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흥운수(서울)

덤프버전 :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충청북도 보은군의 농어촌버스 회사에 대한 내용은 신흥운수(보은) 문서
신흥운수(보은)번 문단을
신흥운수(보은)#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이 회사의 구 법인에 대한 내용은 신흥기업 문서
신흥기업번 문단을
신흥기업#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광진구 CI.svg 서울특별시 광진구 버스 회사
[ 펼치기 · 접기 ]

시내버스신흥운수
마을버스광장운수구의교통한빛운수
사라진 버스 회사
공항리무진대원공항
[a] 광진구 이외 지역에 주사무소를 둔 업체 / [b] 경기도에 주사무소를 둔 업체
서울특별시의 버스 회사



파일:송파구 CI.svg 서울특별시 송파구 버스 회사
[ 펼치기 · 접기 ]
시내버스남성버스동성교통[a]대성운수서울버스
송파상운진화운수한국brt[b]한서교통
공항리무진서울공항리무진
사라진 버스 회사
시내버스동부운수승원여객[a]신흥기업영동교통
[a] 송파구 이외 지역에 면허를 둔 업체 / [b] 주간선버스 회사
서울특별시의 버스 회사



주식회사 신흥운수
株式會社 新興運輸
Shinheung Transportation Co., Ltd.
설립일2004년 6월 18일[1]
업종시내버스 운송업
대표자여상현, 여승종
주요 주주여상현 외 2인: 100%
(2022년 12월 31일 기준)
기업구분중소기업
상장여부비상장기업
직원 수345명(2022년 12월 31일 기준)
자본금47억 8,000만원(2022년 기준)
매출액325억 7,916만 5,609원(2022년 기준)
영업이익8억 8,991만 1,140원(2022년 기준)
순이익8억 663만 4,376원(2022년 기준)
자산총액224억 6,215만 8,230원(2022년 기준)
부채총액126억 7,960만 7,614원(2022년 기준)
부채비율129.61%(2022년 기준)
소재지본사 - 서울특별시 광진구 자양번영로 3 (자양동)
오금영업소 - 서울특별시 송파구 중대로38길 17 (오금동)

1. 개요
2. 역사
3. 여담
4. 계열사
5. 운행 노선
5.1. 자양동본사 노선
5.2. 오금동영업소 노선[2]
6. 면허 체계
7. 보유차량
7.1. 현재 보유차량
7.2. 과거 보유차량
8. 지배구조
9. 둘러보기



1. 개요[편집]


서울특별시의 시내버스 업체. 구 신흥기업의 자산을 모두 인수받은 회사이며 현재 양천운수의 전신이기도 하다.


2. 역사[편집]


  • 1955년부터 2019년까지 운영된 이 회사의 전신은 신흥기업 문서 참조.

  • 2004년에 양천구, 구로구, 영등포구의 마을버스 업체들이 오케이버스라는 회사로 설립.

  • 2008년에 신흥기업에서 0016, 2223, 8001, 8331번 인수.

  • 2010년에 舊 풍양운수의 노선과 차량을 인수. 또한 舊 금진교통 노선이 오케이버스 송파영업소로 개업.


  • 2018년 8월 1일에 기존의 자산과 부채를 신설법인인 양천운수로 양도했다.

  • 舊 오케이버스는 노선 없이 유지됐으나 2019년에 신흥운수로 사명을 변경하고 존치됐다.

  • 2019년 12월 16일부로 신흥기업의 모든 자산과 부채를 인계받아 버스운송업을 재개했다. 그리고 본사는 다시 자양동으로 바뀌었다.[3][4]



3. 여담[편집]


  • 법인 변경 역사 서술란이 복잡해서 그렇지 쉽게 얘기하면 신흥기업이 신흥운수로 사명을 변경했을 뿐이다.

  • 난폭운전이 매우 심했던 신흥기업 시절에 비해 정속운전하는 기사들이 좀 있는 편이다. 그러나 노선별로 기사들에게 스톱워치나 타이머로 시간을 체크하게 시키면서 기사들은 그에 따라 정류소 통과시각 준수를 엄격하게 준수하는 것과 과거 난폭운전이 심각했던 신흥기업 시절부터 몸 담았던 기사들이 아직까지는 구성원의 대다수를 차지하는 것과 자양동의 경우에는 계열사인 한빛운수광진05번에서 모기업인 이 회사로 넘어와서 운전하는 기사들도 많은 것으로 보아서 몇몇 기사들은 아직도 난폭운전을 한다. 저상차량의 속도가 빠르기 때문에 고상차량들은 이를 따라가기 위해 에코를 끄거나 무시하고 다니는 경우가 많다. 그나마 2221번2222번은 워낙 배차가 좁다 보니 여유가 있는 편이라 정속운전을 많이 한다.[6]

  • 전체 인가댓수는 예비 포함 126대이고, 이 중 저상버스는 86대로 3대중에 2대가 저상버스로 운행되고 있는 셈이다.

