덤프버전 :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주둥이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한국철도공사의 전동차 별칭에 대한 내용은 한국철도공사 전동차 문서
2.4.1.4번 문단을
한국철도공사 전동차# 부분을
, 인터넷 방송인에 대한 내용은 주둥이방송 문서
주둥이방송번 문단을
#s-번 문단을
주둥이방송#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구강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중국의 도시 九江에 대한 내용은 주장시 문서
주장시번 문단을
주장시#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사람의 신체 부위
[ 펼치기 · 접기 ]

인체 · 신체
상체머리두피머리카락 · 정수리 · 뒤통수
얼굴이마 · 눈썹 · · 속눈썹 · · · 입술 · · · · 관자놀이 · 미간 · 인중
내부두개골 · 광대뼈 · · 비강 · 치아 · 잇몸 · · 설소대 · 입천장 · 목젖 · 침샘 · 편도선 · 인두
경추 · 식도 · 경동맥 · 성대 · 울대뼈 · 후두 · 기도(기관) · 갑상샘 · 목덜미
어깨겨드랑이 · 쇄골 · 견갑골 · 삼각근
상완이두박근 · 삼두근 · 위팔뼈
팔꿈치오금
전완전완근 · 노뼈 · 자뼈
손목 · 손등 · 손바닥 · 손가락 · 손톱
가슴외부유방 · 유두 · 유륜 · 명치
내부심장 · · 대흉근 · 횡격막 · 갈비뼈 · 복장뼈
복부외부옆구리 · 배꼽
내부 · 위장 · 쓸개 · 비장 · 췌장 · 콩팥 · 작은창자(샘창자) · 큰창자(직장 · 맹장 · 결장) · 복강 · 복막 · 복벽
척추 · 광배근 · 척추기립근 · 척수
허리
하체사타구니골반 · 방광 · 회음부
성기남성음경 · 고환
여성자궁 ·
볼기엉덩이 · 궁둥이 · 항문 · 꼬리뼈
다리넓적다리허벅지 · 대퇴사두근 · 대퇴골
무릎오금
정강이정강뼈
종아리종아리뼈 · 아킬레스건
발목 · 발꿈치 · 발바닥 · 발가락 · 발톱
기타틀:사람의 뼈 · 골수 · 인대
근육틀:근육 · 힘줄
혈관동맥 · 정맥 · 모세혈관
소화계위액 · 장액 · 융털
수염 · 코털 · 구레나룻 · 가슴털 · 겨드랑이 털 · 팔털 · 배털 · 음모 · 항문주위털 · 다리털 · 모낭
분비물 · · 눈물 · 피지 · 콧물 · 가래 · 쿠퍼액 · 정액 · 애액 · · 고름
노폐물각질 · 눈곱 · · 귀지 · 코딱지 · 비듬
배출물소변 · 대변 · 트림 · 방귀
이물질결석증 · 편도결석 · 담석 · 요로결석 · 신장결석 · 위석
기타피부 · 점막 · 신경 · 틀:포유동물의 기관계





1. 개요
2. 어형
3. 기능
4. 형태
4.1. 크기
4.2. 기타
5. 건강
7. 창작물에서
8. 기타
9. 동음이의어
10.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입은 구멍으로 된 동물기관 중 하나이다. 얼굴의 하단부에 위치해 있다. 입 내부의 구성 요소로는 치아 등이 있다.


2. 어형[편집]


