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동구/정치

덤프버전 :

||




1. 선거구 정보[편집]


파일:강동구 CI.svg 서울특별시 강동구 국회의원/시의원 선거구
국회의원시의원지역
강동구 갑강동구1고덕1동, 암사1동, 암사2동, 암사3동
강동구2명일1동, 명일2동, 길동
강동구3강일동, 상일1동, 상일2동, 고덕2동
강동구 을강동구4천호1동, 천호2동, 천호3동
강동구5성내1동, 성내2동, 성내3동, 둔촌1동, 둔촌2동


1.1. 구의회[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강동구의회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파일:강동구 CI.svg강동구의회⠀
원내 구성
[ 펼치기 · 접기 ]
제9대 의회
2022.7.1. ~ 2026.6.30.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svg
9석, 구청장 소속 정당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svg
9석
재적
18석





2. 지역 특징[편집]


이 지역 구민들은 대체적으로 국회에서 영향력을 갖는 중앙정치인보다는 '지역현안 위주로 활동하는 정치인'들을 선호하는 경향이 크다. 강동구에서 가장 지명도 있는 정치인은 김중위, 이부영, 김충환, 이해식으로 요약할 수 있다.

이부영 전 의원은 1992년 14대 총선부터 2004년까지 갑 선거구에서 3선을 연임했고, 14~15대 총선에서는 민주당 후보로 나왔으나 1997년 신한국당과 합당 이후에는 한나라당으로 출마하였다. 당시에 이부영 후보의 정치권 위상이 상당했기에 이 당적 변경으로 강동구가 보수화되었다는 평가가 있을 정도였다. 그러다 17대 총선 당시 친노계로 전환하여 열린우리당 창당과 함께 민주당계로 복귀하였고, 탄핵 정국의 이점에도 한나라당김충환에 밀려 낙선했고, 19대 총선에서도 새누리당 신동우에게 밀려 낙선한 이후 정계에서 은퇴하였다.

김충환은 1995년 지방선거에서 민주당 후보로 당선되었는데, 당시 41세로 젊은 나이에 꽤나 혁신적인 이미지를 가지고 있던 시절이었고 대체적으로 무난히 임무를 수행해왔기 때문에 구민들로부터 인정받았다. 이후 15대 대선 국면에서 민주당이 신한국당과 합당하자 이에 동참하면서 한나라당 소속이 되었고 1998년과 2002년에 연속으로 당선되어 3선을 채웠다. 그러나 2003년, 총선 출마를 위해 구청장직을 사퇴하고 이듬해 국회의원에 당선, 2008년까지 재선했다.

더불어민주당 소속의 이해식은 2008년부터 10년 간 구청장 직을 맡았으며, 좋은 평가를 받은 채 구청장직을 마감했다. 강동구의 최대 현안은 재건축, 재개발인데, 이 구청장은 정치적 목소리를 내기보다는 강동구의 이익을 극대화하는 쪽으로 일을 추진해서 구민들로부터 높은 평가를 받았다. 그래서인지 2010년 지방선거 당시 서울시장은 한나라당 오세훈 후보가 5%정도 앞선 반면 구청장은 민주당의 이해식 후보가 20% 가까이 앞서는 엄청난 득표를 하였고, 2014년 지방선거에서도 이해식이 압도적인 지지율로 당선되면서 3선의 영광을 안았다. 이후 3선을 마무리하고 한 템포 쉬었다가 2020년 21대 총선에 출마, 당선되면서 국회의원 임기를 시작하였다.

