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강대식

덤프버전 :

파일:국회휘장.svg 대한민국 국회의원 (대구 동구 을)
제17-20대
유승민
제21대
강대식
현직

현직 및 역임한 직위
[ 펼치기 · 접기 ]

파일:국민의힘 흰색 아이콘.svg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대구광역시 당협위원장
[ 펼치기 · 접기 ]


||<-4><tablewidth=100%><tablecolor=#181818,#ddd><tablebgcolor=#fff,#1f2023><#00b5e2> 시당위원장 ||
||<-4><bgcolor=#ffffa0,#2d2f34> 양금희 ||
||<rowbgcolor=#00b5e2><width=25%> 중·남 ||<width=25%> 동 갑 ||<width=25%> 동 을 ||<width=25%> ||
||<rowbgcolor=#ffffa0,#2d2f34> 임병헌 || 류성걸 || 강대식 || 김상훈 ||
||<rowbgcolor=#00b5e2> 북 갑 || 북 을 || 수성 갑 || 수성 을 ||
||<rowbgcolor=#ffffa0,#2d2f34> 양금희 || 김승수 || 주호영 || 이인선 ||
||<rowbgcolor=#00b5e2> 달서 갑 || 달서 을 || 달서 병 || 달성 ||
||<rowbgcolor=#ffffa0,#2d2f34> 홍석준 || 윤재옥 || 김용판 || 추경호 ||
||<-4> ||




파일:동구(대구광역시) CI_White.svg
대구광역시 동구청장
[ 펼치기 · 접기 ]

초대
김석진
제2대
김옥안
제3대
정승호
제4대
봉기수
제5대
배태민
제6대
이술갑
제7대
우병운
제8대
윤대원
제9대
장재호
제10대
박영서
제11대
김재완
제12대
이종주
제13대
김춘근
제14대
남정구
제15대
김규재
제16대
황대현
제17대
최병윤
제18대
이영일
제19대
장긍표
제20대
김일수
제21대
오기환
제22-23대
임대윤
제24대
이훈
제25-26대
이재만
제27대
강대식
제28대
배기철
제29대
윤석준
파일:대구광역시 동구 민선8기 슬로건.jpg





제27대 대구광역시 동구청장
대한민국 제21대 국회의원
강대식
姜大植 | Kang Dae-sik
파일:강대식정치인.jpg
출생1959년 11월 2일 (64세)
경상북도 경산군 안심면
(現 대구광역시 동구 안심동)
거주지대구광역시 동구 신서동
서울특별시 강서구 가양동 가양글로벌퍼스트
현직제21대 국회의원
국민의힘 동구 을 당협위원장
재임기간제27대 대구광역시 동구청장
2014년 7월 1일 ~ 2018년 6월 30일
서명
파일:강대식 서명.svg
링크 파일:네이버 블로그 아이콘.svg |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 펼치기 · 접기 ]

학력안심중부국민학교 (졸업)
안심중학교 (졸업)
경북대학교 사범대학 부설고등학교 (졸업)
영남대학교 (경영학 / 2학년 수료)[1][2]
영남대학교 대학원 (경영학 / 석사[3][4]박사[5][6])
병역대한민국 육군 병장 만기전역[7]
신체177cm
소속 정당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지역구대구 동구 을
의원 선수1
의원 대수21
소속 위원회국토교통위원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
경력제5·6대 대구광역시 동구의회 의원
제6대 대구광역시 동구의회 의장
제27대 대구광역시 동구청장 (민선6기)
유승민 희망22 대외협력본부장
국민의힘 조직부총장
국민의힘 최고위원

[1] 중퇴[2] 다만 독학사나 방송통신대학교 등을 통해서 학사 학위를 취득한 것으로 보인다. 그러지 않고서는 석사, 박사 학위를 취득할 수 없다.[3] 인사·조직 전공[4] 석사 학위 논문: 관계혜택이 관계만족과 장기지향성에 미치는 영향 : 대구 동구 문화체육회관을 중심으로 (2011)[5] 인사·조직 전공[6] 박사 학위 논문: 사회적기업에서 직무동기와 조직유효성 간 관계 연구 : 조직동일시와 민주적 의사결정의 조절효과 검증을 중심으로 (2017. 02.)[7] 논산훈련소에서 보급병조리병으로 복무했다.

