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조풍월(음양사)

덤프버전 : (♥ 0)

## 제목 배경색 틀
## 제목 크기 틀
## 제목 내용 틀
음양사 식신 목록
등급, 출시일 순서로 정렬함.
  [ SSR등급 ]   




파일:음양사_SSR등급.png
화조풍월
花鳥風月 / 花鸟卷 / Hana
파일:SSR화조풍월_기본.png파일:SSR화조풍월_각성.png
기본 (구 모델링)각성 (구 모델링)
CV: 하야미 사오리 / 박리나
공격체력방어력속도치명타
D(100) → C(2305)S(1216) → S(14127)C(61) → B(397)B(102) → S(112)B(5%) → B(5%)
각성 시 추가효과한국 서버 출시일
스킬 추가 [화경]2017년 9월 14일

1. 개요
2. 스킬
2.1. 귀조
2.2. 화경
2.3. 화조상문
3. 성능
4. 기타
5. 스킨
6. 대사
7. 스토리
7.1. 일
7.2. 이
7.3. 삼
7.4. 식신 소개 영상
8.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소문에 따르면 화조권은 어떤 천재 화가가 일생의 심혈을 기울여 완성시켰다고 한다.

그림을 완성한 후 화가는 작업실에 틀어박혀 그림과 함께 지냈다.

그러나 그림은 그림일 뿐, 소녀가 화가에게 응답하는 일은 없었다.

마음 속 깊이 원한을 간직한 채로 화가는 우울한 죽음을 맞이했다.

겨우 그림이 영기를 얻어 요괴로 변했을 때 화가는 이미 먼지가 되어 있었다고 한다.


모바일 게임 음양사에 등장하는 SSR급 식신. 황지아웨이가 디자인했다.

2. 스킬[편집]




2.1. 귀조[편집]


파일:화조풍월_스킬1.png돌아오거라.
--
주변의 새를 불러 대상을 공격하게 하고, 보유한 새의 수에 따라 공격 횟수를 결정해 매번 공격력 40%의 피해를 입힘과 동시에 50%의 확률로 HP가 가장 낮은 아군의 HP를 최대 HP 10%만큼 회복시킵니다. 턴 시작 시 또는 새가 소멸할 시 다시 새 1마리를 소환하며, 최대 2마리까지 소환할 수 있습니다. 화조풍월이 반격에 성공하면 새 1마리가 사라집니다.
Lv.2HP 회복 확률 60%로 증가
Lv.3HP 회복 확률 70%로 증가
Lv.4HP 회복 확률 80%로 증가
Lv.5새 최대 보유 수 3마리로 증가

2.2. 화경[편집]


파일:화조풍월_스킬2.png그림 속의 장소는, 마음 속의 풍경.
--
행동 종료 후 20%의 확률로 자신의 행동 게이지를 20% 증가시킵니다.
(유니크 효과) 자신 및 아군이 제어효과를 받았을 경우, 30%의 확률로 새 1마리를 소모해 해당 제어효과를 제거합니다.
* 패시브 스킬
--
유니크 효과
동일한 식신이 여러 명 있을 경우, 그중 한 명의 스킬만 효력을 발휘합니다.
제어효과
빙결, 수면, 혼란, 조롱[1], 침묵, 속박, 변형, 기절, 도발, 상급 빙결, 영박[2], 서리빙결[3], 구혼[4]은 제어효과에 속하며 마지막 7가지 효과는 무효화하거나 제거할 수 없습니다.
Lv.2발동 확률 25%로 증가
Lv.3행동 게이지 25%로 증가
Lv.4발동 확률 30%로 증가
Lv.5행동 게이지 30%로 증가

오오타케마루의 [무한 불검]을 이 패시브로 막을 수 있다.

2.3. 화조상문[편집]


파일:화조풍월_스킬3.png꽃과 새가 노래하니, 생기가 도는구나.
--
아군 전체의 HP를 최대 HP 8%만큼 회복시키며, 2턴간 향기를 부여하여 다음 2회 행동 전 각각 최대 HP 7%와 6%의 HP를 회복시킵니다.
* 도깨비불 3개 소모
--
향기
【버프, 인장】 행동 전 회복
Lv.2회복량 10%로 증가
Lv.3향기 강화 효과: 회복량 9%와 8%로 증가
Lv.4회복량 12%로 증가
Lv.5향기 강화 효과: 회복량 11%와 10%로 증가

3. 성능[편집]


반격 힐러 혹은 서브 딜러로 활약할 수 있는 힐러형 식신.

