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도쿄도 제8구

덤프버전 :


도쿄도 국회의원
[ 중의원 의원 ]
{{{-1 {{{#fff 홋카이도 · 도호쿠 · 기타칸토 · 미나미칸토 · 도쿄 · 호쿠리쿠신에쓰 · 도카이 · 긴키 · 주고쿠 · 시코쿠 · 규슈-오키나와
}}}}}}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선거구
파일:일본국 내각총리대신 심볼.svg
도쿄도 제8구
東京都第8区
||
파일:shuinsen_Tokyo8.svg
선거인 수476,188명 (2021)
상위 도도부현도쿄도
하위 행정구역스기나미구 중부, 서부 지역[스기나미구]
국회의원

요시다 하루미




1. 개요[편집]


도쿄도스기나미구 중부, 서부 지역[스기나미구]을 관할하는 일본의 중의원 선거구다.

원래는 스기나미구 전역을 관할했으나, 제48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부터 관내의 호난 1~2초메 지역이 7구에 속하게 되었다. 이후 제50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를 앞두고 관할 구역이 재조정되어 스기나미구의 동부 지역이 신설되는 27구에 속하게 되었고, 기존의 8구는 나머지 지역을 관할하게 되었다.

현재 지역구 국회의원은 입헌민주당 소속 요시다 하루미.


2. 상세[편집]


자민당의 지지도가 매우 강한 도쿄 선거구들 중 한 곳이다. 어느 정도냐면 소선거구제 도입 이후 49회 중원선 전까지 이 지역구에서 낙선했던 야권 후보들 중 석패율 비례대표로 부활했던 후보가 단 한 명도 없을 정도다. 자민당이 참패했던 2009년 45회 중원선 당시에도 이곳에서는 민주당의 지지를 받았던 사회민주당 후보가 비례대표 부활도 못하고 낙선할 정도로 이 지역구는 자민당 지지도가 매우 강했다.[1] 아무래도 지역구 현역이었던 이시하라 노부테루[2]의 영향이 매우 컸던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2017년 48회 중원선부터는 이시하라가 야권 분열 속에서도 30%대 득표율을 기록하는데 그치는 등 변화의 조짐이 보이다가, 제49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에서는 입헌민주당 요시다 하루미 후보가 이시하라를 큰 표 차이로 누르고 당선되면서 도쿄 8구 최초의 非자민당 소속 의원이 되었다. 심지어 이시하라는 석패율 비례대표 부활도 못하고 완전히 낙선해, 지금까지의 지역구 10연승이 무색해졌다.

앞으로 이 지역구가 경합 지역이 될 것인지, 다시 자민당 우세 지역구가 될 것인지는 향후 선거 결과의 향방에 따라 결정될 듯 하다.

여담으로 야마모토 타로2012년 제46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에서 이 지역구에 출마했지만 2위로 낙선했다.


3. 역대 국회의원[편집]




4. 역대 선거 결과[편집]



4.1. 제41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도쿄도 제8구
스기나미구 전역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이시하라 노부테루74,856표1위


32.67%당선
파일:신진당 로고 white.svg야마다 히로시67,670표2위


29.53%낙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야다 카즈카40,677표3위


17.75%낙선
파일:민주당(일본 1996년) 로고.svg무라타 세이준37,598표4위


16.41%낙선
츠지 히로시8,324표5위

무소속

3.63%낙선
유효표 수229,125표투표율
선거인 수


4.2. 제42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도쿄도 제8구
스기나미구 전역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이시하라 노부테루105,779표1위


43.66%당선
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가타야마 미츠요시77,132표2위


31.84%낙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야마자키 카즈코36,546표3위


15.09%낙선
하세가와 히데노리22,799표4위

무소속

9.41%낙선[3]
유효표 수242,256표투표율
선거인 수


4.3. 제43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도쿄도 제8구
스기나미구 전역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이시하라 노부테루136,429표1위


