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유치송

덤프버전 :




역임한 직위
[ 펼치기 · 접기 ]
파일:신민당 벽보글씨.svg 사무총장



파일:대한민국 투표 도장 문양(흰색 테두리).svg 제12대 대통령 선거 후보
[ 펼치기 · 접기 ]

기호정당이름비고
1한국국민당김종철
2민권당김의택
3민주한국당유치송
4민주정의당전두환당선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파일:대한민국 헌정회 로고.png대한민국헌정회
역대 회장
||
[ 펼치기 · 접기 ]

초대
곽상훈
제2대
백낙준
제3-5대
윤치영
제6대
홍창섭
제7-8대
김주인
제9대
김원만
제9(보선)-10대
김향수
제11대
채문식
제12대
유치송
제13대
장경순
제14대
송방용
제15대
이철승
제16-17대
양정규
제17(보선)-18대
목요상
제19대
신경식
제20대
유용태
제21대
유경현
제22대
김일윤
제23대
정대철





대한민국 제6·9-12대 국회의원
유치송
柳致松 | Yu Chi-song
파일:유치송 총재.jpg
출생1924년 10월 7일
경기도 진위군 평택면 비전리
(現 경기도 평택시 비전동)
사망2006년 6월 2일 (향년 81세)
서울특별시 종로구 연건동 서울대학교병원
본관전주 류씨
아호만취(晩翠)
배우자안태영[1]
자녀슬하 1남 2녀, 장남 유일호
학력평택성동초등학교 (졸업)
경성고등보통학교 (졸업)
서울대학교 (경제학 / 학사)
종교불교
의원 선수5
의원 대수6, 9, 10, 11, 12
경력신익희 국회의장 비서
민정당 청년부장
민정당 경기도지부 부위원장
제6대 국회의원 (경기 평택군 / 민정당)
민중당 의원총회 부총무
제20차 UN총회 한국대표
민중당 경기제9지구당위원장
신민당 사무총장
신민당 최고위원
제9대 국회의원 (경기 평택군-안성군-용인군 / 신민당)
제10대 국회의원 (경기 평택군-안성군-용인군 / 신민당)
제65차 IPU 한국대표이사
민주한국당 창당준비위원장
민주한국당 총재
민주한국당 대통령후보
제11대 국회의원 (경기 평택군-안성군 / 민주한국당)
제12대 국회의원 (경기 송탄시-평택군-안성군 / 민주한국당)
대한민국헌정회 회장

1. 개요
2. 일생
2.1. 청년기
2.2. 정치 활동
2.3. 정계 은퇴 이후
3. 소속 정당
4. 선거 이력
5. 둘러보기



1. 개요[편집]


대한민국의 전 정치인이다. 본관은 전주(全州)[2], 아호는 '만취(晩翠)'이다.

그의 아들인 유일호는 18대, 19대 국회의원(한나라당-새누리당), 기획재정부 장관을 지냈다.


2. 일생[편집]



2.1. 청년기[편집]


1924년 10월 7일 경기도 진위군 평택면 비전리(현 경기도 평택시 비전동) # 에서 아버지 유갑문(柳甲文)과 어머니 김해 김씨 김정배(金正培)의 딸 사이의 두 아들 중 장남으로 태어났다. 평택성동초등학교, 경기고등학교, 1952년 서울대학교 상과대학 경제학과(현재는 사회과학대학 경제학부)를 졸업하였다.


2.2. 정치 활동[편집]



2.2.1. 제1공화국 ~ 제2공화국[편집]


1948년 국회의장 신익희비서로 정치에 입문하였다. 그리하여 이승만 정권 때 민주국민당, 민주당 등의 정당에 소속되어서 정치 활동을 하였다.


2.2.2. 제3공화국 ~ 제4공화국[편집]


1961년 일어난 5.16 군사정변으로 정치활동을 금지 당했다. 그러다가 1963년 5월 창당된 민정당[3]의 청년부장을 맡으며 정치에 복귀하였다. 1963년 11월 26일 치러진 제6대 국회의원 선거에 고향인 평택군에서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1965년 5월 민정당과 민주당[4]이 합당하여 민중당(民衆黨)이 창당되자 원내부총무에 임명되었다. 1967년 2월 7일 민중당과 신한당 출신 정치인들이 창당한 신민당에 참가하여 조직국장, 사무차장, 경기도지부 위원장 등을 맡았다. 같은 해 치러진 제7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신민당 후보로 같은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민주공화당 이윤용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5] 1971년 제8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도 신민당 후보로 같은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민주공화당 최영희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1973년 2월 제9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신민당 후보로 경기도 평택군-안성군-용인군 선거구에 출마하여 민주공화당 서상린 후보와 동반 당선되었다. 1978년 12월 제10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도 신민당 후보로 같은 선거구에 출마하여 역시 민주공화당 서상린 후보와 동반 당선되었다.