갑구는 13~15대 기간에는 민주당 세력이 강했으나 15대 대선 당시 민주당의원이었던 이부영한나라당으로 간 무렵부터 보수정당 지지세가 강해졌다. 이는 명일, 고덕, 상일, 암사3동 등 경제력이 좋은 지역이 갑 지역에 몰려있기 때문이다. 강일동, 암사1,2동, 길동의 경우 젊은 층들이 많이 거주하여 민주당계 정당 지지도가 상대적으로 높다. 특히 명일동에서의 보수정당 지지가 상당히 강한 편인데 40~50평대 대형 평수가 몰린데다 이 지역에 위치한 대형교회인 명성교회가 보수화에 어느정도 영향을 끼쳤다고 보는 시각도 있다. 1990년대 중반만 해도 신한민주당, 통일민주당 등 민주당계 지지세가 서울에서 가장 강했으나, 이후 보수세도 많이 올라와 19대 총선까지 꾸준히 보수정당 후보가 당선되었지만, 20대 총선에서는 더불어민주당 진선미 후보가 당선되었다.

신동우 새누리당 의원이 19대 국회에서 발의했던 테러방지법을 필리버스터 정국에서 진선미 의원이 활약하며 이 문제가 뜨거운 감자로 떠올랐고, 20대 총선에서 지역구 최대 현안으로 급부상한 세종포천고속도로(구리~세종) 이슈에서도 신동우 후보측이 '지하화 관련 전혀 문제없다. 그저 반대를 위한 반대를 하는 떼잡이들' 운운하는 발언하면서 국토부안 지지 의사를 밝히자 표심이 크게 자극받아 득표수가 상당히 벌어졌다. 4년 뒤 열린 21대 총선에서도 진선미 의원이 재선에 성공하면서 이부영 이후 24년 만에 민주당계가 연임하는 데 성공하였다. 재임기간 중 서울 지하철 9호선 고덕 연장과 관련하여 논란이 있었으나, 총선을 앞두고 예타를 통과하여 가까스로 수성할 수 있었다.

을구는 13대 이후 선거 당시의 여당 후보가 당선되어오는 전통이 있었다. 13~15대는 민주정의당, 민주자유당 ,신한국당김중위, 16대는 새천년민주당의 심재권, 17대는 열린우리당이상경, 18대는 아동·청소년의 성보호에 관한 법률을 대표 발의한 원흉인 한나라당의 윤석용 등 쭉 여당 후보만 당선되어 왔었지만, 19대에서 민주통합당의 심재권 후보가 당선되어 여당 후보만 당선되어 온 전통은 깨졌다. 2010년대 들어서는 민주당계 정당을 지지하는 성향이 상대적으로 강한데, 특히 성내동과 천호동 지역에서 두드러진다. 둔촌1동(주공아파트 단지)은 보수 지지세가 우세한 경향이 있지만, 둔촌1동 혼자 민주당계 표를 상쇄시키지는 못한다. 20대 총선에서 현역인 더불어민주당 심재권 의원이 비례대표 출신의 새누리당 이재영 의원을 누르며 3선에 성공하였고, 21대 총선에서는 이해식이 당선되면서 민주당계 정당 지지가 이어졌다.

지금까지 치러진 7번의 대통령 선거에서 이 곳에서의 승자는 곧 대통령 당선자였다. 14대 대선부터 17대 대선까지는 서울에서 노원, 양천, 강서, 강동 이렇게 4개 구가 대통령 당선자에게 더 많은 득표를 하였으나 18대 대선에서 강동구를 제외한 나머지 3개 구가 모조리 떨어져나감에 따라 강동구만 홀로 남게 되었다.[1] 서울에서 충청도급 민심의 바로미터 역할을 하고 있다고 보면 된다. 18대 대선강남3구용산구를 제외하고 박근혜 후보가 서울에서 승리한 5개의 지역 중 한 곳일 정도로 대체적으론 강남3구 외 민주당세가 강한 서울에서 그나마 보수적인 성향이 있어 선거 때마다 캐스팅보트 성격도 있는 지역이다.

