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안소니 홉킨스

덤프버전 :

안소니 홉킨스의 주요 수상, 수훈 및 헌액 이력
[ 펼치기 · 접기 ]

영국 기사 서임자 (남성)
British Knights
[ 펼치기 · 접기 ]

같이 보기: 기사 서임자 (여성)
GBE 파일:Grand Cross of the Order of the British Empire_.jpg
찰스
스콧 셰링턴

(1922)
에드워드
빅터 애플턴

(1946)
KBE 파일:external/s-media-cache-ak0.pinimg.com/7b160a24b08857219efc111189b9773d.jpg
프레더릭 벤팅
(1934)
에드먼드 힐러리
(1953)
게오르그 솔티
(1971)
시드니 푸아티에이
(1974)
찰리 채플린
(1975)
앨프리드 히치콕
(1980)
밥 호프
(1998)
앤드루 와일스
(2000)
로저 무어
(2003)
팀 버너스리
(2004)
조너선 아이브
(2012)
Knight Bachelor 파일:knightbachelor.jpg
아이작 뉴턴
(1705)
찰스 라이엘
(1848)
찰스 휘트스톤
(1868)
조지프 리스터
(1883)
아서 코난 도일
(1902)
W. S. 길버트
(1907)
프랜시스 골턴
(1909)
프레더릭
G. 홉킨스

(1925)
무하마드
자파룰라 칸

(1935)
오언 리처드슨
(1939)
알렉산더 플레밍
(1944)
랠프 리처드슨
(1947)
로런스 올리비에
(1947)
존 길구드
(1953)
칼 포퍼
(1965)
알프 램지
(1967)
쉬리다스 람팔
(1970)
제임스 블랙
(1981)
마이클 아티야
(1983)
클라이브
싱클레어

(1983)
렉스 해리슨
(1989)
V. S. 나이폴
(1990)
더크 보가드
(1992)
로저 펜로즈
(1994)
팀 라이스
(1994)
캐머런 매킨토시
(1996)
리처드 브랜슨
(2000)
숀 코너리
(2000)
톰 커트니
(2001)
믹 재거
(2002)
벤 킹슬리
(2002)
리들리 스콧
(2003)
조너선 색스
(2005)
케네스 브래너
(2012)
안드레 가임
(2012)
다니엘
데이 루이스

(2014)
패트릭 헤드
(2015)
마크 라일랜스
(2017)
제임스
래트클리프

(2018)
톰 무어
(2020)
마이클 호턴
(2021)
마틴 에이미스
(2023)
CBE + Knight Bachelor 파일:knightbachelor.jpg
데이비드 린
(1953)
마이클
레드그레이브

(1959)
알렉 기네스
(1959)
스탠리 매튜스
(1965)
맷 버스비
(1968)
알렉 이시고니스
(1969)
에른스트
곰브리치

(1972)
리처드 애튼버러
(1976)
존 밀스
(1976)
월터 윈터보텀
(1978)
데이비드
애튼버러

(1985)
윌리엄 골딩
(1988)
피터 유스티노프
(1990)
이안 맥켈런
(1991)
안소니 홉킨스
(1993)
데릭 제이코비
(1994)
바비 찰튼
(1994)
사이먼 래틀
(1994)
조지 마틴
(1996)
마이클 갬본
(1998)
아서 C. 클라크
(1998)
엘튼 존
(1998)
이안 홈
(1998)
존 엘리엇
가디너

(1998)
톰 피니
(1998)
나이젤 호손
(1999)
알렉스 퍼거슨
(1999)
프랭크 윌리엄스
(1999)
마이클 케인
(2000)
폴 스미스
(2000)
바비 롭슨
(2002)
앨런 파커
(2002)
앨런 베이츠
(2003)
그레고리 윈터
(2004)
트레버 브루킹
(2004)
제임스 다이슨
(2007)
크리스토퍼 리
(2009)
브래들리 위긴스
(2013)
존 허트
(2015)
칼 젠킨스
(2015)
로드 스튜어트
(2016)
레이 데이비스
(2017)
빌리 코놀리
(2017)
배리 깁
(2018)
마이클 페일린
(2019)
데이비드 수셰이
(2020)
샘 멘데스
(2020)
스티브 맥퀸
(2020)
로저 디킨스
(2021)
조너선 프라이스
(2021)
존 부어만
(2022)
브라이언 메이
(2023)
OBE + Knight Bachelor 파일:knightbachelor.jpg
어니스트 섀클턴
(1909)
로렌스 브래그
(1941)
리처드 돌
(1971)
잭 브라밤
(1978)
지미 새빌
(1990)
클리프 리처드
(1995)
트레버 맥도날드
(1999)
스털링 모스
(2000)
재키 스튜어트
(2001)
톰 존스
(2006)
테리 프래쳇
(2009)
패트릭 스튜어트
(2010)
밴 모리슨
(2015)
앤디 머리
(2017)
가즈오 이시구로
(2018)
마이클 모퍼고
(2018)
MBE + Knight Bachelor 파일:knightbachelor.jpg
폴 매카트니
(1997)
제프 허스트
(1998)
니콜라스 윈턴
(2003)
닉 팔도
(2009)
링고 스타
(2018)
케니 달글리시
(2018)
루이스 해밀턴
(2021)