최대 4히트까지 나올 수 있는 평타와 평타의 피해량에 기반해 회복을 하는 메커니즘을 가진 식신이다. 평타는 최대 4마리까지의 새를 날려 피해를 주고 그 새가 체력이 가장 낮은 아군에게 돌아오면서 최대 80%의 확률로 회복을 해주는 방식인데 각각의 새는 체력이 낮은 아군을 우선해서 간다. 그래서 특정 식신이 체력이 많이 빠져있다면 집중적인 회복이 되고, 전체적으로 체력이 빠져 있다면 골고루 나눠 회복을 해주므로 오버힐 걱정은 하지 않아도 된다.

패시브 [화경]은 새를 소비해서 제어효과를 1회 막아주는데 비록 확률이긴 하지만 자신과 아군을 모두 보호하는데다 기절과 변형 같은 강한 디버프까지 막아주기 때문에 의미있는 능력이다. 주 스킬 [화조상문]은 즉시 회복과 지속 회복이 섞인 광역 회복이며 평타 회복만으로는 커버할 수 없는 긴급한 상황에서 꽤 좋은 효율을 보여준다. 지속 회복 버프가 유지되는 동안 다시 평타 회복을 섞어주면 빠른 속도로 아군을 회복해 나갈 수 있다.

화조풍월은 어떤 어혼을 착용하느냐에 따라 크게 두 가지 방법으로 사용할 수 있다. 해당 어혼은 쟁과 침녀.

쟁을 착용하면 발동할 때마다 평타 반격을 통해 체력이 낮은 아군을 회복해 줄 수 있으며 쟁의 특성상 수동적이긴 하지만 도깨비불이나 턴 소모 없는 공짜 회복이므로 대단히 효율적이다. 쟁 세팅은 오랫동안 버텨줄 수 있는 힐러로서의 역할이 더 중요하기 때문에 여기에 중점을 둔다면 체체체, 체체치 정도의 세팅을 할 수 있으며, 조금 더 적극적인 역할을 원한다면 속도를 챙겨주면 된다.

침녀를 착용하는 경우엔 치명타와 치명 피해를 챙겨 서브 딜러의 느낌으로 운용하게 되는데 침녀가 발동하면 자체 피해량도 쏠쏠한데다 높아진 공격력 덕분에 회복량까지 매우 높아지게 된다. 침녀 세팅의 경우는 턴을 빠르게 가져오면서 더 자주 피해를 주고 회복을 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속체치, 속공치 같은 세팅을 하게 된다. 만약 치피 세팅까지 할 수 있다면 무시 못할 피해량과 회복량을 보여줄 수 있다.

어떤 세팅이든 힐러가 필요한 PVE 컨텐츠에서는 꽤 높은 활약도를 보여준다. PVP에서는 누적되는 공격력 증가 버프 덕분에 장기전으로 가면 갈수록 화조풍월의 피해량과 회복량이 강해진다. 그래서 한 때는 국민 힐러라 불러도 무방할 정도로 많이 사용됐으나 시간이 흐름에 따라 더 복잡해지고 심화되는 메타 때문에 순수 힐러인 화조풍월보다는 더 다양한 옵션을 가진 히요리, 사쿠라 등에게 현재는 자리를 내주고 말았다. 물론 그렇다 해도 여전히 성능은 좋은데다 시라누이가 출시된 후에는 궁합이 좋아 여전히 사용 되고 있다.

어혼은 상술한대로 침녀, 쟁의 사용률이 높지만 지장상, 나무요괴, 진주, 태양소녀, 종령 등의 어혼도 상황에 따라 사용할 수 있다.


4. 기타[편집]


패치를 두 번 겪었는데 처음에는 평타가 지금과는 달리 한 번만 공격하고 끝이라 대부분 쟁을 착용하는 반격 힐러로만 사용하였다. 그러다 2018년 1월 11일에 1차 식신 밸런스 조정 업데이트를 하면서 평타가 5히트가 됐는데 이때부터 침녀를 착용하고 서브딜러로 사용하는 방식이 떠오르면서 전성기를 맞게 된다. 다만 지나치게 강력한 성능 때문에 3개월 후 다시 패치너프가 되어 새의 최대 보유량이 현재처럼 4마리가 되었다.

화조풍월이라는 단어와 피그말리온의 설화에서 모티브를 따온 식신으로 보인다. 이쪽은 피규어가 아니라 그림이긴 하지만.

