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안춘생

덤프버전 :

||
[ 펼치기 · 접기 ]


||<-5><tablewidth=100%><tablebgcolor=#fff,#191919><bgcolor=#ff0000> 파일:대한민국 육군 및 해병대 중장.svg ||
||<width=20%><rowbgcolor=#dcffed,#003318> 초대
이형근 ||<width=20%> 2대
원용덕 ||<width=20%> 3대
정일권 ||<width=20%> 4대
송호성 ||<width=20%> 5대
김백일 ||
||<rowbgcolor=#dcffed,#003318> 6대
최덕신 || 7대
김홍일 || 8대
이준식 || 9대
안춘생 || 10대
김종오 ||
||<bgcolor=#dcffed,#003318> 11대
박병권 ||<bgcolor=#dcffed,#003318> 12대
장창국 ||<bgcolor=#dcffed,#003318> 13대
백남권 || 14대
이한림 || 15대
강영훈 ||
|| 16대
김용배 ||<bgcolor=#dcffed,#003318> 17대
박중윤 || 18대
정래혁 ||<bgcolor=#dcffed,#003318> 19대
이세호 || 20대
김희덕 ||
|| 21대
심흥선 || 22대
최세인 || 23대
최우근 || 24대
정승화 || 25대
백석주 ||
|| 26대
차규헌 || 27대
김복동 || 28대
최연식 || 29대
황인수 || 30대
지일환 ||
|| 31대
최문규 || 32대
장준익 || 33대
민병돈 || 34대
이필섭 || 35대
임인조 ||
|| 36대
김정헌 || 37대
장성 || 38대
김정남 || 39대
장창규 || 40대
한승의 ||
|| 41대
오남영 || 42대
박준근 || 43대
김충배 || 44대
김선홍 || 45대
임충빈 ||
|| 46대
김현석 || 47대
정승조 || 48대
이봉원 || 49대
박종선 || 50대
박남수 ||
||<bgcolor=#dcffed,#003318> 51대
고성균 || 52대
양종수 || 53대
최병로 || 54대
김완태 || 55대
정진경 ||
|| 56대
김정수 || 57대
강창구 ||<bgcolor=#dcffed,#003318> 58대
전성대 || 59대
권영호 ||
||<-5><bgcolor=#008940> ※ 초대~13대, 17대, 19대, 51대, 58대 : 대령, 준장, 소장 / 14대~현임 : 중장 ||
||<-5><bgcolor=#008940> ※ 관련 직위 둘러보기 ||



역임한 직위
[ 펼치기 · 접기 ]
파일:광복회 로고 가로형.jpg광복회
역대 회장
||
[ 펼치기 · 접기 ]

초대
이갑성
제2대
이화익
제3대
조시원
제4대
안춘생
제5대
박시창
제6-7대
김홍일
제8대
김상길
제9대
유석현
제10-11대
이강훈
제12대
김승곤
제13대
권쾌복
제14대
윤경빈
제15대
장철
제16대
김우전
제17대
김국주
제18대
김영일
제19-20대
박유철
제21대
김원웅
제22대
장호권
제23대
이종찬




[ 펼치기 · 접기 ]

제1-2대
안춘생
제3대
최창규
제4대
박유철
제5대
이문원
제6대
김삼웅
제7대
김주현
제8대
김능진
제9대
윤주경
제10대
이준식
제11대
한시준




대한민국 제9대 육군사관학교장
안춘생
安椿生 | An Chun-saeng
파일:General_Ahn_Chun-saeng.png
출생1912년 8월 12일[1]
황해도 해주군 금산면 냉정리
(현재 황해남도 해주시 작천리)
사망2011년 1월 26일 (향년 98세)
서울특별시 강동구 둔촌동 중앙보훈병원
본관순흥 안씨[2]
묘소국립서울현충원 독립유공자 묘역-211호
[ 펼치기 · 접기 ]

가족당숙 안중근
부친 안장근, 모친 청송 심씨
빙부 조시원, 부인 조순옥
학력육군보병학교 (수료)
육군포병학교 (수료)
육군기갑학교 (수료)
육군대학 (수료)
국방대학교 (행정학사 / 1기)
종교가톨릭 (세례명 : 바오로)
의원 선수1
의원 대수9
경력조선민족청년단 훈련부장 겸 중앙훈련소 부소장
인천중공업 대표이사 사장
제9대 국회의원 (유신정우회 / 전국구)
광복회 회장
평화통일정책자문회의 의원
독립기념관 초대 관장
대한노인회 회장
상훈건국훈장 독립장
군사 경력
임관중화민국 육군군관학교 (보병과 / 10기)
대한민국 육군사관학교 (8기)
복무중화민국 육군
1936년 ~ 1940년
한국광복군
1940년 ~ 1946년
대한민국 육군
1948년 ~ 1961년
최종 계급중장 (대한민국 육군)
최종 보직국방부 동원차관보
주요 보직육군본부 감찰감
육군사관학교장
제8보병사단장
제2군관구사령관
참전6.25 전쟁
태평양 전쟁


1. 개요
2. 생애
3. 여담
4. 둘러보기
5. 같이보기



1. 개요[편집]


대한민국독립유공자, 군인, 정치인이다.


