녹명 오오타케마루

덤프버전 : (♥ 0)

## 제목 배경색 틀
## 제목 크기 틀
## 제목 내용 틀
음양사 식신 목록
등급, 출시일 순서로 정렬함.
  [ SSR등급 ]   




파일:음양사_SP등급.png
녹명 오오타케마루
麓銘大嶽丸 / 麓铭大岳丸 / Monumental Otakemaru
파일:SP녹명 오오타케마루.png
기본
CV: 오카모토 노부히코
공격체력방어력속도치명타
S(159) → S(3350)A(1067) → A(11393)A(75) → A(441)S(115) → S(115)S(10%) → S(10%)
각성 시 추가효과서버 출시일
각성하지 않음CN : 2020년 9월 23일
TW/JP/GL : 2020년 10월 21일

1. 개요
2. 스킬
2.1. 녹영·식 (Mountain's Shadow: Erode, 麓影・蝕)
2.2. 명해의 주인 (Master of the Mountain, 銘海の主)
2.3. 단말무명 (Forgotten End, 断末無銘)
3. 성능
4. 기타
5. 스킨
6. 대사
7. 스토리
7.1. 일
7.2. 이
7.3. 삼
7.4. 식신 소개 영상
8. 두루마리
9.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고향으로 돌아온 젊은 당주는 스즈카야마와 하나가 되어 떠도는 악령을 제압하고 나쁜 기운을 씻어냈다.

설령 고통을 겪더라도 포기하지 않을 것이다.

스즈카야마 구석구석, 그 곳에 새겨진 추억은 그가 버릴 수 없는 보물이다.

그는 이 섬에서 기억되고 바다에서 전해지는 전설이 되었다.


모바일 게임 음양사에 등장하는 SP급 식신.

황폐해진 스즈카야마를 구하기 위해 자신을 던진 오오타케마루의 모습을 구현.


2. 스킬[편집]




2.1. 녹영·식 (Mountain's Shadow: Erode, 麓影・蝕)[편집]


파일:녹명 오오타케마루_스킬1.png물거품이 되어라.
-
검기를 뽑아 휘둘러 대상에게 공격력 100%의 피해를 입히고 녹식을 부여합니다.
-
파일:습타케1-1.webp 녹식 (Mountain's Erosion, 麓蝕)
【디버프, 상태】 공격력 15%, 치유 효과 30% 감소하며 턴 종료 후 녹압으로 전환됩니다.
파일:습타케1-2.webp 녹압 (Mountain's Crush, 麓圧)
【디버프, 인장】 다음 행동 전까지 기절하며, 해당 기간 동안 속도 30% 감소합니다.
Lv.2피해 105%로 증가
Lv.3피해 110%로 증가
Lv.4피해 115%로 증가
Lv.5피해 125%로 증가


2.2. 명해의 주인 (Master of the Mountain, 銘海の主)[편집]


파일:녹명 오오타케마루_스킬2.png내가 있는 곳이 바로 스즈카야마다.
--
유니크 효과.
파일:습타케2-1.webp 혼을 지배하는 형태가 되어 2턴간 효과저항이 100% 증가하고, 다른 아군이 스킬을 사용하면 녹택 1개를 획득합니다.
혼을 지배하는 형태에서 소환물이 아닌 3명 이상의 유닛이 사망하면 뼈로 돌아온 형태가 되어 자신의 모든 버프와 디버프 효과를 제거함과 동시에 속도 100 증가, 받은 피해가 50% 감소하고 모든 디버프를 면역합니다. 자신의 턴 시작 시, 자동으로 역혼진단을 시전합니다.
* 도깨비불을 소모하지 않음.
-
파일:습타케2-2.webp 녹택 (Mountain's Boom, 麓沢)
【버프, 인장】 최대 4개이며, 1개당 단말무명으로 소모하는 도깨비불이 1개 감소됩니다. 단말무명 사용 시 소비됩니다.
유니크 효과
동일한 식신이 여러 명 있을 경우, 그중 한 명의 스킬만 효력을 발휘합니다.
Lv.2혼을 지배하는 형태에서 자신이 받은 단일 피해 50% 감소
Lv.3혼을 지배하는 형태에서 소환물이 아닌 아군이 사망하면 최대 HP 30%만큼 회복
Lv.4혼을 지배하는 형태가 3턴간 지속
Lv.5기선 : 명해의 주인 시전

파일:녹명 오오타케마루_스킬21.png역혼진단 (Obliterate Evils, 逆魂尽断)
-
악령을 부추겨 5회 공격하게 하여 랜덤으로 대상에게 공격력 240%의 피해를 입힙니다.