  • 14대 대선 - 김영삼 106,799(37.28%) vs 김대중 99,645(34.79%)
  • 15대 대선 - 김대중 113,429(42.15%) vs 이회창 112,880(41.95%)
  • 16대 대선 - 노무현 124,771(49.82%) vs 이회창 116,278(46.43%)
  • 17대 대선 - 이명박 128,981(55.96%) vs 정동영 51,510(22.35%)
  • 18대 대선 - 박근혜 150,764(50.42%) vs 문재인 147,131(49.20%)
  • 19대 대선 - 문재인 122,511(41.31%) vs 홍준표 65,893(22.22%)
  • 20대 대선 - 윤석열 160,593(51.70%) vs 이재명 139,172(44.80%)
[2]


3. 역대 선거 결과[편집]




파일:강동구 CI.svg 역대 강동구청장 선거 결과
1995199820022004 재보궐2006
민주당한나라당한나라당
김충환[3]신동우[4]
2008 재보궐2010201420182022
통합민주당민주당새정치민주연합더불어민주당국민의힘
이해식이정훈이수희
주요 후보 득표율

구분주요 후보 득표율
1995년1위:
파일:민주당(1991) 글자.svg

김충환 46.63%

2위:
ta-hash-start=w-3c5ee951cbc9a0f9caeabd6f057a21e0[[파일:민주자유당 글자.svg
반충남 32.13%
3위:
무소속

정안상 12.75%
1998년1위: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1997~2004).svg

김충환 51.66%

2위:
ta-hash-start=w-9e245c34a5110468cf04288e80bbf4de[[파일:새정치국민회의 흰색 로고타입.svg
반충남 43.63%
2002년1위: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1997~2004).svg

김충환 62.20%

2위:
ta-hash-start=w-5086b6fa413c494fe31d20853ab82e22[[파일:새천년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이금라 37.79%
2004년1위: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svg

신동우 64.58%

2위:
ta-hash-start=w-015ecba5e600cfd399f563dd3aa0184f[[파일:열린우리당 로고타입.svg
이해식 35.41%
2006년1위: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svg

신동우 71.19%

2위:
ta-hash-start=w-a7e3a8dde26508f6ace8f51f4634197b[[파일:열린우리당 로고타입.svg
손석기 28.80%
2008년1위:
ta-hash-start=w-e2e71bdee9bb15b874b357b8a6639ed3[[파일:통합민주당(2008년) 흰색 로고타입.svg
이해식 53.32%

2위: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svg

박명현 39.57%
2010년1위:
ta-hash-start=w-9228dea3bd3b582fc9dc70dca3d0587b[[파일:민주당(2008년) 흰색 로고타입.svg
이해식 59.73%

2위: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svg

최용호 40.26%
2014년1위:
ta-hash-start=w-de6eebf320b3847ebe4a8feb659fe440[[파일:새정치민주연합 흰색 로고타입.svg
이해식 58.80%

2위:
ta-hash-start=w-4e60cf6778aabef4a810310fa33373ef[[파일:새누리당 흰색 로고타입.svg
최용호 41.19%
2018년1위: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이정훈 62.71%

2위:
ta-hash-start=w-82553a1ebce1e1df751e69b697bd097b[[파일:자유한국당 흰색 로고타입.svg
임동규 29.92%
2022년1위: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이수희 54.19%

2위: 양준욱 39.91%



3.1. 지방선거[편집]