파일:goldenglobe_cecildemil.png
골든글로브 세실 B. 드밀상 수상자
[ 펼치기 · 접기 ]

1952년1953년1954년1955년1956년
세실 B. 드밀월트 디즈니대릴 F. 재넉진 허숄트잭 L. 워너
1957년1958년1959년1960년1961년
머빈 르로이버디 아들러모리스 슈발리에빙 크로스비프레드 아스테어
1962년1963년1964년1965년1966년
주디 갈랜드밥 호프조셉 E. 레빈제임스 스튜어트존 웨인
1967년1968년1969년1970년1971년
찰턴 헤스턴커크 더글러스그레고리 펙조안 크로포드프랭크 시나트라
1972년1973년1974년1975년1977년
앨프리드 히치콕새뮤얼 골드윈베티 데이비스핼 B. 월리스월터 미리쉬
1978년1979년1980년1981년1982년
레드 스켈톤루실 볼헨리 폰다진 켈리시드니 포이티어
1983년1984년1985년1986년1987년
로런스 올리비에폴 뉴먼엘리자베스 테일러바버라 스탠윅안소니 퀸
1988년1989년1990년1991년1992년
클린트 이스트우드도리스 데이오드리 헵번잭 레먼로버트 미첨
1993년1994년1995년1996년1997년
로렌 바콜로버트 레드포드소피아 로렌숀 코너리더스틴 호프먼
1998년1999년2000년2001년2002년
셜리 맥클레인잭 니콜슨바브라 스트라이샌드알 파치노해리슨 포드
2003년2004년2005년2006년2007년
진 해크먼마이클 더글러스로빈 윌리엄스안소니 홉킨스워렌 비티
2009년2010년2011년2012년2013년
스티븐 스필버그마틴 스코세이지로버트 드 니로모건 프리먼조디 포스터
2014년2015년2016년2017년2018년
우디 앨런조지 클루니덴젤 워싱턴메릴 스트립오프라 윈프리
2019년2020년2021년2023년
제프 브리지스톰 행크스제인 폰다에디 머피




역대 아카데미 시상식
파일:oscar_logo.svg
남우주연상
제63회
(1991년)
제64회
(1992년)
제65회
(1993년)
제러미 아이언스
(행운의 반전)
안소니 홉킨스
(양들의 침묵)
알 파치노
(여인의 향기)
제92회
(2020년)
제93회
(2021년)
제94회
(2022년)
호아킨 피닉스
(조커)
안소니 홉킨스
(더 파더)
윌 스미스
(킹 리차드)

역대 영국 아카데미 시상식
파일:BAFTA 로고.svg
남우주연상 - 영화
제44회
(1991년)
제45회
(1992년)
제46회
(1993년)
필립 느와레
(시네마 천국)
안소니 홉킨스
(양들의 침묵)
로버트 다우니 주니어
(채플린)
제46회
(1993년)
제47회
(1994년)
제48회
(1995년)
로버트 다우니 주니어
(채플린)
안소니 홉킨스
(남아있는 나날)
휴 그랜트
(네 번의 결혼식과 한 번의 장례식)
제73회
(2020년)
제74회
(2021년)
제75회
(2022년)
호아킨 피닉스
(조커)
안소니 홉킨스
(더 파더)
윌 스미스
(킹 리차드)
남우주연상 - TV
제18회
(1972년)
제19회
(1973년)
제20회
(1974년)
존 르 메주리어
(트라이터)
안소니 홉킨스
(전쟁과 평화)
프랭크 핀레이
(아돌프 히틀러의 죽음)

크리틱스 초이스 시상식
파일:크리틱스 초이스 시상식.png
남우조연상(영화)
제2회
(1997년)
제3회
(1998년)
제4회
(1999년)
쿠바 구딩 주니어
(제리 맥과이어)
안소니 홉킨스
(아미스타드)
빌리 밥 손튼
(심플 플렌)/(프라이머리 컬러스)

역대 프라임 타임 에미상 시상식
파일:emmylogo.png
남우주연상 - 미니시리즈 부문
제27회
(1975년)
제28회
(1976년)
제29회
(1977년)
로런스 올리비에
(가이아나 비극: 짐 존스 이야기)
피터 포크
(형사 콜롬보)
안소니 홉킨스
(린드버그 납치사건)

할 홀브룩
(센드버그스 링컨)
에드 플렌더스
(헤리 S.트루먼: 플레인 스피킹)
크리스토퍼 플러머
(더 머니 체인저스)
제32회
(1980년)
제33회
(1981년)
제34회
(1982년)
파워스 부스
(가이아나 비극: 짐 존스 이야기)
안소니 홉킨스
(더 벙커)
미키 루니
(빌)


||
[ 펼치기 · 접기 ]

이름안소니 홉킨스
ANTHONY HOPKINS
분야파일:할리우드 명예의 거리 영화 심볼.jpg 영화
입성날짜2003년 9월 24일
위치6845 Hollywood Blvd.





