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성여객

덤프버전 :

파일:중랑구 CI.svg 서울특별시 중랑구 버스 회사
[ 펼치기 · 접기 ]
시내버스경성여객대원교통[a]메트로버스[b]
보광운수북부운수
마을버스중랑운수금창운수
사라진 버스 회사
시내버스선진교통우성버스
마을버스[c]대중교통세화마을버스태릉시장마을버스
[a] 중랑구 이외 지역에 주사무소를 둔 회사 / [b] 주간선버스 회사 / [c] 현 보광운수(舊 용림교통)로 통합된 회사
서울특별시의 버스 회사


경성여객자동차주식회사
慶城旅客自動車株式會社
Kyungsung Bus Co., Ltd.
설립일1970년 9월 24일
업종시내버스 운송업
대표자김종원, 김정환[1]
모회사KS홀딩스컴퍼니
주요 주주KS홀딩스컴퍼니: 100%
(2022년 12월 31일 기준)
기업구분중소기업
상장여부비상장기업
직원 수206명(2022년 12월 31일 기준)
자본금2억 4,250만원(2022년 기준)
매출액192억 4,847만 8,968원(2022년 기준)
영업이익10억 6,745만 9,941원(2022년 기준)
순이익10억 8,382만 5,997원(2022년 기준)
자산총액274억 2,459만 4,805원(2022년 기준)
부채총액50억 1,863만 1,531원(2022년 기준)
부채비율22.40%(2022년 기준)
소재지서울특별시 중랑구 용마산로 376 (면목동, 경성빌딩)

1. 개요
2. 상세
3. 운행 노선
4. 폐선된 노선
5. 면허 체계
5.1. 타 회사 출신 면허
6. 보유차량
7. 지배구조
8. 둘러보기
9. 부천버스의 옛 이름



1. 개요[편집]


중랑구 면목8동에 기점을 둔 버스 회사.


2. 상세[편집]


정식명칭은 경성여객자동차로 1970년에 서울승합의 홍릉영업소(경양지점)에서 분리되었으며[2], 경성여객의 '경'자는 경양지점의 ""[3][4] 자로 쓴다. 그리고 과거에 SK그룹 자회사로 존재했던 경성고무와도 아무 관련이 없다. 북부운수와 더불어 면목동 일대의 교통을 책임지는 역할을 하고 있다. 주로 면목2동[5]과 상봉2동 지역을 중심으로 버스노선을 운영하고 있으며, 북부운수와 달리 소속 노선 전부 굴곡이 적은 편이다.

과거에 부천버스의 모기업이었던 적이 있었다. 당시 부천시에 진출하면서 88번을 운행하는 등 여러 노력을 기울였으나 2000년대 들어서 모든 지분을 선진그룹에 매각하였다.

차량 구성의 경우는 중랑구 소속의 타 업체들과 달리 현대버스와 자일대우버스를 모두 사용했지만 현대차의 비중이 높은 편이었다. 그래도 현대차만 고집하는 것은 아니며, 대우 BS106 하이파워를 2007년까지 사용한 전례도 있었다. 더불어 저상버스도 주간선 업체인 메트로버스를 빼면 중랑구 최초로 도입하기도 했었으며[6] 2017년부터는 아예 저상버스만을 출고하고 있다. 2008년 이후로는 주로 현대차 위주로 도입하고 자일대우버스는 2012년 NEW BS110[7]을 뽑은 이후 사실상 손절했다.

면목8동 차고지에 가스 충전소가 없어서 충전은 주로 중랑공영차고지에서 해야 하는 상황이나, 271번만은 그나마 상암공영차고지에서 충전하고 있다. 그래도 이 회사의 차고지에서 중랑공영차고지까지는 가까운 편이다.[8] 반대로 전기버스의 경우 2022년에 직접 충전소를 설치한 덕분에 연료 충전 문제에서 어느정도 해소될 것으로 보인다. 그래서 지금은 전기버스만 도입하고 있는 중이다.

2010년을 전후로 해서 도원교통에 인수되어 계열사 관계가 되었다.[9] 이후 2219번과 1213번의 통합으로 공동 배차 노선이 생겼고, N62번 공동 배차도 하고 있다.

차고지 협소[10]로 인한 차량 주박 문제와 가스 원정 충전으로 인해 현재 차고지보다 2배 넓은 부지로 차고지를 이전하고자 했으나 계약까지 끝난 상황에서 주민들의 반발로 무산되었다. 그래서인지 271번 차량 상당수와 심야버스 차량 6대 중 5대는 아예 중랑공영차고지에 주박ㆍ가스충전만 하며, 운행할 때만 본사로 온다.