2.3. 단말무명 (Forgotten End, 断末無銘)[편집]


파일:녹명 오오타케마루_스킬3.png스즈카야마의 적은 소리 없이 사라질 것이다!
--
돌파도를 베어내어 적군 전체를 공격하여 공격력 180%의 피해를 입힙니다. 파일:습타케2-1.webp 혼을 지배하는 형태에서는 동시에 적군 전체에 파일:습타케1-1.webp 녹식을 부여합니다.
* 도깨비불 4개 소모
-
파일:습타케1-1.webp 녹식 (Mountain's Erosion, 麓蝕)
【디버프, 상태】 공격력 15%, 치유 효과 30% 감소하며 턴 종료 후 녹압으로 전환됩니다.
파일:습타케1-2.webp 녹압 (Mountain's Crush, 麓圧)
【디버프, 인장】 다음 행동 전까지 기절하며, 해당 기간 동안 속도 30% 감소합니다.
Lv.2피해 200%로 증가
Lv.3피해 220%로 증가
Lv.4피해 240%로 증가
Lv.5피해를 입히기 전, 적 전체의 버프 1개 제거


3. 성능[편집]


비던 치트키 중 의 하나. 거지같은 몇몇 비던[1]을 제외하고는 이전에 나온 거의 모든 비던을 무난하게 무쌍을 찍을 수 있다. 이때 어혼은 박쥐요괴를 사용한다.

풀 스작시 기선으로 2스(명해의 주인)을 사용하기 때문에 어던이나 타임어택 던전에서는 사용하지 않는다.

2스(명해의주인) 보유 중 적,아를 구분하지 않고 3마리 이상 사망시 떠있는 형태(혼을 지배하는 형태)로 변신하는데, 변신시 현재 자신이 보유한 모든 디버프 제거/속도100 증가/추후 모든 디버프 면역효과 등 귀찮은 효과를 보유하기 때문에 대전이나 결돌에서 만날시 빠르게 조지는 편이 정신건강에 이롭다. (이때 제거되는 디버프는 해제불가한 변신/기절/도발/상급빙결을 모두 제거한다. 오타케마루의 추방은 제거할 수 없다.)

3스(단말무명)은 변신 전에만 사용할 수 있는데, 녹명 오오타케마루의 턴이 오기 전 식신의 불 사용 갯수에 따라 소모하는 불 갯수가 달라진다. 예를 들어 전 식신이 3불을 사용했다면 0불에 사용할 수 있다. 2불을 사용했다면 1불에 사용.
변신 후에 3스는 역혼진단으로 변경되어 불소모 없이 랜덤 5연타를 날리는데, 이 상태가 되면 이 식신을 조정할 수 없게 되니 뭔가 5방을 때리는 토템처럼 쓰면 된다. 이를 이용해 6성 치피습타쿠, 2성식신 2기를 채용한 변신 덱을 사용해 볼 수도 있다.

어혼은 공공치(피) 셋팅으로 보통 파세, 박쥐요괴오보로를 사용한다. 귀왕이나 레이드에서 사용할 거라면 광골해골도 나쁘지 않다.


4. 기타[편집]


녹명 오오타케마루의 麓銘은 산기슭 녹, 새길 명 을 사용.

프로필
넷이즈마이너갤러리


5. 스킨[편집]


파일:습타케스킨1.webp
단해고장
断海故話 / 断海故章 / Realm Breaker
획득방법: 화합전 이벤트

파일:습타케스킨2.webp파일:습타케스킨3.webp
환생형태(재설계 중)
획득방법: -획득방법: 미공개 상점 스킨

단해고장은 32번째 화합전 스킨이다.