안소니 홉킨스
Sir Anthony Hopkins
CBE
파일:AnthonyHopkinsprofile.jpg
본명필립 앤서니 홉킨스
Philip Anthony Hopkins
국적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출생1937년 12월 31일 (86세)
파일:웨일스 국기.svg

마갬
신체175cm
직업배우
활동1960년 - 현재
학력왕립연극학교
배우자페트로넬라 바커(1966년~1972년)
제니퍼 린튼(1973년~2002년)
스텔라 아로야브(2003년~현재)
자녀딸 애비게일 홉킨스(1968년생)
링크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파일:틱톡 아이콘.svg

1. 개요
2. 배우 활동
3. 사생활
4. 기타
5. 출연작
5.1. 영화
5.2. TV
5.3. 연극
5.4. 뮤직비디오
6. 수상 및 후보



1. 개요[편집]


파일:AnthonyHopkins face/jc.webp

"The greatest actor of his generation."

"동세대에서 가장 위대한 배우."

리처드 애튼버러

영국배우.


2. 배우 활동[편집]


어려서는 콘서트 피아노 연주자가 되는 게 꿈이었으나 같은 니스 포트 탤벗 출신인 리처드 버튼을 동경해 배우가 되었다. 15살 때 잠시 고향에 내려와있던 버튼을 찾아가 사인을 받은 뒤 '언젠간 나도 저 사람처럼 돼야지'하고 다짐했다고 한다.

영국에서는 1960년부터 연극, 영화, TV 드라마에서 활동하며 잘 알려진 배우였다. 1965년 로런스 올리비에에게 발탁돼 로열 내셔널 시어터에 합류했고, 1968년엔 캐서린 헵번, 피터 오툴 주연의 《The Lion in Winter》에 나오면서 영국영화계에서도 두각을 나타내게 됐다. 1974년 골디 혼 주연의 《더 걸 프롬 페트로브카》를 시작으로 할리우드로 활동 반경을 넓혔고, 《머나먼 다리》(1977), 《엘리펀트 맨》(1980), 《바운티호의 반란》(1984) 등에 출연해나가는 한편 1985년엔 올드 빅 극장의 공연에서 콜린 퍼스의 상대역으로, 1987년엔 연극 "안소니와 클레오파트라"에서 주디 덴치의 상대역으로 나왔다. 하지만 아직 세계적으로 유명한 배우는 아니었다.

파일:tsofl/cjm.jpg
1992년 아카데미 시상식에서 조디 포스터, 조나단 드미
하지만 《양들의 침묵》에서 한니발 렉터역으로 열연, 소름돋을 정도로 영리한 희대의 사이코패스 연쇄살인마라는 캐릭터로 전세계 관객들에게 강렬한 인상을 남겼다. 특히 클라리스 스탈링을 처음 만나는 장면에서 섬뜩한 애드립으로 조디 포스터를 실제로 당황시킨 에피소드가 매우 유명하다. "촌스러운 웨스트버지니아 억양을 감추려고 애쓰는군"이라고 말한 뒤 실제로 남부 억양을 흉내내며 스털링을 도발하고, 또 자신의 식인 이야기[1]를 들려주고서 기괴한 소리를 내는 부분은 모두 애드립이다. 이 작품에서의 명연기로 홉킨스는 남우주연상을 거머쥐었고,[2] 늦은 나이에 유명세를 타게 되었다. 이후에도 《남아있는 나날》, 《가을의 전설》, 《닉슨》, 《마스크 오브 조로》 등 수많은 영화에 출연했다. 사실 《양들의 침묵》 캐스팅 당시에는 그다지 성공적이었다고는 할 수 없었던 할리우드 생활을 접고 영국 연극무대로 복귀한 상태였다고 한다. 하지만 이 영화 한 편의 출연으로 할리우드에서의 입지를 완전히 굳히게 되었으니 인생사 모를 일이다.

드라큘라에서는 반 헬싱 교수 역으로 열연하였다.

배트맨 시리즈에 두 번이나 출연할 뻔 했는데, 《배트맨과 로빈》의 미스터 프리즈역의 물망에 올랐으나 감독인 조엘 슈마허가 좀 더 파워풀한 배우를 원해 아놀드 슈워제네거로 결정되었고, 《배트맨 비긴즈》에서 집사 알프레드 페니워스 역을 제의받았으나 이번엔 본인이 거절해 마이클 케인에게 배역이 돌아갔다. 사실 상당히 늦은 나이에 스타가 된데다 이미지상 액션영화엔 맞지 않을 것 같지만 알게 모르게 액션영화에도 얼굴을 비추고 있다. 액션영화에 출연하면 그에 맞는 연기를 보여준다는 것이 놀라운 점이다.