경성여객 지선 노선은 모두 겸재교 ~ 서일대 구간을 공유한다. 271번과 1213번은 서울우유 - 청량리시장 구간이 중복. 그리고 중랑세무서와 서울우유 본사 경유 노선으론 가장 오래 담당했다.[11][12]

2018년 7월 11일부로 도원교통에서 버스기사 간 손인사를 금지시키면서 계열사인 경성여객 역시 여기에 따르게 되었다. 그래서 도원교통-경성여객 소속의 모든 기사들은 옆에서 지나가도 무시하거나 마주봐도 가벼운 목례만 하고 다니지만, 요즘은 규정이 예전보다는 널널해졌는지 친분이 있는 기사들끼리는 손인사를 하는 모습이 간간히 보인다.

심야버스 구성원도 다른 업체 심야버스와 다르게, 마을버스 2년 이상의 경력을 둔 젊은 기사들 입사로 8~9개월가량 근무 후 적합 판정 시 일반버스로 퇴사 후 재입사할 정도의 관습으로 버스교습소라 불렸지만, 경력 쌓고 가는 것인데도 불구하고 주간버스보다도 극한이다 보니 초창기처럼 연장자 구성으로 재편했다.

경성여객 모든 노선들은 차고지에서 승/하차가 가능하며, 차고지 안에서 내려주기도 한다. 다만 N62번은 예외. 차고지가 좁은 데다, 여기 소속차량은 운행 마치면 그날 밤 첫차 1대[13]만 제외하고 중랑공영차고지로 주박과 가스, 전기 충전을 위해 공차회송을 하기 때문이다.

서울에서 돌출형 행선판에 회사명을 넣는 업체 중 하나이다[14](단, 모든 차량에 그렇게 적용한 것은 아니다). 그리고 업체 알림표를 가나다 순으로 배열 시 가장 앞에 오는 업체이기도 하다.(가장 뒤쪽은 흥안운수)[15][16]

신촌교통과 함께 차파트너스 투자에 참여하고 있는 업체다. 도원교통을 매각하면서 투자에 참여했으며, 김정환 도원교통, 경성여객 대표가 차파트너스 계열사인 선일교통과 차파트너스가 지분을 투자한 선진운수 대표를 겸직하고 있다.

2022년 12월에 첫 전기버스를 일렉시티로 도입했으며 2023년 3월 30일에 전국 최초하이퍼스1611N을 도입했다.

2024년 2월 29일에 도원교통이 1213번 공동배차에서 철수하면서 하이거 하이퍼스11L 등 해당 소속 차량까지 인수했다.

중랑구 소속의 다른 버스 회사들과 달리 버스 차체의 모든 부분에 운행중인 노선 번호를 부착하며[17], 특히 차체 앞 부분(범퍼라인)에도 적용한 터라 나름대로 편의를 보이고 있다.


3. 운행 노선[편집]


  • 전 노선 모두 차고지 입구의 승강장에서 승하차가 가능하다.
번호기점주요 경유지종점배차간격
271면목8동용마공원입구 - 상봉터미널입구 - 중랑초등학교 - 삼육서울병원 - 청량리역 - 신설동역 - 동대문 - 종로1~6가 - 광화문 - 충정로역 - 신촌로터리 - 홍대입구역 - 합정역 - 망원시장 - 서울월드컵경기장 - 상암DMC홍보관.YTN월드컵파크7단지5~7
N62[심야]용마산역 - 중곡역 - 군자역 - 건대입구역 - 성수역 - 한양대학교 - 왕십리역 - 신당역 - 동대문역사문화공원 - 종로1~6가 - 서소문 - 충정로역 - 신촌로터리 - 홍대입구역 - 합정역 - 염창역 - 대일고교 - 목동역 - 강서초등학교 - 푸른마을양천공영차고지15~30
번호기점주요 경유지종점배차간격
1213면목8동면목역 - 면목2동한신아파트 - 삼육서울병원 - 청량리역 - 고려대학교 - 길음뉴타운 - 정릉2동주민센터국민대학교6~11
2013혜원여중고 - 면목역 - 휘경여중고 - 전농사거리 - 마장역 - 한양대학교 - 왕십리역 - 상왕십리역신당역 → 청계8가 → 청계벽산아파트.텐즈힐아파트신당역11~15


4. 폐선된 노선[편집]




5. 면허 체계[편집]


한서교통과 더불어 처음부터 타 회사 출신 면허가 없고, 서울특별시에서 지정해준 면허만 있었다. 하지만 2024년 2월 29일 이후 도원교통 1213번 차량 인수에 따라 이 기록은 깨졌다.

  • 서울 70 사 2727 ~ 2730호, 6380 ~ 6382
  • 서울 74 사 1197 ~ 1294
    • 경성여객 주 면허. 노선 매각으로 인해 사실상 1286호까지만 있다.
  • 서울 75 사 4022 ~ 4025
    • 경성여객 증차 면허. 모두 271번에 있다.