언어별 명칭
한국어
*ip(邑)(고대 한국어)
한자()
그리스어στόμα(stóma)
στόμα(stóma), στύμα(stúma)(아이올리스 방언), μάσταξ(mástax)(고전 그리스어)
독일어Mund
Mund, Muul(저지 독일어)
Maul(펜실베이니아 독일어)
라틴어os/ōs
라파누이어haha(하하)
러시아어, 우크라이나어рот(rot), уста́(ustá)(시적), пасть(pastʹ)(동물)
마인어mulut
만사카어, 세부아노어baba(바바)
몽골어ам(am)
밤바라어da(다)
버로어, 벱스어, 보트어, 에스토니아어, 카렐어, 핀란드어suu
베트남어miệng, mồm, khẩu
산스크리트어आस्(ās), मुख(mukha), च्युप(cyupa)
수메르어𒅗(ka, 카)
스페인어, 포르투갈어boca
boca, buso(갈리시아어)
아랍어فم(fam), خشم(khashm), فُو(fū), فُوهَة(fūha)
ثم(ṯamm), حلج(ḥalj)(걸프 아랍어)
تم(tumm)(남), تم(temm)(북)(레반트 아랍어)
فم(fumm), فا(fā)(모로코 아랍어)
حلگ(ḥaleg)(이라크 아랍어)
بق(bo')(이집트 아랍어)
فَمّ(famm)(히자즈 아랍어)
에스페란토buŝo
boko(이도)
영어mouth(마우스)[1]
mūþ(고대 영어)
이탈리아어bocca
vocca(나폴리어)
bocia(라딘어)
buca, bucca(사르데냐어)
bucca, vucca(시칠리아어)
bocje, bočhe(프리울리어)
일본어(くち(kuchi)
중국어(zuǐ, (kǒu, 嘴巴(zuǐba(표준중국어)
(khéu, (choi(객가어)
(hau2, (zeoi2(광동어)
зуй(zuy), ку(ku)(둥간어)
(chói/ché̤ṳ(민동어), (chhuì, (kháu(민남어)(민어)
(tsr(오어)
태국어ปาก(bpàak)
튀르키예어ağız
آغز(ağız), آغیز(ağız), دهان(dehân), دهن(dehen), فم(fem)(오스만어)
페르시아어دهان(dahân), دهن(dahan)(구어 또는 고어)
даҳон(dahon)(타지크어)
프랑스어bouche(사람), gueule(동물)
buche(고대 프랑스어)
bocca, bucca, bucchi(코르시카어)
히브리어פֶּה(pe)
𐤐(p)(페니키아어)
기타 [ 펼치기 · 접기 ]