흔히 《양들의 침묵》의 식인종 살인마 역을 떠올리기 쉽지만, 상당히 넓은 연기폭을 가진 배우다. 친근한 동네 할아버지부터 로맨스의 주인공, 대통령, 살인마, 신부, 집사, 정부 요원, 신화 속의 대신까지, 적은 나이가 아님에도 불구하고 온갖 배역을 다 소화하고 있다. 베네딕토 16세, 아돌프 히틀러, 리처드 닉슨, 파블로 피카소, 앨프리드 히치콕, 클라이브 스테이플스 루이스 등 실존인물 배역으로도 상당히 많이 출연했다.

2003년에 할리우드 명예의 전당에 헌액됐고 2006년 골든글로브 시상식에서 평생공로상을 받았다.

2010년대 들어서는 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의 한 축을 담당하는 토르 실사영화인 《토르: 천둥의 신》과 《토르: 다크 월드》에서 토르의 아버지인 오딘(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여담으로 토르 1편에서도 역시 애드립으로 강한 인상을 남겼는데, 오딘이 토르를 혼내는 도중에 로키가 토르를 변호하려고 하는 장면이 있는데, 오딘이 로키를 보며 (말리지 말라는 식으로) 짧게 소리친다. 이에 로키 역의 톰 히들스턴은 진짜로 벙쪄서 표정을 지었는데 대본에 없었기에 정말로 놀라서 지은 표정이다. 또한 3편에서는 오딘으로 변장한 로키라는 설정을 충실히 살려 마치 본인이 로키가 된 듯한 연기를 선보였다.[3]

2013년 《레드: 더 레전드》이란 액션 코미디 영화에서는 영국인 노교수로 나온다. 등장 배역들이 저마다 자신의 이미지를 셀프 패러디하듯, 한니발 렉터 패러디가 좀 나온다.

트랜스포머: 최후의 기사》에 캐스팅 되었다. 그러나 영화 자체가 스토리가 맛이 간 데다, 등장했는지 관객들이 알기 힘들 정도로 장면이 짧다. 부기영화에서 여기 나오신 줄 몰랐다며 깔 정도다.

아카데미 남우주연상 수상소감
2021년 《더 파더》로 아카데미 남우주연상을 2번째로 수상했다. 아카데미 연기상 최고령 수상자다.[4][5] 이 때, 시상식에 가지 못해서 당시 자고 있었다고 한다.# 시상식 후에 고향 웨일스에서 수상소감이 담긴 동영상을 보내왔다. 오스카 수상을 전혀 예상하지 못한 것으로 보인다.

사실 미디어들이나 당시 분위기는 바로 고인이 된 채드윅 보스먼의 사후 수상을 예측했다. 시상식이 열린 미국 로스앤젤레스 유니언스테이션에는 보스먼의 부인 시몬 루드워드 보스먼이 나와있었다. 보스먼이 수상한다면, 부인이 죽은 남편을 기리는 감동적인 장면이 연출되면서 시상식이 막을 내릴 수 있었다. 그래서인지, 남우주연상 수상은 마지막에 이뤄졌으나 보스먼이 아닌 84세인 홉킨스가 받아버린 것이다. 그러나 홉킨스가 오스카를 수상한것에 대한 반발은 크지 않았다. 더 파더에서 홉킨스는 아카데미 상을 타기에 충분한 명연기를 보였기 때문이다. 그는 영국 웨일스의 자택에 머물고 있었다. 홉킨스 측은 만일 수상한다면 줌으로 수상소감을 말할 수 있겠느냐고 오스카 측에 문의했지만 오스카 측은 이를 거부했다고 한다. 오스카 측은 로스앤젤레스로 오든지, 아니면 유럽 몇 개 도시에 마련된 위성 생중계 장소로 와야 한다고 했기에 홉킨스는 사진으로만 등장했다.

나치로부터 669명에 달하는 유대계 아이들을 구해 ‘British Schindler’라고도 알려진 니콜라스 윈턴 경의 전기 영화 《One Life》에 출연을 확정지었다. 영화는 2022년 하반기 제작에 들어갈 예정이며 홉킨스는 배우 자니 플린과 함께 니콜라스 윈턴 경을 연기할 것으로 알려졌다. 감독은 에이슬링 월시가 맡았으며 영화 대니쉬 걸의 각본가로 알려진 루신다 콕슨과 닉 드레이크가 공동 각본을 맡았다.


3. 사생활[편집]


2000년 미국 시민권을 획득해 영국과 미국 이중국적을 보유하게 됐고 현재 캘리포니아 주 말리부에서 살고 있다.