글로벌 서버에서는 Hana라는 이름으로 출시되었다. 화조풍월 네 글자 중 花 하나만 반영된 이름이라 이래저래 까이는 중.

5. 스킨[편집]


파일:SSR화조풍월_스킨1.png파일:SSR화조풍월_스킨2.png
고요한 연꽃 (한지하향, 闲池荷香)순수한 눈꽃 (빙기설모, 冰肌雪眸)
획득방법: 스킨 상점 구입획득방법: 스킨 상점 구입
파일:SSR화조풍월_스킨3.png파일:화조스킨4.webp
화조홍장 (花照红妆)황우선음 (凰羽仙音)
획득방법: 스킨 상점 구입획득방법: 화합전 이벤트

황우선음은 29번째 화합전 스킨이다.

[ 화합전 이벤트 스킨 (탈리스만 패스) ]
음양사 화합전 스킨 (탈리스만 패스) 출시일 순서로 정렬함.
[ 2020년 ]
1월2월3월
파일:일목련화합전.png파일:멘레이키화합전.jpg파일:시라누이화합전.jpg
일목련
CN : 2020년 1월 20일 ~ 2월 19일
TW/JP/GL : 2020년 2월 12일 ~ 3월 11일
멘레이키
CN : 2020년 2월 19일 ~ 3월 18일
TW/JP/GL : 2020년 3월 11일 ~ 4월 8일
시라누이
CN : 2020년 3월 18일 ~ 4월 15일
TW/JP/GL : 2020년 4월 8일 ~ 5월 13일
4월5월6월
파일:슾텐구화합전.jpg파일:흑무상화합전.jpg파일:오오타케마루화합전.jpg
소년 다이텐구
CN : 2020년 4월 15일 ~ 5월 13일
TW/JP/GL : 2020년 5월 13일 ~ 6월 10일
흑무상
CN : 2020년 5월 13일 ~ 6월 10일
TW/JP/GL : 2020년 6월 10일 ~ 7월 8일
오오타케마루
CN : 2020년 6월 10일 ~ 7월 8일
TW/JP/GL : 2020년 7월 8일 ~ 8월 5일
7월8월9월
파일:매요화합전.png파일:백장주화합전.jpg파일:슾요도화합전.jpg
매요
CN : 2020년 7월 8일 ~ 8월 5일
TW/JP/GL : 2020년 8월 5일 ~ 9월 2일
백장주
CN : 2020년 8월 5일 ~ 9월 2일
TW/JP/GL : 2020년 9월 2일 ~ 9월 30일
적영 요도히메
CN : 2020년 9월 9일 ~ 10월 7일
TW/JP/GL : 2020년 9월 30일 ~ 10월 28일
10월11월12월
파일:쿠지라화합전.jpg파일:엔무스비화합전.png파일:운외경화합전.jpg
쿠지라
CN : 2020년 10월 7일 ~ 11월 4일
TW/JP/GL : 2020년 10월 28일 ~ 11월 25일
엔무스비노카미
CN : 2020년 11월 4일 ~ 12월 2일
TW/JP/GL : 2020년 11월 25일 ~ 12월 30일
운외경
CN : 2020년 12월 2일 ~ 12월 30일
TW/JP/GL : 2020년 12월 30일 ~ 2021년 1월 27일
[ 2021년 ]
1월2월3월
파일:타키야샤히메화합전.jpg파일:키도마루화합전.jpg파일:슾킨교화합전.jpg
타키야샤히메
CN : 2020년 12월 30일 ~ 2021년 2월 3일
TW/JP/GL : 2021년 1월 27일 ~ 3월 3일
키도마루
CN : 2021년 2월 3일 ~ 3월 3일
TW/JP/GL : 2021년 3월 3일 ~ 3월 31일
영해 킨교히메
CN : 2021년 3월 10일 ~ 4월 7일
TW/JP/GL : 2021년 3월 31일 ~ 4월 28일
4월5월6월
파일:긴나라화합전.jpg파일:요도히메화합전.jpg파일:카구야히메화합전.jpg
긴나라
CN : 2021년 4월 7일 ~ 5월 7일
TW/JP/GL : 2021년 4월 28일 ~ 5월 26일
요도히메
CN : 2021년 5월 7일 ~ 6월 2일
TW/JP/GL : 2021년 5월 26일 ~ 6월 30일
카구야히메
CN : 2021년 6월 4일 ~ 7월 7일
TW/JP/GL : 2021년 6월 30일 ~ 8월 4일
7월8월9월
파일:슾오니화합전.jpg파일:슾키요화합전.jpg파일:센히메화합전.jpg
천검 오니키리
CN : 2021년 7월 8일 ~ 8월 5일
TW/JP/GL : 2021년 8월 4일 ~ 9월 1일
박골 키요히메
CN : 2021년 8월 4일 ~ 9월 1일
TW/JP/GL : 2021년 9월 1일 ~ 10월 8일
센히메
CN : 2021년 9월 1일 ~ 10월 6일
TW/JP/GL : 2021년 10월 8일 ~ 11월 3일
10월11월12월
파일:설동자화합전.jpg파일:슾퍈화화합전.jpg파일:슾화조화합전.jpg
설동자