가가우즈어aaz
게르만조어*munþaz
고대 튀르크어𐰍𐰕(ǧz)
고전 이집트어r(/ɾaʀ/ → /ɾaʀ/ → /ɾaʔ/, /ɛr/, er)
고트어𐌼𐌿𐌽𐌸𐍃(munþs)
과라니어juru
구자라트어મુખ(mukh)
나나이어ангма(angma)
나마어ams
나바호어azééʼ
나와틀어kamajtli, camatl
네덜란드어, 아프리칸스어mond, bek(동물), muil
mund, munt(고대 네덜란드어)
móndj, mónd(림뷔르흐어)
네팔어मुख(mukh)
노가이어авыз(avız)
노르만어bouoche(저지)
노르웨이어munn
니브흐어ыӈг(əŋg)
다코타어i
달마티아어buca
덴마크어mund, kæft
둥샹어aman
디베히어އަނގަ(aⁿga)
딩카어thok
라디노어בוקה/boka
라오어ປາກ(pāk)
라즈어პიჯი(ṗiǯi)
라크어кьацӏ(qʼacʼ)
라트갈레어, 라트비아어mute
레즈긴어сив(siv)
롬바르드어bocca, boca(boca, buca)
롬어muj/муй
루마니아어gură
gura(메글로-루마니아어)
루슈트시드어qədxʷ
루신어рот(rot), писок(pysok), уста(usta)
룩셈부르크어Mond
리보니아어
리투아니아어burna, nasrai(비속어)
림뷔르흐어móndj
링갈라어monɔkɔ
링구아 프랑카 노바
마라티어मुख(mukh), तोंड(toṇḍa)
마리어умша(umša)
마야어chiʼ(유카탄 마야어)
마오리어māngai, waha, pūahatanga
마케도니아어у́ста(ústa)
만시어сӯп(sūp)
만주어ᠠᠩᡤᠠ(angga)
말라가시어vava
말라얄람어വായ(vāya)
몬어ပါၚ်(pāṅ)
몰타어ħalq, fomm
몽어qhov ncauj(백몽어)
미얀마어ပါးစပ်(pa:cap)
바스크어aho
바시키르어ауыҙ(awıź)
발루치어دپ(dap), دف(daf)
베네토어boca
베르베르어ⵉⵎⵉ(imi)(중부 아틀라스 베르베르어)
벨라루스어рот, вусны
벵골어মুখ(mukh)
볼라퓌크mud, mudil
부랴트어аман(aman)
불가리아어уста(ustá)
빌라모비체어moüł
사모아어gutu
사미어njaelmie(남부 사미어)
njálbmi(북부 사미어)
njälmi(이나리 사미어)
njäʹlmm(스콜트 사미어)
ня̄лльм(nyāllʼm)(킬딘 사미어)
사하어айах(ayax)
사호어, 소말리어af
세르보크로아트어у́ста/ústa
소르브어huba(상소르브어)
guba(하소르브어)
소토어molomo
쇼나어muromo
쇼르어аас(aas), ақсы(aqsı)
순다어baham
스와힐리어kinywa
스웨덴어mun, käft
스코트어mooth, gab, geggie
슬로바키아어ústa
슬로베니아어usta
슬로비오уста/usta
신디어مک(mukhu), ٻُوٿُ(ḇūthu)
실헤티어mukó
싱할라어කට(kaṭa)
아람어ܦܘܡܐ(pūmā), երախ(erax)(동물)
아르메니아어բերան(beran)
아바르어кӀал(k'al)
아베나키어mdon
아베스타어åŋhānō, āh, åŋh
아삼어মুখ(mukh)
아이누어caru/チャル, caro/チャロ, paro/パロ
아이마라어laca
아이슬란드어munnur, kjaftur(비속어)
아이티 크레올어bouch
아제르바이잔어ағыз/ağız
아카드어𒅗(pû)
아파치어bizéʼ
알라바마어ichokhalbi
알루토르어рыкырн'ын
알류트어ira-luk, can-nent
알바니아어gojë
암하라어አፍ(ʾäf), አንደበት(ʾändäbät)
압하스어аҿы
야그노비어рах(rax)
야미어vivi
어웡키어амӈа(amŋa)
에르자어курго(kurgo)
에벤어амҥа(amŋa)
에웨어nu
오로모어afaan(om)
오로첸어amŋa
오리야어ମୁଖ(mukhô)
오세트어ком(kom), дзых(ʒyx)
오지브웨어indoon
오크어boca, bouco(프로방스 방언)
왈롱어boke
요루바어ẹnu
우가리트어𐎔(p)
우드무르트어ым(ym)
우디어жӏомох(ž:omoχ)
우즈베크어ogʻiz
월로프어gémmiñ
위구르어ئېغىز،/еғиз(ëghiz)
응가나산어ӈаӈ(ñañ)
이누이트어ᖃᓂᖅ(qaniq)
qaniq(이누피아툰)
qaneq(칼랄리숫(그린란드어), 유픽어)
이디시어מויל(moyl)
이보어onu
이어ᦔᦱᧅ(ṗaak)
인도유럽조어*ment-
인테르링구아bucca
일로카노어ngiwat
자바어cocot, cangkem
cangkem(고대 자바어)
좡어bak
줄루어umlomo 3 or 4
차미쿠로어awana
체로키어ᎠᎰᎵ(aholi)
체와어kamwa
체첸어батт(batt)
체코어ústa(특히 사람), pusa(비격식체), tlama(특히 동물)
추바시어ҫӑвар(śăvar)
축치어йыкыргын(jykyrgyn)
츠와나어molomo
치카소어iti
카라차이-발카르어аууз(awuz)
카라칼파크어awız
카바르다어жьэ(ẑă)
카자흐어ауыз(awız)
칼미크어амн(amn)
케추아어simi
케트어қө(qö)
켈트어파béal(아일랜드어)
beeal, gob(맨어)
genoù(브르타뉴어)
beul, craos(동물)(스코틀랜드 게일어)
ceg, cegau(웨일스어)
ganow(콘월어)
코미어вом(vom)(코미-지랸어)
ӧм(öm)(코미-페르먀크어)
코사어umlomo
콥트어ⲣⲟ(ro), ⲣⲱⲟⲩ(rōou)
콩고어munoko
쿠르드어دەم(dem)(소라니 방언)
dev(쿠르만지 방언)
دەم(dem)(페흘레와니 방언)
دەم(dem)(라키어)
쿠미크어авуз(awuz)
크리어mitōn(평원 크리어)
ᒥᑑᐣ(mitoon)(삼림 크리어)
크림 타타르어ağız
크메르어មាត់(mŏət)
키르기스어ооз(ooz)
키쿠유어kanua
타밀어வாய்(vāy)
타바사란어ушв(uš°)
타오스어łòmų́ną
타타르어авыз/awız
타히티어vaha
테툼어ibun
텔루구어నోరు
토하라어koyṃ(토하라어 B: 쿠처 방언)
톡 피신maus
통가어ngutu
투르크멘어agyz, ağyz
투바어аас(aas)
티그리냐어አፍ(ʾäf)
티베트어ཁ(kha)
ख(kha), ཁ(kha)(셰르파어)
파슈토어خولۀ(xwlə)
파피아멘토어boka
펀자브어ਮੁਖ/مکھ(mukh), ਮੂੰਹ/مونہ(mū̃h)
페로어muður, munnur
폴란드어usta, paszcza, gęba
프리지아어mûle, mûn(서부)
müd, müth, müss(북부)
mūth, mund, mond(고대 프리지아어)
Muule(자터란트 프리지아)
피지어gusu
필리핀어bibig, bunganga
하와이어waha
하우사어baki
하카스어аас(aas), ахсы(axsı)
헝가리어száj
호피어moʼa
히타이트어𒀀𒄿𒅖(aiš)
힌디어मुंह(mu.nh), मुख(mukh)
منہ(mu.nh), مکھ(mukh)(우르두어)
!쿵어tsiː