5.1. 타 회사 출신 면허[편집]


  • 서울 70 사 8998호
    • 관악구 소재 시내버스회사 증차 면허. 정확히는 한남여객운수 면허로 2008년 11월 3일 도원교통이 한남운수로부터 양천영업소를 인수받으면서 받은 면허였다가 2024년 3월 1일 도원교통이 1213번 공동배차에서 철수하면서 인수받은 면허이다. 1213번에 오기 전에는 6514번 출신이다.
  • 서울 74 사 1809호
  • 서울 74 사 4620, 4652호
    • 관악교통 면허. 1981년 도원교통이 관악교통 93번 폐선으로 인한 잉여차량 인수하면서 받은 면허였다가 2024년 3월 1일 도원교통이 1213번 공동배차에서 철수하면서 인수받은 면허이다.
  • 서울 74 사 7289호.
    • 유성운수 면허. 개편 전 유성운수가 단독운행하던 도시형버스 135번(현 1711번)을 공동배차하다가 2004년 7월 1일 서울시 버스체계 개편 때 지선버스 1711번으로 재편되는 과정에서 도원교통 단독배차로 바뀌어 유성운수로 부터 공배철수분으로 인수받은 면허였다가 2024년 3월 1일 도원교통이 1213번 공동배차에서 철수하면서 인수받은 면허이다.
  • 서울 74 사 8593호
한남여객운수 면허. 2008년 11월 3일 도원교통이 한남운수로부터 양천영업소를 인수받으면서 받은 면허였다가 2024년 3월 1일 도원교통이 1213번 공동배차에서 철수하면서 인수받은 면허이다. 1213번에 오기 전에는 6514번 출신이다.
  • 서울 74 사 9443, 9450호
    • 선일교통 면허. 2024년 3월 1일 도원교통이 1213번 공동배차에서 철수하면서 인수받은 면허이다.
  • 서울 75 사 3048, 3051호
    • 도원교통 증차 면허. 2024년 3월 1일 도원교통이 1213번 공동배차에서 철수하면서 인수받은 면허이다.


6. 보유차량[편집]



6.1. 현재 보유차량[편집]



6.1.1. 현대자동차[편집]



6.1.2. 하이거[편집]




6.2. 과거 보유차량[편집]



6.2.1. 현대자동차[편집]



6.2.2. 자일대우버스[편집]



6.2.3. 기아[편집]




7. 지배구조[편집]


2022년 12월 기준
주주명지분율비고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KS홀딩스컴퍼니100.00%[18]


8. 둘러보기[편집]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 서울특별시 시내버스 회사
[ 펼치기 · 접기 ]

강남구도선여객정평운수
강동구서울승합
강북구동아운수선일교통삼양교통
영신여객한성운수
강서구공항버스김포교통영인운수
정평운수다모아자동차
관악구관악교통보성운수한남여객운수
광진구신흥운수
구로구군포교통보성운수서울매일버스
태진운수
금천구범일운수보영운수신인운수
노원구삼화상운진아교통태릉교통
한성여객흥안운수
도봉구서울교통네트웍아진교통
마포구다모아자동차유성운수
서대문구서부운수신촌교통원버스
현대교통
서초구대흥교통삼성여객우신운수
우신버스
성동구태진운수대원교통대원여객
성북구대진여객도원교통동성교통
상진운수성원여객
송파구남성버스동성교통대성운수
서울버스송파상운진화운수
한국brt한서교통
양천구관악교통도원교통세풍운수
신길교통양천운수중부운수
은평구보광교통신수교통선진운수
원버스유성운수제일여객
종로구동해운수
중랑구경성여객대원교통메트로버스
보광운수북부운수
시내버스 업체가 없는 자치구의 버스 회사 목록
동대문구동작구영등포구용산구
서울특별시 관외에 영업소를 둔 시내버스 회사
광명시범일운수보영운수세풍운수
한성운수
고양시동해운수서울매일버스선진운수
신촌교통제일여객신수교통
부천시신길교통
안양시서울매일버스
군포시·의왕시군포교통대원여객우신버스
성남시남성버스동성교통
의정부시·양주시대원여객제일여객
파주시신수교통제일여객





9. 부천버스의 옛 이름[편집]