젊은 시절, 촉망받는 배우였다가 알코올 의존증에 빠져 이혼까지 했는데, 을 끊은 계기가 재미있다. 어느날 술에서 깨보니 미국 애리조나의 낯선 곳이었고, 어떻게 그 곳까지 왔는지 전혀 기억나지 않았다고 한다. '이러다 큰일나겠다' 싶어 술을 끊었다고. 본인의 말로는 끊고자 결심한 지 3분만에 끊을 수 있었다고. 로버트 다우니 주니어의 사례와 비슷하다.[6] 2023년, SNS에 올린 새해축하 영상에서 47년간 금주 중이라며 자신의 경험을 짧게 전하며 스스로를 소중히 여기라는 당부를 전했다. #

어째선지 한니발 렉터 항목엔 이 배역 때문에 사귀는 여인마다 렉터가 연상된다며 관계가 얼마 지속되지 못하고 깨지게 된다는 루머가 널리 퍼져있지만 홉킨스는 세 번째 결혼을 유지하고 있다. 물론 각각의 결혼 사이의 기간이 1년이 안 되고 그 1년 사이에 무슨 일이 있었다면 모르겠지만... 사실 이건 마사 스튜어트가 잠시 그와 사귀다 깨지면서 남긴 말인데 심하게 과장이 되어 마치 정설처럼 소문이 나 버렸다. 3번의 결혼을 했으며 첫번째 부인인 페트로넬라 바커 사이에서 유일한 자식이자 딸인 애비게일 홉킨스를 얻었다. 하지만 딸과는 수 차례 갈등과 화해를 반복하다가 현재는 아예 의절했다고 한다.

과거 불가지론자나 무신론자에 가까웠지만 지금은 신앙인이라고 한다. 기사

2014년, 아스퍼거 증후군 진단을 받았으며, 2017년에 인터뷰를 통해 이 사실을 밝혔다.#


4. 기타[편집]


  • 한글 표기로는 안소니 홉킨스이지만 영국 배우이기 때문에 영국에서의 발음은 대개 앤터니에 가깝다. 미국에서는 물론 앤서니에 가깝게 부른다. 실제로 요즘은 안소니 홉킨스보다는 앤서니 홉킨스로도 많이 통한다.

  • 2017년도 6월 고3 수능 모의평가 영어 영역 30번 문제 지문에 깜짝 등장했다.

파일:knighthood/jc.jpg
1993년 기사 작위를 받은 안소니 홉킨스

  • 본인이 작곡한 왈츠도 있다. 곡명은 And The Waltz Goes On. 옛날, 그러니까 홉킨스가 27세 때 작곡해봤던 것을 근 50년이 지나서 바이올린 연주가 앙드레 리우에게 보내서 둘이 손 본 뒤 발표. 음악에도 조예가 깊어 본인의 트위터, 인스타그램 계정에 피아노 연주하는 모습을 종종 올리는데, 상당히 능숙하다. 두 교황에서도 베네딕토 16세 역으로 유감없이 피아노 실력을 보여준 듯하다. 그 영향인지 더 파더의 안소니나 한니발 렉터 등 그의 대표격 배역들 중에도 클래식 음악을 좋아하는 인물이 많다.


  • 경력 초기부터 2000년대까지의 인생을 다룬 다큐멘터리 "한니발 홉킨스와 안소니 경(Hannibal Hopkins & Sir. Anthony)"가 EIDF 2021을 통해 방영되었다.


  • 사이가 껄끄러운 동료 배우들이 꽤 많다. 1980년에 같이 작품에 나왔던 셜리 맥클레인과도 사이가 좋지 않다. 이는 그의 인성이 모나서 그렇기보다는 상술한 아스퍼거 증후군의 증세로 인한 것일 가능성이 크다. 실제로 아스퍼거 증후군이 있는 자폐성 장애인[7]들은 타인의 심리를 읽는 것을 어려워하는 탓에 대인관계에 문제가 있는 사람들이 많다.

  • 대선배 캐서린 헵번과 <The Lion In Winter, 1968> 촬영 중 헵번으로부터 "Don't act. Leave that to me; I act all over the place. You don't need to act. You've got a good face, you've got a good voice, you've got a big body. Watch Spencer Tracy, watch the real American actors that never act, they just do it. Just show up and speak the lines."란 조언을 받았는데, 홉킨스는 이 조언을 해준 캐서린 헵번을 진심으로 존경하며 이 조언은 자신의 연기법의 중요한 지침이라 밝혔다.#




5. 출연작[편집]



5.1. 영화[편집]