기본어휘에 속한다.

입 안의 공간을 한자어로 구강(口)이라고 한다. 비강(鼻腔), 복강(腹腔)과 마찬가지로 '-강'은 '~의 빈 곳'을 뜻한다.

인간의 입을 비속하게 이르거나 동물의 튀어나온 입 또는 그 주변을 부 때 주둥이라 한다. 입을 속되게 아가리나 줄여서 아갈이라고 하는데 동물한테 써도 속어인 게 특징이다.

3. 기능[편집]


기본적인 기능으로 기도식도가 연결되어있어 호흡과 섭취를 할 수 있다. 따라서 호흡기관이자 소화기관이다.

척삭동물 계열은 여과형태로 섭취를 하기 때문에 먹으면서 호흡도 동시에 할 수 있다. 그러나 척추동물로 진화하면서 이 생기고 부피가 큰 고형의 물체를 먹게 되면서 호흡과 섭취를 동시에 하기 힘든 문제가 생겼다. 이 때문에 아가미 옆에 숨구멍이 진화하여 턱을 다물거나 무언가를 물고 있어도 호흡이 가능하게 진화하였고, 숨구멍은 후에 척추동물이 지상으로 진출하면서 콧구멍과 통합되어 라는 감각기관이 호흡기관을 겸하게 된다. 이로서 지상 척추동물은 코가 주요 호흡기관 역할을 상당수 가져가면서 소화기관의 역할이 더 부각되게 되었다. 다만 여전히 주요한 호흡기관 중 하나기 때문에 부하가 높게 걸리는 운동을 하면 본능적으로 입도 벌려서 더 많은 공기를 폐로 보내 호흡하게 된다.

음식물을 먹을 때나 숨쉴 때나 말할 때, 입이 막혀있으면 제대로 살아가기 힘들다. 기관지절개술을 받거나 연하곤란 등으로 입으로 음식 섭취가 힘들 때에는 코에 위관(胃管)이라서 해서 영양액 튜브를 설치하거나, 에 위루(胃瘻)라고 해서 직접 들어가는 튜브를 설치한다. 말초정맥영양주사를 임시로 맞는 방법도 있다. 그래도 입으로 먹는 게 최고다.