  • 신흥기업 시절에는 서울매일버스, 신인운수와 마찬가지로 차량 번호 순서대로만 배차하는 방식. 즉, 부산광역시 시내버스처럼 면허순 배차를 하는 특징이 있었지만 저상버스와 고상버스가 함께 운행하는 노선은 큰 틀에서 차량 순서만 일부 바꾸어 저상:고상 균등 배차가 이루어지고 있다.[7]

  • 신흥기업 노선들을 양수받아 다시 버스 운송업을 시작했다. # 참고로 회계상 계열사는 한빛운수가 전부다.[8]

  • 중형차량은 BS090만 운용했으나 2020년 8월 그린시티를 첫 출고했다.

  • 태릉교통과 더불어 한때 휠의 방열구가 4홀 짜리 휠을 사용했었다. 지금도 일부 차량을 보면 가끔 이런 휠을 사용 중이다.

  • 신차는 2020년까지 GX12P 엔진이 달린 NEW 화이버드[9]가 아닌 GL11P 엔진이 달린 화이버드를 출고했으며 2021년에 GX12P 엔진이 달린 NEW 화이버드를 출고했다.[10] 전기버스는 의외로 전량 황해자동차 E-SKY 11을 도입했다.

  • 현재 대부분의 차량에 60km/h 리밋이 걸렸다. 다만 경고음은 없다. 이제 80km/h는 못밟는것같다

4. 계열사[편집]






5. 운행 노선[편집]


  • 원래 모든 노선에 보조행선판이 있었으나 유지보수의 문제로 모든 노선의 행선판이 없어졌다.

  • 차고지에 가스충전소가 없어서 자양동 노선은 서울숲 충전소[11], 3414번은 도선여객에서, 3414번을 제외한 오금동 노선은 장지공영차고지에서 가스를 넣는다.[12]

  • 가끔가다 서울에서 마라톤 대회를 할 때 이 회사 거의 모든 노선이 타격을 본다. 이는 코스가 잠실대교를 지나가서 자양동 노선은 거의 단축운행하며, 특히 2415번은 강남경찰서까지만 운행한다. 오금동 노선은 3414번을 제외하고 일부 우회운행한다.


5.1. 자양동본사 노선[편집]


번호기점주요 경유지종점배차 간격
2221자양동자양골목시장 - 광진구청 - 군자역 - 답십리역 - 전농우체국 - 제기동역신설동역5~11
2222자양동자양고교 - 건대입구역 - 성동세무서 - 한양대학교 - 왕십리역 - 동대문구청.용두역 - 경동시장고려대학교7~16
2415자양동자양골목시장 - 잠실역 - 잠실종합운동장 - 한국무역센터.삼성역 - 청담역.경기고교 - 대치동현대아파트대치동6~16


5.2. 오금동영업소 노선[13][편집]


번호기점주요 경유지종점배차 간격
3216오금동오금공원사거리 - 방이초등학교 - 송파나루역 - 잠실역 - 광진구청 - 군자역 - 답십리역 - 서울시립대입구 - 청량리역 → 정화여중여상 → 고려대학교경희대학교입구 → 청량리한신아파트경희대학교5~11
3220오금동오금공원사거리 - 올림픽공원역 - 강동구청 - 올림픽대교 - 광진구청 - 건대입구역 - 광진광장 - 장한평역 - 촬영소사거리 - 전농우체국 → 동대문중학교청량리역 → 서울시립대입구청량리역9~17
3414오금동오금역 - 방이초등학교 - 송파나루역 - 잠실역.롯데월드 - 잠실종합운동장 - 한국무역센터.삼성역 - 청담역.경기고등학교 - 강남구청.강남세무서 - 선릉역 - 도곡역개포동10~20
8331[맞춤]마천동사거리송파사회복지관 → 오금역송파나루역잠실역9~12


6. 면허 체계[편집]


  • 서울 7095##호 ~ 96##[14]
  • 서울 744451호 ~ 4494[15]
  • 서울 746201호 ~ 6300[16]
  • 서울 752995호 ~ 3003[17]


7. 보유차량[편집]



7.1. 현재 보유차량[편집]



7.1.1. KGM커머셜[편집]



7.1.2. 현대자동차[편집]



7.1.3. 황해자동차[편집]