8회 지선 강동구 개표 결과
서울특별시장 선거
정당더불어민주당국민의힘격차투표율
후보송영길오세훈(1위/2위)(선거인/표수)
득표수
(득표율)
80,390
(37.85%)
128,626
(60.56%)
- 48,236
(▼22.71)
214,084
(53.85%)
천호1동40.47%57.76%▼17.2946.73
천호2동39.91%58.49%▼18.5844.31
천호3동[A]38.02%60.36%▼22.3443.15
성내1동39.84%58.49%▼18.6452.29
성내2동39.63%58.59%▼18.9645.48
성내3동38.98%59.12%▼20.1549.60
둔촌2동[B]36.48%62.05%▼25.5751.32
길동37.59%61.18%▼23.5946.02
암사1동39.18%59.06%▼19.8845.26
암사2동37.66%60.77%▼23.1157.68
암사3동[C]33.62%64.91%▼31.2959.60
명일1동[D]32.69%66.07%▼33.3854.60
명일2동31.33%67.36%▼36.0360.84
고덕1동[E]34.23%64.36%▼30.1357.57
고덕2동[F]30.43%68.10%▼37.6756.13
상일1동[G]32.93%65.88%▼32.9656.93
상일2동45.83%52.18%▼6.3553.11
강일동44.00%54.46%▼10.4652.47
후보송영길오세훈격차
거소투표30.69%61.95%▼31.26
관외사전투표42.97%54.98%▼12.01
국회의원
선거구
송영길오세훈격차투표율
강동구 갑[H][5]36.11%62.46%▼26.3553.20
강동구 을[I][6]39.06%59.26%▼20.2047.17
강동구청장 선거
정당더불어민주당국민의힘격차투표율
후보양준욱이수희(1위/2위)(선거인/표수)
득표수
(득표율)
84,509
(39.91%)
114,743
(54.19%)
- 30,234
(▼14.28)
214,077
(53.84%)
천호1동44.61%48.71%▼4.1146.72
천호2동44.08%49.52%▼5.4444.23
천호3동[*A ]41.12%51.98%▼10.8643.10
성내1동40.91%52.84%▼11.9252.28
성내2동41.70%51.33%▼9.6345.47
성내3동41.58%52.13%▼10.5449.60
둔촌2동[*B ]38.65%55.50%▼16.8551.31
길동39.01%55.23%▼16.2346.01
암사1동40.37%51.94%▼11.5745.20
암사2동38.27%55.01%▼16.7457.65
암사3동[*C ]34.26%60.30%▼26.0559.57
명일1동[*D ]33.87%60.09%▼26.2254.55
명일2동32.37%62.91%▼30.5460.85
고덕1동[*E ]35.60%60.04%▼24.4457.54
고덕2동[*F ]32.68%63.01%▼30.3456.10
상일1동[*G ]34.57%61.32%▼26.7556.92
상일2동47.44%45.91%△1.5353.10
강일동45.66%48.32%▼2.6652.47
후보양준욱이수희격차
거소·선상투표40.71%47.25%▼6.54
관외사전투표45.93%48.24%▼2.31


3.2. 대선[편집]




3.2.1. 제13대 대통령 선거[편집]


강동구
강동구 일원[7]
정당민주정의당통일민주당평화민주당신민주공화당
후보노태우김영삼김대중김종필
득표수167,375180,699164,83142,203
득표율30.13%32.52%29.67%7.59%
순위2위1위3위4위
선거인 수639,248
투표 수562,802
무효표 수7,304
투표율88.04%


3.2.2. 제14대 대통령 선거[편집]


강동구 갑
하일동, 상일동, 명일1동, 명일2동, 고덕1동, 고덕2동,
암사1동, 암사2동, 암사3동, 암사4동, 길1동, 길2동
정당민주자유당민주당통일국민당신정치개혁당
후보김영삼김대중정주영박찬종
득표수58,50450,11831,11510,105
득표율38.57%33.04%20.51%6.66%
순위1위2위3위4위
선거인 수186,802
투표 수153,147
무효표 수1,470
투표율81.98%

강동구 을
천호1동, 천호2동, 천호3동, 천호4동,
성내1동, 성내2동, 성내3동, 둔촌1동, 둔촌2동
정당민주자유당민주당통일국민당신정치개혁당
후보김영삼김대중정주영박찬종
득표수48,29549,52726.9128,472
득표율35.84%36.76%19.97%6.28%
순위2위1위3위4위
선거인 수167,725
투표 수136,423
무효표 수1,696
투표율81.34%

3.2.3. 제15대 대통령 선거[편집]