1. 개요
2. 생애
3. 정치 활동
3.1. 구의원 및 구청장
3.2. 7회 지선 낙선
4. 여담
5. 상훈
6. 소속 정당
7. 선거 이력
8. 둘러보기



1. 개요[편집]


대한민국정치인.

제 21대 대구 동구 을 국회의원이며 전직 대구광역시 동구청장으로 당적은 국민의힘이며 유승민과 행보를 함께 했었던 친유계이다.



2. 생애[편집]


1959년 경상북도 경산군 안심면[1]에서 태어났다. 대구송정초등학교, 안심중학교, 경북대학교 사범대학 부설고등학교, 영남대학교 경영대학원 경영학 석사, 영남대학교 대학원 경영학 박사 과정을 졸업하였다.

강대식 의원은 태어난 곳도 안심지구이고, 잠시 군 복무를 위해 떠났던 것을 제외하고는 계속 동구에 살았던 동구 토박이이다.[2] 그리고 유승민 의원과 같이 호흡을 맞추며 구의회, 구청장에 국회의원까지 차근차근 올라온 사람이다.[3]


3. 정치 활동[편집]



3.1. 구의원 및 구청장[편집]


2006년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한나라당 후보로 대구광역시 동구의회 의원 선거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2010년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한나라당 후보로 대구광역시 동구의회 의원 선거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2012년부터 2014년까지 대구광역시 동구 의회 의장을 역임하였다.

2012년 동구 의회 의장 시절 음주 뺑소니 사건으로 입건되었으나 어떤 이유에서인지 일반인들에게 내려지는 음주 뺑소니 처벌과 다르게 벌금 250만원 형으로 끝났다.[4]

2014년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새누리당 후보로 대구광역시 동구청장 선거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5] 박근혜-최순실 게이트로 인하여 2017년 2월 윤순영 대구광역시 중구청장과 함께 새누리당을 탈당하여 바른정당에 입당하였다.


3.2. 7회 지선 낙선[편집]


2018년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바른미래당 후보로 동구청장 재선에 도전하였으나 자유한국당 배기철, 더불어민주당 서재헌 후보에 이은 3위로 낙선하였다. 선거 토론회에서 자신은 박근혜 탄핵에 대한 입장이 있었다기보다는 자신을 이 자리까지 있게 만들어 준 에 대한 은혜와 의리로 탈당했다고 수차례 강조하였다.

2020년 1월 3일 바른미래당을 탈당하였고, 새로운보수당에 합류하였다. 그리고 보수통합으로 미래통합당 소속이 되었다.


3.3. 제21대 총선[편집]


유승민 의원이 불출마를 선언한 동구 을 지역구에 예비후보로 등록했다. 2020년 3월 5일 미래통합당 공천관리위원회의 컷오프를 통과하면서 김규환 국회의원, 김재수 전 농림부 장관, 김영희 육군 중령과 경선을 벌이게 되었는데, 57.3점을 받아 김영희(15.1점. 여성 가점 5점 포함), 김재수(32.6점) 후보를 압도적으로 누르고 경선을 통과했다.# 이웃 지역구인 동구 갑에서도 친유 성향[6]류성걸 후보가 승리하면서 동구 전체에서 친유가 약진했다.

4월 15일 21대 총선에서 윤창중, 송영선친박의 견제에도 불구하고 무난하게 당선되었다. 초선 의원이지만 TK 당선자 중 유일하게 구의원, 기초단체장을 모두 경험했기 때문에 관록을 앞세운 정치력 발휘를 기대하는 여론도 있다.