골수 유진산계였으며, 1974년 4월 유진산이 사망한 이후 이민우와 함께 견지동우회라는 유진산계 계보를 이끌었다. 단, 이민우는 김영삼 쪽으로 기운 반면 유치송은 이철승 쪽으로 기울었다.


2.2.3. 제5공화국[편집]


제5공화국이 출범할 때 관제야당민주한국당의 창당에 참여하여 민주한국당의 총재가 되었다. 1981년 2월 25일 대통령선거인단에 의한 간접선거로 치러진 제12대 대통령 선거에 출마하였다. 사실 신군부에서 구색을 맞추기 위해 출마를 한 것에 불과했지만 7.7%의 득표율로 2위를 차지한 바 있다. 이어서 1981년 3월에 실시된 제11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한국당 후보로 경기도 평택군-안성군 선거구에 출마하여 민주정의당 이자헌 후보와 동반 당선되었다.

정책야당을 표방하며 제1야당의 총수로 활동하였으나 당시 김영삼, 김대중 등 유력 야당 정치인들이 모두 정치활동이 금지된 상황에서, 민한당에서 나름 온건파를 대변했기에 "사쿠라"로 낙인이 찍혔다. 거기다가 1985년에는 민주한국당 창당과정에 중앙정보부가 개입됐다는 의혹이 제기되면서 야당 정치인들에게 어용 야당, 관제 야당 총재, 여당의 2중대 등의 소리를 듣었다. 짐작이 어느정도는 되는 이야기지만 유치송의 이런 바지총재 자리는 신상우 사무총장 뒤의 허수아비에 불과했고, 공천권도 전혀 없이 무력했다. 그러나 훗날 드러난 것은 정작 민한당의 공천을 좌지우지하던 신상우도 기실은 국가안전기획부(=안기부의 방준필 서울분실장)에 휘둘리는 바지사장에 불과했다는 것이었다.

1985년 2월 제1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도 민주한국당 후보로 경기도 송탄시-평택군-안성군 선거구에 출마하여 민주정의당 이자헌 후보와 동반 당선되었다(5선). 그러나 신한민주당 돌풍에 민주한국당이 제1야당 자리를 뺏기고 군소정당으로 전락되는 참패를 당하자 그 해 3월 총재직을 사퇴하였다. 그 사이 총재직은 조윤형이 잠깐 대신하였다. 그러다가 그 해 9월 다시 총재로 추대되었다.

지역구 내에서 의정활동으로는 안성군공도면원곡면의 5개 리를 평택군으로 편입시켰으며 평택역을 신축하였으며 안성선을 폐선하였다.

1988년 제13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한국당 후보로 경기도 평택시-송탄시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민주정의당 권달수 후보에 밀려 낙선했고, 이후 민주한국당이 단 한 명도 당선자를 내지 못거나 전국 득표율 2%를 넘지 못해 정당 등록이 취소되고, 당은 통일민주당에 흡수되었으며 이후 정계를 은퇴하였다.


2.3. 정계 은퇴 이후[편집]


이후로는 대한민국 헌정회 12대 회장과 원로회의 의장, 통일원 고문, 해공 신익희 선생 기념회 회장, 민주한국당 동우회 회장, 학교법인 동북학원 이사장 등을 지냈다. 《역사의 기로에 서서》, 《해공신익희일대기》, 《민주화의 과제》 등의 저서가 있다.

2006년 6월 2일 오후 지병으로 세상을 떠났다.


3. 소속 정당[편집]


소속기간비고

한국민주당

1948 - 1949정계 입문


1949 - 1955합당[6]


1955 - 1960합당[7]

무소속

1960당내 노선 차이로 인한 탈당

ta-hash-start=w-b4572f47b7c69e27b8e46646d9579e67[[파일:신민당1960글자.png
1960 - 1961창당

무소속

1961 - 19635·16 군사정변으로 인한 정당 해산

ta-hash-start=w-4c4ea5258ef3fb3fb1fc48fee9b4408c[[파일:민정당 글자.svg
1963 - 1965창당

ta-hash-start=w-730dc3d0dc77e1ef2e5795dda7b9d213[[파일:민중당(1965년) 흰색 로고타입.svg
1965 - 1967합당[8]

ta-hash-start=w-e48a802fb8be11b3993f846a5736ae27[[파일:신민당 벽보글씨.svg
1967 - 1969합당[9]