강동구 갑
하일동, 상일동, 명일1동, 명일2동, 고덕1동, 고덕2동,
암사1동, 암사2동, 암사3동, 암사4동, 길1동, 길2동
정당한나라당새정치국민회의국민신당
후보이회창김대중이인제
득표수62,70957,58420,147
득표율44.10%40.49%14.16%
순위1위2위3위
선거인 수174,893
투표 수143,809
무효표 수1,620
투표율82.23%

강동구 을
천호1동, 천호2동, 천호3동, 천호4동,
성내1동, 성내2동, 성내3동, 둔촌1동, 둔촌2동
정당한나라당새정치국민회의국민신당
후보이회창김대중이인제
득표수50,17155,84519,222
득표율39.54%44.02%15.15%
순위2위1위3위
선거인 수159,717
투표 수128,523
무효표 수1,662
투표율80.47%

3.2.4. 제16대 대통령 선거[편집]


강동구
강동구 일원
정당한나라당새천년민주당민주노동당
후보이회창노무현권영길
득표수116,278124,7718,254
득표율46.43%49.82%3.29%
순위2위1위3위
선거인 수351,875
투표 수251,782
무효표 수1,374
투표율71.55%


3.2.5. 제17대 대통령 선거[편집]


강동구
강동구 일원
정당대통합민주신당한나라당민주노동당창조한국당무소속
후보정동영이명박권영길문국현이회창
득표수51,510128,9814,63015,30827,692
득표율22.35%55.96%2.00%6.64%12.01%
순위2위1위5위4위3위
선거인 수362,024
투표 수231,077
무효표 수621
투표율63.83%

3.2.6. 제18대 대통령 선거[편집]


강동구
강동구 일원[강동]
정당새누리당민주통합당
후보박근혜문재인
득표수150,764147,131
득표율50.42%49.20%
순위1위2위
선거인 수397,108
투표 수300,362
무효표 수1,358
투표율75.64%

18대 대선 서울 강동구 개표 결과
정당새누리당민주통합당격차투표율
후보박근혜문재인(1위/2위)(선거인/표수)
득표수
(득표율)
150,764
(50.42%)
147,131
(49.20%)
+3,633
(△1.22)
75.64%
강일동45.92%53.79%7.8779.04
상일동53.03%46.59%△6.4478.03
명일1동53.65%45.97%△7.6879.13
명일2동59.24%40.34%18.9081.87
고덕1동51.53%48.15%△3.3877.35
고덕2동51.68%47.81%△3.8773.70
암사1동48.95%50.72%▼1.7772.04
암사2동47.70%51.99%▼4.2978.19
암사3동53.71%46.0%△7.7181.57
천호1동50.07%49.55%△0.52[8]71.75
천호2동48.86%50.79%▼1.9369.84
천호3동49.48%50.11%▼0.63[9]69.63
성내1동49.16%50.45%▼1.2977.85
성내2동47.79%51.82%▼4.0371.09
성내3동47.52%52.08%▼4.5674.21
길동49.49%50.22%▼0.7374.58
둔촌1동55.31%44.33%△10.9881.20
둔촌2동51.61%48.10%△3.5176.67
후보박근혜문재인격차
국외부재자투표43.31%56.15%12.84
국내부재자투표50.71%48.43%△2.28
국회의원 선거구박근혜문재인격차투표율
강동구 갑[10][11]50.98%48.67%2.3176.86
강동구 을[12][13]49.84%49.79%0.05[14]73.34

3.2.7. 제19대 대통령 선거[편집]


강동구
강동구 일원[강동]
정당더불어민주당자유한국당국민의당바른정당정의당
후보문재인홍준표안철수유승민심상정
득표수122,51165,89367,49921,48317,965
득표율41.31%22.22%22.76%7.24%6.05%
순위1위3위2위4위5위
선거인 수376,431
투표 수297,476
무효표 수965
투표율79.03%