연도제목배역비고
1967The White BusBrechtian단편영화
1968겨울의 라이온리처드 왕자
1969햄릿클라우디우스
1970The Looking Glass War에이버리
1971휴론만 요새Philip Calvert
1972영 윈스턴데이비드 로이드 조지
1973인형의 집토르발 헬메르
1974The Girl from Petrovka코스티야
Juggernaut존 맥클로드 경정
1977머나먼 다리프로스트 중령
저승에서 온 딸엘리엇 후버
1978매직코키
인터내셔널 벨벳캡틴 존슨
1980엘리펀트 맨프레드릭 트레베스 박사
계절의 변화아담 에반스
1984바운티호의 반란윌리엄 브라이
1985더 굿 파더빌 후퍼
198784번가의 연인프랭크 도엘
1988우연한 방문객아그누스 "카수이스" 배리 소령
1990광란의 시간팀 코넬
Dylan Thomas: Return Journey소개자감독
1991양들의 침묵한니발 렉터
1992하워즈 엔드헨리 J. 윌콕스
채플린조지 헤이든
프리잭회장
브램 스토커의 드라큘라반 헬싱
스포츠우드 사람들에롤
1993The Trial신부
섀도우 랜드C. S. 루이스
남아있는 나날# s.2스티븐스
이노센트밥 글래스
1994웰빌로 가는 길존 하비 켈로그 박사
가을의 전설러들로 대령
1995닉슨리처드 닉슨
1996피카소파블로 피카소
1997아미스타드존 퀸시 애덤스
디 엣지찰스
1998마스크 오브 조로돈 디에고 드 라 베가
조 블랙의 사랑윌리엄 페리시
1999배드 컴퍼니스티븐 요원
인스팅트이든 파웰
지그프리드 앤 로이나레이션다큐멘터리
타이터스타이터스 앤드로니커스
2000미션 임파서블 2스완벡카메오
그린치나레이션
2001한니발한니발 렉터
하트 인 아틀란티스테드 브로티건
2002레드 드래곤한니발 렉터
배드 컴퍼니옥스
2003휴먼 스테인콜만 실크
2004알렉산더프톨레마이오스 1세
2005프루프로버트
세상에서 가장 빠른 인디언버트 먼로
2006바비존 캐시총괄제작
올 더 킹즈 맨몬타그 어윈 판사
2007달콤한 악마의 유혹다니엘 웹스터
슬립스트림펠릭스감독/각본
베오울프호로트 가르 왕
프랙처테드 크로포드
2008웨어 아이 스탠드: 더 행크 그린스펀 스토리나레이션다큐멘터리
Immutable Dream of Snow Lion단편영화
2009더 시티 오브 유어 파이널 데스티네이션아담 군드
2010울프맨존 텔봇
The Third Rule파비앙단편영화
환상의 그대알피
2011더 라이트: 악마는 있다트레벤스 신부
토르: 천둥의 신오딘
360
2012히치콕알프레드 히치콕
2013레드: 더 레전드베일리
토르: 다크 월드오딘
2014노아므두셀라
2015미스터 하이네켄프레디 하이네켄
솔러스존 클랜시총괄 제작
블랙웨이레스터제작
2016미스컨덕트아서 데닝
아우토반하겐 칼
2017트랜스포머: 최후의 기사에드먼드 버튼
토르: 라그나로크오딘
2019두 교황베네딕토 16세
Now Is Everything토마스
2020더 파더안소니
앨리스필립 루이스 박사감독/제작
2021히트맨: 코드네임 버튜소멘토
Where Are You토마스
Zero Contact핀리 하트
2022아마겟돈 타임아론 그래프
더 썬안토니 밀러
2023레벨 문 - 파트 1: 불의 아이지미목소리 출연
미정One Life니콜라스 윈턴
로크


5.2. TV[편집]


연도제목배역비고
1965The Man in Room 17하딩 박사
1967어 플리 인 허 이어에티엔 플뤼쉐TV영화
1969Department S그레그 할리데이
ITV Sunday Night Drama아놀드
1970The Great Inimitable Mr. Dickens찰스 디킨스TV영화
당통조르주 당통
Play of the Month아스토브
1970, 1974Play for Today탑 / 알렉산더
1971Great Performances테오
1972 ~ 1973전쟁과 평화피에르
1972Poet Game휴 샌더스TV영화
1973The Edwardians데이비드 로이드 조지
Black and Blue하이
1974QB VII아담 켈노 박사총 3화
Possessions단도TV영화
1975All Creatures Great and Small지그프리드 파논
1976Dark Victory마이클 그랜트 박사
찰스 린드버그 주니어 유괴사건브루노 하우프트만
Victory at Entebbe이츠하크 라빈
1979Mayflower: The Pilgrims' Adventure크리스토퍼 존스
1981더 벙커아돌프 히틀러
오셀로오셀로
피터와 폴바울로
1982노틀담의 꼽추콰지모도
1983A Married ManJohn Strickland총 4화
1984Strangers and BrothersRoger Quaife총 2화
Arch of TriumphDr. RavicTV영화
1985Hollywood WivesNeil Gray총 3화
Guilty ConscienceArthur JamisonTV영화
Mussolini and I갈레아초 치아노
1987, 1993Screen Two가이 버지스
1988Across the Lake도날드 캠벨TV영화
The Tenth Man장 루이스 카벨
1989Heartland
위대한 유산맥위치총 4화
1991원 맨스 워조엘TV영화
To Be the Best잭 피그
1993Selected Exits그웬 토마스
2007American Masters나레이션
2015멋진 드렛서신사TV영화
2016 ~ 2018웨스트월드 시즌 2포드 박사
2018리어왕리어왕TV영화
2021미틱 퀘스트나레이션


