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서부운수

덤프버전 : (♥ 0)

파일:서대문구 CI.svg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버스 회사
[ 펼치기 · 접기 ]

시내버스서부운수신촌교통[a][b]원버스[a]현대교통
마을버스부일교통삼하운수서북운수연일교통
연희교통태화운수충정운수홍제교통
없어진 버스 회사
시내버스삼화교통안성여객
마을버스가좌교통
[a] 서대문구 이외 지역에 주사무소를 둔 회사 / [b] 경기도에 주사무소를 둔 회사
서울특별시의 버스 회사



서부운수 주식회사
西部運輸 株式會社
Seuboo Transportation Co., Ltd.
설립일1974년 1월 28일
업종시내버스 운송업
대표자한진희
주요 주주한진희: 64.98%
(2022년 12월 31일 기준)
기업구분중소기업
상장여부비상장기업
직원 수168명(2022년 12월 31일 기준)
자본금2억 6,700만원(2022년 기준)
매출액153억 3,716만 644원(2022년 기준)
영업이익4억 2,810만 758원(2022년 기준)
순이익5억 490만 3,535원(2022년 기준)
자산총액141억 6,213만 4,853원(2022년 기준)
부채총액22억 462만 9,178원(2022년 기준)
부채비율18.44%(2022년 기준)
소재지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응암로1길 17 (북가좌동)

1. 개요
2. 특징
3. 운행 노선
4. 과거 운행 노선
5. 면허 체계
5.1. 타 회사 출신 면허
6. 보유차종
7. 지배구조
8. 둘러보기



1. 개요[편집]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응암로1길 17(북가좌2동 323-1)에 기점을 두고 있는 버스 회사. 1949년 서울승합 서부영업소로 시작했으며, 1974년 지금과 같이 서부운수 주식회사로 분리되었다.


2. 특징[편집]


1982년 삼흥운수(현 대성운수)서 이문동영업소를 인수 받으면서 한 때, 아웃 서대문구 노선도 있었다.[1]

주력 노선은 721번. 2004년 서울 시내버스 개편 전 134번 시절에는 경성여객 131번(현 271번)과의 과도한 경쟁과 적자노선 133번[2] 임의결행으로 인해 뉴스에도 나왔던 업체이기도 했다.[3]

차량 구성의 경우엔 현대버스와 자일대우버스를 혼용했지만[4] NEW BS106을 뽑은 이후로 한동안 현대버스 위주로 뽑았다. 서부운수 역시 자일대우버스에 불만이 있는 듯 하다. 동아운수에 비하면 비중은 적으나 BC211M을 한 때 2대 보유했으며 NEW BS106을 서울 최초로 도입한 업체이기도 하다.

2015년까지 초저상버스를 한 번도 뽑지 않았으나 2016년부터 초저상버스를 도입하며 2018년까지 현대 저상버스를 들여왔다. 그러다 2019년에 BC211M 대차분으로 화이버드를 출고하여 721번에 투입했으며 한동안 신차는 KGM커머셜로 나왔다. 이는 양천운수·신흥운수 계열 이외의 서울 최초 화이버드 천연가스버스다. 전기버스는 NEW e-화이버드와 BYD eBus-12를 출고했으며, 2022년에는 4년 7개월만에 현대차를 도입하며 일렉시티를 출고했다.[5] 자일대우버스를 운용하다가 현대버스로 전향한 특성상, 차량 제조사에 상관없이 출입문 스위치를 자일대우버스처럼 위쪽으로 올려야 닫히는 형태로 개조하여 운행 중이다.[6]

차량 정비 및 수리는 "서부운수주식회사 자가정비업소"라는 차고지 내부에 위치한 자체정비소에서 한다.

서울에서 차량 관리를 매우 안 하는 업체로 악명높았으며[7] 현재는 예전에 비해선 그나마 개선된 축이긴 하지만, 서울 전체로 보았을 때 차 관리 상태가 미흡한 편이다. 하지만 차량관리 수준과 상반되게 전통적으로 내구연한은 11년 6개월 사용하고 대차해 교체주기가 길다.

대체 뭐가 문제인지는 모르겠는데 시간 약속을 잘 지키지 않는다. 교통 체증으로 변동이 생기는 건 이해가 되지만 정류장 도착정보시간이 갑자기 15분이 늘어난다거나 하는 일이 상당히 잦고 애당초 정보 자체가 잘못돼 승객들을 뒷목잡게 하는 일이 허다하다.[8]

천연가스 충전은 모든 차량이 은평공영차고지 혹은 상암공영차고지로 회송한다.[9] 지선 노선들은 수색에서, 721번은 상암에서 충전한다.

승차문 위와 운전석 창문 위에 차량번호를 표기한다.

2023년 12월 4일부터 현금승차 폐지 일부 노선 운영 업체로 선정되었다. 그래서 2023년 12월 4일부터 이 회사가 운영하는 노선 중 8773번은 교통카드가 있어야 승차 가능하며, 교통카드가 없으면 승차할 수 없다.