일반적으로 씹기 운동을 통한 물리적인 소화만 담당하지만 인간에 경우 땅속에 구근 식물들을 많이 먹으면서 에는 녹말을 분해해주는 아밀레이스라는 소화효소가 나와서 화학적 소화도 담당한다. 한편 침팬지는 인간보다 채식 비율이 높지만 땅속 구근 식물은 잘 먹지 않기 때문에 침에서 아밀레이스가 나오지 않는다.

동물에 따라서 성대로 소리를 내거나 치아로 물 수도 있다. 특히 입에는 세균이 많이 서식하고 일부 동물군은 잇몸 주변에 독샘도 있어서 물린 상처는 매우 치명적이다.

손처럼 오므리고 물건을 붙잡을 수 있는 행동이 가능한 부위라 손으로 발달되지 않아 앞을 잘 사용하지 못하는 동물들에게는 거의 유일한 손과 같은 역할을 수행하는 기관이기도 하다. 영장류같이 평소에 앞발을 잘 쓰는 동물들도 가끔 제3의 손의 역할로 사용하기도 한다. 영장류에서 더 나아가 가장 세밀한 손 구조를 지닌 인간도 몹시 다급하고 바쁜 상황이거나 혹은 손과 팔쪽에 장애가 있는 이들은 손 대신 입을 쓴다.

인간을 포함한 영장류를 비롯한 일부 동물들은 친밀함의 표시 등 감정표현으로 입을 사용하는 동작이 많다. 특히 영장류 계열은 윗턱은 대부분의 포유류처럼 고정되어 있어도, 윗입술은 근육으로 움직일 수 있어 표정 짓기가 가능한데, 이러한 표정을 통해 몸짓언어를 주요한 의사소통의 방법으로 사용한다.

평범한 사이에서 타인의 체액은 보통 더럽게 여겨지는데 사랑하는 사람끼리는 그렇게 느껴지지 않는다. 레트로닌의 영향으로 거부감이 약해지고, 입에는 감각기가 밀집해 있어 성감대로도 작용하기 때문이다.

4. 형태[편집]


눈과 더불어서, 인간의 얼굴의 인상을 크게 좌우하는 부위 중 하나이다. 입과 그 주변을 통틀어 '하관'이라고 하는데, ,코가 '예쁘냐 안 예쁘냐'를 결정짓는다면[2] 하관은 '못생겼냐 안 못생겼냐'를 좌우할 정도로 그 비중이 매우 크다. 실제로 하관이 못생기면 다른 부위는 아무리 예뻐도 외모가 디버프되기 쉽다. 하지만 크게 걱정할 필요는 없는 게 정말 심한 주걱턱이나 사각턱이 아닌 이상 운동을 통해 살이 빠진다면 대부분 괜찮은 얼굴형이 된다. 또한 작은 문제가 있더라도, 교정 등을 통해 해결이 가능한 경우가 많다.

아무래도 얼굴에서 입이라는 부분이 사람을 볼 때 외적인 면을 좌우하는 정도가 제법 크다보니 스카프복면 등으로 입을 가리면 사람이 달라보이기도 한다. 입을 가리면 표정을 구별하기가 어려워져서 감정을 쉽게 알아챌 수 없고, 눈매가 강조되어 보이는 효과도 있기 때문에 인상이 다르게 보이는 것. 입을 무언가로 가려 놓으면 알 수 없는 인물이라는 느낌을 주면서도 신비주의적인 느낌을 풍기기 때문인 듯. 2020년 코로나19가 유행함에 따라 마스크 사용이 의무화되고 있는데 이런 점이 더 두드러지는 모양. 링크 아예 마기꾼이라는 말까지 생겨났다.#

의 입은 부리 형태로 각질화되어 있다.


4.1. 크기[편집]


입이 적당히 크면 웃을 때 활발하고 시원해보인다는 장점을 가지게 된다. 단, 치열이 좋지 않으면 입이 커도 시원한 미소는 되기 힘들고, 특히 입이 크면 노안으로 보이거나 징그러워보이기 쉽기에 장점보다는 단점이 더 많다.