54.98%당선
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스즈키 모리오78,007표2위


31.43%낙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사와다 도시후미17,572표3위


7.08%낙선
파일:사민당 로고 하얀색.svg스기야마 아키코16,156표4위


6.51%낙선
유효표 수248,164표투표율
선거인 수


4.4. 제44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도쿄도 제8구
스기나미구 전역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이시하라 노부테루161,966표1위


57.26%당선
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스즈키 모리오94,074표2위


33.26%낙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사와다 도시후미26,819표3위


9.48%낙선
유효표 수282,859표투표율
64.68%
선거인 수


4.5. 제45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도쿄도 제8구
스기나미구 전역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이시하라 노부테루147,514표1위
[4]49.95%당선
파일:사민당 로고 하얀색.svg호사카 노부토116,723표2위
[5]39.52%낙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사와다 도시후미24,965표3위
8.45%낙선
파일:행복실현당 심볼.svg우에다 세이이치6,132표4위
2.08%낙선
유효표 수295,334표투표율
65.50%
선거인 수460,985인


4.6. 제46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도쿄도 제8구
스기나미구 전역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이시하라 노부테루132,521표1위
[6]46.93%당선
야마모토 타로71,028표2위
[7]25.15%낙선
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마도카 요리코54,881표3위
19.43%낙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죠호 마사타케23,961표4위
8.49%낙선
유효표 수282,391표투표율
63.93%
선거인 수459,547인


4.7. 제47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도쿄도 제8구
스기나미구 전역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이시하라 노부테루116,193표1위
[8]47.56%당선
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마도카 요리코73,348표2위
[9]30.02%낙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사와다 신고37,788표3위
15.47%낙선
스즈키 타츠오16,981표4위
6.95%낙선
유효표 수244,310표투표율
54.61%
선거인 수464,884인


4.8. 제48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도쿄도 제8구
스기나미구 일부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이시하라 노부테루99,863표1위
[10]39.22%당선
파일:입헌민주당(2020년) 로고 하얀색 CDP 포함.svg요시다 하루미76,283표2위
29.96%낙선
파일:희망의당(2017년) 로고 하얀색.svg기우치 다카타네41,175표3위
16.17%낙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오사나이 후미코22,399표4위
8.80%낙선
마도카 요리코11,997표5위
4.71%낙선
都革시바노 다이조2,931표6위
1.15%낙선
유효표 수254,648표투표율
55.42%
선거인 수470,738인

선거 당시의 도쿄 8구 관련 뉴스 영상

현역 의원인 자민당 이시하라 노부테루가 무난하게 당선되면서 지역구를 수성했다. 입헌민주당 요시다 하루미 후보가 격차를 한자리수 퍼센티지까지 줄이며 추격해 선전했으나, 희망의 당[11], 일본 공산당 후보도 모자라 민주당 출신 무소속 후보[12]까지 출마하면서 야권 표가 완전히 분열되는 바람에 낙선했다.

하지만 이시하라 의원의 득표율이 8.4%나 감소하며 최초로 40% 밑으로 득표율이 떨어졌기에, 야당으로써는 다음 선거에 대해 기대감을 갖게 되었다.

선거 후 소감을 밝히는 이시하라 노부테루


4.9. 제49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도쿄도 제8구
스기나미구 일부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입헌민주당(2020년) 로고 하얀색 CDP 포함.svg요시다 하루미137,341표1위
[13]48.45%당선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이시하라 노부테루105,381표2위
37.17%낙선
파일:일본유신회 로고만.svg가치타니 게이지40,763표3위
14.38%낙선
유효표 수283,485표투표율
61.03%
선거인 수476,188인

TBS 보도 도쿄 8구 선거 정세

현역 자민당 이시하라 노부테루 의원이 재출마한다. 이번에 당선되면 11선 의원이 된다.

