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달서구 을

덤프버전 :

||
파일:국회선거구 달서구 을(2).svg
선거인 수248,634명 (2020)
상위 행정구역대구광역시
관할 구역
[ 펼치기 · 접기 ]
달서구 일부
월성1동, 월성2동, 도원동, 진천동, 상인1동, 상인2동, 상인3동
신설년도1992년
이전 선거구달서구
국회의원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윤재옥




1. 개요[편집]


13대 총선까진 달서구 일원을 선거구역으로 하다가 다음 선거인 14대 때 갑/을로 분구된다. 이후에 또 다시 인구증가에 따라 17대 때 병 선거구가 분리된다. 월배에 속하는 지역구로, 구 월배출장소 - 월배동 관할 구역과 정확히 일치한다. 대구 도시철도 1호선이 이 지역을 관통한다. 관선 대구직할시장을 지낸 친박 중진 이해봉이 내리 4선을 한 지역구로, 이해봉이 건강 문제로 불출마한 19대 총선부턴 역시 친박인 윤재옥이 3선에 성공한 지역구지만, 진천동, 월성1동[1]월배신도시(신월성)에 신축 아파트들이 들어서고 있으며, 이로 인해 3040 세대들이 유입되어 동구 을, 북구 을, 달성군과 같이 대구광역시에서 덜 보수적인 동네이다.

그렇지만 역시 비슷한 포지션인 북구 을과 달리 의원들이 지역구 관리에 신경쓰고 있기에 민주당계 국회의원은 아직까지 당선되지 않았고 보수정당의 지지세가 상당히 탄탄하다. 현 국회의원은 국민의힘 윤재옥 원내대표다.


2. 역대 국회의원 목록과 역대 선거 결과[편집]


총선당선인당적임기
제13대김한규
파일:민주정의당 글자.svg

1988년 5월 30일 ~ 1992년 5월 29일[2]
제14대최재욱
ta-hash-start=w-021817ac96fde671a1092afa0ad66491[[파일:민주자유당 글자.svg
1992년 5월 30일 ~ 1996년 5월 29일
제15대이해봉
무소속

1996년 5월 30일 ~ 2000년 5월 29일
제16대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svg

2000년 5월 30일 ~ 2004년 5월 29일
제17대2004년 5월 30일 ~ 2008년 5월 29일
제18대
무소속

2008년 5월 30일 ~ 2012년 5월 29일
제19대윤재옥
ta-hash-start=w-068004fef1759529ff6f29015cde17cd[[파일:새누리당 흰색 로고타입.svg
2012년 5월 30일 ~ 2016년 5월 29일
제20대2016년 5월 30일 ~ 2020년 5월 29일
제21대
ta-hash-start=w-3287a0e3f80684460a73884c97629a96[[파일:미래통합당 흰색 로고타입.svg
2020년 5월 30일 ~


3. 달서구 (13대)[편집]



3.1. 제13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달서구
달서구 일원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김한규(金漢圭)57,4341위

파일:민주정의당 글자.svg

42.41%당선
2권병태(權炳台)25,8063위

ta-hash-start=w-1cba40e3efa7040ac28c0f065f7cacd1[[파일:통일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19.05%낙선
3이왕식(辛達善)1,1015위

ta-hash-start=w-9e020ebb181dfd3fb1229c6ceb076a60[[파일:평화민주당 글자.svg
0.81%낙선
4임갑수(金海碩)5,3534위

ta-hash-start=w-5bfcd83ad8acb6ab91ffa9a89da30c90[[파일:신민주공화당 글자.svg
3.95%낙선
5최한별(崔한별)9726위

파일:신한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0.71%낙선
6이만섭(李萬燮)44,7422위


33.04%낙선
선거인 수182,743투표율
74.63%
투표 수136,379
무효표 수971

4. 달서구 을 (14대~현재)[편집]



4.1. 제14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달서구 을
월배1동, 월배2동, 월배3동, 월배4동,
본동, 송현1동, 송현2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최재욱(崔在旭)35,6161위

ta-hash-start=w-25e2a30f44898b9f3e978b1786dcd85c[[파일:민주자유당 글자.svg
50.19%당선
2이광수(異光洙)7,0294위