보통 입은 작되 입술앵두같이 약간 도톰한 것을 미형으로 선호한다. 하지만 안젤리나 졸리와 같은 두툼한 명란젓 입술은 보통 동양권에서는 크게 선호되지 않는다. 개구리같은 또는 악어처럼 크게 찢어지는 입을 선호하는 경우도 더러 있다.

반대로 입이 너무 작거나 입술이 너무 얇으면 옹졸해보이기도 한다.

4.2. 기타[편집]


돌출입은 얼굴의 미관을 크게 망치는 요소 중 하나로 뽑힌다. 이건 입 자체보다는 입 안의 치열 문제가 더 크기 때문에 치아교정으로 해결이 가능하다. 반면 심한 주걱턱인 경우는 턱의 위치가 잘못되어 입술까지 불균형해보일 수 있으며 양악수술이 필요한 경우.

그 밖에 위아래로 두툼한 입과 얇은 윗입과 두꺼운 아랫입이 있는가 하면 두꺼운 윗입과 두껍지 않은 아랫입이 있으며, 위아래 튀어나온 입술, 위만 튀어나온 입술, 아래만 튀어나온 입술이 있다. 너무 얇은 입술은 간사하거나 비열해보이는 느낌을 주기도 하며, 반대로 너무 두꺼운 입술도 징그러워 보이기 쉽다. 만화에서 추녀를 묘사할 때 자주 쓰일 정도다. 대표적인 예가 사카자키 미코코.

근처에 있는 인중과 함께 인간의 급소 중 하나이다.


5. 건강[편집]


입안 점막은 사람의 몸에서 재생이 비교적 빠른 부위다. 사실 입과 더불어 식도, , 소화계 전부가 다른 곳에 비해 재생이 빠른 축에 속한다.

가끔 뭘 먹지도 않았는데 이상한 찌꺼기가 입 안에 생길 때가 있는데, 바로 이 입안 점막이 벗겨진 것이다. 입 안에 큰 염증이 생기거나 입 안을 크게 다쳤거나 하는 특수한 상황이 아니면[3] 이 자체는 정상이다. 그냥 피부각질이 벗겨진 것과 비슷하므로 이상하게 여길 필요는 없다. 에 섞여서 삼키거나 뱉으면 끝.

입은 외부에 노출되어있고 축축한 특성상 세균이 많다. 감기를 비롯한 각종 병균들과 바이러스를 옮기 딱 좋은 것 중에 하나가 바로 입이다.


6. 입 가리고 웃기[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입 가리고 웃기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7. 창작물에서[편집]


현실에서는 아주 어린 아기를 제외하면 눈보다 큰 부위지만 일본 만화애니메이션 등에서는 눈보다 작게 그려질 때가 많다. 코와 입의 표현을 간소화하고 눈을 강조하는 그림체를 선호하는 경향 때문인데 자세한건 모에 그림 항목 참조. 그리고 입을 그릴 때 중간을 끊어서 그리는 경우도 많다. 다문 입은 입 선의 가운데가 끊어져 있고[4] 벌린 입도 가운데 부분은 모서리 선을 그리지 않는다.

입의 모에 요소로는 세모입, 하트 입, 고양이입, 토끼입 등이 있다.

판타지물에서는 여러 개의 입이 달렸거나[5][6], 인간의 입이 아닌 다른 형태의 입을 가졌거나 원래와는 다른 위치에 입이 달린 괴수가 나오기도 한다. 입이 여럿 달린 괴물 중에서 유명한 존재로 워크래프트 시리즈의 요그사론을 들 수 있다. 또한 식인괴수물에서 괴수들이나 보어물의 필수요소이기도 하다. 애초에 '먹는다'는 행위는 입이 아니면 이루어지지 않기에 입 자체가 헬게이트 같은 이미지가 된다. 그런데 역으로 괴수가 아가리를 벌릴 때 폭탄이나 무기로 공격해 공격이 먹히지 않는 가죽을 뚫는 대신 위험을 감수하고 괴수의 아가리 안의 속살을 꿰뚫는 식의 긴박한 장면을 연출하는 등, 역설적인 약점으로 나오기도 한다. 또는 킹콩과 같이 괴수의 아가리를 잡고 힘싸움을 하다가 위아래 턱을 억지로 벌려 아가리를 찢어 죽이는 그로테스크하고도 강렬한 연출도 존재한다.