19대 대선 서울 강동구 개표 결과
정당더불어민주당자유한국당국민의당바른정당정의당격차투표율
후보문재인홍준표안철수유승민심상정(1위/2위)(선거인/표수)
득표수
(득표율)
122,511
(41.31%)
65,893
(22.22%)
67,499
(22.76%)
21,483
(7.24%)
17,965
(6.05%)
+ 55,012
(△18.55)
79.03%
강일동43.90%19.94%22.73%6.89%6.15%△21.1779.55%
상일동38.29%25.63%22.27%7.60%5.68%△12.6677.89%
명일1동37.61%26.16%22.48%7.92%5.46%△11.4582.11%
명일2동37.93%25.54%22.02%8.71%5.45%△12.3983.74%
고덕1동42.98%20.61%22.28%8.35%5.54%△20.7083.17%
고덕2동36.41%28.01%23.66%6.01%5.28%△8.4071.03%
암사1동40.82%22.93%23.33%6.53%5.95%△17.4972.52%
암사2동43.97%20.80%21.27%7.34%6.36%21.7082.99%
암사3동39.88%23.17%22.72%8.35%5.58%△16.7184.31%
천호1동39.56%23.96%23.99%6.25%5.89%△15.5773.24%
천호2동40.29%23.54%23.98%6.03%5.69%△16.3170.77%
천호3동39.23%23.67%24.46%6.45%5.71%△14.7771.55%
성내1동42.02%21.73%22.53%7.04%6.37%△19.4980.97%
성내2동42.08%22.10%23.26%6.14%5.99%△18.8273.97%
성내3동41.76%22.17%22.17%7.50%6.04%△19.5976.74%
길동39.91%23.31%23.39%7.13%5.87%△16.5275.19%
둔촌1동38.03%23.86%23.01%8.79%5.92%△14.1782.61%
둔촌2동40.24%23.48%22.55%7.39%6.08%△16.7679.10%
후보문재인홍준표안철수유승민심상정격차
거소·선상투표33.93%18.04%34.46%7.14%3.39%0.53[15]
관외사전투표46.71%16.05%21.34%8.19%7.27%△25.37
재외투표59.58%9.01%15.47%4.15%11.25%44.11
국회의원 선거구문재인홍준표안철수유승민심상정격차투표율
강동구 갑[16][17]40.56%23.10%22.73%7.44%5.79%△17.4678.62%
강동구 을[18][19]40.42%23.11%23.29%6.85%5.95%△17.1375.45%

상대적으로 보수세가 강한 고덕동, 상일동, 명일동 아파트들의 재건축 이주[20]로 보수표가 줄어 모든 지역에서 문재인 후보가 승리했다.


3.2.8. 제20대 대통령 선거[편집]


20대 대선 강동구 개표 결과
정당더불어민주당국민의힘격차투표율
후보이재명윤석열(1위/2위)(선거인/표수)
득표수
(득표율)
139,172
(44.80%)
160,593
(51.70%)
- 21,421
(▼6.90)
313,203
(78.76%)
천호1동47.44%49.10%▼1.6672.52
천호2동47.40%49.00%▼1.6170.79
천호3동[*A ]44.97%51.09%▼6.1273.02
성내1동46.00%50.43%▼4.4478.66
성내2동46.15%50.16%▼4.0172.88
성내3동46.25%50.02%▼3.7676.24
둔촌2동[*B ]42.54%54.02%▼11.4876.41
길동44.39%52.19%▼7.8072.31
암사1동47.32%49.04%▼1.7370.96
암사2동44.92%51.38%▼6.4683.19
암사3동[*C ]39.96%57.15%▼17.2083.22
명일1동[*D ]40.76%56.00%▼15.2379.74
명일2동38.25%59.05%▼20.8083.78
고덕1동[*E ]41.12%55.86%▼14.7482.00
고덕2동[*F ]37.18%59.80%▼22.6280.52
상일1동[*G ]38.66%58.10%▼19.4481.33
상일2동51.74%44.33%△7.4180.66
강일동51.78%45.03%△6.7578.33
후보이재명윤석열격차
거소·선상투표43.29%47.92%▼4.63
관외사전투표48.56%47.37%△1.19
재외투표57.51%38.91%△18.60
국회의원
선거구
이재명윤석열격차투표율
강동구 갑[*H ][21]43.20%53.54%▼10.3478.49
강동구 을[*I ][22]45.89%50.48%▼4.5974.01