[ 화합전 이벤트 스킨 (탈리스만 패스) ]
음양사 화합전 스킨 (탈리스만 패스) 출시일 순서로 정렬함.
[ 2020년 ]
1월2월3월
파일:일목련화합전.png파일:멘레이키화합전.jpg파일:시라누이화합전.jpg
일목련
CN : 2020년 1월 20일 ~ 2월 19일
TW/JP/GL : 2020년 2월 12일 ~ 3월 11일
멘레이키
CN : 2020년 2월 19일 ~ 3월 18일
TW/JP/GL : 2020년 3월 11일 ~ 4월 8일
시라누이
CN : 2020년 3월 18일 ~ 4월 15일
TW/JP/GL : 2020년 4월 8일 ~ 5월 13일
4월5월6월
파일:슾텐구화합전.jpg파일:흑무상화합전.jpg파일:오오타케마루화합전.jpg
소년 다이텐구
CN : 2020년 4월 15일 ~ 5월 13일
TW/JP/GL : 2020년 5월 13일 ~ 6월 10일
흑무상
CN : 2020년 5월 13일 ~ 6월 10일
TW/JP/GL : 2020년 6월 10일 ~ 7월 8일
오오타케마루
CN : 2020년 6월 10일 ~ 7월 8일
TW/JP/GL : 2020년 7월 8일 ~ 8월 5일
7월8월9월
파일:매요화합전.png파일:백장주화합전.jpg파일:슾요도화합전.jpg
매요
CN : 2020년 7월 8일 ~ 8월 5일
TW/JP/GL : 2020년 8월 5일 ~ 9월 2일
백장주
CN : 2020년 8월 5일 ~ 9월 2일
TW/JP/GL : 2020년 9월 2일 ~ 9월 30일
적영 요도히메
CN : 2020년 9월 9일 ~ 10월 7일
TW/JP/GL : 2020년 9월 30일 ~ 10월 28일
10월11월12월
파일:쿠지라화합전.jpg파일:엔무스비화합전.png파일:운외경화합전.jpg
쿠지라
CN : 2020년 10월 7일 ~ 11월 4일
TW/JP/GL : 2020년 10월 28일 ~ 11월 25일
엔무스비노카미
CN : 2020년 11월 4일 ~ 12월 2일
TW/JP/GL : 2020년 11월 25일 ~ 12월 30일
운외경
CN : 2020년 12월 2일 ~ 12월 30일
TW/JP/GL : 2020년 12월 30일 ~ 2021년 1월 27일
[ 2021년 ]
1월2월3월
파일:타키야샤히메화합전.jpg파일:키도마루화합전.jpg파일:슾킨교화합전.jpg
타키야샤히메
CN : 2020년 12월 30일 ~ 2021년 2월 3일
TW/JP/GL : 2021년 1월 27일 ~ 3월 3일
키도마루
CN : 2021년 2월 3일 ~ 3월 3일
TW/JP/GL : 2021년 3월 3일 ~ 3월 31일
영해 킨교히메
CN : 2021년 3월 10일 ~ 4월 7일
TW/JP/GL : 2021년 3월 31일 ~ 4월 28일
4월5월6월
파일:긴나라화합전.jpg파일:요도히메화합전.jpg파일:카구야히메화합전.jpg
긴나라
CN : 2021년 4월 7일 ~ 5월 7일
TW/JP/GL : 2021년 4월 28일 ~ 5월 26일
요도히메
CN : 2021년 5월 7일 ~ 6월 2일
TW/JP/GL : 2021년 5월 26일 ~ 6월 30일
카구야히메
CN : 2021년 6월 4일 ~ 7월 7일
TW/JP/GL : 2021년 6월 30일 ~ 8월 4일
7월8월9월
파일:슾오니화합전.jpg파일:슾키요화합전.jpg파일:센히메화합전.jpg
천검 오니키리
CN : 2021년 7월 8일 ~ 8월 5일
TW/JP/GL : 2021년 8월 4일 ~ 9월 1일
박골 키요히메
CN : 2021년 8월 4일 ~ 9월 1일
TW/JP/GL : 2021년 9월 1일 ~ 10월 8일
센히메
CN : 2021년 9월 1일 ~ 10월 6일
TW/JP/GL : 2021년 10월 8일 ~ 11월 3일
10월11월12월
파일:설동자화합전.jpg파일:슾퍈화화합전.jpg파일:슾화조화합전.jpg
설동자
CN : 2021년 10월 6일 ~ 11월 3일
TW/JP/GL : 2021년 11월 3일 ~ 12월 1일
야명 피안화
CN : 2021년 11월 3일 ~ 12월 8일
TW/JP/GL : 2021년 12월 1일 ~ 2022년 1월 5일
회세 화조풍월