또한 창작물 속 용이나 괴물 등이 몸에서 무언가를 발사하여 공격할 때는 거의 항상 입에서 발사한다. 눈에서 발사하는 경우도 있지만 아무래도 투사체가 빔이나 염동력 등 극히 한정되어 있다. 또 손에서 발사하는 건 반드시 인간형 캐릭터에 한정된다. 사실 생각해 보면 당연한 것이 몸 속에서 무언가를 내보내 공격한다면 '포구' 역할을 할 수 있는 기관으로서 기본적으로 구멍 형태인 입이 가장 적합하기 때문이다. 대표적인 것이 드래곤 브레스가 있으며, 음파 계열 캐릭터들 중에도 이런 공격을 하는 자들이 있다. 현실에서도 입에서 불을 뿜는 묘기가 있는데, 이것은 미리 화상방지 연고를 안 발라두면 위험하다.


8. 기타[편집]


돌묵상어는 입이 무식하게 크다. 거대한 머리 가운데 입이 대부분을 차지할 정도이다.

여성의 음문은 입과 닮았다고 묘사된다. 음순(陰脣, labium)이 입술과 관련된 어형인 것도 그러한 비유의 연장이다. '여자는 입이 2개 있다'라는 이야기도 돌며,[7] 간혹 여성의 성기를 '아랫입'이라고 부르는 경우도 있다.[8]

"추운 데서 자면 입 돌아간다"라는 속설이 있다.

세계에서 가장 큰 여성은 미국 코네티컷주 출신 '서맨사 램즈델'이고 입 크기는, 가로10cm, 세로는 6.56㎝다. SBS 유튜브

9. 동음이의어[편집]


중국에는 구강(九江)이라는 도시가 있다. 표준 중국어 발음으로는 주장이다.

주둥이한국철도공사 전동차#2018년 ~ 현재의 별칭이기도 하다. 주둥이방송이라는 인터넷 방송인도 있다.


10. 관련 문서[편집]


[1] 무성 치마찰음 /θ/발음으로 끝나기에, 원어 발음은 '마우트'와 '마우스'의 중간에 가깝다. 소위 '혀 짧은(lispy)' 사람들의 ㅅ발음을 생각하면 쉽다.[2] 눈이 예뻐도 하관이 못생겼을 경우는 점수가 팍 깎인다.[3] 입자가 거칠거나 단단한 음식을 먹어도 입 안 점막(특히 입천장 부위)이 벗겨지기도 한다.[4] 파일:/20160314_287/1457957292764LfiFH_JPEG/%C8%E6%B8%B7.jpg 이런 식으로[5] 파일:귀멸의칼날22.png
위 인물은 귀멸의 칼날키부츠지 무잔이다.
[6] 또 유명한 예시로는 나루토의 데이다라가 있다.[7] 인터넷에는 女口二個如差 식으로 치면 한문 느낌으로 된 드립이 몇 개 나온다. 아주 옛날부터 있었던 말인지는 확인하기 어렵다.[8] 왕의 남자에서도 장생이 '허! 요망한 것. 그래 좋다. 입을 채워주마. 윗입을 채워주랴, 아랫입을 채워주랴?'라며 드립을 친다. 이에 공길이 윗입이라면서 물구나무를 선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주둥이 문서의 r11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주둥이 문서의 r11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파일:CC-white.svg이 문서는 개편이 필요합니다.

이 문서는 리그베다 위키에서의 수정 로그 삭제로 인해 과거 로그의 일부가 누락된 문서이며, 문서 개편이 필요합니다. 이에 대해 자세히 알고 싶으신 분은 나무위키:로그 누락 문서를 참고해주세요. 또한 이 틀을 다실 때는, 문서 최상단 혹은 최하단에 [[분류:로그 누락 문서]]를 달아 주세요.


로그가 누락된 본 문서의 기여자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4-06-14 22:53:16에 나무위키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