3. 운행 노선[편집]


  • 밑줄 표기 구간은 양방향이 동시에 경유하는 구간이다. 이 구간에서는 버스 행선판으로 목적지를 확인한 후 이용해야한다.
번호기점주요 경유지종점배차간격
721북가좌동DMC래미안 - 모래내시장.가좌역 - 신촌로터리 - 충정로역 - 광화문 - 종로1~6가 - 동대문 - 신설동역 - 동대문구청 - 군자역 - 건대입구역뚝도변전소6~9
번호기점주요 경유지종점배차간격
7018북가좌동새절역 - 명지대입구 - 유진상가 - 상명대입구 - 경기상고 - 경복궁역 - 세종문화회관종로1가8~12
7719응암정보도서관 - 은가어린이공원 - 응암정보도서관 - 응암3동주민센터 - 본서부병원 - 은평구청녹번역20~30
8773[공동배차]녹번역시립은평병원 - 백련산힐스테이트 - 명지대학교 - 홍남교 - 연희교차로홍대입구역평일 40~45


4. 과거 운행 노선[편집]


  • 705 : 북가좌동 ↔ 창신동(건대입구역으로 연장 및 721번으로 변경)
  • 7614 : 북가좌동 ↔ 신월동(2005년 7월 15일 폐선)
  • 8761 : 신촌로터리 ↔ 국회의사당역(2023년 1월 27일 폐선)


5. 면허 체계[편집]


  • 서울 70 사 7277 ~ 7284
  • 서울 74 사 4112 ~ 4188
    • 서부운수 주 면허. 사실상 서울승합의 면허이지만 서울승합 서부영업소가 분리해서 나온 흔적이다.
  • 서울 75 사 2760 ~ 2769
    • 서부운수 증차 면허. 구.134번(좌석) 증차분이다.


5.1. 타 회사 출신 면허[편집]


  • 서울 74 사 9802 ~ 9804, 9806, 9808, 9810호
    • 대성운수 증차 면허. 이문동영업소를 인수하면서 받았다.


6. 보유차종[편집]



6.1. 현재 보유차종[편집]



6.1.1. 현대자동차[편집]



6.1.2. KGM커머셜[편집]



6.1.3. BYD[편집]




6.2. 과거 보유차종[편집]



6.2.1. 자일대우버스[편집]



6.2.2. 현대자동차[편집]



6.2.3. KG모빌리티[편집]




7. 지배구조[편집]


2022년 12월 기준
주주명지분율비고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한진희64.98%대표이사
기타35.02%다수


8. 둘러보기[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4-06-16 14:47:35에 나무위키 서부운수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해당 노선은 39-1번(이문동 ↔ 서울역)이고, 당시 서부운수서 유일무이한 아웃 서대문구 노선이었다. 1983년 도시형버스 134번(훗날 간선버스 705번, 현 721번)에 통폐합되었다.[2] 북가좌동 - 월곡동 구간을 운행했다가 문제의 교통소외 지역(KIST 뒤쪽) 커버를 위해 133-1번을 분리, 이후 지역순환 442번으로 변경했고 여러 우여곡절을 겪어 2014년 현재 흥안운수1226번이 되었다.[3] 자세한 연혁은 271번 및 721번 항목 참조하자. 여담으로 271번을 운영하는 경성여객도 서부운수와 마찬가지로 서울승합에서 분리된 업체이다. 뿌리가 같은 것임에도 불구하고 서로 물어뜯고 싸우는 여러모로 아이러니한 상황이였던 셈. 오늘날에도 271, 721번 양 노선 기사를 유심히 살피면 개편 이전의 유산 때문인지, 서로 분노에 차오른 표정으로 기싸움하는 자세로 째려보면서 교행하는 모습을 가끔씩 볼 수가 있었다. 물론 2020년대 들어오면서 개편 이전부터 근무한 고참 기사들이 정년 퇴사한 경우가 많아지면서 이러한 분노의 교행은 많이 줄은 편이다.[4] 현대, 대우 혼용했을 시절에도 자일대우버스 비중이 높았다.[5] 2대를 출고했으며 7018번에 투입했다. 7018번은 거리가 길지 않아 일렉시티를 배정했다.[6] 해당 배열로 나오는 대우, 에디슨, BYD 차량은 그대로이나, 현대 차량은 위아래를 뒤집었다.[7] 2004년 대개편 때 자사에서 보유한 현대버스의 전조등 테두리 부분까지 모두 칠해버린 것은 유명한 얘기였으며 2010년대 초반 연식 NEW BS106들도 타 차종 부품들로 마개조를 시켜놓았다.[8] 특히 7018번이 그러하다.[9] 주로 새벽에 회송한다.[공동배차] 현대교통과 공동배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