9.90%낙선
3서병환(徐秉煥)20,3602위

ta-hash-start=w-2e72ed76b7b3b9ce2f15fce64178dfaf[[파일:통일국민당 글자.svg
28.69%낙선
4배재연(裵在演)7,9443위

ta-hash-start=w-9702908973be3c442783564914760fec[[파일:신정치개혁당 글자.svg
11.19%낙선
선거인 수119,479투표율
60.08%
투표 수71,785
무효표 수836

4.2. 제15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달서구 을
상인1동, 상인2동, 상인3동, 월성1동, 월성2동,
진천동, 본동, 송현1동, 송현2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이철우(李哲雨)12,3453위
12.54%낙선
2김춘곤(金春坤)2,1457위
2.18%낙선
3최재욱(崔在旭)37,9642위
38.55%낙선
4변을유(卞乙유)4,3744위
4.44%낙선
5서병환(徐秉煥)1,9356위
1.96%낙선
6이광수(異光洙)1,0607위
1.08%낙선
7이해봉(李海鳳)38,6531위
39.25%당선
선거인 수166,203투표율
60.39%
투표 수100,377
무효표 수1,901
대구 지하철 공사장 가스폭발 사고를 직접적으로 겪은 동네인지라 문민정부신한국당에 대한 불만이 극에 달해 현역 국회의원 최재욱신한국당을 탈당해 자유민주연합 후보로 출마했으며, 신한국당에선 30대의 변호사 이철우[3]를 공천했으나 12.54%라는 초라한 득표율을 기록하며 3위로 참패했으며, 현역 국회의원 최재욱과 바로 전년도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대구광역시장 후보로 출마했다가 3위로 낙선한 무소속 이해봉 후보의 접전 끝에 이해봉 후보가 689표 차이로 신승했다.


4.3. 제16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달서구 을
도원동, 상인1동, 상인2동, 상인3동, 월성1동,
월성2동, 진천동, 본동, 송현1동, 송현2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이해봉(李海鳳)72,3881위
77.43%당선
2정덕규(鄭德奎)11,6023위
12.41%낙선
3김부기(金富基)4,2314위
4.53%낙선
4서병환(徐秉煥)5,2663위
5.63%낙선
선거인 수193,412투표율
49.03%
투표 수94,823
무효표 수1,336


4.4. 제17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달서구 을
도원동, 상인1동, 상인2동, 상인3동,
월성1동, 월성2동, 진천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이해봉(李海鳳)59,9271위
66.86%당선
2박영린(朴永麟)9315위
1.04%낙선
3권형우(權亨宇)21,9642위
24.50%낙선
4윤언자(尹彦子)1,3224위
1.47%낙선
5권용범(權龍範)5,4873위
6.12%낙선
선거인 수149,076투표율
60.72%
투표 수90,517
무효표 수886


4.5. 제18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달서구 을
도원동, 상인1동, 상인2동, 상인3동,
월성1동, 월성2동, 진천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2권용범(權龍範)30,6332위
39.74%낙선
6육태명(陸泰明)2,3483위
3.05%낙선
7이해봉(李海鳳)44,1001위
57.21%당선
선거인 수161,343투표율
48.78%
투표 수78,697
무효표 수1,616
친이계가 공천권을 쥔 상황에서 현역 이해봉 의원은 친박계라는 이유로 컷오프당했고, 이에 반발하여 한나라당을 탈당한 뒤 무소속으로 출마했다. 한나라당에서는 이해봉 의원을 컷오프시킨 뒤 그 자리에 17대 총선에 무소속으로 출마했던 권용범을 공천했다. 하지만 이해봉의 지역구 기반과 친박 무소속 연대의 힘을 받아 당선, 4선에 성공한다.

여담이지만 17대 총선에서는 이 지역구에서 이해봉이 한나라당 소속으로, 권용범이 무소속으로 출마한 반면 18대 총선에서는 두 후보의 소속이 서로 바뀌었다는 특징이 있는데, 결과는 모두 이해봉의 승리로 끝났다.