CN : 2021년 12월 8일 ~ 2022년 1월 5일
TW/JP/GL : 2022년 1월 5일 ~ 2월 2일
[ 2022년 ]
1월2월3월
파일:스사비화합전.jpg파일:스즈카고젠화합전.jpg파일:슾목련화합전.jpg
스사비
CN : 2022년 1월 5일 ~ 2월 2일
TW/JP/GL : 2022년 2월 2일 ~ 3월 2일
스즈카고젠
CN : 2022년 2월 2일 ~ 3월 2일
TW/JP/GL : 2022년 3월 2일 ~ 4월 6일
창풍 일목련
CN : 2022년 3월 2일 ~ 4월 6일
TW/JP/GL : 2022년 4월 6일 ~ 5월 6일
4월5월6월
파일:슾카구야화합전.jpg파일:스즈히코히메화합전.jpg파일:화조풍월화합전.jpg
이나바 카구야
CN : 2022년 4월 6일 ~ 5월 4일
TW/JP/GL : 2022년 5월 6일 ~ 6월 1일
스즈히코히메
CN : 2022년 5월 5일 ~ 6월 1일
TW/JP/GL : 2022년 6월 1일 ~ 7월 6일
화조풍월
CN : 2022년 6월 8일 ~ 7월 6일
TW/JP/GL : 2022년 7월 6일 ~ 8월 3일
7월8월9월
파일:불견악화합전.jpg파일:양면불화합전.jpg파일:슾타케화합전.jpg
불견악
CN : 2022년 7월 6일 ~ 8월 3일
TW/JP/GL : 2022년 8월 3일 ~ 9월 7일
양면불
CN : 2022년 8월 3일 ~ 9월 7일
TW/JP/GL : 2022년 9월 7일 ~ 10월 8일
녹명 오오타케마루
CN : 2022년 9월 7일 ~ 10월 5일
TW/JP/GL : 2022년 10월 8일 ~ 11월 2일
10월11월12월
파일:슾획조화합전.jpg파일:슾산풍화합전.jpg파일:슾행등화합전.jpg
대소 고획조
CN : 2022년 10월 5일 ~ 11월 2일
TW/JP/GL : 2022년 11월 2일 ~ 12월 7일
초령 야마카제
CN : 2022년 11월 2일 ~ 12월 8일
TW/JP/GL : 2022년 12월 7일 ~ 2023년 1월 4일
부세 청행등
CN : 2022년 12월 8일 ~ 2023년 1월 4일
TW/JP/GL : 2023년 1월 4일 ~ 2월 1일
[ 2023년 ]
1월2월3월
파일:자목화합전.jpg파일:슾토끼화합전.jpg파일:슾사비화합전.jpg
자목동자
CN : 2023년 1월 4일 ~ 2월 1일
TW/JP/GL : 2023년 2월 1일 ~ 3월 8일
몽심 산토끼
CN : 2023년 2월 1일 ~ 3월 1일
TW/JP/GL : 2023년 3월 8일 ~ 4월 5일
신계 스사비
CN : 2023년 3월 1일 ~ 3월 31일
TW/JP/GL : 2023년 4월 5일 ~ 5월 1일
4월5월6월
파일:심향행화합전.jpg파일:심수모미지화합전.png파일:귀왕주천동자화합전.png
심향행
CN : 2023년 3월 31일 ~ 4월 30일
TW/JP/GL : 2023년 5월 1일 ~ 5월 31일
심수 모미지
CN : 2023년 5월 1일 ~ 5월 31일
TW/JP/GL : 2023년 6월 1일 ~ 6월 30일
귀왕 주천동자 #[1]
CN : 2023년 6월 1일 ~ 6월 30일
TW/JP/GL : 2023년 7월 1일 ~ 7월 31일
7월8월9월
파일:노도아라카와화합전.jpg파일:청행등화합전.jpg파일:신천타마모화합전.jpg
노도 아라카와
CN : 2023년 7월 1일 ~ 7월 31일
TW/JP/GL : 2023년 8월 1일 ~ 8월 31일
청행등
CN : 2023년 8월 1일 ~ 8월 31일
TW/JP/GL : 2023년 9월 1일 ~ 9월 30일
신천 타마모
CN : 2023년 9월 1일 ~ 9월 30일
TW/JP/GL : 2023년 10월 1일 ~ 10월 31일
10월11월12월
언령
CN : 2023년 10월 1일 ~ 10월 31일
TW/JP/GL : 2023년 11월 1일 ~ 11월 30일
반사
CN : 2023년 11월 1일 ~ 11월 30일
TW/JP/GL : 2023년 12월 1일 ~ 12월 31일
-
CN : 2023년 -월 -일 ~ -월 -일
TW/JP/GL : 2023년 -월 -일 ~ -월 -일