입헌민주당에서는 지난 총선에서 낙선했지만 선전한 요시다 하루미 후보가 다시 공천을 받았고, 이시하라 의원과 재대결한다. 일본공산당은 죠호 마사타케 전 스기나미구의회 의원을 공천했다. 하지만 지난 총선에 표분열로 자민당에게 어부지리를 허용한 경험도 있고, 상대 후보인 이시하라 의원이 거물이기에, 입헌민주당이 야권 단일화를 적극 추진할것으로 예상되었다. 일본 유신회는 카타사니 겐지 전 산다시의회 의원을 공천했다.

레이와 신센구미는 처음에는 츠무라 치히로 후보를 공천했다. 하지만 이후 츠무라를 호쿠리쿠신에쓰 블록 비례대표 후보로 옮겼다. 그 자리에 10월 8일 야마모토 타로 당대표가 재출마를 선언했다. 그러나 선거를 목전에 둔 갑작스런 출마 선언, 타 정당과 충분한 사전 협의를 거치지 않았음에도 통일후보가 되겠다는 야권 후보들에 대한 배려가 결여된 행보를 보인 끝에 낙선 이후로도 오랫동안 지역에서 활동해온 요시다 후보의 지지층이 후보자를 지키겠다며 맹반발 하는 등 여론이 악화된 결과, 10월 11일 가두 연설을 통해 출마 철회 의사를 밝혔다. 이후 공산당도 죠호 후보의 공천을 철회하며 입헌민주당 요시다로의 단일화에 동참했다.[14]

최종적으로는 자민당-입헌민주당-유신회의 3자구도로 정리되었다. 요미우리, 닛케이, 아사히 등 주요 신문들의 여론조사 결과 모두 입헌민주당의 경합우세로 나왔다. 물론 매우 치열한 경합이기에 결과를 속단하기는 이르지만, 만약 자민당 이시하라 후보가 낙선하게 된다면 자민당 내 주요 계파의 영수가 낙선하는 일이 발생하게 된다. 물론 낙선해도 석패율이 높으면 비례대표로 부활이 가능하지만 일본 내에서 전직 총리나 정당 대표, 주요 계파의 수장이 낙선한 사례가 드문 것[15]을 생각해보면, 매우 망신살이 뻗치는 일이기에 비례대표로 살아나더라도 이시하라 소속 계파인 근미래정치연구회의 영수직에서는 물러나게 될 것이다. 그런데 근미래정치연구회에는 딱히 영수를 물려받을 만한 의원이 없고 곧 정계은퇴할 고령 의원[16]이 너무 많다는 게 문제다.

닛폰테레비 뉴스 보도 도쿄 8구 선거 정세

선거 상황이 접전으로 굴러가자 이시하라 노부테루 후보는 당의 중진임에도 불구하고 지원유세에 나서지 않고 지역구 수성에 집중하고 있다. 선거전이 치열해지면서 기시다 후미오 총리, 입헌민주당의 에다노 유키오 대표는 물론 깜짝 출마 선언으로 혼란스럽게 한 야마모토 타로 레이와 신센구미 대표[17]도 지원유세에 나서고 있다. 영상에서는 일본 공산당이 요시다 하루미 후보의 지원을 위하여 "선거구는 요시다 하루미, 비례는 일본공산당"라는 이름으로 전화 선거운동을 하는 것은 물론 당 기관지 아카하타에 요시다 후보의 포스터를 함께 넣어 발송하고 있는 모습도 등장한다.

투표 종료 직후 오후 8시에 발표된 NHK 출구조사에서 입헌민주당 요시다 하루미 후보의 당선 유력 선언이 나왔다. 득표율이 50%를 넘길 것으로 예상되어 생각보다 두 후보간 격차가 클 것으로 보인다. 결정적으로 부동층에서 요시다 하루미 후보를 지지받았던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시하라 노부테루가 비례대표로 부활 하지 못하고 낙선하게 되었다.[18]

여담으로 이시하라 노부테루의 동생인 이시하라 히로타카도 지역구 3구에서 패배했지만, 석패율이 높아 비례대표로 간신히 당선되었다.