4.6. 제19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달서구 을
도원동, 상인1동, 상인2동, 상인3동,
월성1동, 월성2동, 진천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윤재옥(尹在玉)61.5631위
61.87%당선
3김원이(金源伊)3,2045위
3.22%낙선
4이원준(李源晙)18,8092위
18.90%낙선
6서영득(徐泳得)9,4053위
9.45%낙선
7김부기(金富基)6,5144위
6.54%낙선
선거인 수184,682투표율
54.30%
투표 수100,291
무효표 수796
현역 이해봉 의원은 건강 문제로 불출마를 선언하는 바람에[4] 이 지역구는 무주공산이 되었다. 당시 새누리당 소속 비례대표 국회의원이던 송영선과 후일 재선 서울 서초구청장을 지내고 2021년 재보궐선거에서 국민의힘 서울특별시장 후보 경선에 출마했던 조은희 등이 공천을 노렸으나 윤재옥경기지방경찰청장이 공천을 받고 송영선은 남양주시 갑 선거구에 공천을 받아 새누리당 후보로 출마했으나 낙선, 조은희는 2년 뒤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서울 서초구청장에 출마해 당선되었다.

한편 통합진보당에서는 이원준대구지하철공사 노조위원장이 야권 단일후보로 출마했으나 낙선했다.


4.7. 제20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달서구 을
도원동, 상인1동, 상인2동, 상인3동,
월성1동, 월성2동, 진천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윤재옥(尹在玉)66,7841위
64.41%당선
2김태용(金泰龍)36,8992위
35.58%낙선
선거인 수193,782투표율
54.94%
투표 수106,464
무효표 수2,781

4.8. 제21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달서구 을
월성1동, 월성2동, 진천동, 도원동,
상인1동, 상인2동, 상인3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허소(許炤)38,9692위
28.06%낙선
2윤재옥(尹在玉)90,7621위
65.36%당선
6한민정(韓玟晶)4,6123위
3.32%낙선
7김동렬(金東烈)1,1805위
0.84%낙선
8정수미(鄭樹渼)6876위
0.49%낙선
9홍선이(洪善伊)2,6384위
1.89%낙선
선거인 수203,446투표율
69.01%
투표 수140,408
무효표 수1,560

국회의원 선거 (달서구 을)
정당격차
(1위/2위)
투표율
(선거인/표수)
후보허소윤재옥
득표수
(득표율)
38,969
(28.06%)
90,762
(65.36%)
- 51,793
(▼37.30)
140,408
(69.01%)
월성1동33.57%60.40%▼26.8469.33
월성2동24.26%68.98%▼44.7265.77
진천동28.47%65.26%▼36.7965.07
상인1동26.01%68.08%▼42.0870.86
상인2동25.12%68.05%▼42.9362.20
상인3동21.34%72.49%▼51.1563.96
도원동24.71%67.97%▼43.2669.05
후보허소윤재옥격차
거소·선상투표28.34%59.62%▼31.28
관외사전투표36.17%55.84%▼19.67
재외투표49.56%46.08%△3.48
현역인 윤재옥 후보가 공천을 받아 무난히 3선 고지에 오르면서 달서구 유일의 다선 의원으로 등극했다.[5]


4.9. 제22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달서구 을
월성1동, 월성2동, 진천동, 도원동,
상인1동, 상인2동, 상인3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0
00.00%
20
00.00%
30
00.00%
선거인 수투표율
00.00%
투표 수
무효표 수


[1] 19대 대선에서 문재인 후보는 이 곳에서 각각 24.49%, 27.92%(!)를 기록하며 선전한 반면 홍준표 후보는 각각 41.51%, 35.67%(!!)에 그쳤다.[2] 달서구[3]경상북도지사 이철우와는 무관하며, 영남고등학교, 경북대학교 법과대학을 졸업한 나름 지역 인사다. 이후 18대 총선과 19대 총선에서도 같은 선거구에 도전하려고 했으나 끝내 공천을 받지 못했다.[4] 실제로 국회의원 임기 종료 후 약 3개월 뒤인 2012년 8월 19일 작고했다.[5] 같은 치안정감 출신으로 지난 총선 윤 의원과 경선까지 치렀던 김용판은 달서 병으로 지역구를 옮겨 당선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