6. 대사[편집]


상황대사
소환 영상이 몸을 비석으로 삼아, 스즈카야마의 모든 것을 지킨다!
소환스즈카야마? 아니.. 여기가 어디지?
반드시 이 죗값을 치르겠어.
식신록 터치(머리) 큭큭, 별거 아냐… 이 놈들이 내 영혼을 삼키려는 것 뿐이다.
(몸) 나는 절대로 포기하지 않는다! 비록 스즈카야마는 더는...
(다리) 이 '어둠'은 항상 나의 틈을 엿보고 있다.
평타영혼이 찢기는 고통엔 이미 익숙해졌다.
내가 죽더라도 반드시 스즈카야마로 돌아가거라.
이 집념의 잔재가 죽은 나에게 이 모습을 줬다.
목숨이 아깝다면 냉큼 꺼져라
스킬1어이, 어딜 보는 거냐?
바다의 물거품이 되어라!
스킬2이곳에 잠들어라! 영원히!
내가 스즈카야마를 지키는 방패다!
스킬3하하하하하, 죽어라!
스즈카야마의 분노를 느껴라!
바다는 마르고, 산은 무너지고...
피격끝이냐?
사망아직인가....

특정 식신 또는 음양사와 함께 팀을 이룰 때 발동하는 특수대사가 있다.

대상대사
스즈카오랜만이구나.. 정말로 오랜만이다.
오타케마루생각해보면 다 무의미한 일이었지.
카니히메너는 해맑은 미소가 가장 잘 어울려.
쿠지라내 대신 모두를 지켜라.
전갈녀더는 스스로를 힐난하지 마라.
아라카와우리에겐 각자 돌아갈 고향이 있지.
노도 아라카와언젠가 다시 만나지, 또 다른 수역에서.
킨교히메너의 미소는 아라카와의 보물이군.
영해 킨교히메바다는 네 편이다.
운외경네 녀석이 신인 이상, 네 운명에서 벗어날 수 없어.
오로치어둠 속에서 모든 것을 조정하던게 네 놈이었나.
부세 청행등죽음은 결말 따위가 아니다.
귀왕 주천동자네 녀석과는 언젠가 다시 승부하지.
야오비쿠니너는 조금 나와 닮았군


7. 스토리[편집]




7.1. 일[편집]


고요함과 어둠만이 퍼지고 있다.
그 책을 아기의 목소리가 침묵을 깨뜨리자, 셀 수 없을 정도의 노명이 날카로운 칼날처럼 밀려왔다.
나는 어둠 속에서 깨어난다. 주위에는 어둠만이 있고 아무것도 보이지 않는다.
흘러가는 채, 자신에게 질문한다. 나는 누구인지, 지금 어디에 있는지, 어디로 가는가? 과거의 기억이 찢어져 안개 흩어진다.
때때로 빛이 지나 곧바로 거품처럼 사라지고 다시 허무하게 녹는다.
「 아아…」
희미한 숨이 진동을 일으켰다.
그 순간 어둠이 물들기 시작하고 눈부신 광선이 굴절해 몸에 격통이 달린다.
어둠 속에 둥지던 목소리는 점차 멀어지고 대신 분명히 하나의 목소리가 울린다.
「오오타케마루!」
나는 죽음의 늪에서 깨어났다. 머리 위에는 스즈카산의 밤하늘이 펼쳐져 있었다.
스토리 개방 조건: 녹명 오오타케마루가 스즈카고젠을 출전시킨 유저와 협력하여 10회 승리
보상: 금화 5,000

7.2. 이[편집]