당선이 확정된 후 연설하는 요시다 하루미
낙선 소감을 밝히는 이시하라 노부테루


4.10. 제50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도쿄도의 선거구가 5석이나 증가함에 따라 선거구가 조정되면서 호난1~2쵸메 정도만 분할되어있던 동부 지역을 더 분할하여 27구에 붙였다.

49회 중원선에서 낙선했던 이시하라 노부테루가 차기 중의원 선거 불출마 및 참의원 선거 출마를 선언하면서, 자민당에서는 새 인물이 나오게 되었다. 경제산업성 관료 출신인 가도 히로코가 새 지부장으로 선임되었다.

[스기나미구] A B 27구에 속하는 호난, 이즈미, 에이후쿠 1초메 일부, 와다, 호리노우치, 마츠노키, 오미야, 우메자토, 코엔지미나미 1초메, 코엔지미나미 5초메, 코엔지키타 1초메 지역을 제외한 전역[1] 매 선거마다 이시하라 군단의 유세지원을 해서, 접전 상황에서 부동층들의 표심을 이시하라 쪽으로 넘어오게끔 했다. 국민적 스타인 이시하라 유지로의 직속 후배 연예인들(이시하라 프로모션 소속이고 이들을 이시하라 군단이라고 칭한다.)이 유지로의 조카인 노부테루를 직접 유세응원을 해줬으니, 노부테루가 선거에서 압도적인 승리를 하는건 당연한 것이었다. 하지만, 2020년 이시하라 군단의 필두인 와타리 테츠야가 사망하고, 직후 이시하라 군단의 해체, 이들의 소속사인 이시하라 프로모션이 해산되면서 이들의 유세지원을 더 이상 받을 수 없게 되었다.[2] 망언제조기로 유명한 이시하라 신타로의 장남이다. 둘째 동생인 이시하라 히로타카도 정치인이다.[3] 추천: 도정을 혁신하는 모임[4] 추천[5] , 추천[6] 추천[7] , 추천[8] 추천[9] 추천[10] 추천[11] 희망의 당의 기우치 다카타네 후보는 도쿄도 제9구에서 이시하라를 잡겠다고 8구로 넘어왔다.[12] 마도카 요리코. 직전 선거 때는 민주당 후보로 출마했다.[13] , 도쿄도 연합 추천[14] 여담으로, 도쿄 8구의 단일화 과정은 야마모토 타로의 인지도나 경쟁구도 등이 겹쳐 상당히 전국적으로 이목을 끌면서 흥행했다. 요시다 하루미 후보가 최종 야권후보가 됐을 때, 이 단일화 과정이 매스컴에서 대대적으로 다뤄진 덕분에 단번에 인지도를 상승시켜 이시하라 의원에 비해 떨어지는 인지도라는 단점을 상쇄시켰고, 야마모토 타로 대표도 도쿄에 레이와 신센구미를 크게 홍보하는 계기가 되어 서로 윈-윈한 모범사례가 됐다.[15] 사회당 가타야마 데쓰가이후 도시키, 가이에다 반리, 간 나오토 등을 제외하면 전직 총리나 주요 계파의 영수가 낙선한 사례가 드물어 이례적인 일이다.[16] 노다 다케시, 모리야마 히로시[17] 야마모토 타로 대표는 두 번이나 지원유세에 나섰다.# #[18] 이전까지는 접전 상황에서 이시하라 군단이 천군만마처럼 유세지원을 하고, 이를 통해서 부동층의 지지를 끌어내서 매번 당선되었는데, 이시하라 군단의 멤버였던 와타리 테츠야가 사망하고, 직후 이시하라 프로모션이 해체되면서 더 이상 유세지원을 할 수 없게 된 것도 낙선의 원인이 된것으로 추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