7.2. 과거 보유차량[편집]



7.2.1. 현대자동차[편집]



7.2.2. 자일대우버스[편집]




8. 지배구조[편집]


2022년 12월 기준
주주명지분율비고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여상현 외 2인100.00%대표이사 등


9. 둘러보기[편집]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 서울특별시 시내버스 회사
[ 펼치기 · 접기 ]

강남구도선여객정평운수
강동구서울승합
강북구동아운수선일교통삼양교통
영신여객한성운수
강서구공항버스김포교통영인운수
정평운수다모아자동차
관악구관악교통보성운수한남여객운수
광진구신흥운수
구로구군포교통보성운수서울매일버스
태진운수
금천구범일운수보영운수신인운수
노원구삼화상운진아교통태릉교통
한성여객흥안운수
도봉구서울교통네트웍아진교통
마포구다모아자동차유성운수
서대문구서부운수신촌교통원버스
현대교통
서초구대흥교통삼성여객우신운수
우신버스
성동구태진운수대원교통대원여객
성북구대진여객도원교통동성교통
상진운수성원여객
송파구남성버스동성교통대성운수
서울버스송파상운진화운수
한국brt한서교통
양천구관악교통도원교통세풍운수
신길교통양천운수중부운수
은평구보광교통신수교통선진운수
원버스유성운수제일여객
종로구동해운수
중랑구경성여객대원교통메트로버스
보광운수북부운수
시내버스 업체가 없는 자치구의 버스 회사 목록
동대문구동작구영등포구용산구
서울특별시 관외에 영업소를 둔 시내버스 회사
광명시범일운수보영운수세풍운수
한성운수
고양시동해운수서울매일버스선진운수
신촌교통제일여객신수교통
부천시신길교통
안양시서울매일버스
군포시·의왕시군포교통대원여객우신버스
성남시남성버스동성교통
의정부시·양주시대원여객제일여객
파주시신수교통제일여객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6 06:57:30에 나무위키 신흥운수(서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구.오케이버스 설립등기일. 다만 옛 법인인 신흥기업까지 포함할 경우에는 1955년 3월 22일이 된다.[2] 과거 본사로 사용하던 차고지였다. 하지만 오너가 바뀌면서 자양동이 본사로 승격됐고 오금동은 영업소로 격하시켰다. 오금동차고지 노선은 방이동과 오금동의 왕복 2차선 도로의 과속방지턱 때문에 자양동차고지 노선보다 저상버스가 6년 늦게 도입됐다. 또한 과거에는 오금동차고지에 인근에 옛 362번(345번)이 발착하던 태진운수 오금동 영업소가 있었으나 오금동 보금자리주택 부지에 포함된 부지여서 재개발로 인해 폐쇄되고 송파공영차고지로 이전했다. 물론 이 차고지 뒷쪽으로도 아파트가 생겨서 신흥기업 본사 시절인 2017년 11월 완공되었으며 차고지 앞 정류장도 신흥기업 종점에서 송파레미니스 후문으로 개칭했다. 하지만 이 차고지도 재개발로 폐쇄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진짜로 폐쇄될 경우 차고지 앞을 지나가는 3214번의 코스를 따라서 송파상운을 위해 조성하기로 한 마천동의 신규 공영차고지로 이전할 가능성이 높다.[3] 하지만 본사를 자양동으로 변경해도 여전히 옛 본사인 오금동영업소를 우선순위로 다이어를 조정하거나 차량을 관리하는 경향이 있다.[4] 이후 신흥기업은 법인만 남아있다가 새롬교통신흥기업으로 양도양수되면서 다시 운송업을 재개했다.[5] 현재 대부분의차량에 60km/h에 리밋이 걸려 80km/h로 밟을수 있는지는 불명[6] 나머지 2415번, 3216번, 3220번, 3414번 노선의 경우 승무 난이도가 높아 난폭운전이 보이고 있다. 특히 회사 내에서 가장 승무 난이도가 높은 3216번, 3220번의 경우 예나 지금이나 배차가 깨지면 여전히 잠실대교올림픽대교에서 70~80km/h로 주행을 하기도 한다. [5] 여기서 3216번은 이 회사에서 가장 아오지로 꼽히는 노선이다보니 배차가 깨지면 잠실대교에서는 KD 운송그룹직행좌석버스 노선들을 수시로 추월하거나 목적지까지 도착 예정시간보다 5분 단축해서 도착하는 일이 빈번할 정도. 물론 KD 자체가 워낙 느린 회사라는 점도 간과해야 한다. 