5.3. 연극[편집]


연도제목배역장소
1964율리우스 카이사르Metellus Cimber로얄 코트 극장
1966A Provincial LifeBoris Ivanov Blagovo
어 플리 인 허 이어Etienne Plucheux올드빅
주노와 공작Irregular Mobilizer
1967The Three SistersAndrei
뜻대로 하세요Audrey
1971아시리아의 건축가와 황제황제
A Woman Killed with KindnessMaster John Frankford
코리올라누스코리올라누스
1972맥베스맥베스
말괄량이 길들이기페트루치오치체스터 페스티벌 극장
1974에쿠스마틴 다이사트브로드웨이 플리머스 극장
1977헌팅턴 하트퍼드 극장
1979템페스트프로스페로마크 테이퍼 포럼
1981The Arcata PromiseTheo Gunge체리토스 공연 예술 센터
1984Old TimesDeeley라운드어바웃 시어터 컴퍼니
1985The Lonely RoadJulian Fichtner올드 빅
PravdaLambert Le Roux로얄 내셔널 시어터
1986리어왕리어왕
1987안토니우스와 클레오파트라마르쿠스 안토니우스
1989M. Butterfly르네 갈리마르샤프 츠 베리 극장


5.4. 뮤직비디오[편집]


연도제목아티스트링크
2016I Forgive It All머드크럿치파일:유튜브 아이콘.svg


6. 수상 및 후보[편집]