CN : 2021년 10월 6일 ~ 11월 3일
TW/JP/GL : 2021년 11월 3일 ~ 12월 1일
야명 피안화
CN : 2021년 11월 3일 ~ 12월 8일
TW/JP/GL : 2021년 12월 1일 ~ 2022년 1월 5일
회세 화조풍월
CN : 2021년 12월 8일 ~ 2022년 1월 5일
TW/JP/GL : 2022년 1월 5일 ~ 2월 2일
[ 2022년 ]
1월2월3월
파일:스사비화합전.jpg파일:스즈카고젠화합전.jpg파일:슾목련화합전.jpg
스사비
CN : 2022년 1월 5일 ~ 2월 2일
TW/JP/GL : 2022년 2월 2일 ~ 3월 2일
스즈카고젠
CN : 2022년 2월 2일 ~ 3월 2일
TW/JP/GL : 2022년 3월 2일 ~ 4월 6일
창풍 일목련
CN : 2022년 3월 2일 ~ 4월 6일
TW/JP/GL : 2022년 4월 6일 ~ 5월 6일
4월5월6월
파일:슾카구야화합전.jpg파일:스즈히코히메화합전.jpg파일:화조풍월화합전.jpg
이나바 카구야
CN : 2022년 4월 6일 ~ 5월 4일
TW/JP/GL : 2022년 5월 6일 ~ 6월 1일
스즈히코히메
CN : 2022년 5월 5일 ~ 6월 1일
TW/JP/GL : 2022년 6월 1일 ~ 7월 6일
화조풍월
CN : 2022년 6월 8일 ~ 7월 6일
TW/JP/GL : 2022년 7월 6일 ~ 8월 3일
7월8월9월
파일:불견악화합전.jpg파일:양면불화합전.jpg파일:슾타케화합전.jpg
불견악
CN : 2022년 7월 6일 ~ 8월 3일
TW/JP/GL : 2022년 8월 3일 ~ 9월 7일
양면불
CN : 2022년 8월 3일 ~ 9월 7일
TW/JP/GL : 2022년 9월 7일 ~ 10월 8일
녹명 오오타케마루
CN : 2022년 9월 7일 ~ 10월 5일
TW/JP/GL : 2022년 10월 8일 ~ 11월 2일
10월11월12월
파일:슾획조화합전.jpg파일:슾산풍화합전.jpg파일:슾행등화합전.jpg
대소 고획조
CN : 2022년 10월 5일 ~ 11월 2일
TW/JP/GL : 2022년 11월 2일 ~ 12월 7일
초령 야마카제
CN : 2022년 11월 2일 ~ 12월 8일
TW/JP/GL : 2022년 12월 7일 ~ 2023년 1월 4일
부세 청행등
CN : 2022년 12월 8일 ~ 2023년 1월 4일
TW/JP/GL : 2023년 1월 4일 ~ 2월 1일
[ 2023년 ]
1월2월3월
파일:자목화합전.jpg파일:슾토끼화합전.jpg파일:슾사비화합전.jpg
자목동자
CN : 2023년 1월 4일 ~ 2월 1일
TW/JP/GL : 2023년 2월 1일 ~ 3월 8일
몽심 산토끼
CN : 2023년 2월 1일 ~ 3월 1일
TW/JP/GL : 2023년 3월 8일 ~ 4월 5일
신계 스사비
CN : 2023년 3월 1일 ~ 3월 31일
TW/JP/GL : 2023년 4월 5일 ~ 5월 1일
4월5월6월
파일:심향행화합전.jpg파일:심수모미지화합전.png파일:귀왕주천동자화합전.png
심향행
CN : 2023년 3월 31일 ~ 4월 30일
TW/JP/GL : 2023년 5월 1일 ~ 5월 31일
심수 모미지
CN : 2023년 5월 1일 ~ 5월 31일
TW/JP/GL : 2023년 6월 1일 ~ 6월 30일
귀왕 주천동자 #[1]
CN : 2023년 6월 1일 ~ 6월 30일
TW/JP/GL : 2023년 7월 1일 ~ 7월 31일
7월8월9월
파일:노도아라카와화합전.jpg파일:청행등화합전.jpg파일:신천타마모화합전.jpg
노도 아라카와
CN : 2023년 7월 1일 ~ 7월 31일
TW/JP/GL : 2023년 8월 1일 ~ 8월 31일
청행등
CN : 2023년 8월 1일 ~ 8월 31일
TW/JP/GL : 2023년 9월 1일 ~ 9월 30일
신천 타마모
CN : 2023년 9월 1일 ~ 9월 30일
TW/JP/GL : 2023년 10월 1일 ~ 10월 31일
10월11월12월
언령
CN : 2023년 10월 1일 ~ 10월 31일
TW/JP/GL : 2023년 11월 1일 ~ 11월 30일
반사
CN : 2023년 11월 1일 ~ 11월 30일
TW/JP/GL : 2023년 12월 1일 ~ 12월 31일
-
CN : 2023년 -월 -일 ~ -월 -일
TW/JP/GL : 2023년 -월 -일 ~ -월 -일








