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덤프버전 :

편안 안
부수
나머지 획수
, 3획
총 획수
6획
중학교
-
일본어 음독
アン
일본어 훈독
やす-い, いずく-んぞ, やす-んじる
-
표준 중국어
ān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1. 개요
2. 상세
3. 용례
4. 유의자
5. 모양이 비슷한 한자
6. 여담



1. 개요[편집]


安은 편안 안이라는 한자로, 편안을 뜻한다. 그래서 편안할 안이라고도 한다.


2. 상세[편집]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한국어편안
중국어표준어ān
광동어on1
객가어ôn
민북어úing
민동어ăng / ĕng[1]
민남어an[文] / oaⁿ[白]
오어oe (T1)
일본어음독アン
훈독やす-い, いずく-んぞ,
やす-まる, やす-らう, やす-んじる
베트남어an / yên
둥간어нан (nan)

유니코드에는 5B89에 배당되어 있다.


획순

을 뜻하는 (집 면)과 여자를 뜻하는 (여자 녀)가 합쳐진 회의자로, '여자가 집에 있는 모양' → '편안'이 되어 지금의 뜻을 가지게 되었다.

일반적으로는 위의 뜻을 가지지만 한문에서는 왕왕 의문사로 쓰이며 이 때는 '어찌'의 뜻을 가진다. 하(何)와 용법이 같다.


3. 용례[편집]



3.1. 단어[편집]





3.2. 고사성어/숙어[편집]


  • 보국안민(輔國安民)
  • 안거낙업(安居樂業)
  • 안빈낙도(安貧樂道)
  • 일로평안(一路平安)
  • 좌불안석(坐不安席)


3.3. 인명[편집]







3.4. 지명[편집]



3.5. 기타[편집]



3.6. 중국어[편집]


  • 安 [ān]
    • 명) 안부
    • 명) 안전
예) 公安 [gōngān]: 공안
  • 형) 안정되다, 편안하다
    • 예) 平安 [píngān]: 평안하다, 무사하다
  • 동) 위로하다, 안정시키다
    • 예) 安慰 [ānwèi]: 위로하다
  • 동) 자리잡다
    • 예) 安插 [ānchā]: 안착시키다
  • 동) 설치하다
    • 예) 安门窗 [ān ménchuāng]: 문과 창을 설치하다
  • 동) 붙이다
    • 예) 安绰号 [ān chuòhào]: 별명을 붙이다
  • 동) (부정적인 생각을) 품다
    • 예) 安心 [ānxīn]: 속셈을 품다[2]
  • 동) 심다
    • 예) 安花生 [ān huāshēng]: 땅콩을 심다
  • 양) 암페어
  • 양) 아르

4. 유의자[편집]


  • (편안할 강)
  • (편안할 녕)
  • (편안할 온)
  • (편안할 일)
  • (편안할 정)
  • 便(편할 편/똥오줌 변)


5. 모양이 비슷한 한자[편집]


  • (성씨 강)
  • (춤출 사)
  • (요긴할 요)
  • (맡길 위)
  • 姿(모양 자)
  • (사랑할 폐)
  • (고기썩을 알)


6. 여담[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07 16:13:46에 나무위키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속독[文] 문독[白] 백독[2] 안심하다는 뜻도 되지만 문맥에 따라 이러한 뜻도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