본 항목에 있는 업체가 '부평여객'의 시외 완행노선을 인수하여 운행했었다. 부천버스 문서 참고.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4-06-16 14:47:56에 나무위키 경성여객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도원교통, 선일교통, 선진운수 대표이사 겸임[2] 면목4동의 북부운수는 서울시에서 시영버스를 민간에 넘길 때 이를 인수해 설립한 회사다.[3] 慶(경사 경), 이건 휘경원이 위치했던 휘경동의 경과 같은 한자다. 즉, 회사 명칭은 서울의 옛 이름에서 따온 것이 아니다.[4] 경성여객 외에도 서울특별시의 옛 이름을 쓰는 것으로 알기 쉬운 한성운수한성여객의 한자명도 漢城이 아닌 漢星이다.[5] 주로 지나는 도로는 겸재로와 봉우재길. 사실 개편전엔 131번(현 271)만이 그렇게 다녔지만 04년 이후 구 132번이 2219 → 1213 통합으로 바뀌면서 두드러진 것. 반대로 북부운수는 2014년 하반기에 2312번을 대원여객과 같이 운행하는 것과 2021년 3월 27일 이후 2311번의 노선 조정을 통해 면목2동 구간을 운행하게 되었다. 특히 후자는 북부운수 단독 기준이라 회사 설립 기준으로 하면 정말 최초라 할 수 있다.[6] 전체 차량대비 저상버스 보유 비율 또한 서울 5위권 내에 든다.[7] 이 때 도입된 NEW BS110은 처음에는 2013번에서 운행했으며(2대 중 1대는 2013번 고정, 1대는 2020년에 공동예비차로 다녔었다), 2024년에 모두 교체했다.[8] 운행 종료 기준으로 271번은 상암공영차고지에서도 충전하며(중랑공영차고지에서도 가끔 넣는다. 주로 신내동 주박 전후에 해당한다.), 1213번은 정릉동 대진여객 차고지에서도 충전한 적이 있었다. 그래서 1213번의 경성 소속 차량도 1213번에 통합되자마자 1년 정도는 도원 정릉본사에서 주박했다. 현재는 1213번에 있는 가스차량들은 전부 중랑공영차고지에서 가스를 넣는다. N62번 여기 소속도 중랑공영차고지에서도 충전하고 주간에는 주박까지 하며, 정비 및 심야운행 때만 차고지로 온다(반대로 2013번만 처음부터 중랑공영차고지에서 연료 충전을 했다). 면목8동에서 쭉 직진하면 중랑공영차고지가 나온다. 그러나 중랑공영차고지도 다른 공영차고지들처럼 충전소의 용량이 한계가 있는지라 북부운수 본사에서 충전을 하는 경우도 간혹 존재한다.[9] 정확히는 소유주가 동일한 것이지 양 사간의 지분 관계는 없다. 1대 주주는 도원교통 사장인 김종원, 2대 주주는 그의 아들인 김정환이다.[10] 진짜 거짓말 아니고 정말 협소하다. 꾸역꾸역 넣어도(진짜 러시아워처럼 다닥다닥 붙여서) 50대밖에 못들어 간다. 게다가 중형버스의 부재로 더 협소하다. 근처 북부운수 차고지보다 좁다. 특히 2004년 이전에는 차고지에서 중화중학교까지 일부차량을 노상에 주차시키기도 했다(2024년 기준 총 82대로 운영. 유상감차 이전에는 더 많았다.).[11] 경성여객 노선 외에는 2212번이 직접 경유하며, 2115번도 중랑역 정류장 위치 덕에 간접적으로 연계한다. 2114번과 320번도 다니지만, 둘은 중랑교사거리에선 편도로만 다녀서 의미가 적다. 그리고 경성여객 노선들이 이쪽 구간을 정말 유일하게 다녔던 시절은 2005년 초반부터 2010년 후반까지 5~6년 뿐이었다. 개편 당시 대원교통 2230번이 해당 구간을 잠시나마 경유한 적이 있었고(민영제 시절은 서울승합 568번과 대원여객 55-3번이 해당), 2010년 이후론 도원교통이 공동배차에 참여했기 때문이다.[12] 2024년 기준으론 2115번을 성원여객 대신 도원교통이 맡았지만(반대로 1213번을 경성여객에 넘겼다.), 상진운수와 공동으로 운행하기 때문에 여전하다.[13] 주로 주간 노선(271, 1213, 2013)에도 다니는 공동예비차와 전날 막차 순번이 다녀온 후 그 날 밤 차량이 첫차순번으로 내려가는 차량만 해당한다.[14] 이 외에도 도원교통, 서울교통네트웍 등이 해당된다.[15] 원래는 서울시내버스업체 기준으로 가장 앞에 오는 업체가 개봉여객이었는데, 1999년에 광명운수로 사명을 변경해서 이 기록이 깨졌다. 해당 회사는 2000년에 강제퇴출업체로 지목되어 폐업했다.[16] 마을버스는 갈현운수가 가장 앞에 있다.[17] 그나마 우측면의 경우는 보광운수도 번호를 부착하고 있지만, 다모아자동차에 인수된 이후에 한 거라 경성여객에 비하면 다소 늦었다.[심야] 심야버스. 도원교통과 공동배차.[18] 2021년 10월 17일 도원교통에서 인적분할되어 2021년 10월 20일자로 설립되었으며 대표이사는 김정환이다. 주요 사업은 인터넷 관련 사업 및 여객자동차 운송 관련 투자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