무소속

1969자진 정당 해산

ta-hash-start=w-68aef3ebd4f084ac155fc1e9789605ba[[파일:신민당 벽보글씨.svg
1969 - 1980정당 재등록

무소속

1980 - 1981정당 해산

ta-hash-start=w-f5fa13cee3a924c334302f00db8b0fc9[[파일:민주한국당 흰색 로고타입.svg
1981 - 1988창당

무소속

1988 - 2006정당 해산
정계 은퇴
사망

4. 선거 이력[편집]


연도선거 종류선거구소속 정당득표수 (득표율)당선 여부비고
1960제5대 국회의원 선거경기 17[10]

11,511 (20.33%)낙선 (2위)
1963제6대 국회의원 선거경기 9[11]
ta-hash-start=w-1a7735ce230cb54713ca646f15fd11fa[[파일:민정당 글자.svg
23,947 (44.30%)당선 (1위)초선
1967제7대 국회의원 선거
ta-hash-start=w-46b5ccee9476df662ebadeb65a90c735[[파일:신민당 벽보글씨.svg
27,472 (41.20%)낙선 (2위)
1971제8대 국회의원 선거경기 10[12]31,614 (45.10%)
1973제9대 국회의원 선거경기 5[13]64,895 (40.56%)당선 (1위)재선[14]
1978제10대 국회의원 선거71,267 (35.81%)3선[15]
1981제12대 대통령 선거대한민국
ta-hash-start=w-eac0c0d8fb1cfc5f204487c30d1038b3[[파일:민주한국당 흰색 로고타입.svg
404 (7.70%)낙선 (2위)[16]
1981제11대 국회의원 선거경기 10[17]61,954 (38.14%)당선 (2위)4선[18]
1985제12대 국회의원 선거경기 8[19]68,668 (35.48%)5선[20]
1988제13대 국회의원 선거경기 송탄·평택17,251 (24.63%)낙선 (2위)

역대 선거 벽보[21]
[ 펼치기 · 접기 ]

파일:유치송7.jpg
파일:유치송8.jpg
제7대 국회의원 선거 (경기 9[1])제8대 국회의원 선거 (경기 10[2])
파일:유치송9.jpg
파일:유치송10.jpg
제9대 국회의원 선거 (경기 5[3])제10대 국회의원 선거 (경기 5[4])
파일:유치송12대선.png
파일:유치송11.jpg
제12대 대통령 선거 (대한민국)제11대 국회의원 선거 (경기 10[5])
파일:유치송12.jpg
파일:유치송13.jpg
제12대 국회의원 선거 (경기 8[6])제13대 국회의원 선거 (경기 송탄·평택)

[1] 평택군[2] 평택군[3] 평택군, 안성군, 용인군[4] 평택군, 안성군, 용인군[5] 평택군, 안성군[6] 송탄시, 평택군, 안성군

5. 둘러보기[편집]














[1] 순흥 안씨 안종완(安鍾完)의 딸이다.[2] 회헌공파-별제공-주부공 영희파 18세 치(致) 항렬.[3] 제5공화국 때 창당된 민주정의당이 아니라, 민주당의 구파인 윤보선, 유진산, 김영삼 등이 주축이 되어 창당된 정당이다.[4] 1963년 민주당 신파 계열의 정치인인 박순천, 김대중 등이 창당한 정당이다.[5] 여담으로 이 때 그의 표를 깎아먹은 후보가 자유당 집권기에 정치깡패로 유명했던 김동진이었다.[6] 대한국민당과 신설 합당[7] 민주당에 흡수 합당[8] 민주당과 신설 합당[9] 신한당과 신설 합당[10] 평택군[11] 평택군[12] 평택군[13] 평택군, 안성군, 용인군[14] 민주공화당 서상린 후보와 동반 당선[15] 민주공화당 서상린 후보와 동반 당선[16] 대통령 선거인단제 간접 선거
역대 대선 2위 후보 중 최저 득표율
[17] 평택군, 안성군[18] 민주정의당 이자헌 후보와 동반 당선[19] 송탄시, 평택군, 안성군[20] 민주정의당 이자헌 후보와 동반 당선[21] 제5·6대 국회의원 선거벽보는 확인 되지 않고 있다. 이는 당시 중앙선거관리위원회가 선거벽보 보존의 필요성을 못 느껴 선거벽보를 보존하지 않은 것이 그 원인으로, 김영삼, 김대중, 김종필을 비롯한 1950년대 부터 정치를 시작한 원로 정치인들의 선거벽보 상당수를 확인할 수 없게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