"지금 더 선인이라도 되고 싶은 것인가?"
깨어나서 나에게 얽힌 악령들의 번잡함이 멈추지 않았다.
나를, 자신을 속이는 겁쟁이와 멍하니 웃으며, 용서받지 못한 죄에서 등을 돌려, 황천으로 도망쳐 왔다고 매혹했다.
그대로다.
대전 이후 스즈카산는 젊음을 잃고 대신 나 같은 원령이 한 명 늘었다.
스즈카산의 상공을 헤엄치는 악령을 손으로 잡고 이미 더러운 내 몸의 일부로 했다.
속기가 사라져, 늪도 없어져, 금이 간, 조용하고 무구한 스즈카산의 진정한 모습이 나타났다.
" 너가 한 일은 전부 낭비다!"
슬러지가 바위로 되돌아 가고 역도 다시 바다에 녹아들었다. 낭비라고? 그러니까 뭐야. 이 영혼의 잔재가 모두 더러워져도 그 얼룩을 모두 스즈카산에 가두어 섬을 영원히 잠들게 한다. 반복되는 통증이 한순간의 빛을 가져온다면, 그걸로 충분하다.
스토리 개방 조건: 녹명 오오타케마루 스킬 12회 레벨업
보상: 녹명 오오타케마루 조각 10

7.3. 삼[편집]


어두운 꿈 속에서 한때 자신을 보았다.
해국의 젊음이 의기양양하게 파도를 타고 조수를 찢어 적선을 맞이해 쏠 수 있다.
모순을 수평선의 그분에게 가리키고, 항상 승리가 이 손에 있는 것처럼 행동해 왔다. 석양과 선혈이 바다를 붉게 물들었을 때, 스즈카산으로의 귀로에 붙는다.
두려워하지 않고 길을 열고 앞만을 바라보고 결코 돌아보지 않는다.
꿈 속에서는, 서권을 닫는 해명, 오오시라(大鯨)에 물을 뿌린 쿠지라, 얼굴을 올리고 "이번에는 언제 돌아올 거야?" 쪼그리고, 탄 생선에 화를 냈지만, 곧바로 미소를 되찾은 스즈카고젠이 있었다.
내가 그 웃는 얼굴마다 꿈을 쥐고 있을 때, 악의적으로 묻힌 조롱이 또 울렸다.
"너는 더 이상 돌아갈 수 없다! 돌아갈 수 없어!"
확실히, 스즈카산은 이제 옛날과 같은 장소로 돌아오지 않을 것이다. 하지만 나는 다시 스즈카산으로 돌아올 수 있었다. 비록 이 몸이 멸망하더라도, 스즈카산은 영원 불멸이다.
스토리 개방 조건: 녹명 오오타케마루가 대전에서 30회 승리
보상: 곡옥 10


7.4. 식신 소개 영상[편집]




[ 녹명 오오타케마루 두루마리 영상 ]





8. 두루마리[편집]




두루마리는 신규 식신이 출시될 때 함께 열리는 서버 이벤트로 해당 식신의 조금 더 깊은 스토리를 보여주는 이벤트이다. 처음에는 여러개로 나뉘어져 비활성된 상태로 있으나 유저들이 서버 내에서 각종 활동을 통해 얻은 두루마리 조각을 각각의 두루마리들에 기부하면 해당 두루마리가 복구되어 해당 식신의 스토리가 공개된다. 녹명 오오타케마루는 대소 고획조와 함께 23번째 두루마리의 주인공으로 모두 6개의 두루마리가 존재한다.

원본인 오오타케마루까지 포함하면 SP/SSR 등급이 모두 두루마리를 가지고 있는 3번째 식신이다.