6. 대사[편집]


상황대사
소환 영상저를 이 곳에 부르신 분은 당신인가요?
소환저를 이 곳에 부르신 분은 당신인가요?
식신록 터치주인님, 안녕하신가요?[5]
평타날아라, 나의 새들아.
스킬잠시 쉬도록 하세요.
이곳은 저에게 맡기세요. 걱정하지 마세요.
피격윽, 정말 난폭하군요.
사망

7. 스토리[편집]




7.1. 일[편집]


그림 속의 소녀를 감싸고 있는 것은, 아름다운 화조의 풍경. 그 비단 같은 머리, 앵두 같은 입술, 초롱초롱한 눈망울. 마치 보는 이를 유혹하는 듯하다.
잠시 쳐다보고 있으면, 자기도 모르게 황홀경에 빠져, 몸이 구름 속에 들어온 듯, 순식간에 그림 속으로 들어온다. 새들이 노래하고 꽃은 향기롭다. 산도 하늘도 봄기운이 가득하다.
맑은 계곡물은 졸졸 흐르고, 강에는 물고기가 한가롭게 노닌다. 이 얼마나 아름다운 광경인가.
스토리 개방 조건: 화조풍월이 대전에서 30회 승리
보상: 금화 5,000

7.2. 이[편집]


무엇보다도 눈에 띄는 것은, 바로 그 소녀다. 강가를 걸으며 노래하는 소녀. 아름다운 그 소리에, 새들도 감동하고 꽃들도 싱그럽게 피어난다.
마치 이 아름다운 세계와 하나가 된 것만 같다. 시선을 느낀 소녀가 살짝 이쪽을 보며 부끄러운 듯 미소 짓는다. 그저 그것만으로 마음을 빼앗길 찰나, 정신을 차려보면 이미 노래소리는 없고, 소녀의 모습은 보이지 않는다. 아쉬운 마음으로 강을 따라 기로에 오른다. 산을 넘으면 어느새 마음은 현세로 돌아간다.
스토리 개방 조건: 화조풍월 30레벨 달성
보상: 화조풍월 조각 10

7.3. 삼[편집]


그림 속의 소녀와 다시 눈이 마주친다. 소녀는 마치 아무일 없었다는 듯, 슬며시 미소를 띤다.
누군가 말하기를, 환상은 마음이 만들어낸 것이라고 한다. 고요함을 좋아하는 이는 대나무 숲을 보며, 두려움을 품은 자는 악귀를 만나는 법.
환상이 만들어낸 삼라만상은, 마음이 만들어낸 거짓에 지나지 않는다.
스토리 개방 조건: 화조풍월 스킬 8회 레벨업
보상: 곡옥 10

7.4. 식신 소개 영상[편집]




8. 관련 문서[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6 23:11:54에 나무위키 화조풍월(음양사)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갑옷무사 스킬[2] 영악(카게와니) 스킬[3] 선빙 설녀 스킬[4] 혜명등 스킬[5] 대사는 같은데 톤이 다른 두 가지 버전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