이 노선들은 초기 배정을 받으면, 기사들에게 정류소별 통과시각표를 주고 스톱워치로 이를 재면서 준수하도록 하고 있다. 예나 지금이나 서울에서도 수준급의 모범업체였던 양천운수와 달리 신흥운수는 스피드 좀 하던 업체였다보니 그런 일이 종종 있는듯. 대표이사 등 소수의 경영진들이나 양천운수 출신이지, 나머지 배차팀장 등 핵심 인물들은 여전히 신흥기업 출신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잠실대교에서 한때 스피드로 유명했던 동성교통, 남성버스 노선들을 추월하거나 나란히 레이싱을 하며 다니는 경우도 있다.(오늘날 동남성은 50km/h에 제한이 묶였다. 동남성에서 여전히 빨리다니는 노선들은 경부고속도로 경유로 인하여 최대 100km/h까지 밟아야하는 9401번같은 광역버스 노선 몇개가 전부.) 올림픽대교에서도 동남성과 마찬가지로 한때 스피드 좀 했던 서울승합, 송파상운, 신명운수 노선을 추월하기도 한다. 저녁 이후의 밤 시간대에는 여전히 기사들의 퇴근본능도 발동한다. 참고로 신흥운수는 신흥기업 시절에 동남성(다만 이쪽은 직접적으로 출자)과 함께 한국brt에게 간접적으로 출자한 이력이 있다.[7] 광진구 관내의 마을버스 업체인 구의교통이 계속 면허순 배차를 하고 있긴 하다.[8] 정확히는 나머지 한강운수은성운수, 양정운수도 계열사로 보유하고 있으나 아예 신흥운수의 노선(舊.2223번)을 인수하여 마을버스로 전환 후 설립했기 때문에 양천운수의 계열사 시절에도 오히려 신흥운수와 친분이 더 많았고, 인수 이후로도 신흥운수와 위화감이 없는 한빛운수와는 달리 나머지 마을버스 회사들은 처음부터 초창기의 전환시내버스 회사 시절의 양천운수가 보유했던 전환시내버스 출신의 마을버스 노선들을 운행하는 회사이기 때문에 신흥운수의 계열사는 엄연히 맞으나 기사들의 친분같은 사적인 분위기는 먼 옛날의 양천운수 시절과 다를 바가 없다.[9] 2020년 9월부터 CNG 모델에서도 NEW 화이버드로 바뀌었다.[10] 진아교통의 전국 최초 에디슨 스마트 110G 천연가스버스랑 비슷한 시기에 출고했다.[11] 성동구 지역 마을버스와 태진운수 성수동 본사 노선들, 자사 계열사인 한빛운수 광진05번과 다함께 사용하는 충전소이다.[12] 출근시간이나 막차시간 즈음에 이 회사 소속 노선들이 충전을 위해 행선판이나 전광판 불 끈 상태로 우르르 달려나가서 장지공영차고지까지 공차회송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이전에는 송파공영차고지로도 원정갔었지만 송파공영차고지는 과포화가 굉장히 심각해서 이제는 장지만 가지 더 이상 송파로는 충전하러 가지 않는다.[13] 과거 본사로 사용하던 차고지였다. 하지만 오너가 바뀌면서 자양동이 본사로 승격됐고 오금동은 영업소로 격하시켰다. 오금동차고지 노선은 방이동과 오금동의 왕복 2차선 도로의 과속방지턱 때문에 자양동차고지 노선보다 저상버스가 6년 늦게 도입됐다. 또한 과거에는 오금동차고지에 인근에 옛 362번(345번)이 발착하던 태진운수 오금동 영업소가 있었으나 오금동 보금자리주택 부지에 포함된 부지여서 재개발로 인해 폐쇄되고 송파공영차고지로 이전했다. 물론 이 차고지 뒷쪽으로도 아파트가 생겨서 신흥기업 본사 시절인 2017년 11월 완공되었으며 차고지 앞 정류장도 신흥기업 종점에서 송파레미니스 후문으로 개칭했다. 하지만 이 차고지도 재개발로 폐쇄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진짜로 폐쇄될 경우 차고지 앞을 지나가는 3214번의 코스를 따라서 송파상운을 위해 조성하기로 한 마천동의 신규 공영차고지로 이전할 가능성이 높다.[맞춤] 맞춤버스. 진화운수와 공동배차.[14] 송파구 면허의 시내버스 회사들 증차 번호[15] 구 서진교통 면허[16] 순수 신흥기업 주 면허. 후반대 면허 일부는 많은 업체들에 혼재하고 있다.[17] 순수 신흥기업 증차 면허.[18] 자사 계열사 한빛운수 출신 차량이며 화재차량 대차분으로 급하게 끌고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