3.4. 제21대 국회의원[편집]


6.25 전쟁 70주년을 앞둔 2020년 6월 24일, '국가유공자 등 예우 및 지원에 관한 법률'(국가유공자법) 일부개정법률안과 '국가유공자 등 단체 설립에 관한 법률'(국가유공자단체법) 일부개정법률안을 각각 대표발의했다. 전자는 6·25 참전 소년·소녀병을 국가유공자에 포함해 보상 및 교육·취업·의료 지원 등에 있어 예우를 갖추도록 하는 내용을 담았고, 후자는 이들을 위한 위령제, 추모비 건립 등 보훈 활동을 지원하는 근거를 마련했다. 그동안 비슷한 연령대인 재일학도의용군인의 경우 모두 국가유공자로 예우하고 있는 것에 비해, 6·25 참전 소년·소녀병은 전사자·전상자에 대해서만 제한적으로 국가유공자로 인정하고 있어 형평성에 대한 문제제기가 있어왔다.#

전임 국회의원처럼 강대식 또한 지역구대구 공군기지의 소음에 대한 보상법을 발의하였다. 법안의 내용이 물가상승률에 비례해서 공군기지 주변 주민들에게 합당한 보상을 하자는 것이다. 당연히 지역구 주민인 동구 을에서는 긍정적인 반응을 보인다.

2020년 8월 28일양금희, 류성걸 의원과 같이 대구 도시철도 4호선[7] 조기착공을 기획재정부 차관에게 건의하였다. 강대식은 북구 검단동대구 이시아폴리스 간 교량 건설 시[8] 기존 교량에 철로를 넣는 방식으로[9] 건설해서 예산을 절감할 수 있다고 언급했다.#

2022년 8월 8일, 한기호 사무총장과 홍철호 전략기획부총장과 동반 사퇴했다. #

2023년 3월 13일, 김기현 대표 체제 하의 국민의힘 지명직 최고위원으로 선임되었다.

2023년 10월 14일, 국민의힘 지명직 최고위원에서 2023년 하반기 보궐선거 패배 책임을 지고 이철규 당 사무총장, 박성민 전략기획부총장, 박대출 정책위의장, 배현진 조직사무부총장 등과 함께 물러났다. #

4. 여담[편집]



  • 국방, 보훈문제에 관심이 많아 유승민처럼 비인기 상임위인 국방위원회에 자원해서 들어갔다.

  • 배기철과 대구 동구청장 선거에서 경쟁하기는 했어도 같이 일한 동료였기에 사이는 나쁘지 않다. 기자들이 우려함에도 불구하고 "같이 일했는데 사이가 나쁘지 않다. 오히려 같이 일하게 된 것이 기쁘다."라고 했다. 강대식의 적을 잘 만들지 않는 무난한 성격도 한 몫한다.

  • 윤순영 전 대구 중구청장과 가까운 관계를 유지하고 있으며, 홍준연 구의원과도 친한 편이다.

  • 독신자로, 미혼이다. 아예 결혼한 적이 없다.[10]

5. 상훈[편집]


  • 2018 한국매니페스토실천본부 민선6기 전국 기초단체장 공약이행 및 정보공개 평가 최우수
  • 2017 한국매니페스토실천본부 민선6기 전국 기초단체장 공약이행 및 정보공개 평가 최우수
  • 2017 제23회 한국지방자치경영대상 종합대상 동구 수상
  • 2015 한국기초단체장 매니페스토 우수사례 경진대회 공약이행분야 최우수상


6. 소속 정당[편집]


소속기간비고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svg

2006 - 2012정계 입문

ta-hash-start=w-6642c3aa4d190ba07f671b296f8d12f0[[파일:새누리당 흰색 로고타입.svg
2012 - 2017당명 변경

무소속

2017박근혜-최순실 게이트로 인한 탈당

ta-hash-start=w-c262f1b4e591bbe53a5acb2f325c6f81[[파일:바른정당 흰색 로고타입.svg
2017 - 2018입당

ta-hash-start=w-259652f877ed31f62299ca88208ba2b5[[파일:바른미래당 흰색 로고타입.svg
2018 - 2020합당[11]

무소속

2020당내 노선 갈등으로 인한 탈당

ta-hash-start=w-1040efd6fd230da455c16ab77faca0fb[[파일:새로운보수당 흰색 로고타입.svg
2020창당

ta-hash-start=w-7fbb984af657be4635b59d346b7ab799[[파일:미래통합당 흰색 로고타입.svg
2020합당[12]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2020 -당명 변경


7. 선거 이력[편집]


연도선거 종류선거구소속 정당득표수 (득표율)당선 여부비고
2006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대구 동 바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svg