연도시상식부문작품결과
1969제22회 영국 아카데미 영화상남우조연상겨울의 라이온후보
1971영국 텔레비전 아카데미상남우주연상플레이 포 투데이후보
1973전쟁과 평화수상
1976제28회 에미상리미티드시리즈 및 영화 남우주연상The Lindbergh Kidnapping Case
1979제32회 영국 아카데미 영화상남우주연상매직후보
제36회 골든 글로브 시상식드라마부문 남우주연상
1981제33회 에미상리미티드시리즈 및 영화부문 남우주연상더 벙커수상
1982제34회 에미상노틀담의 꼽추후보
1985로런스 올리비에상Award for Outstanding AchievementPravda수상
올해의 배우후보
1987제15회 모스크바 국제 영화제남우주연상84번가의 연인수상
1989제46회 골든 글로브 시상식미니시리즈 및 TV영화부문 남우주연상The Tenth Man후보
1990제42회 에미상리미티드시리즈 및 영화부문 남우조연상위대한 유산
1991제4회 시카고 비평가 협회상남우주연상양들의 침묵수상
제56회 뉴욕 비평가 협회상
캔자스시티 비평가 협회상
제12회 보스턴 비평가 협회상남우조연상
제17회 새턴 어워즈최우수 남우주연상
판고리아 체인쏘 어워즈남우주연상
1992제64회 아카데미 시상식남우주연상
제45회 영국 아카데미 영화상
제63회 미국비평가협회상(전미비평가위원회)남우조연상
댈러스-포트워스 비평가 협회상남우주연상
제49회 골든 글로브 시상식드라마부문 남우주연상후보
제12회 런던 비평가 협회상남우주연상
1993제19회 새턴 어워즈최우수 남우조연상브램 스토커의 드라큘라
판고리아 체인쏘 어워즈남우조연상수상
다비드 디 도나텔로 시상식남우주연상하워즈 앤드후보
제6회 시카고 비평가 협회상남아있는 나날# s.2
제58회 뉴욕 비평가 협회상
캔자스시티 비평가 협회상수상
남동부 비평가 협회상
1994제66회 아카데미 시상식후보
제47회 영국 아카데미 영화상수상
섀도우 랜드후보
제51회 골든 글로브 시상식드라마부문 남우주연상남아있는 나날# s.2
제28회 전미 비평가 협회상남우주연상
제14회 런던 비평가 협회상수상
제19회 LA 비평가 협회상
제65회 미국 비평가 협회상(전미 비평가 위원회)
댈러스-포트워스 비평가 협회상
다비드 디 도나텔로 시상식
1995제8회 시카고 비평가 협회상남우주연상닉슨후보
제60회 뉴욕 비평가 협회상
1996제21회 LA 비평가 협회상
제68회 아카데미 시상식
제53회 골든 글로브 시상식드라마부문 남우주연상
제2회 미국배우조합상영화부문 앙상블상
영화부문 남우주연상
1997제10회 시카고 비평가 협회상남우조연상아미스타드
남동부 비평가 협회상
1998제3회 크리틱스 초이스 시상식수상
제70회 아카데미 시상식후보
제55회 골든 글로브 시상식
제4회 미국배우조합상영화부문 남우조연상
제50회 산세바스티안 국제영화제평생공로상수상
1999제25회 새턴 어워즈최우수 남우주연상조 블랙의 사랑후보
2000제15회 산타바바라 국제영화제말틴 모던 마스터상수상
2002제28회 새턴 어워즈최우수 남우주연상한니발후보
판고리아 체인쏘 어워즈남우주연상수상
2003레드 드래곤후보
2006제63회 골든글로브 시상식세실 B. 드밀상수상
뉴질랜드 스크린 어워즈남우주연상세상에서 가장 빠른 인디언
2007제13회 미국배우조합상앙상블상바비후보
2008제61회 영국 아카데미 영화상BAFTA Fellowship수상
2017제69회 에미상드라마부문 남우주연상웨스트월드후보
제43회 새턴 어워즈최우수 TV게스트상
제23회 미국배우조합상TV드라마시리즈부문 앙상블상
2019제25회 미국 배우조합상미니시리즈 및 TV영화부문 남우주연상리어왕
2020제92회 아카데미 시상식남우조연상두 교황
제73회 영국 아카데미 영화상
제77회 골든 글로브 시상식
제25회 크리틱스 초이스 시상식
제33회 시카고 비평가 협회상남우주연상더 파더
제41회 보스턴 비평가 협회상수상
2021제93회 아카데미 시상식
제74회 영국 아카데미 영화상
플로리다 비평가 협회상
제34회 유럽 영화상유러피안 남우주연상
제78회 골든 글로브 시상식드라마부문 남우주연상후보
제26회 크리틱스 초이스 시상식남우주연상
제27회 미국 배우조합상영화부문 남우주연상
제41회 런던 비평가 협회상남우주연상
영국 남우주연상
제73회 에미상나레이터상미틱 퀘스트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7 22:21:19에 나무위키 안소니 홉킨스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어느 조사관이 나를 시험하려고 들었지. 난 그자의 을 콩요리와 좋은 키안티 와인과 함께 먹었어.(A census taker once tried to test me. I ate his liver with some fava beans and a nice chianti.)" 이 대사는 미국영화연구소(AFI)에서 선정한 100대 명대사에서 21위로 선정되었다.[2] 오스카 주연상을 수상한 배역 중 가장 짧은 등장시간을 기록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실은 2번째다. 최단 시간을 기록한 배역은 58년 《Separate Tables》로 남우주연상을 받은 데이비드 니븐의 15분 38초로 알려져 있다. 연기상 전체로 따지면 약 5분 40여초 출연으로 여우조연상을 받은 비어트리스 스트레이트가 최단시간 수상자.[3] 한니발 랙터 이미지가 너무 강해서 홉킨스 옹의 연기의 스펙트럼을 제대로 알지 못 하는 사람들이 많은데 이 장면을 훌륭하게 연기하여 코믹 연기에도 능숙함을 증명해 보였다. 첫 등장부터 팔자 좋게 의자에 늘어져 포도를 먹으며 연극을 관람하고 있고, 토르의 귀환을 알아차리자 정말로 로키 같은 말투로 이런(Oh Shit)이라며 진짜 오딘이라면 할 리가 없는 대사를 친다든지, 로키가 오딘으로 변신해 있다는 걸 이미 알고 온 토르가 일부러 로키를 흉보는 말을 하자 굉장히 떨떠름하게 쳐다보기도 하여 관객들에게 웃음을 선사했다. 심지어 6년이나 전에 나온 토르 1편에 등장한 로키의 사소한 습관(긴장하거나 불안할 때 손을 자꾸 만지작거리는 습관. 2편을 보면 프리가도 똑같은 습관이 있다)까지 재현해 냈다.[4] 모든 카테고리의 상을 고려한다면 역대 최고령 오스카 수상자는 89살의 나이로 각색상을 수상한 제임스 아이보리이다.[5] 홉킨스가 기록을 깨기 전까지는 연기상 최고령 수상자는 81살의 나이로 남우조연상을 수상했던 크리스토퍼 플러머였다.[6] 다우니 역시 버거킹에서 치즈버거를 사먹는데 마약의 영향으로 아무 맛이 안 느껴지자 큰 충격을 받고 그 길로 바다로 가서 차 트렁크에 가득 실린 마약을 모조리 던져버렸다.[7] 대한민국장애인복지법의 기존 분류법을 따르면 3급 자폐성 장애에 해당되는 사람들이다.[8] 1972년 영화, 1973년 드라마를 통해 2번이나 맡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