2. 생애[편집]


1912년 8월 12일 황해도 해주군 금산면 냉정리(현 황해남도 해주시 작천리)에서 아버지 안장근(安莊根, 1886 ~ 1956. 5. 20)과 어머니 청송 심씨(? ~ 1929. 3. 20) 사이의 3형제 중 차남으로 태어났다. 안중근 의사가 바로 그의 5촌 당숙부[3]이며, 그로 인해 형 안봉생을 포함한 집안 전체가 독립운동에 투신했다.

1917년 8월 10일 부모님을 따라 중화민국 길림성 의란도(依蘭道) 목릉현(穆棱縣)[4]으로 망명하였다.

이후 중국 육군군관학교 보병과를 10기로 졸업하고, 일제강점기 말기 국민혁명군 제3사단 소대장, 한국광복군 제2지대 구대장 등을 역임하며 항일 독립운동에 참여하였다.

8.15 광복 지달수, 신영묵과 광복군 남경 잠편지대를 조직하고 지대장으로 활약 후 귀국하였다. 이범석조선민족청년단에서 훈련부장을 맡았다. 육군사관학교 8기를 졸업하고 대한민국 육군 장교로 복무하였다. 1951년 육군 감찰감으로 있던 중 국민방위군 사건 재판에서 심판관을 맡았고, 육군사관학교 교장[5], 제8보병사단 사단장, 대한민국 국방부 차관보 등을 역임하였으며 1961년 육군 중장으로 예편하였다.

예편 이후 대한중공업 이사장 서리, 인천중공업 사장 등을 지냈다.

1973년 제9대 국회에서 유신정우회 제1기 국회의원으로 임명되고 1976년 2기 때도 연임하여 1979년 초까지 지냈다. 백범 김구의 차남 김신도 유신정우회 국회의원을 지냈다. 유신정우회 국회의원을 지낸 1973년 조시원에 이어 제4대 광복회장을 역임했다.[6]

전두환[7] 정권 때는 평화통일정책자문회의 위원, 독립기념관 초대 관장 등을 지냈다. 그리고 그 이후로 대한노인회 회장 등을 지냈다.

1963년 대한민국 정부로부터 건국훈장 독립장을 수여받았다.

이후 2011년 1월 26일 서울특별시 강동구 둔촌동 중앙보훈병원에서 숙환으로 별세했다.# 사후 그의 유해는 2011년 1월 30일 국립서울현충원 독립유공자 묘역에 안장되었다.


3. 여담[편집]



4. 둘러보기[편집]


파일:안중근 의사의 손.png안중근
관련 문서
||


파일:유신정우회_한글로고.svg 제9대 국회 전국구 (1기)
[ 펼치기 · 접기 ]

갈봉근강문봉강문용고재필구범모구태회
권갑주권일권중동권효섭김기형김도창
김동성김명회김삼봉김성용김세련김세배
김신김영도김용성김재규[B]김종필김재순
김진봉김창규김충수남상돈노진환문태갑
민병권박동묘박정자박찬현백두진백영훈
서영희서인석송호림송효순신광순신상초
안종열안춘생엄경섭오정근오주환유민상
윤태일이도선이범준이성가[A]이숙종이영근
이종식이진희이해랑임삼장동식장준한
장창국전재구정광호정복향정재호주영관
지종걸최영철최영희최용수한태연함명수
함재훈함종빈허무인[A]현오봉황창주송효순 [C]
김충수 [C]이승복 [C]남상돈 [C]
[B] 임기 중 사퇴.[A] A B 임기 중 사망.[C] A B C D 승계.



파일:유신정우회_한글로고.svg 제9대 국회 전국구 (2기)
[ 펼치기 · 접기 ]

갈봉근강문봉[B]강문용고재필구범모구태회
권갑주권일권중동권효섭김기형김도창
김동성김명회김삼봉김성용김세련김세배
김신김영도김용성김익준김종필김진복
김진봉김창규김충수남상돈노진환문태갑
민병권박동묘박정자박찬현백두진백영훈
서영희서인석송호림송효순신광순신상초
안종열안춘생오정근윤여훈윤주영윤태일
이도선이범준이성근이숙종이영근이정식
이종식이종찬이진희장동식전부일전재구
정일영정재호주영관지종걸 [B]최영철최영희
최우근한태연함명수현오봉변우량 [C]마달천 [C]
[B] A B 임기 중 사퇴.[C] A B 승계.





5. 같이보기[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7 23:32:52에 나무위키 안춘생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순흥안씨 참판공파 세보 하권 253쪽에는 1911년생으로 기재되어 있다.[2] 참판공파-서령공파 31세 생(生) 항렬.[3] 당숙부는 아버지의 남동생뻘 종형제다.[4]중화인민공화국 헤이룽장성 무단장시 무링시(穆棱市).[5] 이 자리에 안춘생을 앉힌 사람이 바로 이종찬 장군이다.당시 중장이 아니라 준장이었으나 지인용 (知 , 仁 , 勇) 이라는 육사의 교훈이 대한의군 안중근 장군의 글에서 비롯된 것이기 때문에 상징성을 따진 파격 인사였다. [6] 조시원은 안춘생의 장인이다. 장인과 사위가 나란히 3, 4대 광복회장을 역임했다.[7] 전두환은 안춘생이 육사 제자이기도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