[ 녹명 오오타케마루 두루마리 보기 ]
파일:녹명 오오타케마루_두루마리1.jpg
녹언 (Mountain's Story, 어떤 산의 이야기)
여행자여 이대로 계속 간다해도 이 앞은 망망대해, 넓은 바다만이 기다리고 있을 것이라네. 꽤 급해보이는데 어딜 가는지 물어봐도 되겠나? 시간이 많이 늦었는데 이런 밤에 항해를 계속 하는 것은 안전하지 않아. 만약 자네의 배가 파도 및 암초에 좌초한다면 큰 곤경에 처하게 될 걸세. 바다가 잔잔해 질 때까지 오늘 밤 쉬었다 떠나는 건 어떤가? 이 험한 바다의 외로운 섬에서 만난 것도 서로 인연일진데, 이 섬에서 무슨 일이 있었는지 들어보지 않겠나?
한 눈에 봐도 자네는 바다 사람으로 보이네만, 그렇다면 수 없이 많은 보물들이 잠들어 있다는 스즈카야마에 대해 들어봤겠지. 그렇다네. 우리는 지금 그 스즈카야마에 있는 것이네. 자네는 이 섬의 이름이 어째서 산의 이름을 따서 지어졌는지 대해 모르겠지. 이건 사람의 이름을 딴 게 아니거든. 잘 듣게. 내가 지금 내가 하려는 이야기는 이 섬에 살았던 한 아이에 대한 이야기라네.
최초에 이 섬, 스즈카야마를 정복한 자는 이 앞의 거친 바다를 닮은 이었어. 그녀는 소용돌이처럼 끝없이 방황하기를 열망했고 높은 파도처럼 아득한 미지의 땅을 정복하길 바랐지. 하지만 마음 속 풍랑이 아무리 거세게 몰아친다 해도 현실은 물결처럼 잔잔히 흐를 뿐이었어. 아, 이 이야기에 나오는 아이는 그보다 작은 섬을 닮았지. 바다와 하늘이 만나는 지평선에 선 채 자신이 가진 것에 안주하는 고요한 작은 섬.
그 아이는 파도 속에서 태어났다네. 그리고 이 섬에 상륙했을 때, 처음으로 안주했어. 아마도 망망대해를 끊임없이 방황하는 것에 지칠 만큼 지쳤기 때문이었겠지. 아이는 나이에 비해 너무나 큰 힘을 가지고 있었고 자신의 힘을 절제 할 수 없었기에 온 산을 뛰어다니며 바위를 부수거나 고목를 쓰러트리곤 했다네. 여름이 되면 아이는 바위 위에 앉아 볕을 쬐며 파도 소리에 귀를 귀울였고 가을이 되면 고목 아래 누워 노을 질 때까지 낮잠을 자곤 했다네. 그리고 다음 봄 까진 쭉 거기서 졸았지.
처음 아이의 마음은 뻣뻣한 가시투성이었어. 그러나 이 섬에 살기 시작하면서 아이는 그것을 완전히 버렸다네. 어쩌면 그것이 홀로 자라게 되었다면 가지게 되었을 그 얘의 본성이었을지도 모르겠군. 아니면 스스로를 지키기 위해 그 가시를 방패로 삼았던 걸지도 모르겠네만은. 어쨌든 이제 아이에겐 '집'이 있었고, 더 이상 자신을 지킬 가시가 필요하지 않게 되었더랬지.
그래, 나는 이 아이의 이야기를 해주고 싶은 거라네.

파일:녹명 오오타케마루_두루마리2.jpg
사의 (Free Will, 자유의지)
평화로운 삶을 좋아한다고 해서 그 애를 과소평가해선 안 되네. 바다에 있는 그 어떤 섬도 폭풍을 두려워 하진 않으니 말일세. 아이는 낙옆을 줍고 웃다가도 바로 다음 순간 적의 목을 베어버릴 수 있었어.
재밌는 일화가 생각나는군. 스즈카야마를 정복한 이는 늘 자신이 그 아이의 보호자를 자처했었어. 그들은 이 섬에 같이 오기 전 싸우면서 만났더랬지. 그녀는 아이가 스스로의 힘에 다치거나 죽지 않길 바랐다네. 그리고 자신이 아이가 힘을 제어할 수 있도록 이끌어주려 했었지. 하지만 그런 식의 보호는 오래갈 수가 없었어. 결국 그녀는 싸우는 것을 막는 것보다 마음껏 싸우게 내버려두는 것이 이 아이를 위한 일임을 깨닫게 되었지. 그래서 둘은 섬을 침략해오는 적에게 힘을 다루는 기술을 연습하기 시작했다네. 거대한 배들이 연습의 재료가 되어 가라앉았고 난파한 적들로부터 보물을 수집하기 시작했지.
그들은 파도를 타며 싸웠고 싸울 때마다 웃음을 터트렸다네. 때로 함정에 빠질때도 있었지만, 둘은 서로를 도와 적을 물리쳤고 함께 스즈카야마로 돌아오곤 했어. 어느 누구도 그들을 막을 수가 없었다네. 먼 바다에서 밀려오는 파도도 짙은 바다 안개조차도.
행복한 시간이었지. 아이는 스즈카야마에서 행복한 시간을 보냈어. 아아 그러나 좋은 시절은 오래 가지 않는 법. 파국은 언제나 소리없이 다가오는 법이었다네.

파일:녹명 오오타케마루_두루마리3.jpg
무력

파일:녹명 오오타케마루_두루마리4.jpg
귀래

파일:녹명 오오타케마루_두루마리5.jpg
의구

파일:녹명 오오타케마루_두루마리6.jpg
녹명


9. 관련 문서[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0 00:33:17에 나무위키 녹명 오오타케마루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