 편이었다.[13] So your girlfriend rolls a Honda, playin' workout tapes by Fond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