3.3. 총선[편집]


21대 총선 강동구 개표 결과
국회의원 선거 (강동구 갑)
정당더불어민주당미래통합당격차투표율
후보진선미이수희(1위/2위)(선거인/표수)
득표수
(득표율)
80,361
(51.50%)
74,441
(47.70%)
+ 5,920
(△3.79)
157,793
(71.32%)
[ 펼치기 · 접기 ]

길동52.43%46.63%△5.8062.22
암사1동55.53%43.56%△11.9761.04
암사2동54.37%44.81%△9.5672.51
암사3동[*C ]49.26%50.23%▼0.9775.21
명일1동[*D ]47.98%51.30%▼3.3371.23
명일2동45.56%53.78%▼8.2177.36
고덕1동[*E ]49.66%49.73%▼0.0774.14
고덕2동[*F ]42.19%57.02%▼14.8373.07
상일동[*G ]47.26%52.25%▼4.9973.35
강일동55.38%43.60%△11.7869.72
후보진선미이수희격차
거소·선상투표53.54%42.78%△10.76
관외사전투표61.35%37.66%△23.69
재외투표66.30%32.96%△33.33

국회의원 선거 (강동구 을)
정당더불어민주당미래통합당격차투표율
후보이해식이재영(1위/2위)(선거인/표수)
득표수
(득표율)
59,175
(54.54%)
45,617
(42.04%)
+ 13,558
(△12.50)
109,651
(66.21%)
[ 펼치기 · 접기 ]

천호1동54.33%42.22%△12.1062.61
천호2동55.18%41.28%△13.8960.35
천호3동[*A ]52.49%44.18%△8.3060.93
성내1동54.57%42.46%△12.1169.89
성내2동54.10%42.32%△11.7862.55
성내3동54.17%42.45%△11.7266.71
둔촌2동[*B ]50.35%46.62%△3.7367.73
후보이해식이재영격차
거소·선상투표50.50%41.50%△9.00
관외사전투표63.06%32.90%△30.17
재외투표65.21%29.13%△36.09


비례대표 선거
정당미래한국당더불어시민당정의당국민의당열린민주당격차투표율
득표수
(득표율)
88,630
(34.42%)
84,087
(32.66%)
24,672
(9.58%)
21,335
(8.28%)
14,957
(5.80%)
+ 4,543
(△1.76)
267,548
(69.08%)
[ 펼치기 · 접기 ]

천호1동33.73%35.04%9.58%6.17%4.75%▼1.3162.62
천호2동32.98%35.40%9.50%6.62%4.88%▼2.4260.36
천호3동[*A ]34.91%33.18%9.14%7.75%5.03%△1.7360.94
성내1동33.93%32.89%10.46%8.07%5.95%△1.0469.88
성내2동34.01%34.20%9.87%6.72%5.59%▼0.1962.56
성내3동32.98%34.68%9.72%7.07%5.35%▼1.7066.71
둔촌2동[*B ]36.92%31.19%9.52%8.45%5.12%△5.7267.73
길동35.75%33.54%8.08%7.81%4.75%△2.2162.23
암사1동33.39%35.08%8.93%7.16%5.10%▼1.6861.04
암사2동34.26%33.09%9.18%8.99%6.49%△1.1672.52
암사3동[*C ]38.33%28.58%9.07%9.72%6.68%△9.7475.22
명일1동[*D ]38.07%29.07%8.72%9.79%5.46%△9.0071.23
명일2동41.52%25.96%9.42%10.01%5.79%△15.5677.36
고덕1동[*E ]35.64%30.66%9.58%10.44%6.22%△4.9874.15
고덕2동[*F ]38.44%27.11%9.82%10.67%5.53%△11.1373.09
상일동[*G ]36.94%29.27%9.83%9.88%6.81%△7.6773.36
강일동30.23%34.20%10.69%8.16%6.46%▼3.9769.71
정당미래한국당더불어시민당정의당국민의당열린민주당격차
거소·선상투표30.83%29.05%7.30%7.48%4.99%△1.78
관외사전투표27.13%36.81%10.98%7.94%7.81%▼9.68
재외투표22.13%31.06%13.00%7.96%16.69%▼8.93