9,979 (44.49%)당선 (1위)초선
2010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7,448 (28.80%)당선 (2위)재선
2014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대구 동구청장
ta-hash-start=w-623073121ba44a854dde0a3b362e32f0[[파일:새누리당 흰색 로고타입.svg
116,937 (79.39%)당선(1위)초선
2018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ta-hash-start=w-690eb976c80d3c015c71bc9ac4476a6c[[파일:바른미래당 흰색 로고타입.svg
43,374 (25.78%)낙선 (3위)
2020제21대 국회의원 선거대구 동 을
ta-hash-start=w-8702581b10fc44c8ee9021a967744624[[파일:미래통합당 흰색 로고타입.svg
66,461 (60.33%)당선 (1위)초선

역대 선거 벽보
[ 펼치기 · 접기 ]
파일:2006 강대식.jpg파일:2010 강대식.jpg
4회 지선 (대구 동구 바선거구)5회 지선 (대구 동구 바선거구)
파일:2014 강대식.jpg파일:2018 강대식.jpg
6회 지선 (대구 동구청장)7회 지선 (대구 동구청장)
파일:2020 강대식.jpg
21대 총선 (대구 동구 을)


8. 둘러보기[편집]


파일:대구광역시 휘장_White.svg
[ 펼치기 · 접기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91919><width=25%><rowbgcolor=#00B4B4> ||<bgcolor=#C9151E><width=25%> ||<width=25%><bgcolor=#00B4B4> ||<bgcolor=#C9151E><width=25%> ||
|| 윤순영 || 류한국 || 강대식 || 배광식 ||
||<bgcolor=#C9151E> ||<bgcolor=#C9151E> 수성 ||<bgcolor=#C9151E> 달서 ||<bgcolor=#808080> 달성 ||
|| 임병헌 || 이진훈 || 이태훈 || 김문오 ||
||<-5> * 권한대행. ||
||<-5> 민선 1기 / 민선 2기 / 민선 3기 / 민선 4기 / 민선 5기 / 민선 7기 / 민선 8기 ||



파일:바른미래당 흰색 로고.svg

바른미래당
민선 6기 기초자치단체장
||




파일:국민의힘 흰색 아이콘.svg

||
[ 펼치기 · 접기 ]


파일:미래통합당 흰색 아이콘.svg [[파일:미래통합당 흰색 로고타입.svg의 계파 분류




파일:국민의힘 흰색 아이콘.svg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파일:1px 투명.svg 계파 분류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10 02:41:15에 나무위키 강대식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현 대구광역시 동구 안심동[2] 비슷한 사례로는 대구 서구 국회의원인 김상훈 의원이 있다. 본인 출생지에서만 계속 거주했고, 두 명 모두 친유로 분류된다.[3] 비슷한 인물이 부산 중구·영도구 국회의원인 황보승희 의원이다. 황보승희 의원도 기초의원, 광역의원을 거쳐 국회의원이 되었고, 김형오, 김무성과 같이 호흡을 맞추었던 인물로 김형오계, 친무로 분류된다.[4] 피해자와 잘 합의한 것이 재판에서 양형을 낮게 받은 원인이라고 보면 된다.[5] 당시 경선에서 맞붙었던 상대가 정해용대구광역시 경제부시장(당시 대구시의원)이다.[6] 유승민과 경북고 동기인 점도 있고, 바른미래당 당시 대구시당 공동위원장까지 했으며 바른미래당에서 탈당하기 전까지 지역 언론에서 유승민의 복심으로 불렸다. 자유한국당 복당도 이명박 구속으로 인한 유승민이 받을 부담을 덜 목적과 유승민의 기반과 본인의 기반을 다지기 위한 것이 목적이었다.[7] 당시 엑스코선[8] 금호워터폴리스 진입도로 교량이 계획되어 있다.[9] 동호대교동작대교 같은 방식을 의미하는 것으로 보인다.[10] 김정재, 임이자와 같이 대경권 내 대표적인 독신이자 미혼 국회의원이다.[11] 국민의당과 신설 합당[12] 자유한국당, 미래를향한전진4.0과 신설 합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