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시키르어

덤프버전 : (♥ 0)

튀르크어족
[ 펼치기 · 접기 ]

보편 튀르크어파차가타이어파동부 차가타이어파위구르어 · 에이누어 · 일리 투르키어
서부 차가타이어파우즈베크어 · 우즈베크 남부 방언
차가타이어
오구즈어파동부 오구즈어파투르크멘어 · 우즈베크 오구즈 방언 · 호라산 튀르크어
서부 오구즈어파튀르키예어 · 아제르바이잔어 · 가가우즈어 · 오스만어
남부 오구즈어파카슈카이어 · 아프샤르어 · 차하르마할어 · 아이날루어
살라르어
시베리아어파남시베리아어파사얀어파투바어 · 토파어 · 두하어
알타이어파북부 알타이어
예니세이어파서유구르어 · 하카스어 · 푸위 키르기스어 · 쇼르어
출름어파출름어
북시베리아어파돌간어 · 사하어
킵차크어파킵차크-노가이어파카자흐어 · 시베리아 타타르어 · 노가이어 · 카라칼파크어 · 페르가나 킵차크어
킵차크-불가르어파바시키르어 · 타타르어
킵차크-쿠만어파카라차이-발카르어 · 쿠미크어 · 크림 타타르어 · 카라임어 · 우룸어
킵차크-키르기즈어파남부 알타이어 · 키르기스어
아르구어파할라지어
오구르어파추바시어 · 불가르어



바시키르어
Башҡортса
Башҡорт теле

Bashkir language
유형교착어
어순주어-목적어-서술어 (SOV)
서자방향좌횡서
문자키릴 문자
주요 사용 지역
(또는 공용어 지정 국가)
파일:러시아 국기.svg


파일:바시코르토스탄 공화국 국기.svg

원어민120만 명
계통튀르크어족
킵차크어파
볼가-킵차크어군
바시키르어
언어 코드ISO 639-1BA
ISO 639-2BAK
ISO 639-3BAK
글로톨로그bash1264
1. 개요
2. 문자와 발음
2.1. 모음 조화
3. 방언
4. 들어보기



1. 개요[편집]


러시아바시코르토스탄 공화국에서 쓰이는 언어. 2010년 통계에 의하면 사용인구는 115만 명으로, 바시코르토스탄 인구의 23%가 사용해 러시아어타타르어에 이어서 3번째로 많이 쓰인다. 이웃한 타타르족들이 대부분 타타르어를 사용하는 데 비해, 바시키르인의 경우 러시아어 사용자와 바시키르어 사용자의 수가 엇비슷한 편.


2. 문자와 발음[편집]


【문자 목록 보기】
문자
(대문자/소문자)
이름발음
А а а/ɑ/
Б б бэ/b/
В в вэ/w/, /v/(외래어에서)
Г г гэ/g/
Ғ ғ ғы/ʁ/
Д д дэ/d/
Ҙ ҙ ҙы/ð/
Е е йе/je/, /e/(자음 뒤)
Ё ё йо/jo/
Ж ж жэ/ʒ/
З з зэ/z/
И и и/i/
Й й ҡыҫҡа и/j/
К к ка/k/
Ҡ ҡ ҡы/q/
Л л эл/l/
М м эм/m/
Н н эн/n/
Ң ң эң/ŋ/
О о о/o/
Ө ө ө/ø/
П п пэ/p/
Р р эр/r/
С с эс/s/
Ҫ ҫ ҫэ/θ/
Т т тэ/t/
У у у/u/, /w/(이중모음에서)
Ү ү ү/y/, /w/(이중모음에서)
Ф ф эф/f/
Х х ха/χ/
Һ һ һы/h/
Ц ц цэ/ts/
Ч ч че/tɕ/
Ш ш ша/ʂ/
Щ щ ща/ɕɕ/
Ъ ъ ҡатылыҡ билдәһе/-/, /ʔ/(모음 뒤)
Ы ы ы/ɯ/
Ь ь йомшаҡлыҡ билдәһе/ʲ/, /ʔ/(모음 뒤)
Э э э/e/
Ә ә ә/æ/
Ю ю йу/ju/
Я я йа/ja/

이전부터 바시키르인들이 사용해 오던 언어이지만, 문어로서는 소련 시대부터 글로 쓰이기 시작하였다.[1] 현재는 키릴 문자로 표기하며, 러시아어에 없는 발음을 표기하기 위해 ғ /ʁ/, ҙ /ð/, ҡ /q/, ң /ŋ/, ө /ø/, ҫ /θ/, ү /y/, һ /h/, ә /æ/의 9개 글자가 추가로 사용된다.

발음에서는 이웃한 타타르어처럼 다른 튀르크어의 e-i, o-u, ö-ü가 서로 뒤바뀌는 현상이 일어나며, 다만 표기에서 타타르어와 다른 점으로 고모음에서는 원순모음과 비원순모음 간 모음조화를 지켜서 표기한다. 자음의 경우 바시키르어에서만 나타나는 현상으로 다른 튀르크어의 s가 /h/ 혹은 /θ/(음절 말)로, ch가 /s/로, 그리고 z나 일부 d 발음이 /ð/로 바뀌는 특징이 있다. 따라서 은 타타르어나 카자흐어에서는 су지만 바시키르어에서는 һыу가 된다.


2.1. 모음 조화[편집]


바시키르어는 다른 튀르크어족 언어들처럼 모음 조화가 존재한다.
후설 모음А /a/О /o/У /u/Ы /ɯ/
전설 모음Ә /æ/Ө /ø/Ү /y/Е /e/

타타르어와 마찬가지로 Ы /ɯ/에 대응되는 전설 모음은 И /i/가 아닌 Е /e/이다. 바시키르어의 경우 여기에 더해 비원순/원순 조화가 존재해서, Ы에 대응되는 모음은 Ы, Е, О, Ө의 4개가 된다.

3. 방언[편집]


바시키르어의 방언으로는 동부 방언(Көнсығыш), 북서부 방언(Төньяҡ-Көнбайыш), 남부 방언(Көньяҡ)의 세 가지가 있다.

4. 들어보기[편집]



ГТРК Башкортостан의 바시키르어 뉴스 프로그램 "ХӘБӘРҘӘР".


알수가 부른 노래인 우파의 보리수들(Өфө йүкәләре).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9 14:13:57에 나무위키 바시키르어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인근 지역의 타타르어가 전근대 전통 시대부터 아랍 문자로 표기하였던 것과는 정반대인 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