[1] 14대 대선 이후로 기초자치단체 단위에서 당선자에게 더 많은 표를 준 지역은 전국에서 13곳에 지나지 않는다. 강동구 이외에는 대전 동구, 중구, 대덕구, 충북 청주 상당구, 서원구, 흥덕구, 옥천, 음성, 증평, 충남 당진, 태안, 금산이 있다.[2] 전국득표 1,2위를 기준으로 함.[3] 03.12.17. 구청장직 사퇴 (17대 총선 출마)[4] 07.12.11. 구청장직 사퇴 (18대 총선 출마)[A] 래미안 강동팰리스가 있는 동네[B] 둔촌주공 재개발로 인해서 선관위 홈페이지에는 둔촌2동 3투표소와 둔촌1동 투표소의 합산된 결과가 나왔다.[C] 강동 롯데캐슬 퍼스트 대단지가 있는 동네[D] 래미안 솔베뉴가 있는 동네[E] 고덕 래미안 힐스테이트, 고덕 아이파크 대단지가 있는 동네[F] 고덕 그라시움 대단지가 있는 동네[G] 고덕 아르테온, 고덕자이, 고덕 센트럴 아이파크, 고덕 롯데캐슬 베네루체 대단지가 있는 동네[H] 길동, 암사1동, 암사2동, 암사3동, 명일1동, 명일2동, 고덕1동, 고덕2동, 상일1동, 상일2동, 강일동[5] 지역구 국회의원: 진선미 (더불어민주당, 3선)[I] 천호1동, 천호2동, 천호3동, 성내1동, 성내2동, 성내3동, 둔촌1동, 둔촌2동[6] 지역구 국회의원: 이해식 (더불어민주당, 초선)[7] 지금의 강동구, 송파구 일원[강동] A B 강일동, 상일동, 명일1동, 명일2동, 고덕1동, 고덕2동, 암사1동, 암사2동, 천호1동, 천호2동, 천호3동, 성내1동, 성내2동, 성내3동, 길동, 둔촌1동, 둔촌2동[8] 불과 96표 차이였다.[9] 불과 98표 차이였다.[10] 지역구 국회의원 : 새누리당 신동우[11] 관할 동 : 강일동, 상일동, 명일1동, 명일2동, 고덕1동, 고덕2동, 암사1동, 암사2동, 암사3동, 길동[12] 지역구 국회의원 : 민주통합당 심재권[13] 관할 동 : 천호1동, 천호2동, 천호3동, 성내1동, 성내2동, 성내3동, 둔촌1동, 둔촌2동[14] 불과 60표 차이였다.[15]3표 차이였다.[16] 지역구 국회의원 : 더불어민주당 진선미[17] 관할 동 : 강일동, 상일동, 명일1동, 명일2동, 고덕1동, 고덕2동, 암사1동, 암사2동, 암사3동, 길동[18] 지역구 국회의원 : 더불어민주당 심재권[19] 관할 동 : 천호1동, 천호2동, 천호3동, 성내1동, 성내2동, 성내3동, 둔촌1동, 둔촌2동[20] 고덕주공아파트(1, 6, 9단지 제외), 삼익1차아파트[21] 지역구 국회의원: 진선미 (더불어민주당, 3선)[22] 지역구 국회의원: 이해식 (더불어민주당, 초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